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661Y1 -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661Y1
KR0129661Y1 KR2019940012816U KR19940012816U KR0129661Y1 KR 0129661 Y1 KR0129661 Y1 KR 0129661Y1 KR 2019940012816 U KR2019940012816 U KR 2019940012816U KR 19940012816 U KR19940012816 U KR 19940012816U KR 0129661 Y1 KR0129661 Y1 KR 0129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tank
washing
hot ai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784U (ko
Inventor
여종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2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661Y1/ko
Publication of KR960001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Abstract

본 고안의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세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기구멍(23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모터(238)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237)과, 상기 송풍팬(237)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내부에 설치된 히터(236)로 안내함과 동시에 히터(236)에 의한 열풍으로 변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관(234)과, 상기 히터(236)에 의해 열풍으로 변환된 공기를 세탁조(200)의 하측에 배수호스(121)와 연결되는 연결구멍(201)을 통해 유입되어 탈수조(2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탈수조(210)의 바닥면과 펄세이터(220)에 각각 다수개 형성된 관통구멍(211) 및 통과구멍(221)과, 상기 히터(236)의 발열을 제어하도록 상기 히터(236)와 연결된 히터제어부(235)를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234)의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배수호스(121)의 도중에 설치되어 건조시 상기 히터(236)에 의해 변환된 열풍이 세탁조(200)로 유입되도록 배수호스(121) 측을 폐쇄하고 배수시에는 상기 흡기관(234) 측을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밸브(122)와, 상기 세탁조(200)의 연결구멍(201)을 통해 유입된 열풍이 탈수조(210)의 외측으로 향하지 않고 직접 탈수조(210)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세탁조(200)의 바닥면 둘레에 돌기부(202)와, 상기 관통구멍(211) 및 통과구멍(221)을 통해 유입된 열풍이 배기되도록 세탁조카바도어(241)와 톱카바도어(250)에 각각 다수개 형성된 배기구멍(242) 및 배출구멍(25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고안은 습기체류시간을 짧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전력소모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건조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제1도는 종래의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도시한 전체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열풍발생수단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열풍발생수단을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열풍발생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탁기 본체 200 : 세탁조
202 : 돌기부 210 : 탈수조
220 : 펄세이터 230 : 열풍발생수단
231 : 공기공급구멍 232 : 덕트부
233 : 히터지지부 234 : 흡기관
235 : 히터제어부 236 : 히터
237 : 송풍팬 238 : 송풍모터
240 : 세탁조카바 250 : 톱카바도어
본 고안은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열풍발생수단을 장착해서 세탁조의 하부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세탁조의 상부를 통해 톱카바도어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한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 본체(10) 내에 다수개의 서스펜션 바(20)를 매개로 일정 높이에 매달려서 세탁 및 탈수시 진동이 방지되도록 장착된 세탁조(30)와, 상기 세탁조(30)의 외측 바닥면에 장착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구동수단(40)으로부터 벨트(50)를 매개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세탁조(30)의 외측 바닥면에 장착된 동력전달수단(60)과,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예컨대, 빨래감)을 탈수하도록 상기 세탁조(30) 내에 회전가능케 장착된 탈수조(70)와,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내측벽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탈수조(70)내에 투입된 세탁물(예컨대, 빨래감)을 열풍공급에 의한 건조시키는 열풍발생수단(80)과, 상기 탈수조(70)의 바닥에 회전가능케 장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을 매개로 구동수단(40)의 