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035B1 -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035B1
KR0184035B1 KR1019950042946A KR19950042946A KR0184035B1 KR 0184035 B1 KR0184035 B1 KR 0184035B1 KR 1019950042946 A KR1019950042946 A KR 1019950042946A KR 19950042946 A KR19950042946 A KR 19950042946A KR 0184035 B1 KR0184035 B1 KR 018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video signal
signal
setting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020A (ko
Inventor
사찌오 우메이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ublication of KR96003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정보화해서 중첩하고, 화상 처리용 카메라와 화상 처리 장치 사이의 케이블을 저감시켜, 설정 정보 등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의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피사체를 촬상 소자에 의해 광학적으로 촬상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동기시켜 상기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발생하는 발생 수단과; 상기 발생 수단에서 발생된 설정 정보를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시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화상 처리용 카메라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CD카메라 2 : 화상 처리 장치
3 : CCU장치 4 : 텔레비젼 모니터
5 : 절환 스위치 6 : CCD이미지 면적 센서
7 :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 8 : CCD 타이밍 발생 회로
9 : 동기 신호 발생 회로 10 : 정보 신호 발생 회로
11 : 비디오 출력 회로 12 : A/D 변환부
13 : 화상 메모리부 14 : 연산부
15 : D/A 변환부 16 : 제어부
17 : 입력부
이 발명은 화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 신호에 ITS(Interval Test Signal)을 중첩하고,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정보화된 설정 정보를 이용한 화상 처리에 적당한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예를들면,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 있어서는, 촬상관에 비해서 특성이 안정되고, 잔상이 적은 등의 특징을 갖는 고체 촬상 소자가 사용되고, 특히 이 고체 촬상 소자로서 ccd이미지 면적 센서가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 내장되어, 상기 ccd이미지 면적 센서에 의해 피사체가 광학적으로 촬상되고, 이 광신호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비디오 신호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 상기 화상 처리용 카메라는,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등에 접속되고,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AGC, γ, 게인(gain), 셋업 온/오프(set up on/off)상태등의 설정 정보를 이용해서 화상 처리되며, 또한 이 화상 처리된 화상은 모니터 장치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래서, 상기한 것처럼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 화상 처리 장치가 접속된 시스템에는, 화상 처리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용 케이블(cable)과,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설정 정보용 케이블이 필요하게 되고, 요사이 전자 기기의 소형, 경량화에 따라 케이블 등을 저감(低減)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들면, 이와 같은 화상 처리용 카메라는, 계측, 제어 등의 각종 공업용 시스템이 사용되고, 상기 공업용 시스템은 좁은 공간에의 배치 등에 의해 소형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 계측, 제어를 위한 많은 정보가 필요하게 되므로 정보를 전송하는 케이블 및 케이블의 접속 기구 등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정보화해서 중첩하고, 화상 처리용 카메라와 화상 처리 장치 사이의 케이블을 저감시켜, 설정 정보 등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의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피사체를 촬상 소자에 의해 광학적으로 촬상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에 적용되는 것으로,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상기 비디오 신호를 화상 처리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중첩해서 출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설정 정보로, AGC, γ, 게인 또는 셋업 온/오프 상태, 셔터 속도, 동작 모드 및 화상 처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정보화하여 2진 코드 신호로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구성은,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동기시켜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발생하는 발생 수단과;
상기 발생 수단에서 발생된 설정 정보를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시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발생 수단은,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인 AGC, γ, 게인 또는 셋업 온/오프상태, 셔터 속도, 동작모드 및 화상 처리등의 정보를 전자 스위치의 절환 동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얻어, 정보화된 2진 코드 신호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촬상 소자로, ccd이미지 면적 센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 발명의 화상 처리 시스템은, 상기 화상 처리용 카메라를 이용하고, 상기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 비디오 신호를 설정 정보등을 이용해서 화상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접속한 것이다.
