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625B1 - 알미늄판의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알미늄판의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625B1
KR0185625B1 KR1019960017292A KR19960017292A KR0185625B1 KR 0185625 B1 KR0185625 B1 KR 0185625B1 KR 1019960017292 A KR1019960017292 A KR 1019960017292A KR 19960017292 A KR19960017292 A KR 19960017292A KR 0185625 B1 KR0185625 B1 KR 0185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tank
electrolytic etching
washing
ox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984A (ko
Inventor
박노택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유재형
주식회사클래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형, 주식회사클래드 filed Critical 유재형
Priority to KR101996001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625B1/ko
Priority to JP8230751A priority patent/JPH10280195A/ja
Publication of KR97007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06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 C25D11/10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containing 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0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lytic conversion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6Pretreatment, e.g. desm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3/00Electrolytic etching or polishing
    • C25F3/02Etching
    • C25F3/04Etching of ligh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 from objects; Servicing or ope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미늄 또는 알미늄합금표면에 폴리 테트라 폴로오로 에칠렌 등의 불소수지등 합성수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미늄 또는 알미늄 합금등으로 형성된 판의 편면을 전해질로서 할로겐화물을 함유한 용액중에서 전해에칭 한 후 후공정인 유산용액에서 산화피막 형성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칭후에도 후속 공정들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알미늄판의 전해에칭과 산화피막의 연속형성방법 및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알미늄 또는 알미늄합금판의 전해에칭공정에서는 에칭공정 한가지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수세등의 후속공정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공정이 추가로 요구되는데 종래의 방법으로는 후속공정마다 처리물을 부착 및 취출의 작업공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써 많은 공수와 신간을 허비비하게 하여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후속공정이 고려되지 않고 다만 에칭공정에 한하여서만 사용되게 한 기술로서 후속공정 연속작업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해액을 통한 간접 통전 방식을 채택하되 알미늄 또는 알미늄 합금판의 전해에칭공정으로부터 그 후속공정 즉 에칭-수세 수세 표면활성 수세-수세-산화피막 형성-수세-수세의 공정을 단 1회의 취부만으로 단일 설비 안에서 순차적으로 연속진행하여 모든 공정을 완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의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 알루미늄판의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 형성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생략 평면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진행을 나타내는 도입부를 포함한 일부 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진행을 나타내는 도입부를 포함한 일부 정면도이며, b도는 a도의 A-A 선 단면도.
제5a도는 절연박스가 처리조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4 b도의 확대도.
b도는 절연박스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냄.
제6도는 종래의 알루미늄의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 형성조의 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알루미늄의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 형성조의 개략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처리물 11 : 음극판
12 : 양극판 20 : 절연박스
22 : 전해액실 25 : 차폐물
24 : 개구부 30 : 체인 컨베이어
26 : 차폐레버 41 : 인입용 실린더
33 : 수직 실린더 100 : 처리조
42 : 인출용 실린더 101 : 전해조
105 : 산화피막 형성조 200 : 프레임
본 발명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표면에 폴리 테트라 플로오로 에칠렌 등의 불소수등 합성수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반드시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형성된 판의 한쪽 면을 전해질로서 할로겐화물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전해에칭 한 후 후공정인 유산용액에서 산화피막 형성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칭후에도 후속 공정들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알루미늄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재료의 한쪽 면을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 형성처리를 할 경우 반대편 측의 면을 절연물 등으로 피복한 후 이를 양극(+)으로 하고 음극(-)에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전해액중에서 통전하는 방법과, 처리물 2매를 겹쳐서 이것을 양측(+)으로 하여 양측의 음극(-)판 사이에 놓고 전해액 중에서 통전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상기한 방법들은 처리물에 직접 통전하는 접점이 있기 때문에 통전 접점이 남기도 하고 접점불량이 발생하여 불량품이 발생하기도 하여 전해에칭 및 아르마이트 피막 생성처리를 비연속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다수물을 처리할 경우 개개별로 처리물에 접점을 걸어야 하기 때문에 처리 방법 및 장치가 복잡한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본국 특개소54-62935호 에서는 카세트 형식의 액체 급전법이 제시되었다.