동력을 전달받아 반전되면서 탈수조(70)내에 수용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세탁 및 건조시 세탁물을 교반시키는 펄세이터(90)와,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톱카바(100)를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세탁조(30) 내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수단(110)과, 상기 세탁조(30)의 바닥면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세탁조(30) 내의 세탁수(예컨대, 오염수)를 세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수단(120)과, 상기 세탁조(30)의 일측벽면과 그 일측의 연통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상기 배수수단(120)에 의해 개폐가능케 연결되어 건조시 세탁조(30) 내에서 순환되는 열풍을 배기시키는 배기관(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열풍발생수단(8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내측벽면 상단에 브라켓(81)을 매개로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그 일측면에 세탁기 본체(10)의 측벽과 연통되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몸체(82)와, 상기 몸체(82)와 그 일측단이 연통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은 상기 세탁조(30)의 개구에 씌워진 세탁조카바(140)를 매개로 세탁조(30)와 연통되게 장착된 흡기관(83)과, 상기 몸체(82)의 상부에 장착된 히터제어부(84)와, 상기 히터제어부(84)의 제어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열을 발산하도록 상기 몸체(82) 내에 장착된 히터(85)와,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외측에 브라켓(86)을 매개로 장착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송풍모터(87)와, 상기 송풍모터(87)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몸체(82) 내에 형성된 열기를 흡기관(83)을 매개로 세탁조(30) 내에 송풍하도록 몸체(82) 내에 위치된 송풍팬(8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수수단(120)은 상기 세탁조(30)의 바닥면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세탁조(30)내의 세탁수를 세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호스(121)와, 상기 배수호스(121)의 중간에 장착되어 배수호스(121)를 통해 배수되는 세탁수의 배수를 개폐하는 밸브(1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수관(130)은 그 상단이 상기 세탁조(30) 내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고, 그 하단은 건조공정시 상기 배기관(13)을 통해 배기되는 열풍이 상기밸브(122)의 개방 동작에 의해 배수호스(121)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밸브(122)의 일측에 연결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시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조(70)내에 세탁물 및 세제(도시안됨)를 일정량 투입하고, 전원을 인가시킴과 동시에 세탁조건을 선택함에 따라 급수수단(110)의 작동에 의해 세탁수가 세제용해수단(도시안됨)을 통하여 세탁조(30)와 탈수조(70)내에 급수되어 지면 수위감지수단(도시 안됨)은 세탁수의 압력을 전달받아 압축되는 공기압에 의해 이미 프로그램화된 수위만큼 수위를 제어하게 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감지에 의해 세탁조(30)와 탈수조(70) 내에 일정량의 세탁수가 급수완료되어 구동수단(40)으로부터 벨트(50)를 매개로 작동되는 동력전달수단(6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펄세이터(90)가 반전되면서 탈수조(70)내에 급수되어진 세탁수에 수류(예컨대, 와류현상)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세탁물을 교반시켜 줌으로써 세탁을 행하게 된다.
탈수시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6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탈수조(70)가 회전됨과동시에 배수수단(120)의 밸브(122)의 개방동작에 의해 세탁조(30) 내의 세탁수가 배수호스(121)를 매개로 세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수됨으로써 탈수를 행하게 된다.
건조시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조(70) 내에 세탁물(부호 도시안됨)이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조카바도어(141)에 의해 세탁조(30)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한 다음, 히터제어부(84)와 송풍모터(87)를 동작시키면 히터제어부(84)의 가동에 의해 히터(85)는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면서 몸체(82) 내에 고온을 열기를 형성하게 되고, 송풍팬(88)은 전원을 인가받아 가동되는 송풍모터(87)의 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제2도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외부 공기를 몸체(82) 내에 흡입함과 동시에 그 공기가 몸체(82) 내에 장착된 히터(85)를 통과하도록 송풍시켜 줌으로써 몸체(82) 내에 형성된 열기를 흡기관(83)을 매개로 세탁조(30) 내에 하강공급하여 준다.
