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872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5872B1 KR0175872B1 KR1019950036518A KR19950036518A KR0175872B1 KR 0175872 B1 KR0175872 B1 KR 0175872B1 KR 1019950036518 A KR1019950036518 A KR 1019950036518A KR 19950036518 A KR19950036518 A KR 19950036518A KR 0175872 B1 KR0175872 B1 KR 01758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cover
- washing machine
- washing
- fa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건조행정시 제2구동축(62)의 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되는 이동뭉치(320)에 의해 상승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케이스(300)에 힌지결합된 아암수단(400)이 갖추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수단(400)은 빨래감을 상하방향으로 골고루 뒤섞이게 함과 동시에 아암수단(400)과 케이스(300)와의 사이 공간내에 빨래감이 끼지 않도록 부채꼴형상으로 절첩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시 빨래감의 꼬임 및 구김을 방지함과 동시에 빨래감이 상하방향으로 뒤섞이게 하면서 그 빨래감이 아암수단(400)과 케이스(300)의 제1 및 제2장홈(301)(302)과의 사이 공간내에 끼지 않게 하고, 건조시간 및 전력소모량을 절감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열풍발생수단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따른 교반기를 도시한 사시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교반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보조펄세이터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세탁시 교반기가 부력에 의해 상승된 것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탈수시 교반기가 자중에 의해 하강된 것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건조시 보조펄세이터수단이 동작되는 것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2 : 제2구동축 290 :보조펄세이터수단
300 : 케이스 301, 302 : 제1 및 제2장홈
320 : 이동뭉치 400 : 아암수단
410 : 아암 420 : 아암카바
421 : 수용홈 422 : 후방걸림턱
430, 440, 450 : 제1 내지 제3부채형카바
431, 441, 451 : 전방걸림턱 432, 442, 452 : 후방컬림턱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시 펄세이터의 상부에 정착된 보조펄세이터수단의 상하강동작에 의해 빨래감이 상하방향으로 뒤섞이게 하면서 꼬임 및 구김현상을 없애고, 건조시간 및 전력소모량을 절감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본체(10)내에 복수개의 서스펜션 바(20)를 매개로 일정 높이에 매달려서 세탁 및 탈수시 진동이 방지되도록 장착된 세탁조(30)와, 상기 세탁조(30)의 외측 바닥면에 장착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구동수단(40)으로부터 벨트(50)를 매개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세탁조(30)의 외측 바닥면에 장착된 동력전달수단(60)과,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빨래감을 탈수시키도록 상기 세탁조(30)내에 회전가능케 장착된 탈수조(70)와, 상기 세탁기본체(10)의 내측벽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탈수조(70)내에 투입된 빨래감을 열풍공급에 의해 건조시키는 열풍발생수단(80)과, 상기 탈수조(70)의 바닥에 회전가능케 장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을 매개로 구동수단(40)의 동력을 전달받아 반전되면서 탈수조(70)내에 수용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세탁 및 건조시 빨래감을 교반시키는 펄세이터(90)와, 상기 세탁기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톱카바(100)를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세탁조(30)내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수단(110)과, 상기 세탁조(30)의 바닥면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세탁조(30)내에 세탁수(예컨대, 오염수)를 세탁기본체(10)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수단(120)과, 상기 세탁조(30)의 일측벽면과 그 일측이 