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142Y1 -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142Y1
KR820001142Y1 KR2019820002403U KR820002403U KR820001142Y1 KR 820001142 Y1 KR820001142 Y1 KR 820001142Y1 KR 2019820002403 U KR2019820002403 U KR 2019820002403U KR 820002403 U KR820002403 U KR 820002403U KR 820001142 Y1 KR820001142 Y1 KR 820001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cassette
frame
workpiec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오 오기노
슈죠오 나가이
가즈오 사와다
야스도요 고다니
세이지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다부찌 노보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803357A external-priority patent/KR810002106B1/ko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다부찌 노보루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2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1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3/00Electrolytic etching or polishing
    • C25F3/02Etching
    • C25F3/04Etching of ligh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3/00Electrolytic etching or polishing
    • C25F3/02Etching
    • C25F3/14Etching local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원리를 나타내는 선도.
제2도는 동상의 절열틀의 사시도.
제3도는 동상의 틀에 피처리물을 장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피처리물과 절연틀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절연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9도는 동상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10-10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1도는 동상의 장치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12-1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14도는 동상의 절연틀의 사시도.
제15도는 동상의 장치의 종단정면도.
제16도는 동상 장치에 다른 구성을 부가한 장치의 평면도.
제17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기타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17-17선에 있어서의 전개 단면도.
본 고안은 전해 부식장치, 특히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표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등의 재료를 합성수지나 도료로서 피복할 때, 기재와 합성수지 등과의 밀착력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기재의 수지피복을 하는 면에 미리 표면처리를 하고 조면화(粗面化)시키는 것이 통례이다.
조면화의 방법으로서는 샌드브러스트 등의 기계적 방법, 산이나 알카리 등의 약품에 의한 화학적 방법 및 전기화학적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나, 기계적 방법으로는 조면화가 충분하게 되지 않고 기재와 피복층과의 밀착력이 약한 결점이 있으며, 화학적 방법으로는 일정한 조면화 정도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처리액의 농도, 온도 등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전기 화학적 방법은 밀착성이 뛰어난 조면을 얻을 수 있고 또 전류치, 전압치, 처리시간 등의 조절에 의해 용이하게 일정한 조면화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사용되어온 알루미늄의 전기화학적 처리방법 즉, 피처리물인 알루미늄 기재가 양극으로 되도록 접점을 잡아 음극에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전해액중에서 통전하는 방법은, 피처리물에 직접 접점을 잡기 때문에 접점의 흔적이 남는 외에 접촉불량을 일으키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 비연속 피처리물을 다수 처리하는 경우, 개개의 피처리물에 접점을 잡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자동연속 처리가 매우 곤란하다.
또 알루미늄 기재를 수지 등으로 피복할 경우, 용도에 따라 기재의 한면만을 피복하는 경우가 많고, 기재의 표면처리도 한면만 할 필요가 생긴다. 그런데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처리되는 면의 반대면을 통전에 의한 조면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절연물로 완전히 피복해 둘 필요가 있다.
그 조면화 정도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처리물과 음극판 사이에 엄밀한 평행도가 요구되므로, 피처리물의 형상이 완전한 평면이 되지 않으면 안되고, 전해조중에서 피처리물의 이동시 등에 음극판과의 완전한 평행도가 보증되지 않으면 조면화의 정도에 반점이 생기는 등 설비 및 조작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밀착성이 뛰어난 조면을 용이하게 조절해서 얻는 전기 화학적 방법의 특징을 이용하면서 알루미늄 기재의 한 면만을 균일하게 조면화할 수 있는 전해부식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상기의 방법을 연속적으로 또한 효율좋게 실시할 수 있는 전해 부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전해 부식장치는 처리해야 할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재료의 한 면의 전표면 또는 특정범위만을 전기화학적으로 조면화하는데 있어서, 할로겐화물의 수용액을 전해질로 하고 피처리물과는 별도로 금속 또는 카본 등의 양극 및 음극을 설치하고 절연체로 되는 틀에 피처리물을 고정하고 피치리물이 음극과 마주보도록 틀을 배치하여 상기한 양극, 음극간에 통전하므로서 피처리물의 음극을 마주보는 면에만 미세한 요철(凸凹)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해 다시 상술한다.
제1도에 나타낸 것같이, 전해조(20) 속에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양극판(21)과 음극판(22)이 대향배치되고 있고 또한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등의 할로겐화물의 수용액으로 구성된 전해액 B가 채워져 있다.