이때, 세탁조(30) 내에 하강 공급된 열풍은 펄세이터(90)의 반전동작에 의해 유동 및 뒤집어지는 세탁물과 접촉되어 수분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제1도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다시 상승되어 순환되면서 세탁조(30)의 상부측과 연통되게 연결고정된 배기관(130)을 통하여 하부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또 배기관(130)으로 유입된 열풍(습기 포함)은 건조공정시 배수수단(120)의 밸브(122)의 개방동작에 의해 배기관(13)가 통로가 개방된 배수호스(121)를 통하여 세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건조공정동안 이루어짐으로써 탈수조(70)내의 세탁물을 건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의하면, 건조시 세탁기 본체(10) 내의 상부측에 장착된 열풍발생수단(80)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이 세탁조(30)의 상부측을 통해 내부로 강제공급됨과 동시에 세탁조(30)의 상측과 연통되게 연결된 배기관(130)가 배수호스(121)를 통해 세탁기 본체(10)의 하부로 배기되는 순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될려는 기류성질에 의해 열풍은 보통 탈수조(70)의 하부에 쌓여 있는 세탁물까지 직접 미치지 못하고 상승됨과 동시에 배기관(130)과 배수호스(121)를 통하여 하부측으로 급선회되어 세탁기 본체(10)의 하부로 자연 배기됨에 따라 습기체류시간을 길게하여 건조시간을 길게 함과 동시에 전력소모량을 상승시키는 등의 건조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열풍이 세탁조의 하부에서 공급되어 세탁물에 직접 접촉되게 함과 동시에 그 열풍이 증발된 수분과 함께 상승되면서 세탁기 본체의 상부로 자연배기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습기체류시간을 짧게 하여 건조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전력소모량을 저감시키는 등의 건조효율을 상승시키도록 한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세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기구멍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내부에 설치된 히터로 안내함과 동시에 히터에 의한 열풍으로 변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관과, 상기 히터에 의해 열풍으로 변환된 공기를 세탁조의 하측에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구멍을 통해 유입되어 탈수조 내부로 공급되도록 탈수조의 바닥면과 펄세이터에 각각 다수개 형성된 관통구멍 및 통과구멍과, 상기 히터의 발열을 제어하도록 상기 히터와 연결된 히터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배수호스의 도중에 설치되어 건조시 상기 히터에 의해 변환된 열풍이 세탁조로 유입되도록 배수호스측을 폐쇄하고 배수시에는 상기 흡기관측을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밸브와, 상기 세탁조의 연결구멍을 통해 유입된 열풍이 탈수조의 외측으로 향하지 않고 직접 탈수조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 둘레에 돌기부와, 상기 관통구멍 및 통과구멍을 통해 유입된 열풍이 배기되도록 세탁조카바도어와 톱카바도어에 각각 다수개 형성된 배기구멍 및 배출구멍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 본체(10)내에 다수개의 서스펜션 바(20)를 매개로 일정 높이에 매달려서 세탁 및 탈수시 진동이 방지되도록 장착된 세탁조(200)와, 상기 세탁조(200)의 외측 바닥면에 장착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구동수단(40)으로부터 벨트(50)를 매개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세탁조(200)의 외측 바닥면에 장착된 동력전달수단(60)과,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전되어 세탁물(예컨대, 빨래감)을 탈수시킴과 동시에 건조시 바닥면을 통해 열풍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세탁조(200) 내에 장착된 탈수조(210)와, 상기 탈수조(210)의 바닥에 회전가능케 장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을 매개로 구동수단(40)의 동력을 전달받아 반전되면서 탈수조(210) 내에 수용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세탁 및 건조시 세탁물을 교반시키도록 열풍이 통과되게 장착된 펄세이터(220)와,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세탁조(200) 내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수단(110)과, 상기 세탁조(200)의 바닥면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세탁조(200) 내의 세탁수(예컨대, 오염수)를 세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수단(120)과, 상기 배수수단(120)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탈수조(210)내에 투입된 세탁물(예컨대, 빨래감)을 열풍공급에 의해 건조시키는 열풍발생수단(230)과, 상기 세탁조(2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세탁조(200) 내부로 세탁물이 투입 및 인출되도록 개구를 개폐함과 동시에 건조시 세탁조(200) 내의 열풍을 배기시키는 세탁조 카바(240)와,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상측에 톱카바(100)를 매개로 장착되어 세탁기 본체(10)내의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톱카바 도어(25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세탁조(200)의 바닥 일측에는 상기 배수수단(12)의 배수호스(121)와 연통되게 연결고정되어 탈수시 세탁수의 배수를 안내함과 동시에 건조시 열풍발생수단(230)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연결구멍(201)이 형성되고 있고, 그 바닥면 둘레에는 연결구멍(201)을 통하여 유입된 열풍이 상기 탈수조(21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탈수조(210)의 하부측을 감싸주는 돌기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수조(210)의 바닥에는 세탁시 탈수조(210) 내의 세탁수가 탈수되게 함과 동시에 건조시 상기 세탁조(200)의 연결구멍(201)을 