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013B1 - 점착 친수성 겔 드레싱과 수득 생산물 - Google Patents

점착 친수성 겔 드레싱과 수득 생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013B1
KR0184013B1 KR1019920004627A KR920004627A KR0184013B1 KR 0184013 B1 KR0184013 B1 KR 0184013B1 KR 1019920004627 A KR1019920004627 A KR 1019920004627A KR 920004627 A KR920004627 A KR 920004627A KR 0184013 B1 KR0184013 B1 KR 0184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ssing
gel
poly
vinyl lactam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673A (ko
Inventor
에이취.로렌즈 도날드
씨. 리 콘니에
Original Assignee
제이. 데이비드 슈미트 2세
하이드로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데이비드 슈미트 2세, 하이드로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데이비드 슈미트 2세
Publication of KR92001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5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드레싱은 최소한 약 60의 값과 약 1.4이상의 몰당량의 산그룹을 갖는 폴리(N-비닐 락탐)과 폴리우레탄의 안정한 점착 겔을 함유한다.
드레싱은 또한 겔과 혼합된 여러가지 첨가제와 기질을 함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 친수성 겔 드레싱(dressing)과 수득 생산물
본 발명은 폴리(N-비닐 락탐)-우레탄 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부 접착제 및 흡수제이며, 유연하고 상황에 적합하며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합한 드레싱에 사용될 수 있는 겔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 PVP)이 친수성 블렌드(blend) 또는 얼로이(alloy)를 생산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의 화합물과 형성한다는 것이 공지되었다.
미국 특허 제4,642,267호에는 축축할 때 건조에 의해 일단 경화되면 어느정도까지 물에 녹지않는 미끄러운(slippery) 코팅을 제공하기 위해 용매액에서 제조된 친수성 폴리(N-비닐 락탐)과 폴리우레탄의 친수성 폴리머 블렌더를 기술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642,267호에 기술된 미끄러운 코팅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드레싱은 점착 겔이다.
유럽특허 출원 제107,376호에는 가교결합을 위해 이온화 방사를 사용하는 점착 PVP겔을 기술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646730호에는 전자 빔(beam)방사가 PVP를 가교결합하고 겔을 형성하는데 요구되는 PVP/실버 설퍼디아진 히드로겔(silver sulfadiazine hydrogel)을 기술하고 있다.
게다가, 규산망간(magnesium trisilicate), 과산화 수소 및/또는 폴리아크릴산이 색채안정을 위해 추가되었다.
값비싼 장치와/또는 가공이 없을 때의 점착 피부 접착겔을 제조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 명백하다. PVP의 개환(開環) 피롤리돈 그룹은 에이치.피.프랭크(H.P.Frank)의 에틸피롤리돈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락탐-아미노산 평형상태 (저널 오브 폴리머 사이언스 12, 565-576 (1954)와 에이. 코넥스(A. Conex)와 지. 스메트스(G. Smets)의 락탐 폴리머의 개환 (제이. 폴리. 캠. 13, 221-229 (1955)에 의해 기술되었다. 개환 피롤리돈 그룹의 개념은 흡수제 및 점착겔을 뜻밖에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친수성 성질을 갖는 점착 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값비싼 장치와/또는 가공을 필요로 함이 없이 점착 겔을 생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피부 접착제 생산물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N-비닐 락탐)과 우레탄의 점착 겔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가소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함이 없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들과 폴리(N-비닐 락탐)의 블렌드로 구성되는 안정한 점착 친수성 겔로 이루어진 드레싱이 제공된다. 상기 폴리(N-비닐 락탐)은 최소한 약 60의 K값을 가지며 최소한 약 1.4몰 당량의 산 그룹을 갖는다.
드레싱은 또한 폴리우레탄 이나 실리콘-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필름, 콜라겐(collagen) 필름, 또는 신장될 수 있는 짜여진(woven) 또는 짜여지지 않은 직물(fabric)과 같은 폴리머 필름인 기질(sub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필름은 적용될 수 있는, 예를들면 피부에 적용되도록 측면의 모서리 주변에 적용될 수 있는 추가 피부 접착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폴리(N-비닐 락탐) 은 선호적으로 최소한 약 2몰 당량의 산 그룹을 갖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이다.
겔 드레싱은 약 0.5/1에서 약 8/1까지, 선호적으로 약 0.75/1에서 약 4/1까지의 폴리(N-비닐 락탐)/폴리우레탄 비율과 블렌드를 형성하기 위해 약 5중량 퍼센트이상의 전체 고체 함량에서 수용성 분산으로 수용성 폴리(N-비닐 락탐)용액과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블렌드를 드레싱으로 형성하고 겔 드레싱이 형성될 때 까지 드레싱을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겔은 겔에서 분리 가능한 최소한 한개의 추가 성분을 선호적으로 포함한다. 선호적으로 분리가능한 성분은 향수 또는 생체에 영향을 끼치거나 몸에 처리하는 물질이다. 드레싱이 사용될 수 있는 선호된 생산물은 상처(wound)와 화상(burn) 드레싱, 약물 전달 시스템, 항균성 계면 장치, 스포츠 랩(wrap) 및 화장(cosmetic)마스크와 랩이다.
드레싱은 피부에 자체 접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지만 쉽게 벗겨질 수 있는 이점도 갖고 있다. 겔은 온수에서도 안정하고 물에서 그 중량을 몇 십배 흡수할 수 있으며, 정확히 원하는 몸체에 약물을 외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목적과 그 이상의 목적과 함께 본 발명을 한층 더 이해하기 위해서, 다음 같은 설명이 참조되며 그 범위는 청구범위에 지적될 것이다.
