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500B1 - 압착식의 정밀 광유도용 광섬유 조심 및 접속요소 - Google Patents

압착식의 정밀 광유도용 광섬유 조심 및 접속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500B1
KR0181500B1 KR1019900018435A KR900018435A KR0181500B1 KR 0181500 B1 KR0181500 B1 KR 0181500B1 KR 1019900018435 A KR1019900018435 A KR 1019900018435A KR 900018435 A KR900018435 A KR 900018435A KR 0181500 B1 KR0181500 B1 KR 018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 support
connecting element
support surfaces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210A (ko
Inventor
아란 패터슨 라차드
Original Assignee
도널드 밀러 쎌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널드 밀러 쎌,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퍼니 filed Critical 도널드 밀러 쎌
Publication of KR91001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2Assembly tools, e.g. crimping tool or pressing ben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중합체 물체와 같은 영구 변형 가능한 자료로써 형성되는 광섬유의 버트 접속 결합작용을 수행하도록 된 접속요소가 결합되어질 섬유사가 접촉되어지는 3개의 섬유사 지지표면(78)(79)(86)을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섬유사 지지표면은 상기 접속요소의 두 래그(74)(75)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래그가 섬유사를 수용한 상태로 밀착되는 경우, 섬유사를 상기 지지표면으로 안으로 끼워넣어 섬유사의 중심을 집중시키고 섬유사를 접속요소 내에서 접촉시키고 접속 결합시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정렬된 섬유사상에 탄성적인 스프링 압착 보존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압착식의 정밀 광유도용 광섬유 조심 및 접촉요소
제1도는 접속요소(splice element)를 형성하는 시이트의 전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시이트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시이트로 부터 형성된 최종 완성품으로서의 접속요소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시이트로 부터 형성된 최종 완성품으로서의 접속요소의 측면도.
제5도는 광섬유를 끼워넣어 폐쇄시키기 전의 제3도의 접속요소에 대한 확대 부분횡단면도.
제6도는 접속요소의 제2실시예의 확대 부분 횡단면도로서, 동일한 길이의 래그를 포함하고 캡에 의해 상호 힘을 받아 형성되는 제1도 내지 제5도의 접속요소와상응되는 정렬표면을 갖는 접속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 접속요소 72 : 시이트
74 : 제1 플레이트 부재 또는 래그 75 : 제2 플레이트 부재 또는 래그
78,79,86 : 섬유사 지지표면
본 발명은 광섬유의 상호 접속요소(splice elemen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섬유와 광섬유의 끝과 끝부분을 서로 연결 접속하고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 광섬유의 조심(centering) 및 수용지지(holding)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섬유사를 따라 광선(light rays)의 연속적인 전송(transmission)을 위해 섬유사의 끝과 끝부분을 서로 엮어 연결접속할 수 있도록 광섬유의 끝부분을 직선적으로 정렬시키고자 광섬유를 조심시키는 장치로써 구성된다.
원격 통신 산업에서 사용되는 광섬유는 대부분 단일 모드 유리 섬유사이다. 이 섬유사는 전형적으로 8㎛ ±1㎛의 직경을 갖는 중심유리코어를 함유하고 있고, 이 부분을 통해 광학 신호(optical signal)가 전송된다. 상기 코어는 125㎛ ±3㎛의 직경을 갖는 유리도금막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단일 모드 유리 섬유사를 영속적으로 있거나 결합시키기 위해 안출되어진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치가 다수 존재하고 있다. 충분히 적합하게 기능을 다하고 낮은 손실을 나타내는 섬유사 연결접속 상태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종래의 장치들에서는 연결되어지는 두개의 섬유가 끝부분의 코어부를 두 섬유사 코어 직경의 약 10% 이내 또는 1㎛ 미만으로 가까이 밀착 정렬시켜야만 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몇몇 장치에서는 형상이 섬유사와 같지 않은 V 자형성의 홈안에 또는 역시 형상이 동일하지 않은 로드사이에 광섬유를 가압위치시켜 섬유사 끝부분을 조심 및 정렬시키도록 시도하였다. 이러한 장치들은 연결 접속되어지는 섬유사들이 동일한 직경을 갖는 조건에서는 만족할 만한 효과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장치들의 실시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4,029,390 호, 제 4,274,708 호, 제 4,729,619호에 개시되어 있다.