연통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상기 배수수단(120)에 의해 개폐가능케 연결되어 건조시 세탁조(30) 및 탈수조(70)내의 습한 열풍을 배기시키는 배기관(130)과, 상기 세탁조(30)의 상부 개구에 설치되어 여닫이식 세탁조카바도어(141)를 가진 세탁조카바(14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열풍발생수단(8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탁기본체(10)의 내측벽면 상단에 브라켓(81)을 매개로 고정결합됨과 동시에 그 일측면이 세탁기본체(10)의 측벽과 연통되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몸체(82)와, 상기 몸체(82)와 그 일측단이 연통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은 상기 세탁조(30)의 개구에 씌워진 세탁조카바(140)를 매개로 세탁조(30)와 연통되게 장착된 흡기관(83)과, 상기 몸체(82)의 상부에 장착된 히터제어부(84)와, 상기 히터제어부(84)의 제어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열을 발산하도록 상기 몸체(82)내에 장착된 히터(85)와, 상기 세탁기본체(10)의 외측에 브라켓(86)을 매개로 장착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송풍모터(87)와, 상기 송풍모터(87)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몸체(82)내에 형성된 열기를 흡기관(83)을 매개로 세탁조(30)내에 송풍하도록 몸체(82)내에 위치된 송풍팬(8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수수단(120)은 상기 세탁조(30)의 바닥면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세탁조(30)내에 세탁수를 세탁기본체(10)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호수(121)와, 상기 배수호스(121)의 중간에 장착되어 세탁시 세탁 및 탈수조(30)(70)내에 세탁수가 배수호수(1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게 함과 동시에 건조시 세탁 및 탈수조(30)(70)내의 습한 열풍이 상기 배기관(130)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폐하는 밸브(122)롤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기관(130)은 그 상단이 상기 세탁조(30)내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고, 그 하단은 건조시 상기 배기관(130)을 통해 배기되는 열풍이 상기 밸브(122)의 개방동작에 의해 배수호스(121)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밸브(122)의 일측에 연결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시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조(70)내에 빨래감 및 세제를 일정량 투입하고, 전원을 인가시킴과 동시에 세탁조건을 선택하게 되면, 급수수단(110)의 작동에 의해 세탁수가 세제용해수단(도시안됨)을 통하여 세탁조(30)와 탈수조(70)내에 급수되고, 수위감지수단(도시안됨)은 급수된 세탁수의 압력을 전달받아 압축되는 공기앞에 의해 이미 프로그램화된 수위만큼 수위를 제어하게 되며, 또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감지에 의해 세탁조(30)와 탈수조(70)내에 일정량의 세탁수가 급수완료되면, 그동수단(40)으로부터 벨트(50)를 매개로 작동되는 동력전달수단(6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펄세이터(90)가 반전되면서 탈수조(70)내에 급수되어진 세탁수에 수류(예컨대, 와류현상)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빨래감을 교반시켜 줌으로써 세탁을 행하게 된다.
탈수시에는 상기 동력 전달수단(6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탈수조(70)가 회전됨과 동시에 배수수단(120)의 밸브(122)에 개방동작에 의해 세탁조(30)내에 세탁수가 배수호수(121)를 매개로 세탁기본체(10)의 외부로 배수됨으로써 탈수를 행하게 된다.
건조시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조(70)내에 빨래감이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조카바도어(141)에 의해 세탁조(30)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한 다음, 히터제어부(84)와 송풍모터(87)를 동작시키면, 히터제어부(84)의 가동에 의해 히터(85)는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면서 몸체(82)내에 고온의 열기를 형성하게 되고, 송풍팬(88)은 전원을 인가받아 가동되는 송풍모터(87)의 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제2도에 표시된 화살표방향과 같이 외부의 공기를 몸체(82)내에 흡입함과 동시에 그 공기가 몸체(82)내에 형성된 열기를 흡기관(83)을 매개로 세탁조(30)와 탈수조(70)내에 골고루 공급하여 주게된다.