개환 피롤리돈 그룹은 가진 폴리비닐피롤리돈(PVP)과 같은 폴리(N-비닐 락탐)은 어떤 수용성 분산 폴리우레탄으로 비가역 친수성 겔을 형성한다는 것이 공지되었다. 이들 겔은 피부에 접착할 수 있지만 벗겨질 수 있도록 점착성질을 갖는다. 겔은 우연하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며 단일 또는 여러가지 접착제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겔은 친수성 겔의 부분처럼 고열 용량과 열 또는 냉 저장소/물의 수송용량이 이용될 수 있는 상처와 화상 드레싱, 약물 전달 시스템, 화장 마스크 네일(nail)랩 및 기타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N-비닐 락탐)은 최소한 약 60, 선호적으로 최소한 약 70, 가장 선호적으로 약 80-110의 K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환 피롤리돈 그룹의 어떤 레벨이상을 포함하는 폴리(N-비닐 락탐)은 어떤 수용성 분산 우레탄으로 혼합될 때 점착하는 겔을 형성한다.
점착용어는 겔이 피부에 달라붙을 수 있는 반면, 제거를 원할 때 쉽게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접촉제 또는 접착제로 달라붙은 성질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사용된 폴리(N-비닐 락탐)은 N-비닐 피롤리돈, N-비닐부티로락탐, N-비닐카프롤락탐 및 유사물과 같은 N-비닐 락탐의 호모폴리머(homopolymer), 코폴리머(copolymer) 및 터어폴리머(terpolymer) 뿐만 아니라 N-비닐 락탐으로 공중합할 수 있는 비닐 단량체 또는 그밖의 비닐 단량체의 혼합물의 소량, 예를 들면 약 20 중량 퍼센트까지의 소량으로 제조된 상기 물질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폴리(N-비닐 락탐)의 코폴리머나 터어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비닐 작용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 공중합된 비닐피롤리돈과 같은 N-비닐 락탐 단량체로 구성될 것이다.
폴리(N-비닐 락탐) 호머폴리머에 대해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호머폴리머가 선호된다. 폴리(N-비닐 락탐) 코폴리머에 대해 비닐피롤리돈 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가 선호된다. 적합한 폴리(N-비닐 락탐) 터어폴리머는 비닐피롤리돈, 비닐카프롤락탐,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여러가지 폴리비닐피롤리돈들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폴리(N-비닐 락탐)은 개환 락탐 그룹도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락탐은 -COOH 와 -NH 그룹에서 물분자를 제거하여 아미노산으로 부터 생산된 환상(cyclic)아미드일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그러므로 락탐은 링에 -NH-CO- 그룹을 포함하고 N-비닐 락탐은 링 질소에 비닐그룹을 가지며 단량체는 비닐 그룹을 통하여 중합될 수 있다.
환상 폴리(N-비닐 락탐) 에 있어서, 비닐 백본(backbone)은 본질적으로 그대로 남아 있도록 고려될 수 있지만 몇개의 락탐 링들은 이용가능한 -COOH 그룹을 갖도록 개방한다. 이들 -COOH 그룹의 이용가능성은 특정 폴리(N-비닐 락탐)에서 산 그룹의 몰당 염기의 몰 당량을 결정하기 위해 염기 적정으로 측정될 수 있다.
폴리머 백본이 본질적으로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동일한 분자량이나 K값을 갖는 다른 폴리(N-비닐 락탐)은 다른 레벨의 환상을 가질 수 있다. 발명에서 겔을 형성하는데 유용한 폴리(N-비닐 락탐)은 약 1.4이상, 선호적으로 약 2.0이상의 산 그룹의 몰 당량/몰을 갖는다.
개방된 락탐 링이 없을 때, 겔은 형성되지 않는다. 폴리(N-비닐 락탐)은 약 60이상의 K값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선호적으로 비교적 고분자량을 갖는다.
폴리(N-비닐 락탐)에서의 개환을 약 50℃에서 약 120℃까지, 선호적으로 약 60℃에서 약 100℃까지으 온도와 약 30분에서 약 10일 동안, 선호적으로 약 1시간에서 약 24시간 동안, 약 15psi 에서 약 150psi의 압력에서 폴리(N-비닐 락탐)의 용액을 가열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용액에 대한 용매는 선호적으로 수용성이고 약 7-9의 pH, 선호적으로 약 7-8 또는 7-8.5의 pH를 갖는 약 염기인 용액에서 일어나도록 희석된 수산화 암모늄이나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소량의 약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시간 단축이 상업기능에서 중요하게 고려된다면, 개환은 예를 들면 높은 온도 및 압력(50psi 에서 200℃)의 조건하에 반응기에서 시간을 단축하여 실행될 수 있다.
겔을 형성하기 위해, 폴리(N-비닐 락탐)은 폴리우레탄과 혼합되거나 훈련될 수 있다.
블렌드의 우레탄 부분은 예를 들면, 프레폴리머(prepolymer)를 형성하기 위해 사슬 익스텐더(extender)와 반응된 후, 산 기능을 부분적으로 중화하도록 트리에틸아민을 물에 첨가하여 분산된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p-페닐렌 이소시아네이트(MD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든지 또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된 디메틸롤 프로피온산의 에톡시레이트에 근거된다. 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면 상업적으로 유용한 네오레즈(NeoRez) R-940(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td)과 산쿠레(Sancure) 847(Sanncore Industries, Inc.)이다.
폴리우레탄은 선호적으로 수용성 분산액의 형태로 존재한다. 겔은 수용액에서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폴리(N-비닐 락탐)을 용해한 후 최소한 5% 전체 고체, 즉 최소한 5중량 퍼센트 전체 PVP 및 폴리우레탄을 가진 균질 혼합물이나 블렌드를 얻기 위해 충분히 교반하여 수용성 분산액 폴리우레탄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겔 제조에 사용된 용매는 선호적으로 실제 수용성이다. 예를 들면, 겔은 물/이소프로필 알콜과 물/에탄올과 같은 히드로알콜 이나 물에서 제조될 수 있다.
겔은 약 0.5/1에서 약 8/1, 선호적으로 약 0.75/1에서 약 4/1의 PVP/우레탄 비율과 최소한 약 5%의 전체 고체로 형성한다. 보다 높은 비율의 PVP/우레탄에서 겔이 형성되지만 보다 약하고 물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비복합 PVP(uncompexed PVP)를 포함할 수 있다. 낮은 고체 레벨에서 또는 PVP가 약 60이하의 K값을 가질때, 겔이 형성될 수 있지만 뜨거운 물에서는 가역될 수 있다. 블렌드는 약 15초에서 약 2시간 동안 경화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경화하는 시간과 온도는 임계수치가 아니다.