서로 연결 접속되어질 섬유사의 양쪽 직경이 122㎛∼128㎛의 오차범위내로 형성되면, 상기 형상불일치의 V 형상 홈형식의 장치는 필요로 하는 코어 정렬 정확도를 제공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갖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형태의 장치는 섬유사의 끝문을 3개의 균등 이격된 연성(ductile) 또는 탄성 중합체 표면사이에 위치시켜 두 섬유사의 중심선이 서로 일렬로 정렬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상기 연성 또는 탄성중합체 표면은 섬유사가 위치되어지는 등변 3각형의 단면을 이루는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섬유사의 끝와 끝의 연결부위는 통상적으로 채널의 중앙점에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형상이 일치하지 않는 V자형 홈형태의 장치 보다 훨씬 우수한 수행성능을 제공하게 되는데, 그것은 섬유사의 직경이 서로 다르더라도 충분히 연결작업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 이다. 이러한 장치의 실시예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 4,391,487 호, 제 4,435,038 호, 제 4,593,971 호에 개시된 것들이 있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미합중국 특허 제 4,339,172 호에서는 케이블 둘레의 균등 이격배치된 복수개의 지점에서 각 케이블을 잡아주기 위한 그립부재에 압력을 가하도록 그립부재에 압착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중합체 슬리브내에 위치되는 상기 절첩식 그립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른 종래의 장치에서 처럼 섬유사 조심용의 채널을 형성하게 되는 3개의 접촉표면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장치는 종래기술의 장치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작동가능하도록 된 기능성과 수행능력에의 개선이 이루어진 것이다. 구조적인 차이와 작동수단에 있어서의 차이들이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접속 또는 3개의 고정밀도의 섬유사 접촉표면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표면은 전체의 작동 구조상에 있어 다른 표면들과의 관계에 따라 가동 가능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나의 표면의 가동성은 다른 부분요소를 제조하는데 있어 단순하고 용이하게 해준다. 섬유시 고정표면(clamplg surface)들이 초기에는 이격 분리되어 있어 섬유사가 상기 고정표면 단부가 서로 접촉될 때까지 연속하는 좁은 채널 또는 통로안으로 용이하게 끼워넣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의 섬유사가 상기 채널 또는 통로안으로 상대쪽 섬유사에 대해 인접하도록 밀어넣어질 때 상대쪽 섬유사의 촉감적인 피드백 현상(feedback)및/또는 구부러짐 현상(buckling)을 통하여 감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섬유사의 끝과끝이 마주쳐 접촉되면, 연결 접속요소가 결합되고 섬유사의 끝부분들이 정렬되고 고정결합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91,487 호에 개시된 장치와 미합중국 특허 제 4,391, 487 호의 양수안에 의해 상업판매 되는 형태의 장치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섬유사의 중심 집중 및 정렬작업의 수행을 위해 몰드 성형된 탄성중합체 블록을 이용한다. 이 블록에는 필수적으로 섬유사의 직경 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심각단면 형태의 통로가 포함되어 있다. 섬유사가 상기 몰드 성형된 블록의 통로안으로 끼워넣어지면, 탄성중합체 표면을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개방되도록 상기 탄성중합체 표면에 힘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섬유사를 상기 통로안으로 밀어 넣기 위하여 섬유사에 상당한 압착력이 가해지는 것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높은 삽입압력으로 인하여, 섬유사 끝 표면들이 연결부재 안쪽에서 실제적으로 접촉된다고 말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섬유사가 탄성중합체의 중심 집중용 블록안으로 가압되어 짐에 따라 압축력에 의한 구부러짐 현상으로 인하여 섬유사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정확하고 정밀한 섬유사 조심 및 접속 결합 작용의 수행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본 발명의 연결요소에 있어 오직 매우 작고 연성 또는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한 섬유 배치 표면이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성 또는 탄성적인 섬유 배치 표면의 변형성에 따라 섬유사의 축선과 평행하게 섬유사의 외측으로의 물질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합표면 둘레와 힌지연결 구조의 연성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435,038 호의 컨넥터와 같은 다른 종래기술의 장치는 섬유사 조심 및 접속 결합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주위 관련구조와 섬유사 결합 표면의 지극히 큰 변형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큰 반형성은 섬유사 결합표면의 바람직하지 못한 비틀림 현상과 상기 섬유사 결합표면상에 균일하지 못한 결합력이 가해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연성 변형에 의해 본 발명의 결합요소의 각 결합 표면으로 균일하게 섬유사를 끼워넣기에 충분한 높은 압력이 연결요소의 래그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 연결된 레버 구조체를 통하여 용이하게 발생되어 질 수 있다.
