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239B1 -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239B1
KR0183239B1 KR1019960045977A KR19960045977A KR0183239B1 KR 0183239 B1 KR0183239 B1 KR 0183239B1 KR 1019960045977 A KR1019960045977 A KR 1019960045977A KR 19960045977 A KR19960045977 A KR 19960045977A KR 0183239 B1 KR0183239 B1 KR 018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power
ignition switch
backup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282A (ko
Inventor
임종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23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어기로 인가되는 백업 전원의 공급을 위하여 구비되는 조정기와 메인 릴레이간의 복잡한 회선을 다이오드 하나로 보다 간단하게 구성하므로써 제작원가를 감소하기 위하여 배터리로부터 퓨즈를 통하여 전자제어기의 두뇌 부분인 마이컴으로 일정 전원을 인가하는 조정기와, 운전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상태가 가변되는 점화 스위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점화 스위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의 상태에 따라 조정기의 백업 단자로 전원을 인가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퓨즈 IG.SW : 점화 스위치
RL : 메인 릴레이 B : 배터리
R : 조정기 M : 마이컴
E : 전자 제어기 D : 다이오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백업(back-up)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동시 필요한 전원 공급을 복잡하게 구성된 릴레이(relay)를 통하지 않고 간단하게 다이오드(diode)만을 이용하게 하므로써 제작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장기 운송하는 등 자동차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자동차의 전자제어기로 기본적인 전원을 제공하는 백업전원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퓨즈를 탈거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백업 전원의 퓨즈가 탈거된 상태에서 시동을 걸게 되면 전자제어기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
종래에는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퓨즈(F)가 탈거된 상태에서도 점화 스위치(IG.SW)가 온되면 백업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를 구성하였는데 이는 배터리(B)로부터 퓨즈(F)를 통하여 전자제어기(E)의 두뇌 부분인 마이컴(M)으로 일정 전원을 인가하는 조정기(R)와, 운전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상태가 가변되는 점화 스위치(IG.SW), 전자제어기(E)에 의해 각 부하로 전원을 도통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메인릴레이(RL)로 이루어진다.
그 동작관계는 다음과 같이, 점화 스위치(IG.SW)를 온하면 배터리(B)의 전류가 조정기(R)로 인가되고 이 신호를 받은 조정기(R)는 마이컴(M)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인 릴레이(RL)에 전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메인 릴레이(RL)의 코일(C1)에 전류가 도통되므로 스위치(SW1)가 온되어 조정기의(R) 백업 단자(S)로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퓨즈(F)가 탈거된 경우에는 메인 릴레이(RL)를 통하여 백업 전원이 공급되므로 시동이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퓨즈가 탈거된 상태에서 백업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조정기(R)와 메인 릴레이(RL)간에 별도의 회선을 연결하는데는 부품과 회선등이 복잡해지므로 제작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정기(R)와 메인 릴레이(RL)간의 부품과 회선대신 다이오드 하나만으로 퓨즈(F)가 탈거된 상태에서도 시동을 걸기에 충분한 백업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원가를 감소시키는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은, 배터리로부터 퓨즈를 통하여 전자 제어기의 두뇌 부분인 마이컴으로 일정 전원을 인가하는 조정기와, 운전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상태가 가변되는 점화 스위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점화 스위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의 상태에 따라 조정기의 백업 단자로 전원을 인가하는 다이오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로부터 퓨즈(F)를 통하여 전자제어기(E)의 두뇌 부분인 마이컴(M)으로 일정 전원을 인가하는 조정기(R)와, 운전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상태가 가변되는 점화 스위치(IG.SW)와, 상기 점화 스위치(IG.SW)의 일측단자와 퓨즈(F)의 일측단자에 연결되어 조정기(R)의 백업 단자(S)로 전류를 흘리는 다이오드(D)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기 운송을 위하여 퓨즈(F)가 탈거되어 전자제어기(E)로 백업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때 시동키를 이용하여 점화 스위치(IG.SW)를 온 하면 다이오드(D)를 통하여 조정기(R)의 백업 단자(S)로 전원이 인가되므로 시동이 정상적으로 걸리게 된다.
[발명의 효과]
따라서, 다이오드(D) 하나만으로 백업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게 되고 전자제어기(E)에서 릴레이 구동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자제어기(E)의 부담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배터리로부터 퓨즈를 통하여 전자제어기의 두뇌 부분인 마이컴으로 일정 전원을 인가하는 조정기와, 운전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상태가 가변되는 점화 스위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점화 스위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의 상태에 따라 조정기의 백업단자로 전원을 인가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퓨즈가 탈거되는 경우 배터리의 전원이 점화 스위치와 다이오드를 통하여 조정기의 백업 단자로 인가되므로써 마이컴에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 장치.
KR1019960045977A 1996-10-15 1996-10-15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장치 KR0183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977A KR0183239B1 (ko) 1996-10-15 1996-10-15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977A KR0183239B1 (ko) 1996-10-15 1996-10-15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82A KR19980027282A (ko) 1998-07-15
KR0183239B1 true KR0183239B1 (ko) 1999-05-01

Family

ID=1947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977A KR0183239B1 (ko) 1996-10-15 1996-10-15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97B1 (ko) * 2006-04-24 2011-03-31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장치의 배터리 퓨즈 단선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82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4854A (en) Motor vehicle electrical system
JPH10271672A (ja) 車両用電源供給装置
US6347030B1 (en) Battery supply control unit
ZA200302106B (en) Self Contained control unit incorporating authorisation.
KR100348839B1 (ko) 차량용전원공급장치
KR0183239B1 (ko) 자동차의 백업 전원 공급장치
KR100954215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US4488105A (en) Starting circuit for alternator of an automotive vehicle
JPH0923589A (ja) アクセサリ用補助電源装置
KR100958743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200168065Y1 (ko) 전장품의 이상 검출장치
JPH08198038A (ja) 車両用電子制御ユニットの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
KR100214724B1 (ko) 자동차의 전자 제어 모듈의 백업 전원 안정화장치
KR0133235B1 (ko) 자동차의 과방전 방지장치
KR100285450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JP4961075B2 (ja) プログラム式モニタシステム、特にいわゆるハンズフリーモニタシステムが設けられた自動車用安全装置
JPH09118182A (ja) 自動車における電装品制御装置
KR100264597B1 (ko)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 제어 방법
KR19980040198U (ko) 자동차의 스타터모터 및 ehc히터 제어시스템
JP2002233078A (ja) サブバッテリ制御回路
KR200158160Y1 (ko) 배터리 충전 경고장치
JPH0237638Y2 (ko)
JPH11301378A (ja) 車両用電源回路
JPS6170155A (ja) 車載マイクロコンピユ−タのメモリバツクアツプ装置
JPH03324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