또,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 병렬로,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작용]
상기한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가 중첩하여 출력되는 것에 의해, 설정 정보를 이용한 화상 처리에서, 1개의 비디오 신호용 케이블에 종래는 다른 케이블에서 출력된 설정 정보를 실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 설정 정보를 정보화하여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함으로써, AGC, γ, 게인 또는 셋업 온/오프상태, 셔터 속도, 동작 모드 및 화상 처리 등의 정보를 2진 코드신호로 하여, 비디오 신호의 유효 화면 신호 부분과 동일하게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정보 전송용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접속 기구 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요사이 전자 기기의 소형, 경량화 및 계측, 제어 등의 각종 공업용 시스템의 좁은 공간의 배치 등에 의한 소형화, 또 계측, 제어를 위한 정보의 다량화 등에 대해 양호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화상 처리 장치와 병렬로 검출 장치를 접속한 화상 처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검출하여 설정 상태의 체크(check)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정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도 신속하게 원인의 확인과 설정 상태의 변경 처치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화상 처리용 카메라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우선,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스템은, 예를들면 피사체를 촬상 소자에 의해 광학적으로 촬상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CCD카메라(1)와, CCD카메라(1)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화상 처리하여 해당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처리장치(2)와, CCD카메라(1)의 설정 정보를 검출하는 CCU 장치(3)와, 화상 처리 장치(2)에 의해 화상 처리된 화상 및 CCU 장치(3)에 의해 검출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텔레비젼 모니터(4)와, 화상 처리 장치(2)와 CCU 장치(3)의 출력을 절환하는 절환 스위치(5)로 구성되고, CCD카메라(1)와 화상 처리 장치(2)의 사이는 1개의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다.
CCD카메라(1)는,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이미지 면적 센서(6)와,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7)와, CCD이미지 면적 센서(6)의 타이밍을 발생하는 CCD 타이밍 발생 회로(8)와,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 회로(9)와, 설정 정보 신호를 발생하는 정보 신호 발생 회로(10)와,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회로(11)로 구성되어 있다.
이 CCD카메라(1)에 있어서, ccd이미지 면적 센서(6)에서 출력된 이미지 신호는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7)로 입력되고, 또한 비디오 신호로서 비디오 출력 회로(11)로 입력된다.
또, CCD이미지 면적 센서(6)에는, CCD타이밍 발생 회로(8)에서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고, 이 타이밍 신호에 따라 피사체가 촬상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동기 신호 발생 회로(9)에서 출력된 동기신호는,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7) 및 정보 신호 발생 회로(10)로 입력되고,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7)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 즉, 면적이 수평 방향으로 위에서 순서대로 주사되고, 면적의 최하단까지 실행되면 최상단으로 주사되는 수직 방향의 귀선 기간에 동기가 실행되어, 정보 신호 발생 회로(10)에서 출력되는 설정 정보 신호가 비디오 출력 회로(11)로 입력되고, 비디오 출력 회로(11)에서 중첩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의 특징인 정보 신호 발생 회로(10)에 있어서는, 전자 스위치에 의해 바뀌어, 데이타 최초의 헤드신호(head signal) 후에, 예를들면 AGC, γ, 게인 및 셋업 온/오프 상태, 셔터 속도, 동작 모드, 화상 처리 등의 설정 스위치의 설정 정보를 정보화에 의한 2진 코드 신호로 한 설정 정보 신호, 그리고 그 후 유효 화면 신호가 배치되어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화상 처리 장치(2)는, 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A/D변환부(12), 화상 메모리부(13), 연산부(14), D/A변환부(15), 제어부(16), 입력부(17)로 구성되고, CCD카메라(1)에서 출력된 설정 정보의 중첩된 비디오 신호가 A/D변환부(12)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또한 화상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제어부(16)에 의한 프로그램 제어, 입력부(17)에서의 입력 제어에 의해 연산부(14)에서 화상 처리되고, 상기 화상 처리된 신호는 D/A변환부(15)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화상 처리 장치(2)에는, 예를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이 사용된다.
