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825B1 - 요동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 - Google Patents

요동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825B1
KR0177825B1 KR1019910013499A KR910013499A KR0177825B1 KR 0177825 B1 KR0177825 B1 KR 0177825B1 KR 1019910013499 A KR1019910013499 A KR 1019910013499A KR 910013499 A KR910013499 A KR 910013499A KR 0177825 B1 KR0177825 B1 KR 017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chanism
sinker
squelch
carriag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632A (ko
Inventor
도시노리 나까모리
마사히로 야부타
미노루 소노무라
Original Assignee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끼가이샤 시마세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끼가이샤 시마세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시마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92000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0Driving devices for thread-carrier r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침상(針床)위에 다수의 편침을 병설함과 아울러, 각 편침사이에 요동가능하게 싱카를 배설하고, 또한 이 침상위를 캐리지가 임의의 위치에서 반전가능하게 왕복 주행하도록 한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 싱카 요동제어기구와 스팃치 프렛셔(Stitch Presser) 제어기구와를 연동하도록 하여 부설하고 또한 이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에 연결하여 구동장치를 설하고, 또한 상기 캐리지의 상단 근방에는 상기 스팃치 프렛셔 기구로 지지되는 프렛셔바아(Presser bar)를 배설하고, 이 프렛셔바아가 상기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의 작동에 의해 침상 꼭대기 근방의 잇발입구부(齒口部)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와 연동하는 싱카 요동제어기구에 의해 상기 싱카가 요동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싱카 요동제어기구와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와에 의해 캐리지의 방향 반전시에, 상기 프렛셔바아와 싱카가 마주보는 위치에서 진퇴가능 하도록 한 횡편기(橫編機).

Description

요동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의 요부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의 요부의 일부 절결 확대 정면도.
제3도는 캐리지에 본 발명상의 요부를 배설한 설명도.
제4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상의 요부의 작동상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상(針床) 2 : 싱카
4 : 캐리지 5 : 싱카 요동제어기구
6 : 프렛셔바아(Presser bar)
7 : 스팃치 프렛셔(Stitch Presser) 제어기구 8 : 구동장치
9 : 수납브라켓 10,18 : 요동간(搖動杆)
11 : 안내간 12 : 싱카 계합안내관
13 : 안내캠 14 : 원형반
15,20 : 연결간 16 : 요동연결간
19,23 : 요동 지지간 22 ; 회동지지간
24 : 연결작동간
본 발명은 요동(搖動)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침상(針床)위에 다수의 편침(編針)을 병설하고, 각 편침사이에 요동싱카를 설한 횡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횡편기에 의한 편성중에, 편침에 계지된 편목이 새롭게 되는 편목편성을 위해 편침이 상승하였을 때, 이 편침의 상승과 더불어 편침에 계지되는 편목(編目)이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요동싱카에는 편사보지부(編系保持部)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동싱카의 편사보지부의 작용에 따라서 편목의 편사가 보지되고, 예컨대 편목편성에 있어서는, 계지된 편목이 녹크오버(Knock over) 가능한 클리어 위치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싱카를 가지는 상기 횡편기에 있어서는 편성되는 편지를 이 편기의 아랫쪽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특별한 장치는 굳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횡편기를 사용하여 한쪽의 침상의 편침에 의해서만 편성하는 평편(平編)등에 대해서는, 상기 싱카의 형상 및 취부위치와 편침 사이에서의 편사가 건너가는 것 등으로 보아 이것이 유리하게 작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앞뒤로 대치되어 있던 편침을 사용하여 짜여지는 리브편(編), 또한 편침사이에 있어서의 건너가는 실의 길이가 짧은듯한 편지등에 