일단 섬유사가 접속 결합 고정되면, 접속요소가 섬유사에 균일한 압축하중을 유지시켜 높은 섬유사 인장 하중 보존력과 우수한 열순환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섬유사 접속 결합력이 연결요소의 래그와 결합구조체내에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지속유지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435,038 호의 컨넥터와 같은 다른 종래기술의 장치에서는 연결요소 결합 기구의 압력을 제거한 후에는 약간 풀어져 이완되거나 또는 탄성력이 회복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이완됨 또는 탄성력의 회복으로 인하여 채널내에 위치한 섬유사를 약간 느슨하게 함으로써 열순환중에 섬유사 끝부분 표면의 분리와 섬유사의 당김력을 감소시키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요소를 이용하는 섬유사 조심 및 접속 연결과정의 수행중에, 결합하중이 섬유사에 발생하게 된다. 유리는 매우 높은 압축 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하중이 섬유사가 접속요소내의 섬유사 채널을 형성하는 3개의 연성의 접촉표안으로 끼워넣어지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은 섬유사 도금막상에 걸리는 결합하중으로 인해 연결부에 있어서의 우수한 인장 하중 보존능력과 열순한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결합하중의 적용은 접속요소의 래그를 서로 압착시킴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단숙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91,487 호의 섬유사 조심장치와 같은 다른 종래기술의 장치는 섬유사를 섬유사 조심 블럭 위의 외측 연결 구조체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착제의 사용은 접착제의 적용 및 균일한 경화가 어렵고 시간적 소비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접속요소는 또한 섬유사 끝부분의 재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어져 있다. 접속요소내의 섬유사를 재배치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 접속요소의 래그상에 제공되었던 결합력이 용이하게 제거되어지고, 접속요소의 래그와 현지부내의 잔류 탄성에 따라 섬유사 위치와 결합표면이 이격되어 이동하게 된다. 섬유사 상의 결합하중이 그 다음 해제되고, 섬유사는 그의 위치가 재결정되어 배치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91,487 호와 제 4,435,038 호의 컨넥터와 같은 종래기술의 장치는 섬유사를 영구적으로 오그라뜨리거나 접착 결합시켜 다시 분리시켜 재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조상의 여유오차로 인해 대체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두개의 광섬유를 버트(butt)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변형 가능한 접속요소를 제공한다. 이 접속 요소는 연성물체(ductile material)로 형성되고, 제2표면에 예각(acute angle)으로 위치되는 각 표면과 배열되는 대체로 평편한 3개의 섬유사 지지표면을 형성하고 서로 연결되어지는 두개의 섬유사의 끝부분을 서로 밀착 접속시켜 결합되는 상태로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광섬유 통로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통로는 3개의 각을 이루는 형태의 평편한 섬유사 지지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대체로 삼각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하나의 표면은 다른 섬유사 지지표면들과 관련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하나의 지지구조체상에 형성되어, 상기 다른 섬유사 지지표면들중의 하나가 두개의 섬유사의 끝부분을 서로 밀착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힘으로써 다른 두개의 표면쪽으로 끌어당겨지고, 각 섬유사 지지표면이 직경이 보다 작은 섬유사보다 조금은 큰 깊이를 3개의 섬유사 지지표면의 각각의 안으로 균일하게 끼워넣어지는 직경이 조금 더 큰 섬유사의 끝부분에 관해 서로 인접한 섬유사의 끝부분 둘레로 균일하게 변형되어 한다. 따라서, 제조상의 여유오차로 인한 섬유사 직경의 변화에 따른 형상이 불일치되는 섬유사도 모두 접속요소에 적응시켜 결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두 개의 결합되는 섬유사 끝부분 들이 동축정렬이 이루어지게 되고, 비정상적인 크기의 힘이 섬유사에 가해짐 없이 그리고 광섬유의 끝부분에 무익한 부족한 힘이 가해짐이 없이 섬유사 끝부분의 분리되어 짐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압착력으로서 2개의 섬유시 끝부분을 접속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3개중 2개의 섬유사 지지표면이 접속요소의 플레이트와 같은 하나의 부재에 형성되고, 남은 한개의 섬유사 지지표면은 다른 플레이트와 같은 부재상의 두개의 표면안으로 섬유사 끝분분을 압착시키도록 접힘부에 관해 유동가능한 제2의 플레이트 같은 부재상에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같은 부재는 래그와 같은 것이고, 섬유사 지지표면을 정렬통로로 형성하게 된다.