또, 상기한 양 극판 사이에는 베이크라이트 등의 절연체로 만들어진 틀(23)이 설치되며, 이 틀(23)에는 제2도에 나타낸 것 같은 개구부(24)가 설치되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피처리물 A는 상기 음극판(22)과 마주보도록 틀(23)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방법은 여러 가지를 쓸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 같은 지지구(25,25')를 틀(23)에 부착해 놓고, 이것에 의해서 피처리물 A의 측단부를 지지하며 또 피처리물 A의 하단 단부를 돌기(26)로 받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상태로 양 극판(21),(22) 사이에 통전하면, 피처리물 A에는 절연틀(23)의 개구부(24)를 통하여 간접 통전되어 음극판(22)에 마주 향한 면만 부식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절연틀(23)은 피처리물 A의 지지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외에 특히 피처리물의 한 면을 균일하게 부식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의 차폐물로서 유효하다.
즉, 이 절연틀이 없는 경우, 피처리물의 부식면 단부가 정(+)으로 대전되기 어렵게 되어 부식되지 않은 채로 잔존하게 된다. 그런데 이 단부 부근에 차페물을 두면 단부까지 같이 대전되고, 그 면 전체가 균일하게 부식되게 된다.
그러나 차폐의 효과, 즉 한 면을 균일하게 부식시키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 반드시 피처리물의 단부를 전 둘레에 걸쳐서 물리적으로 완전히 덮을 필요는 없다. 물론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처리물 A의 단부를 덮을 수 있는 개구부(24)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지만, 제6도와 같이 피처리물 A의 단부와 개구부(24)와의 사이에 일부 또는 전둘레에 걸쳐서 간격이 있어도, 전해질의 액저항 등의 관계에서 틀(23)이 차폐물로서 충분히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다.
이 간격의 크기는 상기 액 저항외에 처리전압, 전류밀도, 피처리물의 크기 등에 따라서 다양하며, 일률적으로 정하기는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10nm 이하이다.
상기 틀(23)의 외형은 임의로 만들 수 있다. 또 상기 개구부(24)는 여러개여도 좋고 제7도와 같이 다수의 소공군(小孔群)(27)을 설치해도 좋다.
이들 개구부(24) 혹은 소공군(27)의 윤곽은 피처리물의 외형과 될 수 있는 대로 비슷한 편이 좋으나 반드시 거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틀(23)에 지지되는 피처리물 A도 1개에 한하지 않고 여러개로 할 수 있다.
또 처리조건은 일반적으로 전압 5-25V, 양극간의 전류밀도 0.03-1.5V/㎠, 처리시간 1-10분, 전해액의 농도 10-100g/ℓ, 온도 20-60℃ 정도이다.
이상과 같이 개구부를 갖는 절연틀을 사용하고 또 간접통전에 의해서 부식을 함으로써 피처리물의 한면만을 효율좋게 조면화할 수 있을뿐 아니라 개개의 피처리물에 접점을 잡을 필요나 한면을 절연물로 피복해둘 필요가 없게 되며, 또 처리조 중에서 피처리물의 이동에 있어서도 음극판과의 엄밀한 평행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피처리물의 처리조로의 출입, 처리조내에서의 반송을 포함한 연속처리에 가장 적합한 장치이다. 이하 몇 개의 실시예를 들어본다.
[실시예 1]
순도 99%의 알루미늄으로 된 사이즈 300mm×400mm×2mm의 판을 양극판으로 사용하고, 같은 재질로 된 사이즈 250mm×250mm×2mm의 피처리판을 210mm×210mm의 개구를 갖는 사이즈 330mm×330mm×10nn의 베이크라이트 틀에 장착하여 양극판 사이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하고, 액의 조성이 염화나트륨 50g/ℓ인 수용액 중에서 양극간에 직류전류를 통전하여 전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때 전압은 약 10V, 양극판간의 전류밀도는 0.05A/㎠, 처리시간은 400초이다.
얻어진 알루미늄판을 조사한바, 한쪽면은 전혀 조면화 되어 있지 않고 다른 면은 전면이 균일하게 조면화되어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양극판 및 피처리판을 사용하여, 지름 50mm의 구멍을 300mm×300mm의 범위내에서 다수 설치한 실시예 1과 동일 사이즈의 베이크라이트틀에 피처리판을 장착하고, 실시예 1과 동일조건에서 전해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알루미늄 판은 실시예 1과 같이 한 면만이 전면 균일하게 조면화 되어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극판, 피처리판, 베이크라이트 틀을 사용하여, 피처리판을 장착한 틀을 양극판에 대하여 약 10° 기울여 실시예 1과 동일조건으로 전해처리를 하였다.