편리한 목적을 위해, 주위온도가 사용될 수 있지만 고온에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겔 용어는 점성 또는 반-고체와 젤리같은 것을 의미한다. 선호된 겔은 안정하므로 끓은 물이나 알콜에서도 비가역적이고 물에 녹지 않는다.
겔은 방지 또는 증기 살균법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겔은 친수성이고 물에서 몇 십배의 중량이나 최소한 두배의 중량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실용성 출원에 대해, 겔은 예를 들면 물에서 그것의 건조무게를 약 25에서 약 40배까지 흡수한다. 겔 물질은 PVP/우레탄 비율에 근거된 유체를 흡수하는데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0.75/1에서 1/1의 PVP/우레탄 비율에서 겔은 물에서 그것의 건조무게(즉, 고체무게)를 약 29배 흡수하며, 악 3/1에서, 물에서 그것의 건조무게를 약 38배 흡수한다. 겔을 형성하는 메카니즘의 정확한 성질이 공지되지 않았을 경우와 이론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닐 경우, 사슬사이의 수소결합을 그르치게 하고 꽉 조이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 믿어진다.
어떤 결정되지 않은 방법에서 개환 피롤리돈의 존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긴요한 역활을 한다. 약 5에서 약 50중량 퍼센트까지, 선호적으로 약 10 에서 약 30 중량 퍼센트 양의 글리세린이 건조후 접착성과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겔 제조물에 첨가될 수 있다.
글리세린은 우레탄 분산액을 첨가하기전에 PVP용액과 선호적으로 혼합된다. 프로필렌 글리콜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많은 다른 형태의 추가물질들은 그 물질들이 겔 형성에 방해하지 않는 한 낮은 레벨, 알콜, 아민, 폴리머 격자, 충전제, 계면활성제, 안료, 염료, 향수등에서 무기염과 유기염을 포함하는 겔에 혼합될 수 있다. 많은 이들 물질은 겔에서 분리가능하다.
본 발명의 겔은 사람이나 사람 아닌 동물에 대해 치료수치를 갖는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활성물질의 담체로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겔에 혼합하는데 적합한 생물학적 활성물질들은 수면제, 진정제, 신경 안정제, 진경제, 근육 이완제, 진통제, 해열제, 소염제, 국부 마취제, 항 궤양제, 항 바이러스제, 항균제, 교감신경 흥분제, 심장혈관제, 항종양제등이다.
생물학적 활성물질이 약제적인 활성 양으로 첨가된다.
생물학적 활성 첨가물로서 특히 선호된 물질은 니트로글리세린 (nitroglycerine), 스코팔아민(scopalamine), 필로카르핀(pilocarpine), 페닐프로판올아민(phenylpropanoldamine), 및 디어필린(theophyline), 또한 항균성 테트라사이클(tetracycline), 네오마이신(neomycin), 옥시테트라사이클(oxytetracycline), 트리클로산(triclosan), 소듐 세파졸린(sodium cefazolin), 실버 설퍼디아진, 및 또한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salicylate) 와 살리실산과 같은 살리실레이트, 메틸 니코티네이트(methylnicotinate)와 같은 니토티네이트, 캡시컴(capscium) 및 벤조카인(benzocaine)이다.
겔이 예를 들면 화장처리에 사용되어야 할때, 소듐 피롤리딘 카르복실산과 같은 수화제(hydrating agent)가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수화 목적을 위해 친수성 겔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다량의 물은 피부에 수화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기술된 첨가물들과 같은 수용성 및 비 수용성 첨가물들은 겔 제조가 시작되기 전에 맨먼저 수용성 용매로 혼합될 수 있으며, 겔 제조증 폴리(N-비닐 락탐)의 수용성 용액으로 혼합되거나 수용성 분산 폴리우레탄으로 혼합될 수 있다.
수용성 성분은 우레탄과 혼합하기 전에 선호적으로 PVP와 혼합된다. 비수용성 성분은 PVP에 첨가 하기전에 우레탄과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PVP 이든지 또는 우레탄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비수용성을 유화시킬 수 있다.
대체적으로 첨가물들은 폴리(N-비닐 락탐)이 폴리우레탄과 혼련된 후 겔 제조물로 유사하게 혼합될 수 있다.
첨가물들은 또한 겔 드레싱의 표면에, 예를 들면 분사(spraying) 담금(dipping) 솔질(brushing) 또는 압연(rolling)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겔은 첨가제, 흡수제 드레싱과 기타 생산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생산물을 얻기 위해서 겔은 최소한 하나의 기질 또는 베킹(backing)과 릴리스 라이너(release liner)로 제공될 수 있다.
드레싱을 형성하기 위해, 겔은 기질상에 놓여지고 그 자체에 겔이 달라붙지 않도록 릴리스 라이너로 덮혀짐으로써 기질과 랄리스 라이너 사이에 위치된 겔로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한다.
드레싱은 기질자체가 릴리스 라이너로서 작용하도록 둥글게 말려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릴리스 라이너는 겔이 피부에 적용되기 전에 제거된다. 기질은 준비된 보강재, 준비된 기체와 액체 배리어(barrier), 준비된 처리범위와 겔의 보호등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몇가지 작용을 수행할 것이다.
기질은 원하는 작용과 여러가지 기질의 특징, 즉 침투성, 비침투성, 반투성, 신장성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것이다.
겔은 해당분야에서 공지된 어떤 수단에 의해 배킹이나 기질위에 피복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겔은 수지, 금속박, 자연 및 합성섬유의 짜여진 웨브(woven web) 및 짜여지지 않은 웨브(non-woven web)등을 포함하는 실제 제한되지 않은 다양한 기질이나 배킹에 혼합되고 점착된다.
