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106B1 -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106B1
KR0175106B1 KR1019950010907A KR19950010907A KR0175106B1 KR 0175106 B1 KR0175106 B1 KR 0175106B1 KR 1019950010907 A KR1019950010907 A KR 1019950010907A KR 19950010907 A KR19950010907 A KR 19950010907A KR 0175106 B1 KR0175106 B1 KR 017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ignal
channel
signal
oscillato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939A (ko
Inventor
김봉택
Original Assignee
김봉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택 filed Critical 김봉택
Priority to KR101995001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106B1/ko
Publication of KR96004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3/00Operation of signals from the vehicle or by the passage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의 긴급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등으로 이루어져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시키는 음성신호입력부(1)와, 송신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조정부(4)와, 상기 채널조정부(4)에서 선택된 주파수로 발진하여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발진부(2)와, 상기 발진부(2)에서 출력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로 이루어진 무선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2)에,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11)를 접속시켜, 상기 긴급신호발생부(1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발생장치와,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41)와; 상기 긴급신호발생부(41)에 접속된 다수개의 발진부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신호발생부(41)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발진주파수로 각기 변조하는 다중채널발진부(42)와; 상기 다중채널발진부(42)의 각 발진부에 각기 접속된 다수개의 송신부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신호발생부(41)에서 출력된 신호를 다수개의 채널로 동시에 송신하는 송신부(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 1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 2를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 3을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 4을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성신호입력부 2 : 발진부
3,34 : 송신부 4 : 채널조정부
11,21,31,41 : 긴급신호발생부 22 : 교번채널조정부
32,42 : 다중채널발진부 33 : 채널다중선택부
43 : 다중채널송신부
본 발명은 열차의 긴습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긴급신호발생부와, 이 긴급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한 긴급신호를 통상의 무선 발신 주파수와 동일한 발신 주파수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로 이루어져 열차 또는 열차 선로상에 발생한 긴급한 위험을 타 열차에 알리기 위한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나 기관차등의 열차에 있어서는 상호간의 정보교환을 위해 무선 송수신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즉, 열차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대를 통상적인 열차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채널과, 중앙통제실로 부터의 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사용하는 채널로 분할하여 사용하였다.
다시말해, 기관차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채널이 4개일 경우, 2개는 통상적인 열차간의 정보교환을 위해서, 나머지 두개의 채널은 중앙통제실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때문에 상기의 채널을 이용하여 일상적인 정보는 물론 열차의 긴급상황에 대한 정보도 교환하였다.
예를 들어 열차의 경우에 있어서는, 146MHz∼174MHz대의 주파수를 하이밴드(HIGHT BAND)인 160MHz∼174MHz대와, 로우 밴드(LOW BAND)인 146MHz∼160MHz대로 나눈 후, 이를 다시 6개의 채널(CHANEL)로 구분하여 전동차와 기관차에 각기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타 열차에 알려야 하는 긴급상황 발생시 열차의 긴급상황을 타 열차에 알릴 수 있는 안전하게 보장된 채널이 없어, 항상 사용되는 상기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통신을 해야하므로 인해 타 무선장치와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신채널이 연결되었을시에도 잡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 및, 긴급상황을 타 열차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현재 통신중인 대화를 중단하여야 한다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열차의 긴급상황 발생시 통상적인 음성신호와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특정의 신호를 통상의 채널주파수에 실어 전송하므로 인해, 진행중인 통신을 방해하지 않고도 타열차에 위험상황을 알릴수 있는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등으로 이루어져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시키는 음성신호입력부(1)와, 송신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조정부(4)와, 상기 채널조정부(4)에서 선택된 주파수로 발진하여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발진부(2)와, 상기 발진부(2)에서 출력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로 이루어진 무선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2)에,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11)를 접속시켜, 상기 긴급신호발생부(1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등으로 이루어져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시키는 음성신호입력부(1)와, 송신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조정부(4)와, 상기 채널조정부(4)에서 선택된 주파수로 발진하여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발진부(2)와, 상기 발진부(2)에서 출력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로 이루어진 무선송신장치에 있어서,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21)와; 상기 긴급신호발생부(21)와 상기 발진부(2)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긴급신호발생부(21)의 동작시 상기 발진부(2)의 발진주파수를 자동조정하여 지정된 다수의 발진주파수로 상기 긴급신호발생부(21)에서 발생한 신호를 송신하는 교번채널조정부(22)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31)와; 상기 긴급신호발생부(31)에 접속된 다수개의 발진부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신호발생부(31)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발진주파수로 각기 변조하는 다중채널발진부(32)와; 상기 다중채널발진부(32)에서 다수개의 발진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들을 각기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채널자동선택부(33)와; 상기 채널자동선택부(33)에서 출력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4)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신호발생부(31)에서 