결과는 역시 실시예 1과 같이 한면만이 전면 균일하게 조면화되어 있었다.
[실시예 4]
순도 99%의 알루미늄으로 된 지름 250mm, 두께 2mm의 원판을 프레스하여 깊이 10mm의 접시형으로 성형한 것을 피처리물로 하고, 지름 210mm의 동그란 구멍을 설치한 사이즈 330mm×330mm×10mm의 베이크라이트 틀에 상기한 접시형 피처리물의 요부가 음극판을 향하도록 장착하고, 실시예 1과 동일조건으로 전해처리를 한 결과, 요부의 면만이 전면 균일하게 조면화되어 있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같은 극판, 베이크라이트 틀을 사용하여, 순도 99%인 207mm×207mm×2mm의 알루미늄판을 틀의 개구 내측에서 3mm 떨어져 장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알루미늄판을 조사했을때, 한면만이 전면 균일하게 조면화되어 있었다.
다음에, 상기의 원리적인 발명을 발전시켜 공업적인 실시예 적합한 두, 세가지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당한 길이를 갖는 전해조(20)의 내부에는 양극판(21)과 음극판(22)이 대향 배치되고 있으며, 이들의 중간부 상방에는 가이드 레일(31)이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에는 피처리물 A를 장착한 다수의 카셋트 (30)이 주행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카셋트(30)는 프레임(32)과 절연틀(23)로 이루어지며 프레임(32)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1)과 결합하는 로울러(33)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절연틀(23)에는 통전용의 개구(24)가 설치되어 있으며, 피저리물 A는 지지구(25,25') 및 스토퍼(26)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이 스토퍼(26)의 선단을 절연틀(23)의 전면에서 돌출 혹은 후퇴할 수 있도록 해 두고 피처리물 A의 처리완료후 스토퍼(26)를 후퇴시키면 피처리물이 자연낙하하여 절연틀(24)에서 떼어낼 수 있다.
또 피처리물 A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은 원판에 한하지 않고 각판형, 접시형 또는 그 외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 카셋트 1대에 장치하는 피처리물의 수도 자유로 취한다. 따라서 절연틀(23)의 형상 및 구조도 거기에 대응해서 적절히 선택,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가이드레일(31)의 양끝에는 제9도,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셋트(30)의 1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34),(35)가 각각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는 새로운 피처리물을 갖는 카세트(30)를 고정레일(31)에 공급하고, 처리제를 고정레일(31)에서 조외로 꺼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부재(34),(35)의 승강은 고정레일(31)과 일치하는 위치에서부터 카셋트(30)가 완전히 조외로 꺼내지는 위치의 범위에서 행해진다.
이상에서 기술한 처리장치의 동작을 간단하게 종합하면, 먼저 피처리물 공급용의 가이드부재(34)를 상승 위치로하고, 취출용 가이드부재(35)를 하강 위치로하여(제10도 실선참조), 가이드부재(34)에 새로운 카셋트(30)을 결합시켜(자동으로도 수동으로도 가능) 이것을 하강시켜서, 고정레일(31)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고정레일(31)의 방향으로 누르면, 가이드부재(34)에서 카셋트(30)가 레일(31)로 상승되어, 동시에 레일(31)의 타단에서는 처리제의 카셋트(30)가 밀어내져서 취출용 가이드부재(35)에 상승되므로, 부재(35)를 상승시켜서 카셋트(30)를 조의로 꺼낸다. 이것을 차레로 반복함으로서 연속 처리가 행해진다.
또, 상기의 카셋트(30)를 순환 운행시키면, 상기의 연속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제8도에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20)의 외측을 따라 카셋트 순환용 가이드 레일(36)이 상기 가이드부재(34),(35)의 상승위치와 동일 레벨에 고정되어 있으며, 레일(36)의 양단은 가이드부재(34),(35)의 외단에 일치하고 있다. 또 가이드부재(34)와 레일(36)의 단부에는 가이드부재(37,37')가 부착되어 있고, 가이드부재(35)와 레일(36)의 타단부에도 같은 모양의 가이드부재(38,38')가 부착되어 있다(제9도).