대해서는, 전,후 요동싱카의 편사보지부에 의해 편목을 보지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공지의 횡편기에서는 상기 편사의 보지를 약간이라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싱카의 하강시에 침상 꼭대기의 잇발입구부(齒口部)에 형성된 공간에 대략 중앙부근까지 돌출된 상태로 되도록 형성한 싱카도 있었으나, 그리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캐리지축에 편지 프렛셔 장치를 설하고, 프렛셔바아를 잇발입구 편성영역(齒口編成領域)에 작용시켜서 편목을 보지하도록 생각하였으나, 잇발입구부에는 다소라도 싱카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틈서리 밖에는 없고, 프렛셔바아를 잇발입구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은 침상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캐리지를 반전주행 시키도록 하는 횡편기에서는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비추어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요동싱카와 플랫셔바아 와를 침상의 잇탈입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요동싱카 또는 프렛셔바아가 편성루-프 또는 편지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평편의 편성도 리브편 등의 편성도 문제없이 될 수 있도록 한 요동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유효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침상위에 다수의 편침을 병설함과 아울러, 각 편침사이에 요동가능하게 싱카를 배설하고, 또한 이 침상위를 캐리지가 임의의 위치에서 반전가능하게 왕복 주행하도록 한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 싱카 요동제어기구와 스팃치 프렛셔(Stitch Presser) 제어기구와를 연동하도록 하여 부설하고 또한 이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에 연결하여 구동장치를 설하며, 또한 상기 캐리지의 상단부 근방에는 상기 스팃치 프렛셔 기구로 지지된 프렛셔바아를 배설하고, 이 프렛셔바아가 상기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의 작동에 의해 침상 꼭대기 근방의 잇발입구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와 연동하는 싱카 요동제어기구에 의해 상기 싱카가 요동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싱카 요동제어기구와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와에 따라서 캐리지의 방향 반전시에, 상기 프렛셔바아와 싱카가 상대하여 전퇴 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캐리지의 방향 반전시에 구동장치가 작동하여 스팃치 프렛셔 기구와 이 기구와 연동하는 싱카 요동제어기구가 작동하며, 스팃치 프렛셔 기구에 설한 프렛셔바아가 침상 꼭대기 근방의 잇발입구부에 진입하고, 예컨대 고무편(編)의 경우에는 이 프렛셔바아에 의해서 편지를 아랫쪽으로 누르게 된다. 이때, 싱카는 상기 일련의 동작에 연동하여 요동하고, 통상적으로 닫힌 상태로 되는 잇발입구부가 열림 상태로 변화하며, 프렛셔바아가 이 잇발입구부에 진입한후 다시 닫힌 상태로 된다. 그리고 캐리지의 소정방향으로의 주행에 의해 편지(編地)는 압압되어 간다.
또한, 소정위치에서 캐리지의 반전시에는 상기 프렛셔바아는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한 스팃치 프렛셔 기구 및 싱카가 요동제어기구의 움직임에 따라, 싱카는 잇발입구부를 개구하도록 작동함과 아울러, 프렛셔바아는 이 잇발입구부로 부터 물러나고, 프렛셔바아에 의한 편성편지의 눌림은 해제되게 된다.
그리하여, 평편(平編)일 때에는, 구동장치에 연결한 스팃치 프렛셔기구와 연동하는 상기 싱카 요동제어기구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와 같이 싱카가 요동하고, 이 싱카가 평편 편성시의 편목에 작용하여 평편편성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7도에 기하여 설명한다.
꼭대기 정부(頂部)를 마주보는 역 V자형으로 배설된 1쌍의 침상 I(한쪽 그림 생략)의 위에 다수의 편침(도시생략)을 병설함과 아울러, 상기 침상 I의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피아노선 3에 계지되도록 하여 각 싱카 2를 편침사이에 요동가능하게 배설하고, 또한 이 침상위를 길이방향에 따라 1쌍의 캐리지 4가 구동장치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반전가능하게 왕복주행하도록 한 본 발명상의 횡편기에는 상기 각 캐리지 4의 좌우 상단부에 상기 싱카 2를 요동시키는 상기 요동제어기구 5와, 프렛셔바아 6를 작동시키는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 7와가 부설되어 있다. 상기 싱카 요동제어기구 5와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 7와는 연동하도록 연결되고,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 7에는 구동장치 8가 연결되어 있다. 부호 9는 싱카 요동제어기구 5,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 7 및 구동장치 8를 내설하는 수납브라켓이다.