통하여 유입된 열풍이 탈수조(210) 내부로 골고루 분산되면서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구멍(2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 하부 둘레에는 상기 세탁조(200)의 바닥에 형성된 돌기부(202)의 안쪽으로 겹쳐지도록 돌출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펄세이터(220)의 평면 둘레에는 건조시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되는 열풍이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통과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풍발생수단(230)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내측벽면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그 일측면이 세탁기 본체(10)의 측벽과 연통되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공기흡입구멍(231)이 형성된 덕트부(232)와, 상기 덕트부(232)와 연통되게 연결된 히터지지부(233)와, 상기 히터지지부(233)와 그 일측단이 연통되게 연결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은 상기 배수수단(120)의 밸브(122)와 연결되어 열풍의 공급을 안내하는 흡기관(234)과, 상기 히터지지부(233)의 외측 상부에 장착된 히터제어부(235)와, 상기 히터제어부(235)의 제어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열을 발산하도록 상기 히터지지부(233) 내에 장착된 히터(236)와, 상기 덕트부(232)의 외측에 장착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송풍모터(238)와, 상기 송풍모터(238)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히터지지부(233) 내에 형성된 열기를 흡기관(234)을 매개로 세탁조(30) 내에 송풍하도록 덕트부(232) 내에 위치된 송풍팬(237)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탁조카바(240)는 그 중앙에 세탁조(200)의 개구를 개폐하는 세탁조카바도어(241)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이 세탁조카바도어(241)에는 건조시 열풍을 배기시키는 다수개의 배기구멍(2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카바도어(250)는 상기 톱카바(100)에 절첩가능케 힌지 결합되어 있고, 그 일면에는 건조시 상기 세탁조(200)에서 상승되는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 개의 배출구멍(25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세탁시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조(210) 내에 세탁물 및 세제(도시 안됨)를 일정량 투입하고, 전원을 인가시킴과 동시에 세탁조건을 선택함에 따라 급수수단(110)의 작동에 의해 세탁수가 세제용해수단(도시 안됨)을 통하여 세탁조(200)와 탈수조(210)내에 급수되어지면 수위감지수단(도시 안됨)은 세탁수의 압력을 전달받아 압축되는 공기압에 의해 이미 프로그램화된 수위만큼 수위를 제어하게 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감지에 의해 세탁조(200)와 탈수조(210) 내에 일정량의 세탁수가 급수완료되면 구동수단(40)으로부터 벨트(50)를 매개로 작동되는 동력전달수단(6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펄세이터(220)가 반전되면서 탈수조(210) 내에 급수되어진 세탁수에 수류(예컨대, 와류현상)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세탁물을 교반시켜 줌으로써 세탁을 행하게 된다.
탈수시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60)에 이해 동력을 전달받아 탈수조(210)가 회전됨과 동시에 배수수단(120)의 밸브(122)의 개방동작에 의해 세탁조(200) 내의 세탁수가 배수호스(121)를 매개로 세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수됨으로써 탈수를 행하게 된다.
건조시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조(210) 내에 세탁물(부호도시 안됨)이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조카바도어(241)를 닫아 세탁조(200)의 개구를 폐쇄시킨 다음, 히터제어부(235)와 송풍모터(238)를 온동작시키면 히터제어부(235)의 가동에 의해 히터(236)는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면서 히터지지부(233) 내에 고온의 열기를 형성하게 되고, 송풍팬(237)은 전원을 인가받아 가동되는 송풍모터(238)의 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제4도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외부의 공기를 덕트부(232) 내에 흡입함과 동시에 그 공기가 히터지지부(233) 내의 히터(236)를 통과하도록 송풍시켜 줌으로써, 히터지지부(233) 내에 형성된 열기를 흡기관(234)과 연결된 배수수단(120)의 밸브(122)를 통하여 세탁조(200) 내에 상승공급하여 준다. 즉, 건조시 밸브(122)의 개방동작에 의해 열풍은 흡기관(234), 밸브(122), 배수호스(121), 연결구멍(20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세탁조(200)의 하부측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때, 세탁조(200)의 하부측을 통해 내부로 상승공급된 열풍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조(210)의 바닥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211)을 통하여 탈수조(21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펄세이터(220)의 둘레나 또는 펄세이터(220)의 평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과구멍(221)을 통하여 골고루 확산 이동됨으로써 펄세이터(220)의 반전 동작에 의해 유동 및 뒤집어지는 세탁물과 직접 접촉되어 많은 량의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그리고, 열풍은 증발된 수분과 함께 계속적으로 상승 이동되면서 세탁조(200)의 개구를 덮어준 세탁조카바도어(241)의 배기구멍(242)을 통하여 배기됨과 동시에 톱카바도어(250)의 배축구멍(251)을 통하여 세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건조 공정동안 이루어짐으로써 세탁물을 보다 빠르게 건조시켜 주게 된다.
