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237Y1 -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 Google Patents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237Y1
KR0139237Y1 KR2019950004196U KR19950004196U KR0139237Y1 KR 0139237 Y1 KR0139237 Y1 KR 0139237Y1 KR 2019950004196 U KR2019950004196 U KR 2019950004196U KR 19950004196 U KR19950004196 U KR 19950004196U KR 0139237 Y1 KR0139237 Y1 KR 0139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exhausted
drying
sealing member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533U (ko
Inventor
류두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04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237Y1/ko
Publication of KR9600315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5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2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와, 수조와, 통공이 형성된 회전조와, 펄세이터와, 모터와, 세탁축 및 탈수축이 구비된 동력전달장치와, 뚜껑과, 히터와, 배기유로와, 배기팬으로 이루어진 건조세탁기에 있어서; 건조행정시 상기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수직하방으로 유도되어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되도록 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회전조의 하부외측으로 배기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의 저부사이에 위치된 상기 세탁축에 설치된 보조팬과; 상기 보조팬이 구동되는 건조행정시에 습기가 상기 회전조의 외측으로 배기되도록, 상기 보조팬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조의 외측면 다수개 천공된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을 통해서 배기되는 습기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배기유로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회전조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1밀폐부재와, 상기 제1밀폐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수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밀폐부재와, 상기 제2밀폐부재와 상기 제1밀폐부재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삽입된 기밀부재에 의해서 상기 회전조와 상기 수조의 사이에 형성된 배기공간으로 이루어진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건조효율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본 고안은 히터가 구비되어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행정시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직하방으로 유도되어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가 배기팬 및 보조팬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도록하여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터가 구비되어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세탁기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건조세탁기의 일예로써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11)와, 상기 수조(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탈수행정시에 회전되며 다수의 통공(25)이 형성된 회전조(12)와, 상기 회전조(12)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펄세이터(13)와, 상기 펄세이터(13) 및 상기 회전조(12)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수조(11)의 하부에 고착된 모터(14)와, 상기 모터(14)의 동력을 상기 펄세이터(13) 및 상기 회전조(12)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14)와 벨트를 매개로 접속되고 세탁축(16) 및 탈수축(17)이 구비되어 상기 수조(11)의 하부중심에 고착된 동력전달장치(15)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수조(11)의 하면에는 상기 수조(11)에 담수된 세탁수를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23)가 형성되고, 이 배수구(23)에는 배수호스(2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호스(21)에는 상기 배수구(23)를 통해서 배출되는 세탁수의 배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배수호스(21)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수조(11)의 상측에는 뚜겅(18)이 설치되며, 이 뚜껑(18)에는 건조 행정시 전원이 인가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11)의 일측에는 건조행정시에 상기 수조(11)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유로(31)가 형성되고, 이 배기유로(31)의 상단에는 습기를 강제로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배기팬(4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조세탁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11)에 세탁물 및 세탁수를 투입한 후 상기 모터(14)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14)의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장치(15)에 의해서 상기 펄세이터(13)로 전달되어 상기 펄세이터(13)가 정역회전되게되고, 상기 펄세이터(13)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수조(11)에서 수류가 발생되어 세탁행정이 수행되게 된다.
또,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밸브(22)에 의해서 상기 배수호스(21)가 개방되어 상기 수조(11)에 담수된 세탁수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조(11)에 담수된 세탁수의 배출이 완료되어 배수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14)로 전원이 인가되어서 상기 모터(14)에서 동력이 발생되게 되고, 상기 모터(14)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장치(15)로 전달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15)에 의해서 상기 펄세이터(13)와 상기 회전조(12)가 동시에 고속회전되게 되어 세탁물을 탈수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탈수행정이 완료되면 건조행정이 수행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즉, 탈수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밸브(22)가 닫히고 상기 히터(50)와 상기 배기팬(41)으로 전원이 인가되어서 상기 히터(50)에서는 고온의 열이 발생되고 상기 배기팬(41)에서 송풍력이 발생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건조세탁기는, 건조행정시에 상기 배기팬(41)이 배기유로(31)의 상단에 1개만 설치되므로써, 상기 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세탁물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회전조(12)에 형성된 통공(25)을 통하여 상기 배기유로(31)를 가이드되어서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기 되게된다.