접속요소는 변형 가능한 재질의 하나의 일체화된 자료로써 형상되고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중합체 재료와 같은 작은 하나의 사이트를 이루며 섬유사 끝부분에 결합 압착력을 가하는데 충분한 탄성항복강도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성과 변형성 및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시이트(72)를 포함하는 접속요소(70)를 나타내고 있는 제 1도 내지 제6도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는 접속요소(70)를 형상하는 시이트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1도에서, 시이트(72)는 한정적인 외형선을 갖고 형성되고, 시이트(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73)이 형성된 두께가 얇아진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홈(73)은 시이트를 제1플레이트부재 또는 리그(74)와 제 2 플레이트부재 또는 래그(75)로 분리시킨다. 상기 홈(73)은 시이트(72)가 접혀져 제1플레이트 부재(74)와 제2플레이트 부재(75)가 서로를 향해 접혀지도록 상대운동이 행해짐에 따른 접힘선을 형성한다. 플레이트 부재인 래그(74)에는 시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V형 홈(76)이 형성되고, 이 V형 홈(76)에는 제5도와 같이 각도를 이루며 위치된 2개의 대체로 평판한 섬유사 지지표면(78)(7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V형 홈(76)의 양끝부분에는 시이트(72)의 단부와 인접하여 각각 원추형 표면과 연결되는 오목한 홈(80)(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V형 홈(76)은 홈(73)과 평행하고 제1 플레이트 부재인 래그(74)의 가장자리 (82)보다 홈(73)에 가깝게 위치된다.
제2플레이트 부재인 래그(75)는 홈973)에 의해 형성되는 접힘선을 따라 제 1 플레이트 래그(74)와 결합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그(74)에는 이 래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평행하고 이격 배치된 오목한 요부(84)(8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84)(85) 사이의 표면(86)은 서로 연결되어 접속 결합되어질 섬유사의 끝부분이 위치되어지는 광섬유 통로의 3개의 광섬유 지지표면중 3번째의 지지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래그 (75)에는 접힘선(73)으로 부터 이격 위치한 가장자리부(88)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장자리부(88)는 가장자리부(82)에서와 같이 큰 간격만큼 이격 되어지지 않아 가장자리부(82)는 후술될 것으로서 가장자리부(88)이 상으로 접혀져 겹쳐지게 된다. 가장자리부(88)는 단부벽을 통해 홈((73)부분에서 시이트(72)와 접속결합된다. 또한, 홈(73)부분에서 날개부(90)(91)와 시이트(72)가 접속결합된다. 날개부(90)(91)는 두께가 감소된 홈(73)부분으로 부터 연장되어 래그(75)의 단부벽에 인접하게 된다. 날개부(90)(91)에는 요부(94)(95)가 형성 포함되고, 이 요부(94)(95)는 제 3의 섬유사 지지표면(86)과 정렬배치된다. 요부(94)(95)는 제1 플레이트 래그(74)와 제 2 플레이트 래그(75)가 광섬유를 수용하게 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접혀질 때 요부(80)(81)및 , 섬유사 지지표면(78)(79)(86)에 의해 한정되는 섬유사 수용 통로에 섬유사의 끝부분을 끼워넣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섬유사 안내 유도구멍을 형성하는 원추형 표면과 상호 관련 결합되어 작동하게 된다. 깔대기 형상의 구멍과 섬유사 지지표면(78)(79)(86)을 따라 형성된 통로가 섬유사의 끝부분을 통로 내측으로 유도하고 연결요소가 설치되었을 때 섬유사의 끝부분을 적합하게 정렬되어지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시이트(72)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0.5mm (10.020 인치)두께의 정도(temper) 0인 3003 번의 합금시이트로 제조된다. 재질의 강도(hardness)는 브리넬 경도(BHN)로써 23∼32 정도이고 인장 항복강도는 35∼115MPa(5∼17ksi)정도이다. 다른 소재의 알루미늄 합금은 경도 0이고 강도가 14 또는 15인 것이 있으며 연장항복와 강도 모두가 바람직한 소정의 범위이내에 있다.