이때, 세탁 및 탈수조(30)(70)내에 공급된 열풍은 펄세이터(90)의 반전동작에 의해 유동 및 뒤섞이는 빨래감과 접촉되어 수분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제1도에 표시한 화살표방향과 같이 다시 상승되어 순환되면서 세탁조(30)의 상부측과 연통되게 연결된 배기관(130)을 통하여 하부방향으로 배기되고, 또 배기관(130)으로 유입된 습한 열풍은 건조시 배수수단(120)의 밸브(122)의 개방동작에 의해 배기관(130)과 통로가 개방된 배수호스(121)의 통하여 세탁기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싸이클을 반복함으로써 탈수조(70)내의 빨래감을 건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에 의하면, 건조시 펄세이터(90)가 좌우반전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빨래감을 뒤섞이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빨래감의 자중에 의해 쉽게 꼬이거나 구김이 심하게 발생됨과 동시에 빨래감이 뒤섞이지 않아 내부의 습기가 원활히 증발되지 못하여 건조시간을 길게함은 물론 전력소모량을 상승시켜 건조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그래서, 종래는 이런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 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5-1514호(출원일자 1995.1.27)가 제안되어 왔었다. 본 출원에 의한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기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본체(10)내에 다수개의 서스펜션 바(20)를 매개로 장착된 세탁조(200)와, 상기 세탁기본체(10)의 상부에 톱카바(210)를 매개로 힌지 결합된 톱카바도어(211)와, 상기 톱카바도어(211)의 하부면에 장착된 열교환수단(220)과, 상기 세탁조(200)의 상부에 세탁조카바(230)를 매개로 힌지 결합된 세탁조카바도어(231)와, 상기 세탁조(200)의 외측 바닥면에 장착된 구동수단(40)과, 상기 구동수단(40)으로부터 벨트(50)를 매개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세탁조(200)의 외측 바닥면에 장착된 동력 전달수단(60)과, 상기 세탁조(200)내에 상기 동력 전달수단(60)의 제1구동축(61)을 매개로 회전가능케 장착된 탈수조(240)와, 세탁시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의 제2구동축(62)과 연결됨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탈수 및 건조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제2구동축(62)으로부터 동력이 차단됨에 따라 회전이 정지되도록 상기 탈수조(240)의 내측 바닥에 장착된 펄세이터(250)와, 상기 세탁조(200)내에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세탁기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급수수단(110)과, 탈수시 오염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상기 세탁조(200)에 연결된 배수수단(260)과, 상기 세탁조(200)와 탈수조(240)의 바닥 사이에 장착된 열풍안내수단(280)과, 건조시 습한 열풍을 세탁기의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도록 상기 열풍안내수단(280)에 연결된 열풍배기수단(270)과, 건조시 상기 제2구동축(62)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동작되면서 빨래감이 상하방향으로 뒤섞이도록 상기 펄세이터(250)에 장착된 보조펄세이터수단(29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2구동축(62)에는 세탁시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펄세이터(250)와 맞물리도록 그 중간 둘레에 제1기어부(63)가 형성되어 있고, 건조시 후술하는 이동뭉치와 나사 결합되어 그 이동뭉치를 상하강시키도록 그 상단 둘레에 수나사부(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펄세이터(250)가 상기 제1기어부(63)를 통과하여 상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기어부(63)의 상단에 정지턱(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카바도어(211)에는 그 중앙에 건조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유입구멍(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멍(212)이 형성된 그 하부면에는 상기 열교환수단(220)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지지편(213)이 돌설되어 있고, 그 하부면 둘레에는 상기 유입구멍(212)을 통해 유입되어 더운공기로 열교환된 열풍이 상기 세탁조카바도어(231)를 통해 세탁조(200)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열풍유도부재(214)가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열풍유도부재(214)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세탁조카바도어(231)와 긴밀하게 접촉되어 열풍이 누설을 차단하는 패킹부재(215)가 끼워맞춤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수단(220)은 건조시 세탁기로 유입된 외부공기르 더운공기로 열교환시키도록 전원을 인가받아 히팅되는 히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탁조카바도어(231)에는 그 중앙에 건조시 하강되는 열풍이 세탁조(200)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유입구멍(2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수조(240)에는 그 바닥에 세탁시 세탁수가 배수되게 함과 동시에 건조시 열풍 및 습기가 배기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구멍(2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벽 둘레에는 탈수시 회전되는 탈수조(240)에 의해 내부의 세탁수가 세탁조(200)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배수구멍(2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펄세이터(250)는 