이들의 가이드부재(37),(37'),(38),(38')는 서로 그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있다.
지금 제10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카셋트 취출용 가이드부재(35)가 하강위치에 있고, 처리제의 카셋트(30)를 받아서 쇄선 위치까지 상승하면 가이드부재(38)쪽으로 밀어내져서, 피처리물 A가 떼어내진다.
그러므로, 카셋트를 보지한 가이드부재(38)와 빈가이드부재(38')의 위치가 교대되어, 카셋트를 보지한 가이드부재(38)는 가이드레일(36)의 단부로 온다.
다음에 이 카셋트(30)를 가이드레일(36)쪽으로 밀어넣으면, 레일(36)에는 카셋트가 정렬하고 있으므로 레일(36)의 반대측의 단부에서 카셋트 1개가 밀어내어져 가이드부재(37')에 삽입된다. 거기서 새로운 피처리물 A를 카셋트(30)에 장치하고(제10도)이 가이드부재(37')를 카셋트 공급용 가이드부재(34)의 장소에 이동시키고, 빈 가이드부재(37)는 가이드레일(36)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이드부재(37')에서 카셋트(30)를 받은 공급용 가이드부재(34)는 가이드레일(31)의 위치까지 하강하고 상술한 바와같이 카셋트(30)를 레일(31)로 이동시킨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해서 다수의 카셋트(30)가 순환 운행된다.
그런데, 상기한 양극판(21)은 음극판(22)과 같이 고정되어도 좋으나, 전해처리중의 가스 발생등의 관계로 소모되는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일정한 싸이클로 전극을 교환할 필요가 생긴다. 그런데 연속된 단일의 전극판을 사용하면 교환할 때 장치를 멈추지 않으면 안되므로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제8도, 제9도 및 제12도는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0)을 가이드레일(31)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 레일(40)에 분할된 양극판(21)을 장착한 카셋트(50)를 다수 결합해서 차례로 이동시켜 소모된 전극을 조외로 꺼내어 새로운 전근을 보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카셋트(50)는 개구(52)를 갖는 절연틀(51)과 이 틀(51)을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53)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53)의 상단에는 로울러(54)가 부착되고 레일(40)과 결합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상기한 개구(52)에는 양극판(21)이 착탈(着脫) 가능하게 들어가며, 이 양극판(21)에 접속된 와이어(55)는 프레임(53)의 상단에 고정된 전류공급슈우(56)에 연결되고, 이 슈우와 레일(40)을 따라 부설된 전류공급바아(57)가 접촉해서 양극판(21)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0)의 단부에는 가이드부재(41),(42)가 각각 부착되고, 레일(40)과 그 상방에 고정된 가이드레일(43) 사이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금, 새로운 전극판(21)을 장치한 양극 카셋트(50)가 가이드부재(41)에 삽입되면(제12도), 부재(41)는 하강하며 쇄선으로 나타낸 것 같이 가이드 레일(40)의 위치에 이른다. 그런데 카셋트(50)를 레일(40)쪽으로 밀어넣으면, 레일(40)의 타단부에서는 소모된 전극판(21)을 갖는 카셋트(50)가 밀려나와 가이드부재(42)에 결합된다. 이 가이드부재(21)는 카셋트(50)를 지지하면서 가이드레일(42)의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 위치에서 소모된 전극판(21)을 떼어내도 좋지만, 가이드레일(43)에 카셋트(50)을 바꿔 옮긴후 떼어내도 좋다. 또, 빈 카셋트(50)에는 새로운 전극판(21)을 보충해 둔다.
이상의 동작을, 전극판(21)이 소모되는 사이클로 차례로 행하면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피처리물을 지지하는 절연틀을 사용하여, 간접통전에 의한 에칭을 함에 따라서 피처리물에 접점을 잡을 필요가 없게됨과 동시에, 절연틀을 피처리물의 지지체 또는 반송용의 카셋트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연속 처리에 아주 적당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에 설명한 본 발명의 장치는 어느것이나 피처리물을 절연틀로써 거의 수직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피처리물의 낙하 및 전도를 방지하는 저지구를 절연틀에 설치해둘 필요가 잇다. 또 절연틀에 대한 피처리물의 착탈을 기계화 한다해도 기구가 복잡하게되고, 또 다수의 절연틀을 가이드 레일에 달아서 연속처리를 행할 경우에도 절연틀을 순환운행시키는 기구가 비교적 복잡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제13도와 같이 전극판 및 절연틀의 관계를 횡(상 하)으로 하면 앞에서 말한 문제가 모두 해결된다.