이는 제6도에서 나타낸 것 같이 처리물 고정 카세트 형식의 절연부재를 만들고 이에 처리물을 부착하여 음극과 양극사이에 배치하고 전해액을 음극과 양극으로 나누어 통전하는 방법으로서 즉 처리물에 직접 통전을 하지 않고 전해액을 통하여 급전하는 액체 급전법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하에서 절연카세트를 수평형 또는 수직형으로 배치하는 일본국 특공소 59-34800호 일본국 특개소 54-62929가 있었다.
그러나 이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판의 전해에칭공정에서는 에칭공정 한가지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수세 등의 후속 공정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공정이 추가로 요구되는데 상기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후속공정마다 처리물을 부착 및 취출의 작업 공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써 많은 공수와 시간을 허비하게 하여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기술은 후속 공정이 고려되지 않고 다만 에칭공정에 한하여서만 사용되게 한 기술로서 후속공정 연속작업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또한 상기 발명은 제7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에칭조 전체를 처리물이 취부된 카세트에 의해 음극과 양극조로 분리되도록 그 절연 차단의 문제점과 상기 카세트 1개씩 순차적으로 밀어내는 구조였으므로 각 공장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작업 관리해야 하며 처리물의 수량이 많을 시는 설비의 규모에 한계가 있고 설비의 크기에 따라 1회 처리량에 한계가 있었다.
즉 긴 전해조에 많은 카세트가 들어가고 이 카세트를 전부 밀어내는 구조였으므로 설비의 유지 관리 및 보수상 커다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5-13598호에서는 양극판크기와 처리물의 표면적의 크기와 거리를 조정하면서 전해 에칭하는 액체급전법이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이 또한 처리물 크기에 따라 양극판 크기 및 거리를 조정하는 번거로움과 전해액속에서 양극 음극이 차단되지 않고 혼재되므로서 전력손실은 물론 품질의 균일도에 커다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전해액을 통한 간접통전 방식을 채택하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전해 에칭공정으로부터 그 후속공정 즉 에칭-수세-수세 표면활성-수세-수세-산화피막 형성-수세-수세의 공정을 단 1회의 취부만으로 단일 설비 안에서 순차적으로 연속 진행하여 모든 공정을 완료하도록 하는 알루미늄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한쪽 면을 전해 에칭시 전해질로서 할로겐화물(염화나트륨화암모늄, 염화칼륨)이나 또는 산화 피막시 전해질로서 유산용액을 갖는 처리조(100)내에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금속판의 음극(11)을 배치하고 이와 대향되게 배치한 처리물(1)에 통전이 가능하도록 개구부(23)를 갖고 전해액실(22)을 갖는 절연박스(20)에 양극(+)(12)을 통전하므로서 전해액실(22)에 급전된 전하가 개구부(23)를 통하여 처리물(1)에 도달하여 처리물(1)이 양극으로 되어 음극(11)과 반응 하므로서 액체 급전에 의한 방법으로 전해 에칭 및 산화피막을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박스(20)는 전해액을 유입 배출시킬 수 있는 차폐문(25)과 차폐레버(22)를 설치하며, 절연박스(20)내에 양극(+)(12)을 설치하여 전해액 차폐문(25)을 차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한쪽 면을 할로겐화물을 함유한 전해용액조에서 음극(-)과 양극(+) 사이에 대향되게 배치하여 수행하는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 형성장치로서 처리물 취부대에서부터 시작하여 전해에칭조 → 1차 수세조 → 2차 수세조 → 표면활성조 → 1차 수세조 → 2차 수세조 → 산화피막형성조 → 1차 수세조 → 2차 수세조 등을 거쳐 취출대에 이르기까지 모든 처리조를 순환되도록 연속 배치하고, 상기 처리물 취부대에서부터 사기 각 처리조를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대에 이르기까지의 상부공간을 