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340B1 -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340B1
KR0177340B1 KR1019960050997A KR19960050997A KR0177340B1 KR 0177340 B1 KR0177340 B1 KR 0177340B1 KR 1019960050997 A KR1019960050997 A KR 1019960050997A KR 19960050997 A KR19960050997 A KR 19960050997A KR 0177340 B1 KR0177340 B1 KR 0177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floor panel
storage structure
rear floor
shaf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445A (ko
Inventor
박채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3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타이어 교체 작업시 힘이 약한 여성 및 노약자의 경우 매우 힘이 드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면에 원형상으로 포밍된 수납실 하단부 둘레에는 일측으로 단턱부를 형성하고, 그 단턱부의 소정 위치에는 나사공을 관통하여 된 리어 플로어패널과; 상단에는 조절레버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삽탈되도록 선단으로 걸림턱부가 환설된 고정돌기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면서,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공에 끼워져 회전 자재됨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나사부를 형성한 축봉과; 그 축봉의 하단이 외주연 일측으로 베어링 결합되면서 표면에는 스페어 타이어가 얹혀져 수납실의 단턱부에 안착되게 한 적재판으로 구성한 것으로,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라도 별로 힘들이지 않고 스페어 타이어를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플로어패널의 이면으로 포밍 형성된 수납실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안치하게 된 적재판을 축봉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게 하므로써, 스페어 타이어 교환시 조절레버의 간단한 회전 동작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를 인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연약한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라도 간단히 스페어 타이어를 쉽고 편리하게 인출하게 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페어 타이어(Spare tire)는 자동차가 주행중 도로의 상태에 따라 돌출된 자갈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타이어가 파손되었을 경우 각 타이어의 높이가 맞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정상적인 조향 조작을 하지 못함으로 인해 안전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됨에 따라 파손된 타이어를 곧바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데, 여분의 타이어가 구비된 정비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후미진 장소에서는 스페어 타이어가 없어 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에 미리 한 두 개의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한 상태에서 주행을 하고 있다.
그 스페어 타이어는 보통 트렁크룸에 장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트럭의 경우에는 차체의 하부에, 지프의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하여 보관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중 트렁크룸에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하게 된 것에 있어, 종래에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트렁크룸 바닥(10)에는 상단 주연으로 단턱부(14)가 형성된 수납실(12)이 스페어 타이어(20)를 장착 보관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하되 그 스페어 타이어(20)는 수납실(12)에 스크류(30)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그 수납실(12)의 단턱부(14)에는 덮개(40)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보관된 스페어 타이어(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며, 상기 트렁크룸 바닥(10)에는 보호용 카페트(50)를 안착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렇게 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수납실(12)에 스페어 타이어(20)를 넣어 스크류(30)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 다음 덮개(40)를 이용하여 수납실(12)을 폐쇄시키게 되는 데, 상기 덮개(40)는 수납실(12)에 형성된 단턱부(14)에 안치될 수 있도록 했었다. 그 위에 통상의 카페트(50)를 덮어 외부에서 볼 때 평탄한 바닥을 이루도록 한 후 청소도구 및 각종 물건을 보관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후 자동차의 주행도중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할 경우 차량을 정차시키고 나서, 파손된 타이어를 스페어 타이어(20)로 교체해 주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트렁크룸의 리드를 열고 난 다음, 그 트렁크룸 바닥(10)에 덮여진 카페트(50)를 걷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덮개(40)를 열어 스페어 타이어(20)가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이어, 그 스페어 타이어(20)를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30)를 풀어 탈거시켜 주어야 하므로, 그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무엇보다도 특히, 연약한 여성이나 노약자인 경우 트렁크룸 바닥(10)으로 형성된 수납실(12)에서 스페어 타이어(20)를 꺼낼 때 일정한 높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힘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타이어 펑크 발생시 리어 플로어패널에 형성된 수납실에서 스페어 타이어를 꺼낼 때 조절레버의 간단한 회전 동작으로 스페어 타이어의 적재판이 승하강되게 하므로써, 연약한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라도 쉽고 편리하게 스페어 타이어 인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있어서, 이면에 원형상으로 포밍된 수납실 하단부 둘레에는 일측으로 단턱부를 형성하고, 그 단턱부의 소정 위치에는 나사공을 관통하여 된 리어 플로어패널과; 상단에는 조절레버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삽탈되도록 선단으로 걸림턱부가 환설된 고정돌기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면서,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공에 끼워져 회전 자재됨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나사부를 형성한 축봉과; 그 축봉의 하단이 외주연 일측으로 베어링 결합되면서 표면에는 스페어 타이어가 얹혀져 수납실의 단턱부에 안착되게 한 적재판으로 구성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요부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요부측면도.