즉, 전해조(20)의 내부에 음극판(22)과 절연틀(23) 및 양극판(21)을 차레로 위에서부터 배치하여 전액 B중에서 통전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틀(23)은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요부(60)와 이 요부내에 착설된 개구(24)를 갖고 있으며, 피처리를 A는 상기 요부(60)에 의해서 보지된다.
피처리물 A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같이 평판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접시형 혹은 그 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한편, 요부(60)의 형상은 피처리물 A의 외형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피처리물을 요동없이 보지할 수 있으면 그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개구(24)를 여러개 만들어도 좋고 개구(24) 대신에 다수의 소공군을 설치하여도 좋은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절연틀(24)에 피처리물을 여러개 장치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피처리물과 같은 수의 요부(60) 및 개구(24)를 만들면 좋다. 또, 절연틀(23)의 외형도 자유로이 한다.
또 절연틀(23)은 완전하게 수평으로 지지할 필요는 없다. 피처리물 A가 요부(60)에서 탈락하지 않을 정도의 경사를 갖는 것도 좋다.
제15도 및 제16도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피처리물을 연속적으로 전해 부식할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적당한 길이의 전해조(20)의 내부에는 음극판(22)과 양극판(21)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중간부에 조(20)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레일(61,61')이 부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일에는 다수의 절연틀(23)이 서로 접하도록 장치되고 있는, 레일을 따라서 차례로 조내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레일(61,61')의 구성은, 예를들면 제13도와 같이 절연틀(23)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는 것 같은 것도 좋고 혹은 제16도와 같이 양측 단부에 의해서 어느정도 내측을 지지하도록 해도좋다. 또 레일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절연틀(23)에 홈 또는 돌출부를 설치하여 레일과 결합시켜 놓을 수가 있다. 또, 절연틀(23)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틀(23) 또는 레일(61,61')의 어느것에 로울을 부착해도 좋다.
상기 레일(61,61')은 조(20)의 외부까지 돌출해 있으며 조(20)에 설치한 입구(62)에서 절연틀(23)이 조내에 도입되고 출구(63)에서 조외로 꺼내진다.
이상과 같이, 피처리물 A를 절연틀(23)에 장치하여서, 가이드레일(61,61')에 의해 차례로 전해조(20)내로 보내짐에 따라 비연속 처리물의 연속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 조(20)의 입구(62)와 출구(63)에서의 누액분을 받는 조(64) 및 (65)를 각각 설치하여 펌프 p에 의해 조(20)내로 환류시켜 두는 것이 좋다. 또, 입구(62)와 출구(63)에서의 액 누출을 가능한한 적게 하도록 고무 프랩(66)등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틀(23)을 자동적으로 순환운행시키면, 상기의 연속처리가 효율좋게 행해지는데 이하, 그 작동을 설명한다.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레일(61,61')에 병행하는 레일(67,67')을 조(20)의 외부에 설치하고 이 레일에는 빈 절연틀(23)을 다수 정렬시켜 둔다..
우선 선두의 틀(23)에 피처리물 A를 장치하여, 이 틀을 인접한 레일(61,61')에 장치하고 조(20)의 방향에 밀어넣으면, 레일(61,61') 위에 있는 다수의 틀(23)은 틀 1개분만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선두의 틀이 조외로 밀려나온다. 이 틀에는 처리제의 피처리물이 보치되고 있으므로, 이것을 떼어내고 틀을 옆레일(67,67')에 올려놓고 밀어넣으면 레일(67,67') 위의 빈 틀이 1개분만 이동한다.
이 조작을 반복하면 절연체는 순환운행된다.
제17도 및 제18도는 전해조(20)의 내부에 음극판(22), 절연틀(23) 및 양극판(21)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배지하여 전해처리를 하는 상기의 장치를 다시 발전시킨 것이고, 피처리물 A의 착탈을 같은 위치에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동근 고리모양을 한 조(20)에는 조를 일주하는 가이드 레일(70,70')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레일에 다수의 부채형 절연틀(23)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놓여져 있다.