순환하도록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수직 안내레일과 상기 수직 안내레일에 끼워 설치되어 이송되며, 개폐 가능한 전해액실을 구비하고 처리물을 얹어놓는 기능 및 절연수단의 절연박스와, 상기 각 처리조 입구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박스를 처리조에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용 실린더와, 상기 각 처리조 출구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박스를 처리조로 부터 인출하기 위한 인출용 실린더와, 상기 절연박스를 수평 안내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와 연결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 형성조내 상부위치, 상기 인입용 실린더와 인출용 실린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박스의 전해액실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레일과, 상기 차폐레일과 컨베이어 진행방향으로 적정간격을 뛰운 위치에서 인출용 실린더 사이에 상기 차폐레일과 병행으로 설치된 통전 레일과, 상기 처리물 취부대에서부터 모든 공정의 처리조와 처리물 취출대를 연결 지지하고 상기 체일 컨베이어와 상기 안내레일과 상기 차폐레일과 상기 통전레일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 형성조의 단면도이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평면을 할로겐화물을 함유한 전해용액조에서 음극(-)(11)과 양극(+)(12)사이에 대향되게 배치하여 수행하는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 형성 장치에 있어서 처리물을 얹어놓는 절연박스(20)는 처리물(1)에 통전이 가능하도록 개구부(23)를 가진 전해액실(22)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액실(22)에 양극(+)(12) 판을 설치하여 상기 전해액실(22)의 저면에는 차폐레버 장치(26)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차폐문(25)을 구비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생략 평면상태도이다.
처리물 취부대(107b)에서부터 시작하여 전해에칭조(101) - 1차 수세조(102a) - 2차수세조(102b) - 표면활성조(103) - 1차수세조(104a) - 2차수세조(104b) - 산화피막형성조(105) - 1차수세조(106a) - 2차수세수(106b) - 취출대(107a)를 순환되도록 프레임(200)에 연속 배치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입부 사시도이며, 제4a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진행을 나타내는 도입부를 포함한 일부 정면도이고, b도는 a도의 A-A 선 단면도이다.
상기 처리물 취부대(107b)에서부터 각 처리조를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대(107a)에 이르기까지의 상부공간을 순환하도록 스프로켓(31)에 의하여 순환되는 체인 컨베이어(30)를 설치하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30)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안내레일(33)을 장착한다.
절연체(21)에 연장부(29)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 안내레일(33)에 끼워 설치되며 처리물을 얹어놓는 절연박스(20)는 처리물(1) 탈착수단(27)과 처리물(1)과 통전이 가능하도록 개구부(23)를 구비하며, 양극(a+)판(12)을 내설하는 전해액실(22)을 구비하여 상기 전해액실(22)의 저면을 차폐레버 장치(26)에 의하여 개폐토록 하는 차폐문(25)을 구비한다.
상기 절연박스(20) 절연체 연장부(29)와 상기 차폐레버(26)의 상단부에는 각각 롤러(29a,26a)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처리조 입구에 상기 절연박스(20)를 처리조에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용 실린더(41)와 상기 각 처리조 출구에 상기 절연박스(20)를 처리조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용 실린더(42)를 설치하되 실린더 피스톤 단부에 근접센서(41b,42b)를 구비한 안내레일(41a,41b)을 형성한다.