상기 합금들은 광섬유의 유리와 도금막보다 훨씬 연하고(softer), 그럼에도 광섬유에 가해지는 결합 압착력하에서 연성이 좋은 소재를 제공한다. 상기 소재의 변형도는 충분하여 상기 섬유사 지지표면(78)(79)(86)이 이에 접촉되어지는 광섬유 및 하나의 섬유사가 다른 하나 보다 직경이 큰 섬유사에 적용되어 동일 형상을 이루도록 되고, 상기 지지표면(78)(79)(86)은 두 섬유사의 끝부분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섬유사의 외측형상과 충분히 동일하도록 변형되고 두개의 섬유사의 직경이 아주 작은 경우에도 적용되어 변형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요소(70)는 두 섬유사의 끝부분들의 코어 부분의 표면의 90 퍼센트 이상이 양호하게 직렬 정렬되는 상태로 배열되도록 광섬유의 코어들의 중심을 일치시키게 된다. 시이트(72)의 재료 또한 측면부에 의해 구성되는 레버수단과 힌지 영역에 있어서의 재료 탄성 한계가 상기 측면부가 섬유사와 접촉되어 섬유사를 결합시키도록 접혀지게 되는 경우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상기 재료의 탄성도는 래그(74)(75)가 두 섬유사가 정렬되어진 위치로 부터 이 섬유사의 중심부가 들어올려져 어긋나거나 끌어당겨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연결부재가 설치된 후 광섬유상에 압착력을 가압 유지시킬 수 있는 정도가 된다.
이와같은 지속적인 스프링 압착력이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연결부재의 수행능력에 있어서의 변화를 제한시켜준다. 이 스프링 압착력의 보존력은 연결부재가 부착설치되어 있는 동안에는 항상 존재하도록 된다.
섬유사 끝부분은 섬유사의 끌어당김력이 유리섬유의 인장강도를 초과하는 정도로 접속요소내에서 유지된다.
기타 다른 금속 및 금속합금 또는 이들의 복합 적층재가 시이트(72) 재료로서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금속으로는 구리, 주석, 아연, 납 등과 이들의 합금이 있다.
투명한 연결요소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중합체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적합한 재료로는 예를 들어 필름과 같은 열성형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ET)물질을 포함한다. 현존하는 바람직한 필름으로서 약 0.5mm (0.020 인치)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그리콜(PETG)이 있다. 이 물질은 21∼115 MPa(3∼Ksi)범위의 탄성강고 또는 인장항복강도와 브리넬 강도로 13∼32 범위의 강도를 갖도록 되어 있어 섬유사의 끝부분을 정렬시키고 이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데 있어 만족한 정도로 충분한 기능을 수행하는 접속요소를 제공하게 된다.
접속요소는 통상적으로 섬유사 수용통로 영역내에 위치하는 갤(100)을 포함하고, 상기 겔(100)은 접속요구를 통한 전송의 연속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섬유사 코어와 유사한 굴절인덱스 메칭 특성을 갖는다.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이트(72)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위치상태로 래그(74)(75)를 형성시키기 위해 홈(73)에 의해 한정되는 두께 축소부를 따라 접혀지게 된다. 날개부(90)(91) 또한 섬유사의 끝부분을 래그(74)(75) 사이의 섬유사 수용통로안으로 유도하기 위해 섬유사의 끝부분이 배향되어질 수 있도록 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멍을 형성하도록 요부(94)(95)와 함께 래그(74)와 요부(80)(81)에 대해 평편하게 접혀진다.