즉, 종래의 건조세탁기는, 건조행정시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세탁물을 통과하지 않게 되어 습기가 원활하게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지 못하게 되므로써 건조시간이 증가되는 것은 물론이고 건조효율이 저하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건조행정시에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세탁물을 통과하여 세탁물을 원활하게 건조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습기가 원활하게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도록하므로써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세탁물의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탈수행정시에 회전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회전조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수조의 하부에 고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회전조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와 벨트를 매개로 접속되고 세탁축 및 탈수축이 구비되어 상기 수조의 하부중심에 고착된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장착된 상기 수조의 상측에 설치된 뚜껑과,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서 건조행정시에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건조되는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건조행정시에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조에 일측에 구비된 배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를 통하여 습기가 강제적으로 배기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배기유로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팬으로 이루어진 건조세탁기에 있어서; 건조행정시 상기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수직하방으로 유도되어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되도록 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회전조의 하부외측으로 배기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의 저부사이에 위치된 상기 세탁축에 설치된 보조팬과; 상기 보조팬이 구동되는 건조행정시에 습기가 상기 회전조의 외측으로 배기되도록, 상기 보조팬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조의 외측면 다수개 천공된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을 통해서 배기되는 습기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배기유로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회전조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1밀폐부재와, 상기 제1밀폐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수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밀폐부재와, 상기 제2밀폐부재와 상기 제1밀폐부재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삽입된 기밀부재에 의해서 상기 회전조와 상기 수조의 사이에 형성된 배기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에 의하면, 세탁축에 보조팬이 설치되고 배기유로의 상단에 배기팬이 설치되므로써, 건조행정시에 보조팬에 의해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직하방으로 유도되어 세탁물을 통과하게 되어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건조행정시에 발생되는 습기가 보조팬에 의해 배기공간으로 토출된 후 이 배기공간으로 토출된 습기가 배기팬의 송풍력에 의해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어 건조효율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건조세탁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수조
12 : 회전조 13 : 펄세이터
16 : 세탁축 17 : 탈수축
18 : 뚜껑 21 : 배수호스
22 : 배수밸브 23 : 제1배수구
24 : 제2배수구 25 : 통공
26 : 배기공 30 : 배기공간
31 : 배기유로 32 : 제1밀폐부재
33 : 제2밀폐부재 34 : 기밀부재
41 : 배기팬 42 : 보조팬
50 : 히터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이고, (11)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이며, (12)는 상기 수조(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탈수행정시에 회전되며 다수의 통공(25)이 형성된 회전조이며, (13)은 상기 회전조(12)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펄세이터이고, (14)는 상기 펄세이터(13) 및 상기 회전조(12)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수조(11)의 하부에 고착된 모터이며, (15)는 상기 모터(14)의 동력을 상기 펄세이터(13) 및 상기 회전조(12)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14)와 벨트를 매개로 접속되고 세탁축(16) 및 탈수축(17)이 구비되어 상기 수조(11)의 하부중심에 고착된 동력전달장치이다.