또한 절연박스(20)를 수평 안내 지지하며 상기 취출, 취부대(107a,107b)에 위치한 상부 안내레일(63a)과 상기 각 처리조의 인입용 실린더(41)와 인출용 실린더(42) 사이에 하부 안내레일(63b)을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전해에칭조(101) 및 산화피막 형성조(105)내 상부위치, 상기 인입용 실린더(41)와 인출용 실린더(42) 사이에 상기 절연박스(20)의 전해액실 (22)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레일(61)을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차폐레일(61)과 체인컨베이어 진행방향으로 적정간격을 띄운 위치와 인출용 실린더(42)사이에 상기 차폐레일(61)과 병행으로 양극(+)판(12)의 통전을 위한 통전레일(6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물 취부대(107b)에서부터 모든 공정의 처리조와 취출대(107a) 연결지지하고 상기 체인 컨베이어(30)와 상기 안내레일(63)과 상기 차폐레일(61)과 상기 통전레일(62)을 지지하는 프레임(20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제5a도는 본 발명의 절연박스가 처리조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고 b도는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처리물 취부대(107b)에서 처리물(1) 취부한 절연박스(20)의 연장부 롤러(29a)가 체인 컨베이어(30)와 상부 안내레일(63a)에 의하여 인입용 실린더(41) 피스톤의 하단에 구비된 실린더 레일(41a) 진입하면 실린더 레일(41a)에 구비된 근접센서(41b)에 의하여 상기 인입용 실린더(41)가 하강 작동하게 된다.
처리물에 통전이 가능하도록 개구부(23)를 구비하고 상기한 개구부 외측에 처리물(1) 탈착수단(27)을 형성하며 양극(+)판(12)을 내설하는 개폐 가능한 전해액실(22)을 절연박스(20)는 체인 컨베이어(30)에 장착된 수직안내레일(33)을 타고 상기 전해액실(22)의 차폐문(25)이 연린 상태로 음극(-)판(11) 및 전해액을 수용한 처리조(100)에 침잠하게 되고 상기 전해액실(22)에는 전해액이 유입된다.
동시에 연장부 롤러(29a)는 상기 실린더 레일(41a, 42a)하강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프레임(200)에 고정된 하부안내레일(63b)에 진입하게 된다.
이어서 차폐레버 롤러(26a)가 차폐레일(61)위로 올라타게 되면 차폐레버(26)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차폐레버(26)와 연결된 저면의 차폐문(25)을 닫게 하여 음극(-)판(11)을 수용한 처리조(100)내의 전해액과 상기 양극(+)판(12)을 수용한 전해액실(22)과 차단 절연된다.
그 다음에 상기 전해액실에 내설된 양극(+)판(12)에 연결된 통전 접점(12a)이 통전레일(62) 위로 올라타게 되어 통전되고 상기 전해액실(22)의 전해액을 통하여 처리물(1)이 양극(+)으로 되며 처리물(1)과 대향 설치된 음극(-)판(11)과 통전되어 처리물(1)의 전해에칭 또는 산화피막 형성이 이루어진다.
적정시간 동안 처리 공정이 진행된 후 통전레일이 끝이나서 양극(+)접점(12a)이 단전되고 처리공정은 끝나게 된다.
동시에 차폐문(25)과 연결된 차폐레버 롤러(26a)의 차폐레일(61)도 끝나서 차폐레버(26)가 하강하여 상기 전해액실(22)을 차폐하고 있던 차폐문(25)이 자중으로 내려지면서 열리게 된다.
이때에 절연박스(20)의 연장부 롤러(29a)는 하강하여 대기하고 있던 인출용 실린더 레일(42a)에 진입되고 실린더 레일에 설치된 근접센서(42b)에 의하여 인출용 실린더(42)가 처리물을 얹어놓는 절연부재(20)를 탑재하고 상승한다.
인출용 실린더(42)에 탑재되어 처리조(100)로부터 상승하고 있는 절연박스(20는 저면의 차폐문(25)이 열려 있으므로 전해액실에 차있던 전해액을 처리조에 되돌리고 비어있는 상태로 상승한다.