섬유사의 끝부분은 지지표면(78)(79)(86)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안으로 끼워넣어지고, 인덱스 메칭 겔(100)의 상기 통로에 위치한다. 그 다음, 래그(74)(75)가 상호 이동하여 두 섬유사를 굳게 접속결합시키고, 두 섬유사 끝부분을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섬유사 지지표면들 안으로 끼워넣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래그(74)의 상부의 에지부가 래그(75)의 에지부(88)상에 접촉되어 섬유사가 동축정렬 상태로 유지되는 결합위치에 상기 래그들이 고정유지된다. 접속요소의 변형재질로 인해 접속요소가 섬유사의 끝부분들을 분리시키도록 재위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도에는 또한 대체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래그(120)(121)를 구성하고 있는 변형된 접속요구가 도시되어 있다. 래그(120)(121)의 상단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원호형상의 외주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래그(120)(121)는 두 섬유사의 끝부분들을 서로 접속결합시킬 수 있도록 서로를 향해 래그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외측 캡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형태의 접속요소는 미합중국 특허 제 4,818,055) 호에 따라 제조되는 접속요소에 적용 가능한 외형을 갖는데, 접속요소가 베이스(41)에 해당하는 베이스에 안착되고, 래그(120)(121)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0)에 해당되는 캡에 의해 섬유사가 정렬되는 상태의 위치로 되도록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래그(14)또는 래그(120)에 형성된 V형 홈(76)에는 대체로 상호간에 60°의 각도로써 배치되는 섬유사 지지표면 (78)(79)이 형성되고, 접속요소(120)(121)는 전술한 재료와 동일한 것으로 형성된다.

Claims (10)

  1. 제조공차로 인하여 서로 다른 상이한 직경을 갖는 두 광섬유의 인접하는 끝부분을 서로 연결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접속요소로서, 상기 접속요소가 변형가능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요소는 제2의 지지표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두개의 각 표면을 배치시켜 세개의 섬유 지지표면을 형성시키고 이 지지표면들 사이에 광섬유 통로를 형성시켜 이 통로 안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서로 밀착되는 관계로 두 섬유 끝부분을 수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대체로 삼각 단면형상을 이루고, 상기 접속요소가 상호 각을 이루는 형태로 한쌍의 상기 섬유 지지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한쌍의 섬유 지지표면쪽으로 제3의 섬유 지지표면을 밀착 접근시키도록 상기 제3의 섬유 지지표면을 다른 섬유 지지표면과 관련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접속요소에 있어서, 상기 접속요소의 재료가 연성(ductile)을 갖고 상기 제 2수단이 상기 두 섬유 끝부분을 접속결합 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하며, 각각의 상기 섬유 포면을 상기 섬유 끝부분 둘레로 균일하게 변형시켜서, 보다 큰 섬유 끝부분이 보다 작은 섬유보다 약간 더 깊은 깊이까지 각각의 상기 세개의 섬유 지지표면내로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차로 인한 섬유 직경의 변화가 수용되도록 하고, 그 결과로 두개의 상기 섬유 끝부분이 동축 정렬되고, 상기 섬유 끝부분이 빠지는 것을 억제하기에는 충충분한 힘이지만 상기 광섬유를 손상시키기에는 불충분한 힘으로 상기 섬유 끝부분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 결합용의 접속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과 상기 제2수단이 상기 한쌍의 섬유 지지표면에 대한 제3의 섬유 지지표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접힘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한쌍의 섬유 지지표면과 상기 제3의 섬유 지지표면사이에 두께가 감소된 부분을 갖는 단일 조각 물체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요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이 상기 두께가 감소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제1 에지부와 상기 제1에지부로 부터 이격된 제2에지부를 갖는 제1금속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수단이 상기 두께가 감소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1에지부와 상기 제1에지부로부터 상기 제1수단과 제2에지부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에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 부재가 상기 제2 플레이트 부재의 제2에지부위로 접힘으로써 상기 제3의 섬유 지지표면을 상기 제1수단의 상기 한쌍의 섬유 지지표면과 관련하여 밀접하게 이격된 매립 및 조임 위치에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요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개의 대체로 편평한 섬유 지지표면 각각에는 양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섬유 지지표면의 단부는 상기 섬유의 끝부분을 상기 통로안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요부와 연통하는 곳에서 중지되며, 상기 제3의 섬유지지표면의 양단부는 그것의 근방에서 상기 요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요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섬유 지지표면에는 이 지지표면의 각 측면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요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 부재에는 상기 제2에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두께가 감소된 부분쪽으로 연장하는 단부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일조각의 접속요소재에 상기 두께가 감소된 부분으로 부터 연장되어져 나오고 각각 상기 제2플레이트부재의 단부벽에 인접 배치되는 한쌍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요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대체로 편평한 섬유 지지표면 각각에는 양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섬유 지지표면의 단부는 상기 섬유의 끝부분을 상기 통로 안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요부와 연통하는 곳에서 종지되며, 상기 제3의 섬유 지지표면의 양단부는 그것의 근방에서 상기 요부와 연통하며,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제3의 섬유 지지표면과 정렬배치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요부와 접속 결합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2플레이트 부재가 상기 섬유 수납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접혀지면 광섬유의 끝부분은 상기 통로안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요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재료가 35∼115MPa 사이의 탄성항복강도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요소.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재료가 21∼115MPa 사이의 인장항복강도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요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재료가 열성형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요소.