세탁시 수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빨래감을 교반시키도록 그 몸체(251)의 상면 가장자리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부(252)와, 세탁 및 탈수기 세탁수가 순환 및 배수되게 함과 동시에 건조시 습한 열풍이 통과되도록 그 몸체(251)에 대해 다수개의 날개부(252)의 사이 사이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통과구멍(253)과, 상기 보조펄세이터수단(290)이 나사 결합되도록 그 몸체(251)의 상면 중앙 둘레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나사구멍(254)과, 세탁시 세탁 및 탈수조(200)(240)내에 급수된 세탁수에 의한 부력에 의해 몸체(251)가 상승되도록 그 몸체(251)의 하면 가장자리 둘레에 일체로 진공 형성된 부력통(255)과, 세탁시 부력에 의해 몸체(251)가 상승될 때 상기 제2구동축(62)에 형성된 제1기어부(63)와 상호 맞물려지도록 그 몸체(251)의 중앙에 삽입 고정된 제2기어부(25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수수단(260)은 상기 세탁조(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연결구멍(201)(202)과 연결되도록 그 상부측이 Y형상으로 형성된 배수호스(261)와, 상기 배수호스(261)의 통로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하도록 배수호스(261)의 중간에 장착된 밸브(26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열풍배기수단(270)은 건조시 습한 열풍을 세탁기 외부로 안내하도록 그 하단이 상기 열풍안내수단(280)에 연결됨과 동시에 그 상단이 세탁기본체(10)의 후측벽 상단에 연결 장착된 배기관(271)과, 세탁 및 탈수조(200)(240)내의 습한 열풍을 세탁기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도록 상기 배기관(271)의 상단내에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가능케 장착된 송풍팬(27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조펄세이터수단(290)은 상기 펄세이터(25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상기 제2구동축(62)을 감싸주도록 펄세이터(250)의 상부 중앙에 체결된 케이스(300)와, 상기 케이스(300)의 둘레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장홈(301)(302)을 통하여 상하강되면서 건조시 빨래감을 상하방향으로 뒤섞이게 하도록 제1 및 제2장홈(301)(302)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제1 및 제2아암(310)(311)과, 건조시 좌우반전되는 상기 제2구동축(62)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강되도록 제2구동축(62)에 형성된 수나사부(64)에 나사 결합된 이동뭉치(320)와, 상기 이동뭉치(320)의 상하강을 안내하여 상기 제1 및 제2아암(310)(311)이 정확히 상하강되도록 이동뭉치(320)의 일측을 관통하여 그 하단에 상기 펄세이터(250)의 상부면에 고정된 안내봉(33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른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기에 의하면, 건조시 펄세이터(250)가 정지된 상태에서 보조펄세이터수단(290)의 제1 및 제2아암(310)(311)이 제2구동축(6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강되면서 빨래감을 상하방향으로 뒤섞이게 하여 꼬임 및 구김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제1 및 제2아암(310)(311)이 상승 운동되었다가 하강 운동될 때 빨래감들이 제1 및 제2아암(310)(311)과 케이스(300)에 형성된 제1 및 제2장홈(301)(302)과의 사이 공간내에 끼게 됨에 따라 뒤섞임이 원활치 못하여 건조효율을 저하시키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또, 종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성7-51483호(공개일자 1995.2.28)가 제안되어 왔었다. 동 공보에 의한 세탁기의 신축식 세탁봉에 의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기(160)는 제2구동축(6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반전되도록 탈수조(70)내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교반기(160)의 중앙에는 제1봉부재(16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제1봉부재(161)는 내부중공의 원통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상부면의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진 구멍(161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봉부재(161)의 내부에는 연결봉부재(16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봉부재(162)는 상기 제1봉부재(161)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61a)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원통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상부면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진 구멍(16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제1봉부재(161)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6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계지돌기(16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봉부재(162)의 내부에는 제2봉부재(16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봉부재(163)는 상기 연결봉부재(163)는 상기 