체인 컨베이어(30)는 계속 진행하고 있으므로 상승된 절연박스(20)의 연장부 롤러(29a)는 상승된 인출용 실린더 레일(42a)과 수평으로 연결 대기하고 있는 후속 공정 인입용 실린더 레일(41a)에 진입힘과 동시에 다음 처리조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입용 실린더(41)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되며 수세조(102)에서는 통전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차폐레일(61)이나 통전레일(62) 또한 불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해서 전해에칭조(101) → 1차수세조(102a) → 2차수제조(102b) → 표면활성조(103) → 1차수제소(104a) → 2차수세조(104b) → 산화피막형성조(105) → 1차수세조(106a) → 2차수세조(106b)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모든 공정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실제의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샐행하여 보았다.
알루미늄판 AL 3003 또는 3004로 판 두께 1.2t 직경 430mm를 처리물 1로 하여 처리물 취부대(107b) 부분에서 절연박스(20)에 부착하여 절연박스를 형성하여 이를 연속적으로 부착하면 체인 컨베이어(30)에 의하여 연속 진행시켜 전해에칭조(1001)에 침적 진행시켜 통전레일(62)부에 도달 통전을 시켜 전해에칭을 실시하였다.
이때, 전해에칭조(101)내에는 전해액인 할로겐화물인 염화 암모늄을 30∼60g/L로, 전류밀도를 200A∼400A/dm2, 온도 20℃∼30℃로서 통전하면서 통전레인(62)에서 통전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 2∼4분간을 진행시켰다.
통전이 끝나고 절연박스(20)는 상승하여 절연박스(20)내에 있던 전해액을 비운 뒤에 상승진행 후 1차수세조(102a) 및 2차수세조(102b)에서 상승 하강시키면서 2회 수세를 시행하였다.
2차수세조(102b)에서 상승한 후 에칭한 면의 표면활성화를 위하여 표면활성조(103)로 진입시켰다. 이때 표면활성조(103)의 액은 유산농도 30∼40%, 온도30∼40℃의 상태에서 1∼2분 스마트 제거 및 표면조도를 조정하였다. 이때는 전기 통전은 없이 표면만 활성화하였다. 표면활성 이후 1차수세조(104a) 및 2차수세조(104b)에서 상승 하강시키면서 수세를 한 후 산화피막형 성조(105)에는 유산 12∼20%, 전류 밀도 1∼2A/dm2, 온도 20∼30℃로 하여 2∼5분간 시행하여 산화피막을 형성한 후 1차수세조(106a) 및 2차수세조(106b)에서 전과 같은 방법으로 수세를 하였다.
상기와 같이 연속으로 이 과정을 실시하여 본 결과 알루미늄 한 쪽면만 균일하게 전해에칭 되었을 뿐만 아니라 후 공정인 폴리테트라 프로로에치렌등의 불소수지의 코팅용으로서 가장 적합한 나무뿌리(일명 항아리형)의 표면거칠기를 만들어 불소수지 벗겨짐을 방지하고 또한 그 거칠기 위에 3μ의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불소수지 강도를 보강하게 됨은 물론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벗겨지지 않는 에칭판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 실시예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처리물 절연박스를 설치하여 처리물 개개별로 단독 급전이 가능하므로 단 한변의 처리물 취부공정에 의해 전해에칭 → 1차수세 → 2차수세 → 표면활성 → 1차수세 → 2차수세 → 산화피막형성 → 1차수세 → 2차수세 등의 공정을 연속, 자동으로 진행하게 되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개별처리물 절연박스를 설치하므로서 전해에칭등 처리공정에서 전기 통정시 통전전하량을 균일하게 하므로서 품질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셋째; 개별처리물 절연박스를 설치하므로서 설비의 단순화를 꾀함으로써 설비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배별처리물 절연박스를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로 규격화하므로서 설비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하여 인력절감효과가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처리물 취부에서부터 전해에칭-수세-수세-표면활성-수세-수세-산화피막형성-수세-수세 등의 공정을 단일 설비 안에서 연속 순환식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처리 공정이 연속자동으로 진행되게 하고 각 공정마다 처리물의 취부 및 취출이 필요 없이 단 1회의 취부만으로써 모든 공정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생산설비를 단순화하고 품질의 균일성은 물론 생산성 향상시켜 고품질의 제품을 양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한쪽면을 전해에칭시 전해질로서 할로겐화물(염화나트륨화 암모늄, 염화칼륨)이나 또는 산화피막시 전해질로서 유산용액을 갖는 처리조(100)내에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금속판의 음극(11)을 배치하고, 이와 대향되게 배치한 처리물(1)에 통전이 가능하도록 개구부(23)를 갖고 전해액실(22)을 갖는 절연박스(20)에 전해액을 유입 배출시킬 수 있는 차페문(25)과 차페레버(22)를 설치한 절연박스(20)내에 양극(+)(12)을 설치하여 전해액 차페문(25)을 차페시켜서 양극(+)(12)에 통전하므로서 전해액실(22)에 급전된 전하가 개구부(23)를 통하여 처리물(1)에 도달하여 처리물(1)이 양극으로 되어 음극(11)과 반응하므로서 액체 급전에 의한 방법으로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을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판의 연속 전해에칭 및 연속 산화피막 형성방법.