기체와 액체 배리어 성질을 제공하는 배킹을 폴리우레탄과 같은 폴리머 필름일 수 있다.
겔을 가진 바라는 합성물 또는 실론(Silon; Biomed Sciences, Inc.)처럼 상업적으로 유용한 폴리머 멤브레인 또는 필름에 침투하는 실리콘-폴리테트라폴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 알콜의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겔이 상기형태의 배리어 기질을 가질때, 수득구조는 상처와 화상 드레싱 처럼 특정 실용성을 갖는다.
습기는 억제되고 과량의 삼출물(exudate)은 치료를 촉진하도록 흡수되지만 박테리아는 상처나 화상부위에 침투하지 못하도록하며, 미생물 스태시스(stasis)는 감염을 방지하도록 겔에 항미생물제를 혼합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해, 배킹의 점착겔은 실리콘 피복필름 이나 폴리에틸렌인 릴리스 라이너로 감싸진다.
겔은 전체 또는 부분의 배킹표면을 차지하도록 배킹상에 피복될 수 있다. 만일 겔이 배킹표면의 부분을 차지한다면 배킹의 겔로 피복되지 않는 부위는 추가 첨가물로 제공될 수 있다.
흡수 첨가제 겔이 상처에 접촉할 경우 무상 피부의 접촉하여 침투되도록 상기 형태의 드레싱은 피부에 위치된다.
추가 첨가제는 흡수제 겔이 상처 삼출물로 실제 포화될 때 드레싱에 스테잉 파워(staying power)를 제공함으로써 희석 효과에 의해 약간의 점착성을 상실한다.
폴리머 또는 콜라겐(collagen) 필름 배킹을 가진 드레싱은 카테테르와 튜브와같은 몸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피부의료 장치의 앵커(anchor)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가 물체에 들어가는 부위는 박테리아와 기타 감염제를 침투하기 위한 접촉면을 제공한다.
적절한 배킹과 최적의 항미생물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겔은 삽입 부위에서 감염을 방지하는 동안 적소에 의료장치를 놓아두어 점착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겔과 배킹구조 또한 보다 확실한 삽입부위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장치에 구멍을 뚫을 수 있다.
폴리머 필름 배킹을 가진 겔구조는 위급상황에서 특히 심한 화상에 대한 화상 블랭킷(blanket)로서 유용하다.
랩은 겔에 혼합된 기질과 / 또는 항미생물 첨가물의 배리어 효과에 의해 감열을 방지할 경우 친수성 겔에서 물의 열싱크(sink) 효과에 의해 화상부위에 냉각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겔은 짜여진 또는 짜여지지 않은 직물이고 신장가능한 스크림(scrim)과 같은 유연성 및 침투성 배킹과 혼합될 수 있다.
약물, 예를 들면 메틸 니코티네이트(methylnicotinate) 또는 카프사이신(capsaicin)과 같은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salicylate), 니코티네이트(nicotinate)는 단일이든지 또는 혼합하여 겔에 혼합되며, 이 구조는 신장가능한 스포츠 랩으로 특히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겔은 화장마스크와 네일랩과 같은 화장 제조물에 사용될 수 있다.
겔은 배킹으로 또는 배킹없이 수화작용에 이용되며 화장효과는 다른 성분의 혼합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 키트(kit)의 화장 겔은 성형품 겔 또는 두가지 성분, 즉 폴리(N-비닐 락탐)과 폴리우레탄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수화제, 향수등과 같은 기타 화장제 또한 성형품 겔 또는 상기 성분중 어느 한가지 성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유리하게 겔은 사용후에 쉽게 벗겨질 수 있다.
화장품용어는 육체외관을 향상시키나 개선시키는데 사용된 제조물을 의미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향수가 겔에 혼합될 수 있다.
겔이 적절한 통기 콘테이너에서 계속 축축할때 향수는 에어프레셔너(air freshener)로서 서서히 분리된다.
이하 실시예들은 예증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지만 발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에 있어서, K값은 분자량의 함수를 나타낸다.
K값은 점도 측정으로 부터 얻어지고 클리네, 지. 엠. (kline, G. M.)의 폴리비닐피롤리돈 (Modern Plastics p 157 (NOV. 1945)에 의해 기술된 피켄트셔(Fikentscher)의 공식에 따라 계산되며 제너럴 아닐린과 필름 코포레이션 테크니컬 블레틴(General Aniline Film Corporation Technical Bulletin 7583-003)에 기술된다.
동일한 K값 또는 분자량에서, 개환 폴리(N-비닐 락탐)의 레벨은 점착겔을 형성하는지 안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고려된다.
[실시예 1]
K-92 PVP를 염기로 적정하였다.
결과는 PVP가 산 그룹의 1.4 몰 당량/몸을 나타냈다.
상기 PVP를 사용하여 점착 겔을 형성하려는 시도가 성공되지 않았다.
폴리우레탄과 혼합되었을 때, 상기 PVP는 코팅이나 시트(sheet)에 형성될 때 점착성을 갖기보다는 오히려 미끄러운 블렌드를 형성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 의 PVP를 8일 동안 60℃로 물에서 가열된 후 8시간 동안 95℃로 물에서 가열하였다.
이 물질은 염기로 적정했을 때, 산 그룹의 2.15몰 당량/몰을 나타냈고, 20% 고체에서 1 PVP/1 우레탄 비율에서 점착성 비 가열겔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93의 K값을 갖는 상업용 PVP (KOLLIDON 90, BASF)를 염기로 적정한 결과 5몰 당량/몰의 산그룹을 나타냈다.
우레탄과 혼합될 때, 이 PVP는 친수성 점착 겔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
93의 K값을 갖는 PVP(Luviskol, BASF)를 염기로 적정한 결과 산그룹의 1몰 당량/몰 미만을 나타냈다.
우레탄과 함께 이 PVP를 사용하여 겔을 형성하려는 시도는 성공되지 않았다.