연결봉부재(162)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62a)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원통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하단부에는 연결봉부재(162)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62a)보다 큰 직경을 가진 계지돌기(16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2봉부재(163)의 내부 상단에는 일정크기의 부구(164)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또 다른 세탁기의 신축식 세탁봉은, 교반기(160)의 상부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제1봉부재(161)의 내부에 연결봉부재(162)를 매개로 제2봉부재(163)가 안테나방식으로 상하동작가능하게 가변되고, 이들 상승동작은 세탁시 급수된 세탁수의 수압에 의한 부력작용에 의해 제2봉부재(163)의 내부 상단에 내장된 부구(164)가 상승되면서 제2봉부재(163)와 연결봉부재(162)를 순차적으로 상승동작시켜 세탁봉의 길이를 크게 가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세탁행정시에만 부력에 의해 상승동작되어 봉세탁을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건조행정기능을 가진 세탁기에서는 전혀 동작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시 복수개의 아암이 부채꼴형상으로 절첩되면서 상하 왕복운동될 때 빨래감이 상하방향으로 골고루 뒤섞이게 하면서 그 빨래감이 복수개의 아암과 케이스의 장홈과의 사이 공간내에 끼지 않게 하여 건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기는, 건조행정시 제2구동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되는 이동뭉치에 의해 상승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케이스에 힌지결합된 아암수단이 갖추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수단은 빨래감을 상하방향으로 골고루 뒤섞이게 함과 동시에 아암수단과 케이스와의 사이 공간내에 빨래감이 끼지 않도록 부채꼴형상으로 절첩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서 참조부호 400은 건조행정시 제2구동축(62)의 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되는 이동뭉치(320)에 의해 상승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부채꼴형상으로 절첩되는 아암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아암수단(400)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뭉치(32)가 상승되는 동작에 의한 미끄럼접촉에 의해 동시 상승 회동되도록 그 상단이 상기 케이스(300)의 제1 및 제2장홈(301)(302)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아암(410)과, 상기 아암(410)이 상승회동될 때 미끄럼접촉에 의해 동시 상승회동되도록 그 상단이 아암(410)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장홈(301)(302)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아암카바(420)와, 상기 아암카바(420)가 상승회동될 때 걸림작용에 의해 부채꼴형상으로 상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펼쳐지면서 복수개의 아암카바(420)와 상기 제1 및 제2장홈(301)(302)과의 사이 공간내에 빨래감이 끼지않도록 그 상단이 상기 복수개의 아암(410) 및 아암카바(420)와 함게 제1 및 제2장홈(301)(302)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아암카바(420)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대칭되게 포개된 복수개의 제1 내지 제2부채형카바(430)(440)(45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이 아암카바(420)에는 그 후방에 상기 아암(410)이 여유틈새를 가지고 삽입되도록 세로방향을 따라 수용홈(4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양외측면 하단에는 아암카바(420)의 양측면에 인접한 상기 복수개의 제1부채형카바(430)를 걸림작용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주도록 후방걸림턱(42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내지 제3부채형카바(430)(440)(450)에는 그 전방에 대해서 상기 아암카바(420)를 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전발걸림턱(431)(441)(452)이 세로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에 대해서 상기 아암카바(420)와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외측면 하단에 후방걸림턱(432)(442)(45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방걸림턱(431)은 상기 아암카바(420)가 상승회동될대 아암카바(420)에 형성된 후방걸림턱(422)에 맞닿아 제1부채형카바(430)가 상승회동되게 하고, 상기 전방걸림턱(441)은 상기 제1부채형카바(430)가 상승회동될 때 제1부채형카바(430)에 형성된 후방걸림턱(432)에 맞닿아 제2부채형카바(440)가 상승회동되게 하며, 상기 전방걸림턱(451)은 상기 제2부채형카바(440)가 상승회동될대 제2부채형카바(440)에 형성된 후방걸림턱(442)에 맞닿아 제3부채형카바(450)가 상승회동되게 한다.
또, 상기 후방걸림턱(452)은 제3부채형카바(450)가 상승회동될 때 상기 제1 및 제2장홈(301)(302)의 후방에 걸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세탁행정시에는, 탈수조(240)내에 빨래감 및 세제(도시안됨)를 일정량 투입한 다음, 전원을 인가시킴과 동시에 세탁조건을 선택하게 되면, 급수수단(110)의 온 작동에 의해 세탁수가 세제용해수단(도시안됨)을 통하여 세탁조(200)와 탈수조(240)내에 급수되어 지고, 수위감지수단(도시안됨)은 세탁수의 압력을 전달받아 압축되는 공기압에 의해 이미 프로그램화된 수위만큼 수위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상기 세탁조(200)와 탈수조(240)내에는 일정량의 세탁수가 급수완료되어 진다.