상기 조(20)는 칸막이 벽(71,71')에 의하여 전해액 B를 받는 조(20a)와 조작 스페이스(20b)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스페이스(20b)는 피처리물 A를 절연틀(23)에 장치하거나 혹은 절연틀(23)에서 떼어내는 작용을하며, 칸막이 벽(71,71')에서 흐르는 전해액을 받는데 사용한다. 누액은 펌프 p를 사용해서 조(20a)내로 환류시킨다. 또, 조작 스페이스(20b)에 있는 절연틀(23)의 수는 2개로 도시하였지만, 그 이상이어도 좋다.
또, 상기 양극판(21) 및 음극판(22)은 전해액 B를 받는 조(20a)내에서 가이드레일(70,70')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지금 가이드레일(70,70') 위에 연속적으로 장치된 다수의 절연틀(23)을 일정한 핏치로 간헐적으로 보내는 것으로 하고, 양극판(21)과 음극판(22)의 사이에 통전하면, 조(20a)내를 절연틀(23)이 통과하는 사이에 피처리물 A의 윗부분만이 전해 부식된다.
부식된 피처리물 A를 보지한 틀(23)은 차례로 칸막이벽(71)에서 조작 스페이스(20b)의 방향으로 보내진다.
한편, 피처리물 A를 떼어내고, 빈 틀(20)에 새로운 피처리물 A를 장치하면, 이 틀은 조(20a)내로 보내져서 피처리물에 부식이 실시된다.
또, 틀(23)을 차례로 이동시키는 수단은 예를들면, 조작 스페이스(20b)에 있어서 빈 틀(23)의 개구(24)에다 구동장치에 의해서 움직이는 봉을 삽입하여, 제17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카셋트를 이동 시키거나 어느 한쪽의 가이드레일을 회전시키는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틀(23)은 개개로 독립된 것이 아닌 고리모양으로 일체화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

  1. 양극판(21)과 음극판(22)을 마주보도록 배치한 전해조와 이 양극판의 중간부에 배치된 가이드레일(61,61')과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카셋트(50)로 구성되며, 상기 카셋트는 개구를 설치한절연틀(23)을 갖고 이 틀에 피처리물(A)을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시켜서 피처리물이 음극판과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카셋트를 가이드레일에 결합하고, 양 극판을 차례로 이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해 부식장치.
KR2019820002403U 1978-11-08 1982-03-2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장치 KR820001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2403U KR820001142Y1 (ko) 1978-11-08 1982-03-2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357A KR810002106B1 (ko) 1978-11-08 1978-11-08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 방법
KR810004131 1981-10-29
KR2019820002403U KR820001142Y1 (ko) 1978-11-08 1982-03-2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357A Division KR810002106B1 (ko) 1978-11-08 1978-11-08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142Y1 true KR820001142Y1 (ko) 1982-05-28

Family

ID=2734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403U KR820001142Y1 (ko) 1978-11-08 1982-03-2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1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0508A (en) Process for electrolytic etching
WO2006126518A1 (ja) グラビアシリンダ用銅めっき方法及び装置
HUT56144A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heet-metal strips
JPWO2012043514A1 (ja) シリンダ用メッキ方法及び装置
KR820001142Y1 (ko)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장치
ES350797A1 (es) Un metodo de tratar fangos efluentes.
US4272351A (en) Apparatus for electrolytic etching
KR810002106B1 (ko)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 방법
JPS5834566A (ja) 多孔性で可撓性なエキスパンシブルメタル蓄電池基板に活性物質を充填する方法
KR0185625B1 (ko) 알미늄판의 연속 전해에칭, 산화피막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CN216864360U (zh) 一种连续性铝片水平输送阳极氧化生产线
JPS5912760B2 (ja) 導電性金属面の帯域電解研摩法
JP2007224321A (ja) シリンダ用メッキ方法及び装置
US3620954A (en) Electrolytic cells
JPS6142799B2 (ko)
US4505785A (en) Method for electroplating steel strip
US3136709A (en) Method of electroplating an aluminum containing coating
US1900534A (en) Electrolytic apparatus
US4793902A (en) Method for electrolyzing zinc and apparatus therefor
JPS57101692A (en) Horizontal electroplating method by insoluble electrode
WO2002036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lytic deposition of copper
JPH02240300A (ja) 電解処理装置
JPH07252696A (ja) メッキ装置
KR100925618B1 (ko) 불용성 양극을 이용한 전기주석도금방법
RU2515718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здел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