  2.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한쪽면을 처리조에서 음극(-)과 양극(+)사이에 대향되게 배치하여 수행하는 전해에칭 및 산화피막 형성 장치에 있어서, 처리물 취부대(107b)에서 부터 시작하여 전해에칭조(101)-1차 수세조(104a)-2차수세조(104b)-산화피막형성조(105)-1차수세조(106a)-2차수세조(106b) 등을 거쳐 취출대(107a)에 이르기까지 연속 순환배치돤 각 처리조(100101,102,103,104,105)와; 상기 처리물 취부대(107b)에서 부터 상기 각 처리조(100)를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대(107a)에 이르기까지의 상부공간을 순환하도록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30)와; 상기 체인컨베이어(30)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수직 안내레일(33)과 상기 수직 안내레일(33)에 끼워 설치되어 이송되며 개페 가능한 전해액실(22)을 구비한 처리물 얹어놓는 기능 및 절연 수단의 절연박스(20)와; 상기 각 처리조(100) 입구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박스(20)를 처리조(100)에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용 실린더(41)와; 상기 각 처리조(100) 출구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박스(20)를 처리조(100)로 부터 인출하기 위한 인출용 실린더(42)와; 상기 절연박스(20)를 수평안내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41,42)와 연결하는 안내레일(63)과, 상기 전해에칭(101) 및 산화피막 형성조(105)내 상부위치, 상기 인입용 실린더(41)와 인출용 실린더(42)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처리물을 얹어 놓는 기능 및 절연부재(20)의 전해액실(22)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레일(61)과; 상기 차폐레일(61)과 컨베이어 진행 방향으로 적정간격을 띄운 위치에서 인출용 실린더(42) 사이에 상기 차폐레일(61)과 병행으로 설치된 통전 레일(62); 상기 처리물 취부대(107b)에서부터 모든 공정의 처리조(100)와 처리물 취출대(107a)를 연결 지지하고 상기 체인 컨베이어(30)와 상기 안내레일(63)과 상기 차폐레일(61)과 상기 통전레일을 지지하는 프레임(200)을 구성요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판의 연속전해에칭 및 연속산화피막 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박스(20)는 상기 컨베이어(30)에 장착된 수직안내 레일(33)에 끼워 설치되도록 본체(21)에 연장부(29)를 형성하고 처리물 탈착수단(27)과 처리물(1)과의 통전이 가능토록 개구부(23)를 통설하고 양극(+)판(12)을 내설하는 전해액실(22)을 구비하되 저면에는 차폐레버(26)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차폐문(25)을 구비하고, 상기 차폐레버(26)와 상기 연장부(29)의 상단에 각각 롤러(26a, 29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판의 연속전해에칭 및 연속산화피막 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린더(41, 42)는 근접센서(41b, 42b)를 구비한 안내레일(41a, 42a)을 피스톤 단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판의 연속전해에칭 및 연속산화피막 형성장치.