KR1019900018435A 1989-11-15 1990-11-14 압착식의 정밀 광유도용 광섬유 조심 및 접속요소 KR0181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37,027 US5013123A (en) 1988-04-18 1989-11-15 Stamped precision lightguide interconnect centering element
US437027 1989-11-15
US437,027 1989-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210A KR910010210A (ko) 1991-06-29
KR0181500B1 true KR0181500B1 (ko) 1999-05-15

Family

ID=2373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435A KR0181500B1 (ko) 1989-11-15 1990-11-14 압착식의 정밀 광유도용 광섬유 조심 및 접속요소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5013123A (ko)
EP (1) EP0431768B1 (ko)
JP (1) JP3070947B2 (ko)
KR (1) KR0181500B1 (ko)
CN (1) CN1028563C (ko)
AT (1) ATE128247T1 (ko)
AU (1) AU641695B2 (ko)
BR (1) BR9005750A (ko)
CA (1) CA2027476C (ko)
CZ (1) CZ281105B6 (ko)
DE (1) DE69022551T2 (ko)
DK (1) DK0431768T3 (ko)
ES (1) ES2077039T3 (ko)
HK (1) HK1007804A1 (ko)
HU (1) HU214162B (ko)
MX (1) MX172161B (ko)
MY (1) MY106632A (ko)
RU (1) RU2032194C1 (ko)
SK (1) SK280526B6 (ko)
ZA (1) ZA9085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2212A (en) * 1988-04-18 1992-04-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mped precision lightguide interconnect centering element
US5159653A (en) * 1988-04-18 1992-10-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fiber splice
US5133033A (en) * 1990-05-31 1992-07-21 Northern Telecom Limited Optical fiber mechanical splice and method for its use
JPH0520006U (ja) * 1991-08-23 1993-03-12 株式会社白山製作所 光フアイバスプライス
US5309538A (en) * 1991-09-06 1994-05-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inforced multiple optical fiber splice having preanodized element
SG52490A1 (en) * 1992-04-21 1998-09-28 Minnesota Mining & Mfg Adhesiveless connector for optical fibres
US5307438A (en) * 1992-08-13 1994-04-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dex match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DNG/DT
US5761360A (en) * 1996-06-19 1998-06-02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with fiber gripping means
KR100219710B1 (ko) * 1996-07-30 1999-09-01 윤종용 금속코팅 광섬유 접속 방법
US5813902A (en) * 1997-04-14 1998-09-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fiber end-face preparation and connector assembly
DE50105025D1 (de) 2001-02-05 2005-02-10 Tyco Electronics Amp Gmbh Trägergehäuse für einen Lichtwellenleiter
US7140787B2 (en) * 2002-08-21 2006-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ber mechanical splice with strain relief mechanism
US7234878B2 (en) * 2003-08-11 2007-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US7001084B2 (en) * 2003-12-30 2006-0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er splice device
US20050281529A1 (en) * 2004-06-22 2005-12-22 Carpenter James B Fiber splicing and gripping device
US10393566B2 (en) * 2017-07-21 2019-08-27 Endress+Hauser Inc. Centering device for waveguid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4018A (en) * 1973-10-18 1975-02-04 Bell Telephone Labor Inc Method and means for splicing arrays of optical fibers
US4029390A (en) * 1974-12-23 1977-06-14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Optical fiber group splicing technique and apparatus employing unique foldable holder
US4077702A (en) * 1975-07-21 1978-03-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licing element for connection of individual light waveguides
JPS5219547A (en) * 1975-08-07 1977-02-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ethod of connecting together optical fibers
US4046454A (en) * 1976-05-18 1977-09-06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Optical fiber connector