CCU장치(3)는, CCD카메라(1)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에 중첩된 설정 정보 신호를 검출하고, 이 설정 정보 신호가 절환 스위치(5)에 의해 CCU장치(3)측에 절환되어 텔레비젼 모니터(4)에 표시되고, 설정 상태가 체크 가능하게 되어 있어,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 신속하게 원인 확인과 설정 상태의 변경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텔레비젼 모니터(4)는,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는 절환 스위치(5)가 절환되는 것에 따라, 화상 처리 장치(2)에 의해서 화상 처리된 화상외에, CCU장치(3)에 의해서 검출된 설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최초로 비디오 신호를 화상 처리한 경우의 기본 동작을 첨부한 제3도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CCD카메라(1)로 촬상한 광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서 화상 처리 장치(2)로 출력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2)에 있어서, 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A/D변환부(12)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메모리(13)에 기억한다.
그리고, 화상 메모리부(1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 제어부(16)는 의한 프로그램 제어, 입력부(17)의 입력제에 따라 연산부(14)를 제어하여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들면, 화상의 축소와 분할등의 처리 외에, 정지 화상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기도 하고, 또는 동화상을 정지시키지 않고 실시간으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는,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되어 있는 설정 정보 신호를 이용하고, 화상 처리 정보에 기초해서 AGC, γ, 게인 및 셋업 온/오프상태, 셔터 속도, 동작 모드 등의 정보에 따라 처리가 실행된다. 이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이 화상 처리된 신호를 D/A 변환부(15)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텔레비젼 모니터(4)에 출력한다. 따라서, 텔레비젼 모니터(4)에서 화상 처리된 결과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CCD카메라(1)의 개략적인 동작을 제2도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CCD이미지 면적 센서(6)는 의해 피사체를 광학적으로 촬상하고, 이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그리고, CCD이미지 면적 센서(6)에서 출력된 신호는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7)로 입력되고, 비디오 신호 변환 처리되어 비디오 출력 회로(1)로 출력된다.
이 경우에, 동기신호 발생회로(9)는 동기 신호를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7) 및 정보 신호 발생 회로(10)로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7)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동기시켜서, 정보 신호 발생 회로(10)에서 출력된 2진 코드 신호의 설정 정보 신호를 비디오 출력 회로(11)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이 비디오 출력 회로(11)에서,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정보화된 설정 정보 신호를 중첩시킨 비디오 신호를 화상 처리 장치(2)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설정 정보를 중첩시킨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경우에도, 이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7) 및 정보 신호 발생 회로(10)가 동기 신호 발생 회로(9)에서 출력되는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한다.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비디오 신호의 1V폭에 있어서, 유효 화면 신호 전에 설정 정보 신호가 중첩되고, 이 경우에 전자 스위치를 절환하여, 우선 데이타 최초의 헤드 신호를 출력하고, 그 후 AGC, γ, 게인 및 셋업 온/오프상태, 셔터 속도, 동작 모드, 화상 처리 등의 설정 스위치의 각각 설정 정보를 2진 코드 신호로 출력하고, 또 유효 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비디오 신호에 중첩되는 설정 정보의 처리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1) AGC 보정의 경우, 화상의 평균치로 AGC을 하느냐, 피크치로 AGC를 하느냐에 따라 내용은 다르지만, 평균치로 할 경우에는 피크치의 파형은 없어지게 되고, 한편 피크치로 할 경우에는 파형을 유지한 채로 전체 게인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2) 감마(γ) 보정절환(0.45 또는 1)는, γ치에 따라 파형 수정을 실행하는 처리이다.
(3) 게인 보정은, 파형의 증폭도를 보정하는 처리로, 게인을 크게 할 경우에는 노이즈도 증가하기 때문에 화상 처리 장치(2)에서 CCD카메라(1)의 스위치의 설정 상태를 봄으로써 노이즈를 감안한 처리가 가능하다.
(4) 셔터 속도(화상을 판독하는 시간)은, 카메라의 셔터 속도와 같아서 1/60초, 1/125초,‥‥, 1/1000초 등이 있고, 이 CCD카메라(1)의 스위치의 설정 상태에 의해 셔터 속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알게 된다.