이 PVP 는 폴리우레탄과 혼합될때, 점착성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미끄러운 블렌드를 형성한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기술된 PVP의 20% 용액 50그램을 함유하는 비이커에 교반하여 17.7그램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PVP와 물이 완전히 혼합되었을때, 교반은 낮은시어(shear)로 감소되었고 네오레즈(Neo Rez) R-940 물 분산 우레탄(Imperial Chemical Industrines, Ltd)을 첨가하였다. (31% 고체에서 32.3그램) 혼합이 균질될 때 까지 혼합이 계속된다.
그 다음 혼합물을 독터 블레이드(doctor blade)로 폴리우레탄 필름위에 피복하였고 릴리스라이너 처럼 실리콘 피복 폴리 우레탄 필름은 합성물에 덮어 씌우는데 사용되었다.
실온에서 30-60 분간 점성겔은 유동할 수 없고 규격대로 자를수 있고 박막주머니에 포장했다.
겔 조성은 20% 고체에서 1/1의 PVP 폴리우레탄이다 겔은 과량의 물에 놓여졌을때 그이상의 액체를 흡수하였지만 용해되거나 분해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될 수 있지만 물의 끓는점에서도 분해되지 않는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 기술된 PVP의 25%고체 수용액 24 그램을 함유하는 비이커에 기계적 교반을 하여 9.3 그램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PVP가 분산되었을때 산쿠레 847 (30% 고체 ; Sanncor Industrines)의 6.7그램의 지방족 물 분산 우레탄을 첨가하였다.
균일한 혼합이 일어나도록 혼합한 후 혼합물은 폴리프로필렌 다이에퍼 밴드 스크림(diaper band scrim)위에 주조 되었고 편평하게 균일한 두께로 섞음질을 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릴리스 라이너는 합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주조층의 상부에 놓여졌다.
이것은 바람직한 피팅벤디지(fitting bandage)를 만들기 위해 직물 및 점성 겔을 신장하게 했다.
겔은 20% 고체에서 3/1의 PVP/폴리우레탄의 조성을 갖는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 기술된 PVP의 20% 용액 50.0 그램을 함유하는 비이커에 교반을 하여 16.7그램의 증류수와 1그램의 실버설포디아진을 첨가하였다. 이것이 완전히 홉합될 때, 32.3 그램의 물 분산 방향족 우레탄 네오레스 R-940을 첨가하였다.
혼합될때까지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은 릴리스 필름이 합성물을 형성하는데 결합된 콜라겐 필름위에 주조되었다.
1% 실버설파디아진을 함유하는 점성 겔은 몸에 삽입된 의료장치에 대한 화상드레싱 이나 항미생물 계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3에 기술된 20% 용액의 PVP 60.0 그램과 14.2그램의 증류수를 콘테이너에 첨가하였다.
균일한 용액을 만들도록 이것을 교반하였다.
느린교반으로 트리에틸아민을 가진 염을 제조함으로써 분산된 디메틸올프로피온산과 반응시켜 TDI로 부터 제조된 방향족 우레탄의 수용성 분산액인 네오레즈 R-940의 30% 용액 25.8 그램을 첨가하였다.
두개의 슬랩(slab)의 겔을 제조하였다.
하나는 릴리스 라이너이고 또 하나는 얇은 층의 피복에 의한 얇은 우레탄 필름이다.
두개의 슬랩은 주위온도에서 겔화시켰다.
18ml 에탄올에 용해된 6그램의 살리실산 용액을 겔의 한 슬랩위에 분사하였고 알콜은 증발되도록 하였다. 유리하게 점성 친수성 겔로 결합된 약물 전달 시스템인 콘 제거 패트(corn removal pad)에 사용될 수 있는 6% 살리실산을 함유하는 겔을 제조하기 위한 두개의 슬랩을 룰러로 함께 압착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3에 기술된 25% 용액의 PVP 22.7 그램을 함유하는 비이커에 교반을 하여 15.0 그램의 글리세린과 2.8 그램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이것이 완전히 혼합될때, 9.5그램의 물 분산 지방족 우레탄 산쿠레 847 (30% 고체)를 첨가하였다.
혼합한후 약 0.5-0.7mm의 두께의 내부 나일론 스크림을 가진 우레탄 필름위에 피복되었다.
그때에 17% 고체에서 2/1의 PVP/우레탄의 조성을 가졌다.
코팅은 약 10분 동안 60℃에서 건조되었다.
원래 중량의 약 45-50%의 수득겔은 물의 증발에 기인한 것이다.
이때에 겔은 건조단계전 보다 실제 더 강한 점성을 가졌다.
발명의 선호된 실시형태로 믿어지는 것이 여기에 기술되었지만, 해당분야의 숙련자는 많은변화와 변경이 발명의 정신으로 부터 이탈함이 없이 그것에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실현할 것이며, 발명의 범위내에 분류한 것으로서 이러한 변화와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

Claims (29)

  1. 최소한 약 60의 K값과 약 1.4몰당량 이상의 이용가능한 산그룹을 갖는 친수성 폴리(N-비닐 락탐)과 폴리우레탄의 블렌드로 구성된 안정한 점착 친수성 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2. 제1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기질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N-비닐 락탐)이 폴리비닐피롤리돈 호머폴리머, 코폴리머 또는 터어폴리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4. 제1항에 있어서, 겔이 약 0.75/1에서 약 4/1까지의 폴리(N-비닐 락탐)/폴리우레탄 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5. 제1항에 있어서, 겔이 최소한 5중량 퍼센트 폴리(N-비닐 락탐)과 폴리우레탄의 전체고체로 수용액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싱.