출력된 신호를 번갈아가며 다수개의 채널로 송신하도록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41)와; 상기 긴급신호발생부(41)에 접속된 다수개의 발진부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신호발생부(41)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발진주파수로 각기 변조하는 다중채널발진부(42)와; 상기 다중채널발진부(42)의 각 발진부에 각기 접속된 다수개의 송신부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신호발생부(41)에서 출력된 신호를 다수개의 채널로 동시에 송신하는 다중채널송신부(43)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음발생장치에 있어서 그 동작은, 단순 온(ON)/오프(OFF) 동작을 하는 2점 스위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정시간동작후에 자동 오프되도록 하는 타임스위치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부(34)나 다중채널송신부(43)의 구성에 있어서 그 출력은, 전파도달거리를 근거리로 한정하여 원거리에 있는 열차에 필요이상의 긴급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발명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 1은,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 및 전단증폭기 등으로 이루어져 통화자의 음성을 무선송신장치에 입력시키는 음성신호입력부(1)와,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특정의 발진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부(2)와, 상기 발진부(2)의 발진주파수를 결정하는(즉, 송신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조정부(4)와, 상기 발진부(2)에서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4)로 구성된 종래의 무선송신장치의 발진부(2)에, 공지의 경보음 발생장치(도시생략)를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의 발진부(2) 입력단자에 병렬로 접속하여 구성하므로 인해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에서 발생한 신호 또는, 긴급 신호발생부(21)에서 발생한 신호를 모두 변조하여 송신하게 된다.
다시말해, 현재 어떤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중일지라도 부가한 긴급신호발생부(21)를 온(ON)시킴으로써 경보음을 발생, 교신중인 현 채널로 송신하므로 인해 진행중인 통신을 중지시키지 않고도 긴급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 2는,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성신호입력부(1)와, 채널조정부(4)와, 발진부(2)와, 송신부(3)로 이루어진 무선송신장치에,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21)와, 상기 긴급신호발생부(21)의 동작시 상기 발진부(2)의 발진주파수를 지정된 다수의 발진주파수로 자동교번하는 교번채널조정부(22)를 부가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차의 운행 또는 정지중에 긴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긴급신호발생부(21)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이로인해 음성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경보음등이 발생됨과 동시에 상기 교번채널동작부(22)를 동작시켜 주기적으로 상기 발진부(2)의 발진주파수를 가변하게 된다. 때문에 상기 송신부(4)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할당된 각 채널의 주파수로 번갈아 가며 긴급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으로 타 열차에 있는 수신국에서는 어느 채널을 사용하고 있던지 간에 긴급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발생되는 긴급신호가 음성주파수를 넘어서는 주파수이므로 인해 진행중인 통신의 내용을 방해받지 않고도 위험사항을 타 열차에 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번채널조정부(22)는 자체에 발진클럭, N진 카운터기, 3상태 버퍼(3 STATE BUFFER)등으로 구성되거나, 시분할 등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것이므로 그 자세한 구성 및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본 발명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 3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31)와; 상기 긴급신호발생부(31)에 접속된 다수개의 발진부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신호발생부(31)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발진주파수로 각기 변조하는 다중채널발진부(32)와; 상기 다중채널발진부(32)에서 다수개의 발진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들을 각기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채널자동선택부(33)와; 상기 채널자동선택부(33)에서 출력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4)로 구성된 것으로써, 상기 긴급신호발생부(31)에서 출력된 긴급신호를 다수개의 발진부로 변조한 후 하나의 송신부(34)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채널자동선택부(33)는 상기 교번채널조정부(22)와 그 구성 및 동작 원리가 같은 공지의 것이므로 그 자세한 구성 및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
본 발명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 4은,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41)와; 상기 긴급신호발생부(41)에 접속된 다수개의 발진부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신호발생부(41)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발진주파수로 각기 변조하는 다중채널발진부(42)와; 상기 다중채널발진부(42)의 각 발진부에 각기 접속된 다수개의 송신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긴급신호발생부(41)에서 출력된 긴급신호를 다수개의 발진부와 다수개의 송신부로 각기 변조하여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수개의 발진부와 다수개의 송신부로 구성되어 사용하는 다수개의 채널주파수 모두로 송신하므로 인해 수신측에서는 조금의 지연도 없이 긴급신호를 수신받아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는,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긴급신호발생부와, 이 긴급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한 긴급신호를 통상의 무선 발신 주파수와 동일한 발신 주파수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등으로 이루어져, 현재 어떤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중일지라도 부가한 긴급신호발생부(21)를 온(ON)시킴으로써 경보음을 발생, 교신중인 현 채널(또는, 사용이 허가된 모든 채널)로 송신하므로 인해 진행중인 통신을 중지시키지 않고도 긴급신호를 발생시켜 타 열차에 위험을 알릴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기술적 사상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지에 있어서는 송신마이크내에 경보음발생장치등을 발생시켜 간단히 구성할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기 독립된 구성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서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Claims (4)

  1. 마이크등으로 이루어져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시키는 음성신호입력부(1)와, 송신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조정부(4)와, 상기 채널조정부(4)에서 선택된 주파수로 발진하여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발진부(2)와, 상기 발진부(2)에서 출력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로 이루어진 무선송신장치에 있어서:상기 발진부(2)에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11)를 접속시켜,상기 긴급신호발생부(1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발생장치.