(5) 동작 모드는, 일예로 CCD에는 프레임 축적과 필드 축적이 있고, 이것에 맞춘 화상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6) 화상 처리는, 비디오 신호의 처리하고 싶은 부분의 신호를 출력해서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정 정보에 의한 처리는, 비디오 신호가 전송되는 1개의 케이블에 중첩시켜 온 정보화된 설정 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처리 장치(2)의 내부에 있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CCD 카메라(1)의 내부에 있어서, 동기 신호 발생 회로(9)에서 출력된 동기 신호에 의해서 비디오 신호 재생 회로(7) 및 정보 신호 발생 회로(10)를 동기시켜 동작시킴에 따라 것에 의해, 비디오 신호 재생회로(7)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정보 신호 발생 회로(10)에서 출력된 설정 정보 신호를 비디오 출력회로(11)에서 중첩시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CCD 카메라(1)의 스위치 설정 상태를 다른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비디오 신호의 1개의 케이블에 의해서 CCD카메라(1)와 화상 처리 장치(2)를 접속시켜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AGC, γ, 게인 또는 셋업 온/오프 상태, 셔터 속도, 동작 모드 및 화상 얻기의 정보를 2진 코드로 해서 정보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디오 신호의 유효 화면 신호 부분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CCU장치(3)에 의해서 비디오 신호에 중첩된 설정 정보 신호를 검출하여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원인의 확인과 설정 상태의 변경 처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들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는, 제1도와 같은 시스템 구성, 및 제2도와 같은 CCD 카메라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어도 비디오 신호의 재생 회로와 설정 정보의 발생 회로를 내장한 CCD 카메라와 그외의 화상 처리용 카메라등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시킨 설정 정보에 대해서도, 상기 정보 외에 화상 처리를 위한 다른 종류의 정보를 중첩시킬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이 발명의 실시예 따라,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화상 처리용 카메라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중첩하여 출력하는 것에 의해, 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화상 처리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용 케이블에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실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 처리용 카메라와 화상 처리 장치를 1개의 케이블에 의해 접속해서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정보화하여 2진 코드 신호로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하는 것에 의해, 비디오 신호의 유효 화면 신호부분과 동일하게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화상 처리장치와 병렬로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검출하여 설정 상태의 체크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원인의 확인과 설정 상태의 변경 처치가 가능하게 된다.
(4) 상기 (1)∼(3)에 의해, 화상 처리용 카메라의 정보 전송용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접속 기구 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의 소형, 경량화, 및 계측, 제어 등의 각종 공업용 시스템의 좁은 공간의 배치 등에 의한 소형화, 계측, 제어를 위한 정보의 다양화 등에 대해 양호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피사체를 촬상 소자에 의해 광학적으로 촬상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 장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이 비디오 신호에 화상 처리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2진 코드 신호로 하여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하고,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설정정보가 중첩된 비디오 신호중에서 설정 정보만을 검출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AGC, γ , 게인 또는 셋업 온/오프 상태, 셔터 속도, 동작 모드 및 화상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정보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출력 방법.