이때, 탈수조(240)의 바닥에 하강되었던 펄세이터(250)는 그 하부면 둘레에 형성된 부력통(255)이 급수되는 세탁수의 부력을 받아 상승될려는 힘에 의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되면서 그 상부 중앙에 고정 결합된 보조펄세이터수단(290)을 함게 상승시킴과 동시에 그 중앙에 삽입 고정된 제2기어부(256)가 동력전달수단(60)의 제2구동축(62)에 형성된 제1기어부(63)와 상호 맞물려지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펄세이터(250)는 구동수단(40)으로부터 벨트(50) 매개로 동력전달수단(60)의 제2구동축(62)이 좌우반전될 때 제2구동축(62)의 동력을 전달받아 보조펄세이터수단(290)과 함게 동시 좌우반전되면서 그 상부면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부(252)를 이요하여 탈수조(240)내의 수류흐름을 난류화시킴과 동시에 빨래감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교반 및 세탁을 행하게 된다.
탈수행정시에는, 세탁 및 탈수조(200)(240)내의 세탁수가 배수수단(260)의 밸브(262)의 개방동작에 의해 탈수조(240)의 바닥과 둘레에 형성된 관통구멍(241)과 배수구멍(242)을 통하여 배수됨과 동시에 세탁조(200)의 바닥에 형성된 제1 및 제2연결구멍(201)(202)과 연결된 배수호수(261)를 통하여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되게 되고, 펄세이터(250)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자중과 보조펄세이터수단(290) 및 빨래감의 중량에 의해 탈수조(240)의 바닥으로 다시 하강되면서 그 중앙에 삽입 고정된 제2기어부(256)가 제2구동축(62)의 제1기어부(63)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탈수조(240)는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의 제1구동축(6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속회전됨으로써 빨래감에 흡수된 잔여 세탁수가 그 바닥 및 둘레에 형성딘 관통구멍(241) 및 배수구멍(242)을 통하여 탈수를 행하게 된다.
건조행정시에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조(240)내에 빨래감이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조카바도어(231)와 톱카바도어(211)를 닫아주면, 톱카바도어(211)의 하부면에 돌설된 열풍유도부재(214)가 패킹부재(215)를 매개로 세탁조카바도어(231)의 상부면과 긴밀하게 접촉되게 된다.
이때, 배수수단(260)의 밸브(262)는 배수호스(261)의 통보를 폐쇄시키게 되고, 열교환수단(220)은 전원을 인가받아 히팅되면서 고온의 열기를 발열하게 되며, 또 상기 열교환수단(220)이 동작될 때 열풍배기수단(270)의 송풍모터(도시안됨)는 전원을 인가받아 가동되면서 송풍모터와 연결된 송풍팬(272)을 회전시켜 주게 됨으로서 이 송풍팬(272)의 흡입력에 의해 표시된 화살표방향과 같이 톱카바도어(211)의 유입구멍(212)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톱카바도어(211)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히팅되는 열교환수단(220)에 접축되어 더운공기(예컨대, 열풍)로 열교환되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된 열풍은 상술한 톱카바도어(211)의 하부에 돌설된 열풍유도부재(214)의 안내를 받아 하류되면서 세탁조카바도어(231)의 유입구멍(232)을 통하여 세탁 및 탈수조(200)(240)의 내부로 곧장 유입됨과 동시에 탈수조(240)내에서 탈수가 끝난 빨래감에 접촉됨으로써 빨래감을 건조시켜 주게 되고, 보조펄세이터수단(290)의 동작에 의해 빨래감이 상하방향으로 뒤섞이게 된다.
즉, 동력전달수단(60)의 제2구동축(62)이 좌회전하게 되면, 보조펄세이터수단(290)의 이동뭉치(320)가 제2구동축(62)의 수나사부(64)와 맞물린상태에서 펄세이터(250)에 고정된 안내봉(330)의 안내를 받아 제9도의 실선상태에 위치되어 있다가 이점쇄선상태로 상승동작되고, 케이스(300)에 힌지 결합된 아암수단(400)의 복수개의 아암(410)은 상기 이동뭉치(320)가 상승동작될대 그 양단에 부짖쳐 상승회동된다.