JPS5326142A (en) * 1976-08-24 1978-03-10 Oki Electric Ind Co Ltd Optical fiber coupler
BR7802609A (pt) * 1977-05-10 1978-12-26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Dispositivo de uniao de fibras oticas ou condutores
GB2045454B (en) * 1979-03-31 1983-02-09 Ferranti Ltd Connecting optic fibres
US4254865A (en) * 1979-10-02 1981-03-10 Northern Telecom Limited Protective package for an optical fiber splice
US4353620A (en) * 1980-05-14 1982-10-12 Trw Inc. Optical fiber connector construction
US4391487A (en) * 1981-01-07 1983-07-05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Optical fiber centering device
CA1158900A (en) * 1981-01-14 1983-12-20 Lucas Soes Connector for use in butt splicing two optical fibres
DE3267868D1 (en) * 1981-05-15 1986-01-23 Allied Corp Optical fiber splice and method for joining fibers
JPS589114A (ja) * 1981-07-08 1983-01-19 Ritsuo Hasumi 光フアイバ用プラスチツク製コネクタ
FR2513392B1 (fr) * 1981-09-23 1986-06-27 Clement Jean Joseph Cellule de centrage pour raccordement de fibres optiques
JPS58158621A (ja) * 1982-03-17 1983-09-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心線接続部の補強用部材
US4729619A (en) * 1986-05-01 1988-03-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fiber connector incorporating means for isolating connection from external stresses
US4784456A (en) * 1987-05-06 1988-11-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ber optic connector
CA1306630C (en) * 1988-04-18 1992-08-25 Richard A. Patterson Optical fiber splice connector
US4824197A (en) * 1988-04-18 1989-04-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mped precision lightguide interconnect centering element
US4818055A (en) * 1988-04-18 1989-04-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fiber splic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906964D0 (en) 1991-05-28
AU641695B2 (en) 1993-09-30
CZ281105B6 (cs) 1996-06-12
HK1007804A1 (en) 1999-04-23
AU6451390A (en) 1991-05-23
CN1051795A (zh) 1991-05-29
KR910010210A (ko) 1991-06-29
CS557490A3 (en) 1992-06-17
ZA908527B (en) 1992-06-24
SK280526B6 (sk) 2000-03-13
DE69022551D1 (de) 1995-10-26
HU214162B (hu) 1998-01-28
MY106632A (en) 1995-05-30
EP0431768B1 (en) 1995-09-20
DE69022551T2 (de) 1996-05-02
DK0431768T3 (da) 1996-02-05
ATE128247T1 (de) 1995-10-15
EP0431768A1 (en) 1991-06-12
CN1028563C (zh) 1995-05-24
MX172161B (es) 1993-12-06
CA2027476C (en) 1996-12-03
US5013123A (en) 1991-05-07
CA2027476A1 (en) 1991-05-16
HUH3603A (en) 1992-01-28
RU2032194C1 (ru) 1995-03-27
JP3070947B2 (ja) 2000-07-31
BR9005750A (pt) 1991-09-24
ES2077039T3 (es) 1995-11-16
JPH03172805A (ja) 199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2113B1 (ko) 압형된 정밀 라이트 가이드 상호 접속 센터링 부품
KR0181500B1 (ko) 압착식의 정밀 광유도용 광섬유 조심 및 접속요소
US5102212A (en) Stamped precision lightguide interconnect centering element
CA2115261C (en) Multiple optical fiber splice
EP0637390B1 (en) Adhesiveless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CA1128345A (en) Splicing device for light-wave guides
KR100308680B1 (ko) 광섬유접속요소와접속장치및그제조방법
CA1270629A (en) Fusion splicing optical fibre ribbon
US4964689A (en) Connector for splicing optical fibers
JP2007517257A (ja) ファイバスプライス装置
KR0183965B1 (ko) 광섬유 스플라이스 접속기
JPH02236509A (ja) 光ファイバ組付方法及び組付装置
JP2006227560A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光通信用回路部品、中継用光伝送路及び光伝送路
JP3478692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
JPH09203823A (ja) 光コネクタ
JPH01129214A (ja) 多心光ファイバ心線用コネクタ
JP3004234B2 (ja) 光ファイバの接続方法及び接続具
JPH09304641A (ja) 光ファイバ接続構造
JPH09203826A (ja) 多心光コネクタ
JPH055072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