도 3은 도 2의 오부확대 단면도로, (a)는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할 때이고, (b)는 스페어 타이어를 탈거할 때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리어 플로어패널 112 : 수납실
114 : 단턱부 116 : 나사공
120 : 스페어 타이어 130 : 축봉
132 : 고정돌기 134 : 나사부
140 : 조절레버 142 : 고정홈
150 : 적재판 160 : 러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는 리어 플로어패널(110), 축봉(130), 적재판(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어 플로어패널(110)에는 이면에 원형상으로 포밍된 수납실(112) 하단부 둘레에는 일측으로 단턱부(114)를 형성하고, 그 단턱부(114)의 소정 위치에는 나사공(116)을 관통한다.
상기 축봉(130)의 상단에는 조절레버(140)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42)에 끼워져 삽탈되도록 선단으로 걸림턱부(136)가 환설된 고정돌기(132)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면서,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공(116)에 끼워져 회전 자재됨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나사부(134)를 형성한다.
상기 적재판(150)에는 그 축봉(130)의 하단이 외주연 일측으로 베어링 결합되면서 표면에는 스페어 타이어(120)가 얹혀져 수납실(112)의 단턱부(114)에 안착되게 한다.
상기 리어 플로어패널(110)의 일측에는 안내공(118)을 형성하고, 그 안내공(118)과 상응한 위치의 적재판(150)에는 안내봉(152)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승하강 작용을 돕게 한다.
상기 적재판(150)의 외주면에는 수납실(112)의 단턱부(114)와 접촉 밀폐되도록 방수용 러버(160)를 끼워 설치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주행도중 타이어 펑크가 발생했을 경우 그 파손된 타이어를 교체해 주기 위해서는 리어 플로어패널(110)의 상부로 돌출된 축봉(130)에 조절레버(140)를 끼워 회전 동작함에 따라 축봉(130)에 베어링 결합된 적재판(150)이 하강후 지면과 근접된 상태로 하여 스페어 타이어(120)를 인출하기 때문에 힘이 비교적 약한 여성 운전자 및 노약자라도 별도 힘들이지 않고 스페어 타이어(120)를 인출할 수 있게 되어 매우 편리한 작업을 하도록 된 발명이다..
그 스페어 타이어(120)의 보관 및 꺼내는 과정은 도면 3(a)(b)를 참조로 하여 자세히 기술한다. 우선 자동차 주행도중 도로면의 상태에 따라 타이어 펑크가 발생시 운전자는 스페어 타이어(120)를 보관 장소에서 꺼내기 위해 리어 플로어패널(110)의 상부로 돌출된 축봉(130)의 고정돌기(132)에 조절레버(140)를 끼우게 된다. 다시말해, 그 조절레버(140)에 형성된 고정홈(142)으로 축봉(130)의 고정돌기(132)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절레버(1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축봉(130)이 하강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축봉(130)에 형성된 나사부(134)와 리어 플로어패널(110)의 나사공(116)이 서로 나사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 작동하는 축봉(130)은 하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그 축봉(130)의 하단이 베어링 결합되어 있는 적재판(150)도 하강하게 된다. 이후 그 적재판(150)이 지면에 근접된 위치까지 하강될 경우 운전자 및 작업자는 스페어 타이어(120)를 인출하여 파손된 타이어의 교체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여기서, 상기 리어 플로어패널(110)의 단턱부(114) 일측에는 안내공(118)을 관통하고, 그 안내공(118)에 끼워져 안내되도록 적재판(150)의 상부로 안내봉(152)을 돌설한 다음, 상기 조절레버(140)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축봉(130)과 함께 적재판(15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하강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게 할 수도 있다. 달리말해 축봉(130)의 하단이 적재판(150)에 베어링 결합되어 회전 자재되는 것이라도 적재판(150)이 회전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안내봉(152)이 안내공(118)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면 적재판(15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하강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도면 도 3(b)이다.