상기 수납브라켓 9의 싱카 2측에는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싱카 2의 하단부 2a를 통과시키는 싱카 안내개구(案內開口) 9a가 이 브라켓트 9의 길이방향에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싱카 요동제어기구 5는 도시한 바와같이 싱카 2쪽으로 배설되고, 그 일단은 수납브라켓 9에 주지한 요동간 10과, 이 요동간(妖 杆) 10에 대략 반정도의 길이로 상기 싱카 안내개구 9a의 일부에 따라 설한 안내간 11과, 안내간 11과 일부를 당접하고 또한 상기 싱카 안내개구 9a의 중앙부분을 따라 이 개구 9a에 출몰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배설된 싱카 계합안내관 12과, 이 싱카 계합안내관 12의 철(凸)부 12a의 아랫쪽에 계합하도록 배설된 단면이 L자형의 안내캠 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싱카 요동제어기구 5는 후술할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 7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작동하고, 이 싱카 요동제어기구 5의 요동하는 요동간 10에 의하여 싱카 2를 안내하는 안내간 11, 싱카 계합안내관 12 및 안내캠 13은 위아래로 움직인다. 캐리지 4의 주행으로, 수납브라켓 9의 싱카 안내개구 9a에 들어간 싱카 2의 하단부 2a는 상기 안내간 11과 싱카 계합안내관 12과 안내캠 13에 안내되어 요동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싱카 요동제어기구 5와 연동하는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 7는 안내개구 9a인 모터 8a의 구동축 8b에 대하여, 편심시켜 감착한 원형반(圓形盤) 14와, 간부(杆部) 15a를 형성하고 이 원형반 14에 연결한 연결간 15과, 상기 원형반 14으로 부터 돌출한 구동축 8b에 감착한 요동연결간 16과, 일단을 이 요동연결간 16의 선단에 추착한 연결한 17과, 상기 연결간 15의 간부(杆部) 15a의 선단에 일단을 주착하고 타단을 수납브라켓 9의 일부에 회동자재로 추지한 회동지지간 18과, 이 회동지지간 18의 상기 일단을 추착한 상기 간부 15a와 같은 축에 일단을 추착한 요동간 19와, 이 요동지지간 19의 타단에 일단을 주착하고, 타단을 상기 요동간 10에 계지한 연결간 20, 및 프렛셔바아 6를 직접 요동시키는 요동기구 21와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동기구 21는 2개의 요동지지간 19,23과, 프렛셔바아 6를 지지하는 연결작동간 24와로 이루어지고, 요동지지간 19은 수납브라켓 9의 싱카 요동제어기구 5쪽으로 일단이 주지되고, 타단을 연결작동간 24의 선단측에 추착하고 있다. 또한, 다른 일방의 요동지지간 23은 반 싱카 요동제어기구 5측에 배설되고, 일단이 수납브라켓 9에 추지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작동간 24의 뒤쪽에 추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작동간 24의 뒤쪽의 요동지지간 23의 추착측 25에는 상기 연결간 17의 선단이 추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프렛셔바아 6는 대력 U자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연결작동간 24에 고착되어 있다. 이 프렛셔바아 6의 편지 눌름부 6a는 캐리지 4의 상부를 따라 배설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싱카 2가 개구한 때에 양 침상 1의 싱카 2의 잇발입구부 A에 삽입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캐리지 4의 소정위치로의 방향전환시에 안내개구 9a인 모터 8a가 작동하고 구동축 8b이 회전하며,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연결간 16의 선단부 16a가 싱카 요동제어기구 5측을 향함에 따라, 요동간 19에 의하여 연결작동간 24의 후부는 요동지지간 23과 같이 싱카 요동제어기구 5측에 인장된다. 이에 따라 요동지지간 19에 추지된 연결작동간 24의 선단은 싱카 2측에 이동한다. 그리고 연결 작동간 24에 지지된 프렛셔바아 6의 편지눌름부 6a는 양 싱카 2의 잇발입구부 A에 진입되고, 캐리지 4의 소정방향으로의 주행에 의해 편성중의 편지는 잇발입구부 A의 아랫쪽에 눌리워져 간다. 또한, 상기 동작에 연동하여, 싱카 2의 잇발입구부 A는 통상 닫힌 상태로 부터 열림상태로 되고, 다시 닫힌 상태로 변화하여 간다.