또, 상기 수조(11)의 하면에는 상기 수조(11)에 담수된 세탁수를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1배수구(23)가 형성되고, 이 제1배수구(23)에는 배수호스(2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호스(21)에는 상기 제1배수구(23)를 통해서 배출되는 세탁수의 배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배수호스(21)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수조(11)의 상측에는 뚜껑(18)이 설치되며, 이 뚜껑(18)에는 건조행정시 전원이 인가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11)의 일측에는 건조행정시에 상기 수조(11)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유로(31)가 형성되고, 이 배기유로(31)의 상단에는 습기를 강제로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배기팬(4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펄세이터(13)와 상기 회전조(12)의 저부사이에 위치된 상기 세탁축(16)에는, 건조행정시 상기 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수직하방으로 흡인되어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되도록 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회전조(12)의 하부외측으로 배기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반경류형 팬으로 이루어진 보조팬(4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보조팬(42)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조(12)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팬(42)이 구동되는 건조행정시에 습기가 상기 회전조(12)의 외측으로 배기되도록 다수의 배기공(26)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기공(26)이 천공된 상기 회전조(12)와 상기 수조(11)의 사이에는, 상기 배기공(26)을 통해서 배기되는 습기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배기유로(31)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회전조(12)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1밀폐부재(32)와, 상기 제1밀폐부재(32)에 대응되는 상기 수조(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밀폐부재(33)와, 상기 제2밀폐부재(33)와 상기 제1밀폐부재(32)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삽입된 기밀부재(34)에 의해서 배기공간(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밀부재(34)는 탈수행정시에 상기 회전조(12)가 원활하게 고속 회전되도록 베어링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한편, 상기 제2밀폐부재(33)의 외측방향의 상기 수조(11)의 저면에는, 탈수행정시 상기 수조(11)에 담수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호스(21)를 통해서 보다 원활하게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제2배수구(24)가 천공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11)에 세탁물 및 세탁수를 투입한 후 상기 모터(14)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14)의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장치(15)에 의해서 상기 펄세이터(13)로 전달되어 상기 펄세이터(13)가 정역회전되게되고, 상기 펄세이터(13)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수조(11)에서 수류가 발생되어 세탁행정이 수행되게 된다.
또,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밸브(22)에 의해서 상기 배수호스(21)가 개방되어 상기 수조(11)에 담수된 세탁수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조(11)에 담수된 세탁수의 배출이 완료되어 배수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14)로 전원이 인가되어서 상기 모터(14)에서 동력이 발생되게 되고, 상기 모터(14)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장치(15)로 전달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15)에 의해서 상기 펄세이터(13)와 상기 회전조(12)가 동시에 고속회전되게 되어 세탁물을 탈수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탈수행정이 완료되면 건조행정이 수행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즉, 탈수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밸브(22)가 닫히고 상기 히터(50)와 상기 배기팬(41)으로 전원이 인가되어서 상기 히터(50)에서는 고온의 열이 발생되고 상기 배기팬(41)에서 송풍력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세탁축(16)에 설치된 상기 보조팬(42)도 회전되게 되며, 상기 보조팬(42)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풍은 하부방향으로 유도되어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또, 상기 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풍에 의해 세탁물이 건조될 경우 발생되는 습기는, 상기 보조팬(42)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회전조(12)에 천공된 상기 배기공(26)에 가이드되어 상기 제1, 2밀폐부재(32,33)과 패킹부재(34)에 의해 형성된 배기공간(20)으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공간(20)으로 토출된 습기는 상기 배기팬(41)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배기유로(31)에 가이드되어서 보다 원활하게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기되게 되는 것이다.