  6. 제5항에 있어서, 용액이 물이나 히드로알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7. 제1항에 있어서, 폴리(N-비닐 락탐)이 최소한 약 20몰 당량의 이용가능한 산그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8. 제2항에 있어서, 기질이 폴리머 필름, 실리콘-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콜라겐 필름, 짜여진 직물 및 짜여지지 않은 직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9. 제2항에 있어서, 기질이 폴리우레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0. 제2항에 있어서, 기질이 실리콘-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1. 제2항에 있어서, 기질이 신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기질이 릴리스 라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3. 제1항에 있어서, 겔이 최소한 하나의 추가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4. 제13항에 있어서, 성분이 글리세린 이나 프로필렌 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5. 제13항에 있어서, 추가 성분이 겔에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6. 제15항에 있어서, 추가 성분이 향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7. 제15항에 있어서, 추가성분이 생물학적으로 활성물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8. 제17항에 있어서, 추가 성분이 니트로글리세린, 스코팔아민, 필로카르핀, 페닐프로판올아민, 디어필린, 테트라사이클린, 네오마이신,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트리클로산, 소듐 세파졸린, 실버 설파디아진, 살리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카프사이신, 및 벤조카인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19. 최소한 60의 K값과 약 1.4몰 당량 이상의 이용가능한 산 그룹을 갖는 수용성 분산 폴리(N-비닐 락탐)호머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와 블렌드를 형성하기 위해 약 5중량 퍼센트 이상의 전체고체 함량으로 약 0.5/1 에서 약 8/1까지의 폴리(N-비닐 락탐)/폴리우레탄 비율의 수용성 분산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겔 드레싱이 형성될 때까지 약 10초 에서 약 2시간 동안 블렌드를 경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한 점착 친수성 겔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약 30분에서 약 10일 동안 약 50℃ 에서 약 200℃까지의 온도와 약 15psi에서 약 15psi 까지의 압력으로 수용액에서 폴리(N-비닐 락탐)을 가열함으로써 약 1.4몰 당량이상의 산그룹을 증가시키도록 폴리(N-비닐 락탐)을 처리하는 단계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수용액이 약 7 에서 약 9까지의 pH를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블렌드에 첨가하는 단계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활성물질이 항미생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블렌드가 기질위에 블렌드를 피복하거나 주조함으로써 드레싱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블렌드가 릴리스 라이너인 제2기질로 덮어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블렌드가 두개의 분리기질위에 겔의 두개의 분리 슬랩들을 주조하고,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용액을 하나의 슬랩표면에 적용하며, 생물학적 활성물질이 슬랩들사이에 위치되도록 동시에 슬랩들을 구성함으로써 드레싱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활성물질이 살리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및 카프사이신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8. 상처 드레싱, 화상드레싱, 약물전달 드레싱, 피부에 의료장치를 고정시키는 항미생물 접촉면 드레싱, 스포츠 랩 드레싱, 화장마스크 드레싱 및 화장랩 드레싱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생산물의 형태로 있는 제1항의 드레싱.
  29. 최소한 60의 K값과 약 1.4몰 당량이상의 이용가능한 산 그룹을 갖는 친수성 폴리(N-비닐 락탐)과 폴리우레탄의 블렌드, 즉 최소한 5중량 퍼센트의 전체고체로 수용액에서 약 0.5/1에서 약 8/1까지의 폴리우레탄/폴리(N-비닐 락탐)비율로 혼합된 폴리우레탄과 폴리(N-비닐 락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한 점착 친수성 겔.
KR1019920004627A 1991-03-20 1992-03-20 점착 친수성 겔 드레싱과 수득 생산물 KR0184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72,357 US5156601A (en) 1991-03-20 1991-03-20 Tacky, hydrophilic gel dressings and products therefrom
US7/672,357 1991-03-20
US07/672,357 1991-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673A KR920017673A (ko) 1992-10-21
KR0184013B1 true KR0184013B1 (ko) 1999-04-01

Family

ID=2469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627A KR0184013B1 (ko) 1991-03-20 1992-03-20 점착 친수성 겔 드레싱과 수득 생산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156601A (ko)
EP (1) EP0506300B1 (ko)
JP (1) JP3249836B2 (ko)
KR (1) KR0184013B1 (ko)
AT (1) ATE139706T1 (ko)
AU (1) AU656562B2 (ko)
CA (1) CA2063521C (ko)
DE (1) DE69211739T2 (ko)
DK (1) DK0506300T3 (ko)
FI (1) FI108705B (ko)
IE (1) IE75886B1 (ko)
IL (1) IL101269A (ko)
NZ (1) NZ242041A (ko)
TW (1) TW200404B (ko)
ZA (1) ZA92204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560B1 (ko) * 2000-11-02 2003-02-19 한국전력공사 숯 충진 수화겔 드레싱 및 방사선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KR100452221B1 (ko) * 2001-11-28 2004-10-15 활 서 자가조직화 주입형 연조직 보형재 조성물
KR20150036487A (ko) * 2012-07-10 2015-04-07 바이오메드 사이언시즈, 인크. 화상 사건에서 1차 반응자 사용을 위한 신규한 의료 조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9663A (ja) * 1989-05-15 1990-12-11 Unitika Ltd 抗感染性カテーテル
GB9102089D0 (en) * 1991-01-31 1991-03-13 Johnson & Johnson Medical Net wound dressings
JP3254013B2 (ja) * 1991-09-10 2002-02-04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包帯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123487A1 (en) * 1991-11-12 1993-05-27 Adrian S. Fox Adhesive hydrogels having extended use l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ame
CA2083741A1 (en) * 1992-01-24 1993-07-25 James Anthony Braatz Protein nonadsorptive membranes for wound dressings
DK0649447T3 (da) * 1992-07-06 1999-03-29 Schering Plough Healthcare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polstring af lemmer
US5306504A (en) * 1992-12-09 1994-04-26 Paper Manufactures Company Skin adhesive hydrogel, its preparation and uses
EP0611077A3 (en) * 1993-02-08 1994-12-28 Rohm & Haas Polyurethane elastomer blends.