즉, 모터 8a의 작동에 의한 구동축 8b의 회전에 따라, 원형반 14에 의하여 연결간 15의 간부 15a는 싱카 요동제어기구 5측에 이동하고, 이 간부 15a에 같은 축에 의해 일단을 추착한 회동지지간 22 및 요동간 18은, 상,하방향에 대해 일직선상으로 되고, 이 회동지지간 22에 일단을 추착한 연결간 20은 상승한다. 이에따라, 이 연결간 20과 연결된 싱카 요동제어기구 5의 연결간 10에 의하여 안내간 11, 싱카 계합안내관 12 및 안내캠 13도 상승하며, 이들 안내간 11, 싱카 계합안내관 12 및 안내캠 13에 안내되는 싱카 2의 하단부 2a는 피아노선 3으로 추지한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승한다. 이에 따라 싱카 2의 상단부 2b는 일방의 싱카 2측에 가까이서 잇발입구부 A를 닫게된다.
그리하여, 소정위치에서 캐리지 4를 주행구동장치에 의해 반전시킬 때에, 프렛셔바아 6는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 7의 움직임에 따라 제4도 내지 제7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잇발입구부 A로 부터 후퇴하게 된다. 즉, 모터 8a의 구동축 8b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요동연결간 16의 선단부는 상방향으로 부터 도시한 바의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이 동작에 따라 연결간 17에 의하여 연결작동간 24은 싱카 요동제어기구 5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연결작동간 24에 지지된 프렛셔바아 6도 싱카 2의 잇발입구부 A로부터 후퇴하는 것이 된다. 이 프렛셔바아 6의 싱카 2의 잇발입구부 A로부터 후퇴동작이 연동하여 싱카 2도 상기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 7과 연동하는 싱카 요동제어기구 5의 움직임에 따라 잇발입구부 A를 개구하여 간다.
즉, 상기 모터 8a의 구동축 8b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연결간 15의 간부 15a는 싱카 요동제어기구 5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요동간 19에 의하여 싱카 요동제어기구 5와 연결한 연결간 20은 하강한다. 이 연결간 20의 하강과 더불어, 싱카 요동제어기구 5를 구성하는 연결간 10에 의하여 안내간 11, 싱카 계합안내관 12 및 안내캠 13도 수납브라켓 9내를 하강하고, 이들 안내간 11, 싱카 계합안내관 12 및 안내캠 13에 계합하는 싱카 2의 하단부 2a도 아랫쪽에 끌려 내려가게 되고, 싱카 2의 상단부 2b는 잇발입구부 A를 개구하도록 작동한다.