즉, 건조행정시에 상기 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풍은 상기 보조팬(42)에 의해 직하방으로 흡입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되고, 이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는 상기 보조팬(42)에 의해 상기 배기공(26)을 통해 상기 배기공간(20)으로 토출되게 되며, 상기 배기공간(20)으로 토출된 습기는 상기 배기팬(41)의 송풍력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상기 배기유로(31)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기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조팬이 구비된 세탁기에 의하면, 세탁축에 보조팬이 설치되고 배기유로의 상단에 배기팬이 설치되므로써, 건조행정시에 보조팬에 의해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직하방으로 유도되어 세탁물을 통과하게 되어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건조행정시에 발생되는 습기가 보조팬에 의해 배기공간으로 토출된 후 이 배기공간으로 토출된 습기가 배기팬의 송풍력에 의해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어 건조효율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11)와, 상기 수조(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탈수행정시에 회전되며 다수의 통공(25)이 형성된 회전조(12)와, 상기 회전조(12)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펄세이터(13)와, 상기 펄세이터(13) 및 상기 회전조(12)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수조(11)의 하부에 고착된 모터(14)와, 상기 모터(14)의 동력을 상기 펄세이터(13) 및 상기 회전조(12)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14)와 벨트를 매개로 접속되고 세탁축(16) 및 탈수축(17)이 구비되어 상기 수조(11)의 하부중심에 고착된 동력전달장치(15)와, 상기 동력전달장치(15)가 장착된 상기 수조(11)의 상측에 설치된 뚜껑(18)과, 상기 뚜껑(18)에 설치되어서 건조행정시에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50)와, 상기 히터(50)에 의해 건조되는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건조행정시에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조(11)에 일측에 구비된 배기유로(31)와, 상기 배기유로(31)를 통하여 습기가 강제적으로 배기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배기유로(31)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팬(41)으로 이루어진 건조세탁기에 있어서; 건조행정시 상기 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수직하방으로 유도되어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되도록 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회전조(12)의 하부외측으로 배기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펄세이터(13)와 상기 회전조(12)의 저부사이에 위치된 상기 세탁축(16)에 설치된 보조팬(42)과; 상기 보조팬(42)이 구동되는 건조행정시에 습기가 상기 회전조(12)의 외측으로 배기되도록, 상기 보조팬(42)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조(12)의 외측면 다수개 천공된 배기공(26)과; 상기 배기공(26)을 통해서 배기되는 습기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배기유로(31)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회전조(12)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1밀폐부재(32)와, 상기 제1밀폐부재(32)에 대응되는 상기 수조(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밀폐부재(33)와, 상기 제2밀폐부재(33)와 상기 제1밀폐부재(32)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삽입된 기밀부재(34)에 의해서 상기 회전조(12)와 상기 수조(11)의 사이에 형성된 배기공간(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KR2019950004196U 1995-03-10 1995-03-10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KR0139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196U KR0139237Y1 (ko) 1995-03-10 1995-03-10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196U KR0139237Y1 (ko) 1995-03-10 1995-03-10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533U KR960031533U (ko) 1996-10-22
KR0139237Y1 true KR0139237Y1 (ko) 1999-05-15

Family

ID=1940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196U KR0139237Y1 (ko) 1995-03-10 1995-03-10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2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128B1 (ko) * 2012-12-10 2014-02-18 정진우 행주 세탁기
KR20160015577A (ko) * 2014-07-31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570B1 (ko) * 2000-12-01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128B1 (ko) * 2012-12-10 2014-02-18 정진우 행주 세탁기
KR20160015577A (ko) * 2014-07-31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533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645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0418903B1 (ko) 건조세탁기의 건조행정의 제어방법
KR20070082377A (ko) 세탁장치의 사이펀 작용 방지 구조
KR100550690B1 (ko) 세탁기
KR0139237Y1 (ko) 보조팬이 구비된 건조세탁기
KR100474328B1 (ko)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KR100733298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0131285Y1 (ko) 건조세탁기
KR101246373B1 (ko) 건조겸용 세탁기
JPH0124909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0129661Y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0122442Y1 (ko) 건조세탁기
KR0131283Y1 (ko) 건조 겸용 전자동세탁기
KR0127663Y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0152153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100201856B1 (ko) 드럼 세탁기용 드럼의 세탁수 분사장치
KR0176826B1 (ko) 전자동세탁기
KR20020048525A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방법
KR0122382Y1 (ko) 건조세탁기
KR0182527B1 (ko) 진공식 세탁기
KR100418894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0122428Y1 (ko) 건조세탁기
KR19990033965A (ko) 드럼세탁기의 탈수헹굼장치
KR0146934B1 (ko) 삶는 기능을 갖춘 세탁기
KR200149058Y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