한편, 도면 도 3(a)에서와 같이 파손된 타이어의 교체 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적재판(150)을 승강시켜 주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상기 조절레버(1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축봉(130)이 반대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그 축봉(13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적재판(150)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적재판(150)이 수납실(112)의 단턱부(114)에 안착하게 되면, 조절레버(140)의 회전 동작을 멈춘후 축봉(130) 선단의 고정돌기(132)에서 조절레버(140)를 빼내면 스페어 타이어(120)가 보관된 수납실(112)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적재판(150)의 단턱부(114)에는 도너츠형으로 된 러버(160)를 끼워 설치한 다음, 수납실(112)과 적재판(15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밀폐시켜 주게 하여 장마철에 도로면에 고인 물 등이 차체의 하부로부터 수납실(112)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해 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따르면, 리어 플로어패널의 이면에 포밍 형성된 수납실의 단턱부에 축봉의 회전으로 승하강되는 적재판을 개폐되게 설치하므로써, 자동차 운행중 타이어 파손이 발생했을 경우 조절레버의 회전동작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표면으로 안치된 적재판을 승하강시킴에 따라 비교적 힘이 약한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인 경우라도 쉽게 스페어 타이어를 인출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손 쉬운 타이어 교체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발명이다.

Claims (3)

  1.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있어서, 이면에 원형상으로 포밍된 수납실(112) 하단부 둘레에는 일측으로 단턱부(114)를 형성하고, 그 단턱부(114)의 소정 위치에는 나사공(116)을 관통하여 된 리어 플로어패널(110)과; 상단에는 조절레버(140)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42)에 끼워져 삽탈되도록 선단으로 걸림턱부(136)가 환설된 고정돌기(132)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면서,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공(116)에 끼워져 회전 자재됨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나사부(134)를 형성한 축봉(130)과; 그 축봉(130)의 하단이 외주연 일측으로 베어링 결합되면서 표면에는 스페어 타이어(120)가 얹혀져 수납실(112)의 단턱부(114)에 안착되게 한 적재판(1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패널(110)의 일측에는 안내공(118)을 형성하고, 그 안내공(118)과 상응한 위치의 적재판(150)에는 안내봉(152)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승하강 작용을 돕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150)의 외주면에는 수납실(112)의 단턱부(114)와 접촉 밀폐되도록 방수용 러버(160)를 끼워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KR1019960050997A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KR0177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997A KR0177340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997A KR0177340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45A KR19980031445A (ko) 1998-07-25
KR0177340B1 true KR0177340B1 (ko) 1999-03-20

Family

ID=1948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997A KR0177340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3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45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8540A (en) Spare tire securing apparatus
KR0177340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KR200384373Y1 (ko) 트레일러의 콘테이너 자동잠금장치
KR100383982B1 (ko)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KR19980023637U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KR0177339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KR100337825B1 (ko) 스페어타이어 보관구조
KR200190133Y1 (ko)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KR0111718Y1 (ko) 예비용 타이머의 유압 상.하차 장치
KR200204149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KR0118210Y1 (ko) 예비 타이어 고정장치
KR19990019863A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KR100369552B1 (ko) 승합차의 후부구조
KR960014664B1 (ko) 회전구가 부설된 다용도 잭
KR200171193Y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탈거장치
KR20020047960A (ko) 베벨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19980052595U (ko) 스페어 타이어 격납장치
KR0119455Y1 (ko) 자동차용 잭 고정구조
KR0115874Y1 (ko) 자동차용 도어글래스 체결구조
KR19980042232U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구
KR0141387B1 (ko) 스페어 타이어 승강장치
KR19990020943U (ko) 스페어 타이어 수납장치
KR200172717Y1 (ko) 잭 고정장치
KR19980040660U (ko)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탑재 공간을 개폐하는 뚜껑
KR19980056502A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