다시 프렛셔바아 6를 지지한 연결작동간 24가 싱카 요동제어기구 5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데에 동기(同期)하여, 모터 8a측에 하단을 인장하여 경사지게 하던 요동간 22은 수직방향으로 된다. 이 요동간 22의 움직임에 연동하고, 연결간 20에 의하여 안내간 11, 싱카 계합안내관 12 및 안내캠 13도 수납브라켓 9내를 상승하고, 이들 안내간 11, 싱카 계합안내관 12 및 안내캠 13에 계합하는 싱카 2의 하단부 2a는 윗쪽으로 끌어 올려지며, 싱카 2의 상단부 2b는 잇발입구부 A를 닫도록 작동한다. 이때에는 프렛셔바아 6는 양 싱카 2의 잇발입구부 A로 부터 후퇴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八자 상으로 배설된 양 침상 1위를 주행하는 각각의 캐리지 4에 의해, 반전시에 교호로 프렛셔바아 6가 싱카 2의 잇발입구부 A로 진행하고, 편성중의 편목에 대한 싱카 2의 움직임을 저해하는 일 없이 편성한 편지를 아랫쪽으로 누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횡편기에 의하면, 한쪽의 침상에 병설한 편침을 사용하여 편성되는 평편(平編)에 대해서는 요동싱카의 작용에 의하여 편목의 편사를 보지할 수 있고, 또한, 양 침상에 병설한 편침을 사용하여 편성되는 고무편등에 대해서는 요동싱카에 동작을 저해되는 일 없이 프렛셔바아가 계구된 요동싱카의 잇발입구부에 진행하여 편지를 아랫쪽으로 눌러줄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횡편기를 사용함에 의하여 평편으로도 고무편으로도 원활하게 편성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침상(針床)위에 다수의 편침을 병설함과 아울러, 각 편침사이에 요동가능하게 싱카를 배설하고, 또한 이 침상위를 캐리지가 임의의 위치에서 반전가능하게 왕복 주행하도록 한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 싱카 요동제어기구와 스팃치 프렛셔(Stitch Presser) 제어기구와를 연동하도록 하여 부설하고 또한 이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에 연결하여 구동장치를 설하고, 또한 상기 캐리지의 상단 근방에는 상기 스팃치 프렛셔 기구로 지지되는 프렛셔바아(Presser bar)를 배설하고, 이 프렛셔바아가 상기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의 작동에 의해 침상 꼭대기 근방의 잇발입구부(齒口部)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와 연동하는 싱카 요동제어기구에 의해 상기 싱카가 요동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싱카 요동제어기구와 스팃치 프렛셔 제어기구와에 의해 캐리지의 방향 반전시에, 상기 프렛셔바아와 싱카가 마주보는 위치에서 진퇴가능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橫編機).
KR1019910013499A 1990-08-22 1991-08-05 요동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 KR0177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22245 1990-08-22
JP2222245A JPH0672347B2 (ja) 1990-08-22 1990-08-22 揺動シンカーとプレッサーバーを有する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632A KR920004632A (ko) 1992-03-27
KR0177825B1 true KR0177825B1 (ko) 1999-02-01

Family

ID=1677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499A KR0177825B1 (ko) 1990-08-22 1991-08-05 요동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80712A (ko)
EP (1) EP0472341B1 (ko)
JP (1) JPH0672347B2 (ko)
KR (1) KR0177825B1 (ko)
DE (1) DE69113724T2 (ko)
ES (1) ES2078451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53A (ko) 2019-01-18 2020-07-28 (주)대주메디테크엔지니어링 동심 다초점 구조의 트랜스듀서 모듈과 이를 이용한 초음파 시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8016A1 (de) * 1991-08-23 1993-02-25 Stoll & Co H Zweibettige flachstrickmaschine mit nadeln und platinen
JP2700204B2 (ja) * 1992-12-15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DE602004032012D1 (de) * 2003-02-05 2011-05-12 Shima Seiki Mfg Maschenpresser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JP4015978B2 (ja) * 2003-09-02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EP1790277B1 (en) * 2004-08-23 2018-11-21 Olympus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program
CN101310057B (zh) * 2005-11-16 2011-01-12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横机的三角座滑架搭载单元
CN102296417A (zh) * 2011-08-17 2011-12-28 常熟市国光机械有限公司 压脚毛刷连动系统
US8468855B2 (en) * 2011-09-16 2013-06-2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ownward pressing mesh mechanism and sinker thereof for flat knitting machines
CN102747528B (zh) * 2012-08-01 2013-09-25 常熟市国光机械有限公司 压圈动作控制系统
JP5955180B2 (ja) * 2012-09-24 2016-07-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ステッチプレッサを備えた横編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526448B (zh) * 2013-11-01 2014-12-31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针织横机中的毛刷支架机构