GB2275685B (en) * 1993-03-03 1997-04-30 Johnson & Johnson Medical Water soluble wound dressing materials
US5451407A (en) * 1993-06-21 1995-09-19 Alza Corporation Reduction or prevention of skin irritation or sensitization during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a irritating or sensitizing drug
US5356372A (en) * 1993-12-01 1994-10-18 Ludlow Corporation Occlusive pressure-reducing wound dressing
WO1995017215A1 (en) * 1993-12-22 1995-06-29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Soft polysiloxanes hav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5420197A (en) * 1994-01-13 1995-05-30 Hydromer, Inc. Gel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polyvinylpyrrolidone with chitosan derivatives
US5489279A (en) * 1994-03-21 1996-02-06 Dusa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applying photodynamic therapy to dermal lesion
US5527271A (en) * 1994-03-30 1996-06-18 Bristol-Myers Squibb Co. Thermoplastic hydrogel impregnated composite material
FR2718350B1 (fr) * 1994-04-08 1996-12-27 Oreal Compositions cosmétiques à appliquer sur l'ongle.
US5631301A (en) * 1994-09-27 1997-05-20 Virotex Corporation Topical antibiotic composition providing optimal moisture environment
US5905092A (en) * 1994-09-27 1999-05-18 Virotex Corporation Reel/Frame Topical antibiotic composition providing optimal moisture environment for rapid wound healing that reduces skin contraction
HU0200901D0 (ko) * 1996-06-20 2002-08-28 Lavipharm Sa
GR1002807B (el) * 1996-06-20 1997-11-13 Lavipharm A.E. Συστημα για την τοπικη θεραπεια της ακμης και μεθοδος παραγωγης του
US5827840A (en) * 1996-08-01 1998-10-27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omotion of wound healing by chemically-modified tetracyclines
US6039750A (en) * 1996-12-03 2000-03-21 Mentor Corporation Urethral occlusion device for maintaining urinary bladder retention and method of use
US5800803A (en) * 1997-02-10 1998-09-0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omposition exhibiting enhanced uptake by dental tissue of noncationic antibacterial agents
DE19908561A1 (de) * 1998-03-26 1999-09-30 Henkel Kgaa Klebestift auf der Basis eines Seifengels
DE19829712A1 (de) * 1998-07-03 2000-01-05 Lohmann Therapie Syst Lts Narbenauflage in Form eines Pflasters zur Verhinderung der Ausbildung von Narbengeweben
US6207873B1 (en) * 1998-09-18 2001-03-27 Trevor Lee Huston Skin protector
US20020015726A1 (en) * 2000-06-30 2002-02-07 Scamilla Aledo Maria Aparecida De Carvalho Dressings and bandages comprising same
US6121375A (en) 1999-02-11 2000-09-19 Hydromer, Inc. Gel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poly(aldehyde) with various substances
US6183770B1 (en) * 1999-04-15 2001-02-06 Acutek International Carrier patch for the delivery of agents to the skin
US6548728B1 (en) 1999-08-11 2003-04-15 Medical Products, Inc. Wound dressing garment
US7744640B1 (en) 1999-08-11 2010-06-29 Medical Products, Inc. Thermal treatment garment and method of thermally treating body portions
US6379702B1 (en) 2000-07-05 2002-04-30 Hydromer, Inc. Gel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polyvinylpyrrolidone with chitosan derivatives
US7297128B2 (en) * 2000-08-21 2007-11-20 Gelzone, Inc. Arm suspension sleeve
US7303539B2 (en) * 2000-08-21 2007-12-04 Binder David M Gel wrap providing musculo-skeletal support
US6963019B2 (en) * 2000-08-21 2005-11-08 Gelzone, Inc. Flexible support for gel wraps
DE10054984A1 (de) 2000-11-07 2002-06-06 Henkel Kgaa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Abgabe eines streichfähigen Materials
US6436377B1 (en) 2001-02-26 2002-08-20 Societe L'oreal S.A. Enhanced SPF sunscreen (sprayable) formulations comprising interpolymers of PVP/dimethiconylacrylate/polycarbamyl/polyglycol ester
DE10111898C2 (de) 2001-03-13 2003-03-20 Henkel Kgaa Vorrichtung zur Abgabe eines streichfähigen Materials
DE10114382A1 (de) * 2001-03-23 2002-09-26 Beiersdorf Ag Feuchtigkeitsaufnehmende Matrix auf Silikonbasis insbesondere zur Wundversorgung und/oder pharmazeutisch/kosmetischen Hautbehandlung
US20030001748A1 (en) * 2001-04-30 2003-01-02 Dalton Bruce 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position by means of a flexible resistive circuit
US20020187181A1 (en) * 2001-05-14 2002-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for delivering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US7309498B2 (en) * 2001-10-10 2007-12-18 Belenkaya Bronislava G Biodegradable absorbents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7938812B2 (en) * 2001-10-26 2011-05-10 Sca Hygiene Products Ab Insert for an absorbent article with skincare agent and spacing sheet
US6750291B2 (en) * 2002-04-12 2004-06-15 Pacific Corporation Film-forming agent for drug delivery and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containing the same
US7008979B2 (en) * 2002-04-30 2006-03-07 Hydromer, Inc. Coating composition for multiple hydrophilic applications
WO2004103432A2 (en) * 2003-05-20 2004-12-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cial masks for managing skin wounds
US9278155B2 (en) 2003-06-05 2016-03-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articles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8048042B2 (en) * 2003-07-22 2011-11-01 Medtronic Vascular, Inc. Medical articles incorporating surface capillary fiber
US20050112151A1 (en) * 2003-11-20 2005-05-26 Horng Liou L. Skin adherent hydrogels
US7988986B2 (en) * 2003-12-30 2011-08-02 Beisang Arthur A Implant filling material and method
US20060241754A1 (en) * 2003-12-30 2006-10-26 Beisang Arthur A Implant filling material and method
US8084513B2 (en) * 2003-12-30 2011-12-27 Beisang Arthur A Implant filling material and method