즉, 세탁기 본체(10)의 하부에서 공급된 열풍이 상승하려는 기류 성질에 의해 곧바로 상승되어 세탁기 본체(10)의 상부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저항을 최소화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습기체류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의하면, 세탁기 본체 내의 하부에 장착된 열풍발생수단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이 세탁조의 하부를 통하여 공급되어 탈수조 내의 세탁물에 직접 접촉됨과 동시에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또 증발된 수분과 함께 상승되면서 세탁조카바도어와 톱카바도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구멍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세탁기 본체의 상부측으로 자연배기될 수 있는 열풍순환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습기체류시간을 짧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전력 소모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세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기구멍(23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모터(238)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237)과, 상기 송풍팬(237)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내부에 설치된 히터(236)로 안내함과 동시에 히터(236)에 의한 열풍으로 변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관(234)과, 상기 히터(236)에 의해 열풍으로 변환된 공기를 세탁조(200)의 하측에 배수호스(121)와 연결되는 연결구멍(201)을 통해 유입되어 탈수조(2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탈수조(210)의 바닥면과 펄세이터(220)에 각각 다수개 형성된 관통구멍(211) 및 통과구멍(221)과, 상기 히터(236)의 발열을 제어하도록 상기 히터(236)와 연결된 히터제어부(236)를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234)의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배수호스(121)의 도중에 설치되어 건조시 상기 히터(236)에 의해 변환된 열풍이 세탁조(200)로 유입되도록 배수호스(121) 측을 폐쇄하고 배수시에는 상기 흡기관(234)측을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밸브(122)와, 상기 세탁조(200)의 연결구멍(201)을 통해 유입된 열풍이 탈수조(210)의 외측으로 향하지 않고 직접 탈수조(210)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세탁조(200)의 바닥면 둘레에 돌기부(202)와, 상기 관통구멍(211) 및 통과구멍(221)을 통해 유입된 열풍이 배기되도록 세탁조카바도어(241)와 톱카바도어(250)에 각각 다수개 형성된 배기구멍(242) 및 배출구멍(25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2019940012816U 1994-06-02 1994-06-02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0129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816U KR0129661Y1 (ko) 1994-06-02 1994-06-02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816U KR0129661Y1 (ko) 1994-06-02 1994-06-02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784U KR960001784U (ko) 1996-01-19
KR0129661Y1 true KR0129661Y1 (ko) 1998-12-15

Family

ID=1938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816U KR0129661Y1 (ko) 1994-06-02 1994-06-02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6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421B1 (ko) * 2007-05-28 2014-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이의 제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421B1 (ko) * 2007-05-28 2014-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이의 제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784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707B1 (ko) 건조 장치가 구비된 터브 일체형 드럼 세탁기
CN100500974C (zh) 具有干燥功能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JP3991759B2 (ja) 乾燥洗濯機
JPH1111427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H09192383A (ja) 乾燥洗濯機
KR0129661Y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100474328B1 (ko)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KR0127663Y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0175872B1 (ko) 세탁기
KR100739614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방법
KR0152153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101246373B1 (ko) 건조겸용 세탁기
KR100655019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200149058Y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0131285Y1 (ko) 건조세탁기
KR0139237Y1 (ko)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KR0122442Y1 (ko) 건조세탁기
KR20020056036A (ko)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및 그 제어방법
JPH11347298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0127337Y1 (ko) 세탁기의 간이 건조장치
JPH11169580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00003228A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장치
KR870000152Y1 (ko) 세탁물 건조기
KR100382509B1 (ko) 공기유로 개폐밸브를 갖는 건조세탁기
JP4442023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