그리고, 아암(410)이 상승회동되면, 이 아암(410)의 외측에 끼워맞춤된 아암카바(420)는 아암(410)이 상승회동될 때 미끄럼접촉에 의해 동시 상승회동되면서 그 후방 하단에 생성된 후방걸림턱(422)이 제1부채형카바(43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걸림턱(431)에 부딪침으로서 제1부채형카바(430)는 상부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아암카바(42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각도가 넓어지는 부채꼴형상으로 겹쳐지게 된다.
또, 제1부채형카바(430)는 아암카바(420)에 의해 일정 각도로 유지되는 최대높이로 상승회동될 때 그 후방 하단에 형성된 후방걸림턱(432)이 제2부채형카바(44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걸림턱(441)에 부딪침으로써 제2부채형카바(440)는 상부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제1부채형카바(43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각도가 넓어지는 부채꼴형상으로 겹쳐지게 된다.
또, 제2부채형카바(440)는 제1부채형카바(430)에 의해 일정 각도로 유지되는 최대높이로 상승회동될 때 그 후방 하단에 형성된 후방걸림턱(442)이 제3부채형카바(45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걸림턱(451)에 부딪침으로써 제3부채형카바(450)는 상부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제2부채형카바(44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각도가 넓어지는 부채꼴형상으로 겹쳐지게 된다.
또, 상기 제3부채형카바(450)의 후방 하단에 형성된 후방걸림턱(452)은 제3부채형카바(450)가 최대높이로 상승회동될 때 케이스(300)에 형성된 제1 및 제2장홈(301)(302)의 내측면에 걸려 아암수단(400)의 전체가 제1 및 제2장홈(301)(30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줌과 동시에 아암카바(420)와 제1 내지 제3부채형카바(430)(440)(450)가 각기 일정한 각도로 펼쳐지면서 부채꼴형상이 유지되게 하여 준다.
한편, 상기 제2구동축(62)이 우회전시 상기 이동뭉치(320)가 제2구동축(62)의 수나사부(64)의 하단으로 하강동작되면 케이스(300)에 힌지 결합된 아암수단(400)은 자체 자중과 빨래중량에 의해 제8도의 이점쇄선상태에서 실선상태로 하강동작되는 싸이클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탈수조(240)내의 빨래감을 상하방향으로 뒤섞이게 함과 동시에 아암수단(400)이 펼쳐졌다 접혀지는 그 사이 공간내에 빨래감에 끼지않게 하여 줌은 물론 더 많은 열풍이 빨래감에 접촉되게 안내하여 빠른시간내에 빨래감이 건조되게 하여 준다.
그리고, 빨래감에서 증발된 수분(예컨대, 습한 열풍)은 탈수조(240)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멍(241)을 통하여 배출되거나 또는 탈수조(240)의 둘레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구멍(242)을 통하여 배출되고, 이 탈수조(240)의 바닥 및 둘레부분을 통해 배출된 습한 열풍은 탈수조(240)와 세탁조(200)의 바닥 사이에 장착된 열풍안내수단(280)내에 모임과 동시에 열풍안내수단(280)과 연결된 열풍배기수단(270)의 덕트부(271)를 통하여 세탁기의 외부로 빠른시간내에 배출됨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기에 의하면, 건조시 아암수단이 동력을 전달받아 부채꼴형상으로 펼쳐졌다 접혀지게 상하강되면서 빨래감을 상하방향으로 뒤섞이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빨래감의 꼬임 및 구김을 방지함과 동시에 빨래감이 상하방향으로 뒤섞이게 하면서 절첩되는 아암수단의 사이에 끼지않게 함은 물론 건조시간 및 전력소모량을 절감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건조행정시 제2구동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되는 이동뭉치에 의해 상승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케이스에 힌지결합된 아암수단이 갖추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수단은 빨래감을 상하방향으로 골고루 뒤섞이게 함과 동시에 아암수단과 케이스와의 사이 공간내에 빨래감이 끼지 않도록 부채꼴형상으로 절첩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강기 아암수단은, 상기 이동뭉치가 상승되는 동작에 의한 미끄럼접촉에 의해 동시 상승 회동되도록 그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제1 및 제2장홈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아암과, 상기 아암이 상승회동될 때 미끄럼접촉에 의해 동시 상승회동되도록 그 상단이 아암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장홈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아암카바와, 상기 아암카바가 상승회동될 때 걸림작용에 의해 부채꼴형상으로 상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펼쳐지면서 복수개의 아암카바와 상기 제1 및 제2장홈과의 사이 공간내에 빨래감이 끼지 않도록 그 상단이 상기 복수개의 아암 및 아암카바와 함께 제1 및 제2장홈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아암카바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대칭되게 포개진 복수개의 제1 내지 제2부채형카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카바에는 