US20050143816A1 (en) * 2003-12-30 2005-06-30 Intellectual Property International, Inc. Implant filling material and method
US20060173470A1 (en) * 2005-01-31 2006-08-03 Oray B N Surgical fastener buttress material
US20060258788A1 (en) * 2005-05-13 2006-11-16 Scott Coggins Polymeric hydrogel compositions
EP1888025B1 (en) * 2005-06-08 2020-08-12 Basf Corporation Medicament carrier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a film therefrom
FR2891833B1 (fr) * 2005-10-12 2008-01-04 Millet Innovation Sa Procede de fixation d'une piece en gel polymere
US20090163942A1 (en) * 2007-12-20 2009-06-25 Cuevas Brian J Tracheostomy punch dilator
US20090320854A1 (en) * 2008-06-27 2009-12-31 Cuevas Brian J Easy Grip Tapered Dilator
US8307824B2 (en) * 2008-06-27 2012-1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performing a tracheostomy
US20090320834A1 (en) * 2008-06-27 2009-12-31 Cuevas Brian J Dilator Loading Catheter
EP2365831B2 (en) * 2008-09-24 2017-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drogels with release element
US20110178203A1 (en) * 2009-10-19 2011-07-21 Elmer's Products, Inc. High strength glue formulation
US20120017916A1 (en) 2010-07-26 2012-01-26 Schumacher James F Dilator With Integrated Guiding Catheter
US20120017913A1 (en) 2010-07-26 2012-01-26 Schumacher James F Tracheostomy Tube Loading Catheter
TW201219480A (en) * 2010-11-10 2012-05-16 Far Eastern New Century Corp Chlorinated polymer enhancing the wettability of silicone hydrogel, silicone hydrogel comprising the same and ocular article made therefrom
DE102011106046A1 (de) 2011-06-30 2013-01-03 Paul Hartmann Ag Wundversorgungsprodukt
CA2917458A1 (en) * 2013-07-09 2015-01-15 Manukamed Limited A wound dressing
ES2921990T3 (es) 2014-09-10 2022-09-05 Bard Inc C R Apósito protector para un dispositivo médico colocado en la piel
CN111479837B (zh) 2017-10-25 2022-08-23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保持食品新鲜度的柔性包装材料
WO2021048357A1 (en) * 2019-09-11 2021-03-18 Universiteit Gent Anti-microbial hydrogel
KR102521082B1 (ko) * 2022-11-07 2023-04-12 주식회사 티알 스포츠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633A (en) * 1978-10-20 1980-07-01 Eli Lilly And Company Flurandrenolide film formulation
US4323557A (en) * 1979-07-31 1982-04-06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iodine
US4310509A (en) * 1979-07-31 1982-01-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therein
US4291015A (en) * 1979-08-14 1981-09-22 Key Pharmaceuticals, Inc. Polymeric diffusion matrix containing a vasodilator
CA1127644A (en) * 1980-01-28 1982-07-13 Anupama Mishra Isocyanurate products and polyurethanes therefrom
SE430695B (sv) * 1982-04-22 1983-12-05 Astra Meditec Ab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en hydrofil beleggning samt enligt forfarandet framstellda medicinska artiklar
US4542012A (en) * 1982-07-02 1985-09-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m-form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microbial agent and methods
US4769013A (en) * 1982-09-13 1988-09-06 Hydromer, Inc. Bio-effecting medical material and device
GR79380B (ko) * 1982-09-28 1984-10-22 Johnson & Johnson Prod Inc
GB8422950D0 (en) * 1984-09-11 1984-10-17 Warne K J Hydrogel
US4593053A (en) * 1984-12-07 1986-06-03 Medtronic, Inc. Hydrophilic pressure sensitive biomedical adhesive composition
US4642267A (en) * 1985-05-06 1987-02-10 Hydromer, Inc. Hydrophilic polymer blend
US4646730A (en) * 1986-05-23 1987-03-03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Color stabilized hydrogel dressing and process
US4931282A (en) * 1987-11-25 1990-06-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medical sealant
US5030665A (en) * 1988-04-08 1991-07-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Ultraviolet cured peelable film and method therefor
DE3834884A1 (de) * 1988-10-13 1990-04-26 Beiersdorf Ag Medizinische paste
AU643058B2 (en) * 1990-08-30 1993-11-04 Terumo Kabushiki Kaisha Wound-covering materia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560B1 (ko) * 2000-11-02 2003-02-19 한국전력공사 숯 충진 수화겔 드레싱 및 방사선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KR100452221B1 (ko) * 2001-11-28 2004-10-15 활 서 자가조직화 주입형 연조직 보형재 조성물
KR20150036487A (ko) * 2012-07-10 2015-04-07 바이오메드 사이언시즈, 인크. 화상 사건에서 1차 반응자 사용을 위한 신규한 의료 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56601A (en) 1992-10-20
IE75886B1 (en) 1997-09-24
KR920017673A (ko) 1992-10-21
CA2063521C (en) 2002-10-15
EP0506300A3 (en) 1992-11-19
DE69211739T2 (de) 1996-11-07
DE69211739D1 (de) 1996-08-01
FI921201A0 (fi) 1992-03-20
IE920851A1 (en) 1992-09-23
TW200404B (ko) 1993-02-21
NZ242041A (en) 1993-12-23
DK0506300T3 (da) 1996-07-29
FI108705B (fi) 2002-03-15
JPH0656655A (ja) 1994-03-01
AU656562B2 (en) 1995-02-09
ATE139706T1 (de) 1996-07-15
EP0506300A2 (en) 1992-09-30
IL101269A (en) 1995-05-26
EP0506300B1 (en) 1996-06-26
JP3249836B2 (ja) 2002-01-21
IL101269A0 (en) 1992-11-15
AU1299492A (en) 1992-09-24
CA2063521A1 (en) 1992-09-21
ZA922047B (en) 1992-11-25
FI921201A (fi) 199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013B1 (ko) 점착 친수성 겔 드레싱과 수득 생산물
US5258421A (en) Method for making tacky, hydrophilic gel dressings
KR100349020B1 (ko) 폴리비닐피롤리돈과키토산유도체의상호반응에의해형성된겔
RU2225185C2 (ru) Стабильный необратимый гидрофильный гель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AU2001259601B8 (en) Gel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polyvinylpyrrolidone with chitosan derivatives
RU2003103087A (ru) Гели, образованные при взаимодействии поливинилпирролидона с производными хитозана
AU2001259601A1 (en) Gel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polyvinylpyrrolidone with chitosan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