KR0185767B1 -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 Google Patents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767B1
KR0185767B1 KR1019950047510A KR19950047510A KR0185767B1 KR 0185767 B1 KR0185767 B1 KR 0185767B1 KR 1019950047510 A KR1019950047510 A KR 1019950047510A KR 19950047510 A KR19950047510 A KR 19950047510A KR 0185767 B1 KR0185767 B1 KR 0185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ype vehicle
vertical wall
frame body
foot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152A (ko
Inventor
코이치 스기오카
도모히코 아카시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6002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62J17/086Frame mounted hood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캐리어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조작성이 뛰어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캐리어(30)는 풋 레스트면(25)과 탄성부재(23a)를 배설한 세로벽(23)의 접합부 근방에 회전지지부(31)를 배설한 프레임체(33)와, 전방에의 부세에 대항하여 상기 프레임체(23)를 후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압압부(34)로 이루어지며, 압압부(34)를 밑으로 누름으로써 프레임체(33)상에 피수납물(40)을 재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쿠터형 차량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 캐리어의 전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캐리어를 스쿠터형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에 피수납물을 얹은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핸들 12 : 시이트
23 : 세로벽 23a : 탄성부재
30 : 캐리어 31 : 회전지지부
33 : 프레임체 34 : 압압부
40 : 피수납물
본 발명은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특히 시이트 전방의 풋 레스트면에 배설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풋 레스트면에 피수납물을 지지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로서 일본 특허 공개 소59-171769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는 풋 레스트 후방에 배설되며, 피수납물을 풋 레스트 후단으로부터 시이트전방 방향으로 일으켜 세운 후방의 세로벽과 스프링에 의해 세로벽방향으로 압압되는 압압체를 사이에 두고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에 있어서는 캐리어가 풋 레스트 후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발로 캐리어를 끌어내려면 구두 바닥이나 발등부분으로 압압체를 밀어서 열지 않으면 안되고, 거기에 피수납물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상체를 앞으로 굽히거나 비틀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조작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피수납물이 탑승자의 장딴지 측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또 캐리어 장착부와 풋 레스트면이 근접하기 때문에 발 밑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발 밑의 거주성이 저해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캐리어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성이 뛰어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이트의 전방에 풋 레스트면이 형성되고, 또 핸들과 풋 레스트 사이에 세로벽이 형성된 스쿠터형 차량으로 캐리어를 장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풋 레스트면과 전방 세로벽과의 접합부 근방에 회전지지부를 배설한 프레임체와, 상기 회전지지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체를 후방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압압부로 이루어진다.
이 때, 프레임체는 회전지지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항상 전방으로 힘을 가하며, 프레임체에 접하는 세로벽에는 탄성부재를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끝을 캐리어의 압압부에 얹고, 이것을 밑으로 누르면서 프레임체를 후방으로 회동시켜서 피수납물을 얹을 공간을 형성하고, 그 후 이 공간에 피수납물을 얹고 이것을 지지한다. 또, 피수납물을 꺼내면 프레임체는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세로벽에 접하게 되어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때, 세로벽에 탄성부재를 배설해 두면 접하여 있을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쿠터형 차량의 전체측면도이다.
차체프레임(1)은 헤드파이프(2)와 다운파이프(3) 등으로 구성되며, 헤드파이프(2)에 전륜(4)을 지지해서 핸들(5)에 연결된 프론트포크(6)가 조향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차체프레임(1)의 전방을 덮는 레그시일드(20)는 전면에 헤드라이트(21)를 조립해 넣음과 동시에, 후면을 터널형상 커버(22)에 연결된 세로벽(23)으로 하며, 24는 트렁크 덮개이다. 세로벽(23)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유연성, 탄력성이 뛰어난 EVA(에틸렌·초산비닐수지)에 내마모성이 뛰어난 염화비닐수지를 포갠 탄성부재(23a)를 배설한다. 이 레그시일드(20)의 상부에는 이 레그시일드(20)에 연속되도록 윈도스크린(7) 및 지지파이프(8)(도면에선 좌측이 도시되어 있다)에 후단이 지지되는 덮개(9)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레그시일드(20)에는 그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속된 풋 레스트면(25)이 구비되어 있으며, 풋 레스트면(25)의 하부에는 언더커버(26)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풋 레스트면(2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속된 리어커버(27)가 구비되어 있다. 이 리어커버(27)는 리어부에 좌우의 윙커램프(28)(도면에선 좌측이 도시되어 있음)가 조립됨과 동시에 그 하부에는 엔진유닛(10)과 접속하는 후륜(11)이 배설된다.