CN106319744A (zh) * 2016-11-22 2017-01-11 飞虎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压圈装置
EP3702503B1 (en) * 2019-02-27 2021-07-28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lat knitting machine stitch pressing device with position varying with gap siz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14087A (en) * 1950-12-05 1954-08-25 Liselotte Sailer Improvements in warp knitting machines
CH416912A (de) * 1963-11-15 1966-07-15 Paliz Ag Doppelbettstrickmaschine
GB1029400A (en) * 1963-12-27 1966-05-11 Cotton Ltd W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raight bar knitting machines
DE1585217B1 (de) * 1965-05-06 1970-08-27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Spitzennadeln
DE1585233B1 (de) * 1966-03-10 1970-10-22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Spitzennadeln
GB1326540A (en) * 1969-12-23 1973-08-15 Courtaulds Ltd Knitting machines
US3685317A (en) * 1970-11-19 1972-08-22 Billi Spa Device for tensioning stitches being formed in hosiery dual-bed flat machines
US4027504A (en) * 1976-07-12 1977-06-07 Robert Dietschy Stitch presser for knitting machine
SU631109A1 (ru) * 1976-01-23 1978-11-05 Fedorov Vladimir A Привод шпинделей хлопкоуборочного апппрата
DE3114405C2 (de) * 1981-04-09 1983-01-20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Nähwirkmaschine
JPS57183451A (en) * 1981-04-28 1982-11-11 Shima Idea Center Knitted cloth press apparatus in v bed traverse knitting machine
IT212179Z2 (it) * 1987-10-02 1989-07-04 Emm Srl Apparato per il supporto,il comando ed il controllo di organi pressamaglia-battimaglia in una macchina rettilinea per maglieria
EP0347011A1 (de) * 1988-06-13 1989-12-20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JPH038841A (ja) * 1989-06-02 1991-01-16 Shima Seiki Seisakusho:Kk Vベツド横編機における編地プレツサ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53A (ko) 2019-01-18 2020-07-28 (주)대주메디테크엔지니어링 동심 다초점 구조의 트랜스듀서 모듈과 이를 이용한 초음파 시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80712A (en) 1994-01-25
KR920004632A (ko) 1992-03-27
EP0472341A3 (en) 1992-05-13
EP0472341A2 (en) 1992-02-26
ES2078451T3 (es) 1995-12-16
DE69113724T2 (de) 1996-03-21
EP0472341B1 (en) 1995-10-11
DE69113724D1 (de) 1995-11-16
JPH0672347B2 (ja) 1994-09-14
JPH04108143A (ja) 199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825B1 (ko) 요동싱카와 프렛셔바아를 가지는 횡편기
JP4015978B2 (ja)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KR100249119B1 (ko) 눈옮김장치를 가진 횡편기
JP3899269B2 (ja) 横編機の給糸装置
US5415016A (en) Knitted fabric presser unit of flat knitting machine
JPH03234847A (ja) 横編機における可動シンカー
KR930021851A (ko) 가로 편물기 및 가로 편물기의 요동싱커 작동방법
KR20060046564A (ko) 루프-형성 시스템용 니들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JP4424489B2 (ja) 少なくとも1つの針床を持つ横編機
JPH038840A (ja) 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ダブルニット丸編機
US4202185A (en) Warp knitting machine
US4147042A (en) Selection mechanism of circular knitting-machine
JPH0444025B2 (ko)
US4433560A (en) Presser foot for a knitting machine
CN210314701U (zh) 横编机的编织纱保持切断装置
US7059157B2 (en) Stitch presser in a weft knitting machine
US3063274A (en) Raschel warp knitting machine with novel latch needles
US4224809A (en) Warp knitting machines with slider needles and a fall plate
JPH03185161A (ja) 手袋編等の横編機における度山制御装置
CN213328082U (zh) 一种电脑横机压线装置
CN216786403U (zh) 一体成衣电脑横机牵拉耙
US3377822A (en) Straight bar knitting machines
US4185573A (en) Sewing machine
US3535893A (en) Needle picker control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