그 후방에 상기 아암이 여유있게 삽입되도록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용홈과, 그 후방 양외측면 하단에 아암카바의 양측면에 인접한 상기 제1부채형카바를 걸림작용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주도록 돌출 형성된 후방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부채형카바에는 그 전방에 대해서 상기 아암카바를 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세로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전방걸림턱과, 그 후방에 대해서 상기 아암카바와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외측면 하단에 돌출 형성된 후방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6518A KR0175872B1 (ko) | 1995-10-21 | 1995-10-21 | 세탁기 |
JP8058118A JP2853988B2 (ja) | 1995-10-21 | 1996-03-14 | 洗濯機 |
CN96105477A CN1149089A (zh) | 1995-10-21 | 1996-04-25 | 洗衣机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6518A KR0175872B1 (ko) | 1995-10-21 | 1995-10-21 | 세탁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1435A KR970021435A (ko) | 1997-05-28 |
KR0175872B1 true KR0175872B1 (ko) | 1999-05-15 |
Family
ID=1943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6518A KR0175872B1 (ko) | 1995-10-21 | 1995-10-21 | 세탁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853988B2 (ko) |
KR (1) | KR0175872B1 (ko) |
CN (1) | CN114908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48961B (zh) * | 2016-07-08 | 2019-06-21 | 湖州南浔新龙电机有限公司 | 一种用于洗衣机的多功能电动装置 |
CN106048960B (zh) * | 2016-07-08 | 2018-10-09 | 湖州南浔新龙电机有限公司 | 一种洗衣机的电动装置 |
CN106048958B (zh) * | 2016-07-08 | 2019-06-28 | 湖州南浔新龙电机有限公司 | 一种洗衣机的多功能电动装置 |
CN106048959B (zh) * | 2016-07-08 | 2018-10-09 | 湖州南浔新龙电机有限公司 | 一种用于洗衣机的电动装置 |
-
1995
- 1995-10-21 KR KR1019950036518A patent/KR01758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
- 1996-03-14 JP JP8058118A patent/JP2853988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4-25 CN CN96105477A patent/CN1149089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9122375A (ja) | 1997-05-13 |
CN1149089A (zh) | 1997-05-07 |
KR970021435A (ko) | 1997-05-28 |
JP2853988B2 (ja) | 1999-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3645B1 (ko) | 드럼식 세탁 건조기 | |
TWI539054B (zh) | Upright laundry dryers | |
KR0175872B1 (ko) | 세탁기 | |
CN202265726U (zh) | 衣物烘干机及洗涤烘干机 | |
JPH09192383A (ja) | 乾燥洗濯機 | |
KR0152153B1 (ko) |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 |
JP3539382B2 (ja) | 洗濯乾燥機 | |
JP2005095226A (ja)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
KR100474328B1 (ko) |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 |
KR200149058Y1 (ko) |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 |
KR0127663Y1 (ko) |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 |
KR100739614B1 (ko) |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방법 | |
KR0129661Y1 (ko) |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 |
JPH01249093A (ja)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
JP2001300179A (ja) | 洗濯乾燥機 | |
KR101246373B1 (ko) | 건조겸용 세탁기 | |
JP2004008546A (ja) | 洗濯乾燥機 | |
KR101223441B1 (ko) | 드럼세탁기 | |
JP2015000200A (ja) | 衣類乾燥機 | |
KR0139237Y1 (ko) |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 |
KR0122442Y1 (ko) | 건조세탁기 | |
KR0127337Y1 (ko) | 세탁기의 간이 건조장치 | |
KR100382509B1 (ko) | 공기유로 개폐밸브를 갖는 건조세탁기 | |
JP4423788B2 (ja) | 洗濯乾燥機 | |
JPH0489097A (ja) | 洗濯乾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