리어커버(27)상에는 그 중간부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상부로 경사진 시이트(12)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시이트(12)는 전방의 힌지(도시생략)를 통해 리어커버(27) 안쪽을 개폐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풋 레스트면(25)과 세로벽(23)의 접합부 근방에는 회전지지부(31)를 배설하여 캐리어(30)가 배설되어 있다. 이 위치에 캐리어(30)를 배설함으로써 탑승객은 승차시 피수납물을 언제나 그 존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 캐리어의 전체 사시도이며, 캐리어(30)는 바닥지지부(32), 프레임체(33), 회전지지부(31) 및 압압부(34)로 이루어진다.
바닥지지부(32)는 풋 레스트면(25)(제1도 참조)을 모방한 형상을 가진 대략 평행한 한쌍의 파이프(32a)(32b)와, 이들 파이프(32a)(32b) 각각의 일단으로 부터 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상부로 뻗은 파이프(32c)(32d)와 파이프(32c)(32d)를 연결하는 파이프(32e)로 이루어진 ㄷ자형상의 스토퍼(32f)를 일체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각 파이프(32a∼32e)에는 차체프레임(1)(제1도 참조)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장착구멍(35a∼35e)을 형성한 장착편(36a∼36e)을 용접 등에 의해 장착한다. 여기서, 장착편(36b)(36c)은 파이프(32a)와 파이프(32c) 사이 및 파이프(32b)와 파이프(32d) 사이를 접속하여 각 파이프 사이가 이루는 각도를 소정 크기로 규제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서 피수납물(40)을 얹었을 때 압압부(34)를 대략 수평으로 할 수 있다.
프레임체(33)는 세로벽(23)(제1도 참조)을 모방한 형상을 한 대략 평행한 한쌍의 파이프(33a)(33b)와, 외부로 뻗은 파이프(33c)(33d)와 그 각 선단으로부터 상기 파이프(33a)(33b)와 평행하고 또 세로벽(23)을 모방하여 같은 길이만큼 뻗은 파이프(33e)(33f)와 각각의 선단부를 묶는 파이프(33g)로 이루어진 대략 ㄷ자형상부(33h)로 이루어지며, 파이프(33c)(33d)의 개방단을 파이프(33a)(33b)의 중간부에 파이프(33a)(33b)의 일단을 파이프(33g)에 접속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한다.
한쌍의 파이프(33a)(33b) 타단에는 프레임체(33)를 항상 전방(화살표a)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을 내장한 회전지지부(31)가 배설되며, 이 회전지지부(31)는 상기 바닥지지부(32)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지지부(31)의 후면에는 프레임체(33)를 후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파이트(34a∼34c)로 이루어진 평면에서 보아 ㄷ자형상의 압압부(34)가 고착된다. 도면은 이 압압부(34)가 상기 스토퍼(32f)와 접할 때까지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캐리어를 스쿠터형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로써,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표시한다.
캐리어(30)의 차량에의 장착을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미리, 터널형상 커버(22)를 관통해서 차체프레임(1)에 도달하는 구멍(도시생략)을 뚫어 두고, 터널형상 커버(22)를 끼워서 풋 레스트면(25)에 재치한 상태에서 장착구멍(35a∼35e) 및 터널형상 커버(22)를 관통하여 볼트(장착구멍(35a, 35b)(35e)에 대응하는 볼트(37a)(37b) 및 (37e)만 도시)에 의해 차체프레임(1)에 장착한다. 제3도에서 프레임체(33)는 회전지지부(31)에 내장된 스프링(31a)에 의해 전방으로 힘을 받아 세로벽(23)에 접하고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에 피수납물을 얹은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로써,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냈다.
압압부(34)를 예를 들면 구두의 발끝으로 밑으로 누르고, 회전지지부(31)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프레임체(33)를 후방으로 힘을 가하여 끌어당겨서 피수납물(40)을 프레임체(33) 상에 재치하면 프레임체(33)는 피수납물(40)의 중량에 의해 압압부(34)가 스토퍼(32f)에 접할 때까지 회동되어 피수납물(40)은 이 위치에 지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1은 시이트의 전방에 풋 레스트면이 형성되고 또 핸들과 풋 레스트 사이에 세로벽이 형성된 스쿠터형 차량으로 캐리어를 장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풋 레스트면과 전방 세로벽과의 접합부 근방에 회전지지부를 배설한 프레임체와, 상기 회전지지부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체를 후방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압압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끝으로 캐리어의 압압부를 누르는 것만으로 피수납물을 얹을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공간에 승차자세 그대로 피수납물을 얹을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이 상체를 굽히거나 비틀거나 할 필요가 없어져서 조작하기 쉽게 된다. 또한, 피수납물이 장딴지측이 아니라 정강이의 전방에 위치되고 캐리어 장착부와 풋 레스트면 사이에 종래에 비해 충분히 큰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발밑의 거주성이 저해되지 않게 된다.