  2. 마이크등으로 이루어져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시키는 음성신호 입력부(1)와,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발생부(21)와, 송신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조정부(4)와, 상기 채널조정부(4)에서 선택된 주파수로 발진하여 상기 음성신호입력부(1)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발진부(2)와, 상기 발진부(2)에서 출력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로 이루어진 무선송신장치에 있어서:상기 긴급신호발생부(21)와상기 발진부(2)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긴급신호발생부(21)의 동작시 상기 발진부(2)의 발진주파수를 자동조정하여 지정된 다수의 발진주파수로 상기 긴급신호 발생부(21)에서 발생한 신호를 송신하는 교번채널 조정부(22)를 더 포함함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3. 경보음등의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신호 발생부(31)를 구비한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에 있어서:상기 긴급신호 발생부(31)에 접속된 다수개의 발진부로 이루어져 상기 긴급신호 발생부(31)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발진주파수로 각기 변조하는 다중채널발진부(32)와; 상기 다중채널발진부(32)에서 다수개의 발진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들을 각기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채널자동선택부(33)와; 상기 채널자동선택부(33)에서 출력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4)로 이루어 상기 긴급신호 발생부(31)에서 출력된 신호를 번갈아가며 다수개의 채널로 송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채널자동선택부는 다중채널발진부(42)의 각 발진부에 각기 접속된 다수개의 송신부로 이루어져 긴급신호 발생부(41)에서 출력된 신호를 다수개의 채널로 동시에 송신하는 다중채널 송신부(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발생장치.
KR1019950010907A 1995-05-04 1995-05-04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KR0175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907A KR0175106B1 (ko) 1995-05-04 1995-05-04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907A KR0175106B1 (ko) 1995-05-04 1995-05-04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939A KR960040939A (ko) 1996-12-17
KR0175106B1 true KR0175106B1 (ko) 1999-05-01

Family

ID=1941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907A KR0175106B1 (ko) 1995-05-04 1995-05-04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1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939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7343B2 (ja) 地上/移動ステーシヨン通信用双方向伝送システム
SE0502559L (sv) Bandspridningsvariabel kommunikation
KR0175106B1 (ko) 열차의 긴급신호 무선 발생장치
JPS6324731A (ja) デ−タ伝送回路
RU2605226C2 (ru) Устройство цифровой поездной радиосвяз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транспорте (варианты)
KR0175108B1 (ko) 열차의 방호 무선장치
JP2004064723A (ja) 鉄道用ワイヤレス放送装置
JP263850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H1095336A (ja) 上下線制御用atc地上装置
JPH06244783A (ja) 移動体衛星通信方式
US1721236A (en) High-frequency telegraphy and telephony system
JPH0563679A (ja) ワイヤレス伝送方式
JPH05167632A (ja) 伝送システム
EP0556763A2 (en) Wireless installation
JPS6148262A (ja) デ−タ送信回路
JPH05244035A (ja) 周波数帯域圧縮無線通信方式
JPH07236169A (ja) Php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の制御のための方法と装置
JPS63180226A (ja) 選択呼出送信装置変調回路
JPH082417A (ja) 情報伝送装置
JPH02150125A (ja) 送受信装置
JPS62176243A (ja) Tdma用fsk変調器安定化方法
JPH0344227A (ja) 路側通信装置の監視制御方式
JPS63228857A (ja) 無線通信制御方式
JPH0822310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09312623A (ja) Fdm多重伝送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