KR1019960017292A 1996-05-21 1996-05-21 알미늄판의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KR0185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292A KR0185625B1 (ko) 1996-05-21 1996-05-21 알미늄판의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JP8230751A JPH10280195A (ja) 1996-05-21 1996-08-30 アルミニウム板の連続電解エッチング、酸化皮膜形成方法及び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292A KR0185625B1 (ko) 1996-05-21 1996-05-21 알미늄판의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984A KR970074984A (ko) 1997-12-10
KR0185625B1 true KR0185625B1 (ko) 1999-04-01

Family

ID=1945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292A KR0185625B1 (ko) 1996-05-21 1996-05-21 알미늄판의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280195A (ko)
KR (1) KR01856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863A (ko) * 2003-10-10 2005-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알루미늄 바디 도장방법
KR100892995B1 (ko) * 2008-10-20 2009-04-10 손치호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58368B1 (ko) * 2009-12-16 2010-05-17 주식회사 삼원알텍 탈지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 장치
KR101048013B1 (ko) * 2011-02-22 2011-07-13 주식회사 삼원알텍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용 래크
KR101215478B1 (ko) * 2012-08-08 2013-01-09 주식회사 삼원알텍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용 양극레일의 스파크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3784A1 (de) * 2005-07-20 2007-01-25 Viktoria Händlmeier System zur galvanischen Abscheidung einer leitfähigen Schicht auf einem nichtleitfähigen Trägermaterial
CN104419960A (zh) * 2013-08-20 2015-03-18 谢彪 阳极氧化生产线及其生产工艺
KR102247637B1 (ko) * 2020-07-10 2021-05-03 주식회사 레노메디컬 전해연마식 카테터 안내선의 코어 와이어 및 코어 와이어 전해연마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863A (ko) * 2003-10-10 2005-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알루미늄 바디 도장방법
KR100892995B1 (ko) * 2008-10-20 2009-04-10 손치호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0047456A1 (ko) * 2008-10-20 2010-04-29 주식회사 삼원알텍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58368B1 (ko) * 2009-12-16 2010-05-17 주식회사 삼원알텍 탈지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 장치
KR101048013B1 (ko) * 2011-02-22 2011-07-13 주식회사 삼원알텍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용 래크
KR101215478B1 (ko) * 2012-08-08 2013-01-09 주식회사 삼원알텍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용 양극레일의 스파크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984A (ko) 1997-12-10
JPH10280195A (ja) 199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06794A (en)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KR0185625B1 (ko) 알미늄판의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KR101541295B1 (ko) 금속의 아노다이징 자동화 처리시스템
US77670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lytically treating an at least superficially electrically conducting work piece
US2317242A (en) Plating tank for electrodeposition of metals on metallic strip
US92388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metal parts
RU21967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материала окунанием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материала
US6342146B1 (en) Lead-free alloy plating method
JPH0249400B2 (ko)
CA1178555A (en) Device for electrodeposition of aluminum
JP2001158997A (ja) 電気化学処理の実施方法及び装置
CA1190514A (en) High speed plating of flat planar workpieces
JPH07252696A (ja) メッキ装置
US3297559A (en) Conductive mold rack for electrocleaning mold parts
KR100633043B1 (ko) 구리 도금장치
KR810002106B1 (ko)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 방법
JPH09176897A (ja) 電解処理槽の電極装置
SU791792A1 (ru) Автомат дл нанесени гальванических покрытий
KR820001142Y1 (ko)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장치
JPH09195093A (ja) 連続電解装置
JP2000034596A (ja) メッキ処理装置
JPH0443995B2 (ko)
JP2533207Y2 (ja) 表面処理装置
CN113529155A (zh) 一种挂件高效电镀处理装置
EP05506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inuous strip sheet me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