청구항2는 프레임체는 회전지지부를 회동중심으로 해서 항상 전방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피수납물을 꺼내면 프레임체는 전방으로 회동하며 세로벽에 당접하여 레그시일드내로 원상태로 되돌아가서 발 밑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청구항3은 캐리어와 접하는 세로벽에는 탄성부재가 배설되어 있으므로, 피수납물을 꺼냄으로써 프레임체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세로벽과 접했을 때라도 프레임체와 세로벽의 간섭음을 완화할 수 있어서 세로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시이트의 전방에 풋 레스트면(25)이 형성되고, 또 핸들과 풋 레스트 사이에 세로벽(23)이 형성된 스쿠터형 차량에 캐리어(30)를 장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30)는 상기 풋 레스트면(25)과 전방 세로벽(23)의 접합부 근방에 회전지지부(31)를 배설한 프레임체(33)와, 상기 회전지지부(31)를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체(33)를 후방으로 회동하기 위한 압압부(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33)는 회전지지부(31)를 회동 중심으로 해서 항상 전방으로 힘을 받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33)와 접하는 세로벽(23)에 탄성부재(23a)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KR1019950047510A 1994-12-07 1995-12-07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KR0185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03486 1994-12-07
JP30348694A JP3508952B2 (ja) 1994-12-07 1994-12-07 スクータ型車両のキャリ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152A KR960022152A (ko) 1996-07-18
KR0185767B1 true KR0185767B1 (ko) 1999-04-15

Family

ID=1792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510A KR0185767B1 (ko) 1994-12-07 1995-12-07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508952B2 (ko)
KR (1) KR0185767B1 (ko)
CN (1) CN1043329C (ko)
FR (1) FR2727926B1 (ko)
IT (1) IT1280488B1 (ko)
TW (1) TW283128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24557A (ko) *
JPS5860587U (ja) * 1981-10-20 1983-04-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等のキヤリヤ装置
JPS59171769A (ja) * 1983-03-15 1984-09-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タ型車両のキヤリア
JPS615281U (ja) * 1984-06-16 1986-01-13 株式会社 ヨシダ スク−タ−等における荷物保持具
JPS6190676U (ko) * 1984-11-20 1986-06-12
JPS6271767A (ja) * 1985-09-25 1987-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タ型車両の物入れ構造
EP0255254B1 (en) * 1986-07-29 1992-11-1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cycle-type vehicle
JPH02158468A (ja) * 1988-12-13 1990-06-18 Y Ii C:Kk スクータ形車両の物品運搬装置
DE4215283A1 (de) * 1992-05-09 1993-11-11 Karl Adolf Weidt Zweiradfahrzeug
JPH06227464A (ja) * 1993-02-04 1994-08-16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のキャリ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83128B (ko) 1996-08-11
CN1043329C (zh) 1999-05-12
CN1131107A (zh) 1996-09-18
FR2727926A1 (fr) 1996-06-14
IT1280488B1 (it) 1998-01-20
JPH08156859A (ja) 1996-06-18
JP3508952B2 (ja) 2004-03-22
ITTO950949A0 (ko) 1995-11-28
FR2727926B1 (fr) 1999-04-16
KR960022152A (ko) 1996-07-18
ITTO950949A1 (it)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3424A (en) Foot board for four wheeled all-terrain vehicle
US4591179A (en) Bar steps for a small-sized vehicle
EP2128007B1 (en) Motorcycle
KR0185767B1 (ko) 스쿠터형 차량의 캐리어
EP0669246B1 (en) Foot board structure of scooter type vehicle
KR0162904B1 (ko) 스쿠터형 차량의 이너랙구조
US6484836B2 (en) Meter display device for saddle type vehicle
CN101712349B (zh) 机动二轮车
US4637273A (en) Bicycle brake operating device positioned on a drop handle
JPS6061386A (ja) 騎乗形車両の車体構造
FR2748716A1 (fr) Structure de montage du guidon dans un motocycle
JP3367760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3651248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カバー装置
JP3838015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591675B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JPH0644786Y2 (ja) 自転車の後輪用泥除け体
JP3672596B2 (ja) 自動二輪車
CN110329408B (zh) 鞍乘型车辆
CN113474244B (zh) 用于两轮车辆的脚踏组件
JP3639072B2 (ja) 自動2輪車の背もたれ支持構造
JP3743442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002068058A (ja) 自動二輪車
JP2000062675A (ja) スクーター型車両のケーブル類保持構造
JPH0568397B2 (ko)
JP3838002B2 (ja) 自動二輪車のスイッチ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