  3. 피사체를 촬상 소자에 의해 광학적으로 촬상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 장치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동기시켜 상기 화상 처리 시스템의 설정 정보를 2진 코드 신호로 하여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정보신호 발생 수단에서 발생된 설정 정보를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중첩시켜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비디오 출력 수단에서 비디오 신호와 중첩된 설정 정보만을 검출하여 표시 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 검출 장치와;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비디오 출력 수단과 설정정보 검출 장치의 출력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 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AGC, γ , 게인 또는 셋업 온/오프 상태, 셔터 속도, 동작 모드 및 화상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정보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KR1019950042946A 1995-02-15 1995-11-22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 KR0184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26349A JPH08223472A (ja) 1995-02-15 1995-02-15 ビデオ信号の出力方法、画像処理用カメ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処理システム
JP7-26349 1995-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020A KR960033020A (ko) 1996-09-17
KR0184035B1 true KR0184035B1 (ko) 1999-05-01

Family

ID=1219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946A KR0184035B1 (ko) 1995-02-15 1995-11-22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15211A (ko)
JP (1) JPH08223472A (ko)
KR (1) KR0184035B1 (ko)
CN (1) CN11403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19B1 (ko) * 2004-07-30 2006-11-2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인터페이스 장치 및 동기 조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420B1 (en) 1997-07-15 2004-09-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ata distribution mechanism in the form of ink dots on cards
US6618117B2 (en) 1997-07-12 2003-09-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microcontroller
US6879341B1 (en) 1997-07-15 2005-04-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containing a VLIW vector processor
US6948794B2 (en) 1997-07-15 2005-09-27 Silverbrook Reserach Pty Ltd Printhead re-capping assembly for a print and demand digital camera system
US6624848B1 (en) 1997-07-15 2003-09-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scading image modification using multiple digital cameras incorporating image processing
US7110024B1 (en) 1997-07-15 2006-09-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having motion deblurring means
US6690419B1 (en) 1997-07-15 2004-02-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Utilising eye detection methods for image processing in a digital image camera
AUPQ056099A0 (en) 1999-05-25 1999-06-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pprint01)
WO2002054783A1 (en) * 2000-12-28 2002-07-11 Thomson Licensing S.A. On screen display as diagnostic aid
JP3731589B2 (ja) * 2003-07-18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と同期信号発生装置
JP4589631B2 (ja) * 2004-01-13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位相制御方法,および同期確立方法
JP4929584B2 (ja) * 2004-11-04 2012-05-09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方法および信号処理装置並びに物理量分布検知のための半導体装置
CN101320065B (zh) * 2008-07-22 2010-06-0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航天光学遥感器成像电路的仿真测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1332A (ja) * 1986-05-08 1987-11-1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式内視鏡装置
US5128765A (en) * 1988-11-29 1992-07-07 Visual Subliminal Technologies, Inc.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ynchronized superimposition of subliminal signals
US5583566A (en) * 1989-05-12 1996-12-10 Olympus Optical Co., Ltd. Combined medical image and data transmission with data storage, in which character/diagram information is transmitted with video data
JPH04307024A (ja) * 1991-04-02 1992-10-29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内視鏡装置
EP0631439B1 (en) * 1993-05-21 1999-08-04 Hitachi, Ltd. Character display circuit and method for superimposing character code during blanking period of video signal
KR0139947Y1 (ko) * 1993-07-31 1999-05-01 김광호 캠코더의 문자신호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19B1 (ko) * 2004-07-30 2006-11-2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인터페이스 장치 및 동기 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376A (zh) 1997-01-15
US5815211A (en) 1998-09-29
JPH08223472A (ja) 1996-08-30
KR960033020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035B1 (ko)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
US6947082B2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image-taking method
US68193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signals containing defective pixels in accordance with imaging operation mode
CN101472072B (zh) 摄像设备
JP2841301B2 (ja) カラーテレビカメラの色補正装置
EP2360910B1 (en) Image capture apparatus
KR950013249A (ko) 화질의 열화가 없는 고품질 화상 데이타를 제공할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KR100236682B1 (ko) 화상 흔들림 보정 장치
JP3965237B2 (ja) 撮像装置
EP075396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hardware dur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KR101480408B1 (ko) 촬상 장치
JP2642846B2 (ja) フィールド間の動き検出装置
JPS6243635B2 (ko)
JP3395186B2 (ja) ビデオカメラおよびビデオカメラの画像の振動表示方法
JP3196258B2 (ja)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JP3611912B2 (ja) テレビカメラ装置
JPH0746456A (ja) 手振れ補正装置を有するビデオカメラ
KR100280315B1 (ko) 고화소의디지탈스틸카메라의영상데이터처리장치및그방법
KR0143052B1 (ko) 전자뷰파인더를 갖는 비데오카메라
JPH05130488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WO2006046387A1 (ja) 撮像装置および手ぶれ補正装置
KR100220392B1 (ko) 스위칭제어장치
JPH04152774A (ja) 撮像装置
JP200130923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ぶれ補正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H07131692A (ja) 静止画像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