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908B1 -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908B1
KR0174908B1 KR1019950038545A KR19950038545A KR0174908B1 KR 0174908 B1 KR0174908 B1 KR 0174908B1 KR 1019950038545 A KR1019950038545 A KR 1019950038545A KR 19950038545 A KR19950038545 A KR 19950038545A KR 0174908 B1 KR0174908 B1 KR 0174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horizontal synchronizing
synchronizing signal
crt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898A (ko
Inventor
임재섭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3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908B1/ko
Publication of KR97002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기존에 수행중인 모드의 동기신호가 인가되는 중에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를 새로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초기에 새로운 모드를 인식하지 못하고 일정시간 동안의 시간지연을 가진후 동기신호를 기초로 새로운 모드를 인식하므로 모니터의 플라이 백 트랜스를 비록한 각종 구성들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새로운 모드의 동기신호를 인식하여 후단의 동작을 제어하기까지 지연된 시간동안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두 개의 모드로 후단을 제어하기 때문에 모니터의 동작이 불안정하므로, 본 발명은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가 전환될 때 모니터의 CRT상에 가해지는 고압의 발생을 소정시간 동안 차단하므로서, 모드 전환시 CRT를 비롯한 모니터의 소자들이 망실되는 것이 방지한다.

Description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에 따라 각 노드점에서 출력되는 파형의 출력상태를 도시한 타임 챠트.
제4도는 종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 20 :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
30 : 수평 동기신호 출력부 40 : 플라이 백 트랜스
50 : CRT 60 : 극성 전환부
70 : 엔드 게이트 TR : 트랜지스터
C : 콘덴서 R1∼R3: 저항
본 발명은 모니터의 비디오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안정화 장치와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퍼스날 컴퓨터에서 처리하는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비디오 모드 전환시 모니터의 동작을 안정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날 컴퓨터에서 처리한 데이타를 CRT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는 퍼스날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타 신호에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동기신호를 합성하여 전송하므로 모니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퍼스날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동기신호를 기초로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여 CRT상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즉, 퍼스날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이를 처리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는 동기신호를 데이타(비디오) 신호와 함께 모니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인가하게 된다.
퍼스날 컴퓨터로부터 데이타 신호와 함께 전송된 동기신호를 수신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동기신호의 주파수에 의해 퍼스날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는 퍼스날 컴퓨터의 비디오 모드를 판정하고, 동기신호 출력부에서 이에 대응하는 동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퍼스날 컴퓨터가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주파수의 동기신호로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여도 모니터는 이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기초로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므로 데이타 신호가 CRT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동기신호로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여 모니터로 전송하면 모니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동기신호 발생부나 플라이 백 트랜스 등의 동작에 제어되어 데이타 신호가 CRT상에 디스플레이되어지나,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가 전환됨과 동시에 변환하는 동기신호가 모니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직접 인가되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모드 전환과 동시에 후단의 동작을 제어하지 못하고 일정시간(모니터에 구성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데이타 신호와 함께 전송된 동기신호에 의해 새롭게 전환된 모드를 인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의 시간지연을 가진후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 전환을 인식하여 후단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한 것처럼, 기존에 수행중인 모드의 동기신호(T1)가 인가되는 중에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를 새로운 모드(T2)로 전환(T3)하는 경우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초기에 새로운 모드를 인식하지 못하고 일정시간 동안(T4)의 시간 지연을 가진후 동기신호를 기초로 새로운 모드를 인식하므로 모니터의 플라이 백 트랜스를 비롯한 각종 구성들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새로운 모드의 동기신호를 인식하여 후단의 동작을 제어하기까지 지연된 시간동안(T4)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두 개의 모드로 후단을 제어하기 때문에 모니터의 전체적인 동작이 동일한 동기신호를 근거로 동작하지 못한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모드로 절환되어 시리얼 데이타를 처리함에 있어, 모드 전환시 CRT로 출력되는 고압을 차단하여 동작을 안정화 시킬 수 있도록 한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퍼스날 컴퓨터로 부터 전송되는 동기신호에 의해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여 CRT상에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서, 수평 동기신호(Hsync)와 반전된 플라이 백 펄스(FBP)를 대비하여 모드전환을 판정하여 모드 전환시에는 소정 시간동안 CRT상에 출력되는 고압의 발생을 차단하고, 모드가 전환되지 않았을 때에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모드(Mode)에 따라 일정한 극성을 갖는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입력하기 위한 수평 동기신호 입력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의 수평 동기신호(Hsync)의 레벨을 승압하여 출력하도록 된 수평 동기신호 출력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승압된 수평 동기신호(Hsync)에 의해 CRT상에 고압의 전압을 공급하도록 된 플라이 백 트랜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의 플라이 백 펄스(FBP)의 극성을 전환하기 위한 극성 전환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극성 전환수단의 플라이 백 펄스(FBP)와 수평 동기신호 입력수단의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조합하도록 된 조합 수단과, 상기 조합 수단의 출력 레벨에 따라 모드(Mode) 절환상태를 판단하고 모드(Mode) 절환시 수평 동기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한 것처럼, 모드(Mode)에 따라 일정한 극성을 갖는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입력하는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10)와, 상기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10)의 수평 동기신호(Hsync)의 레벨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수평 동기신호 출력부(30)와, 상기 승압된 수평 동기신호(Hsync)에 의해 CRT(50)상에 고압의 전압을 공급하는 플라이 백 트랜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40)의 플라이 백 펄스(FBP)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부(60)와, 상기 극성 전환부(60)의 플라이 백 펄스(FBP)와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10)의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조합하는 엔드 게이트(70)와, 상기 엔드 게이트(70)의 출력 레벨에 따라 모드(Mode) 절환상태를 판단하고 모드(Mode) 절환시 수평 동기신호 출력부(30)의 동작을 차단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퍼스날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동기신호에 의해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여 CRT(50)상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수평 동기신호(Hsync)와 반전된 플라이 백 펄스(FBP)를 대비하여 모드전환을 판정하고, 그 결과 모드(Mode)가 전환되면 플라이 백 트랜스(FBP)에서 발생되어 CRT(50)상에 출력되는 고압의 발생을 소정시간 동안 차단하고, 모드가 전환되지 아니하면 현재 수행중인 모드를 정상적으로 수행함을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도시된 퍼스날 컴퓨터로부터 동기신호를 포함한 데이타 신호가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10)에 이로부터 일정한 극성을 갖는 수평 동기신호(Hsync)가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20)에 인가되면, 마이크로 콘트로러 유니트(20)는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Hsync)를 판독하여 후단의동작을 제어한다.
즉,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수평 동기신호(Hsync)의 레벨과 주파수를 검출 및 카운팅하여 퍼스날 컴퓨터가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는 모드를 판정하고, 모니터에서 판정결과에 따른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여 CRT(50)사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수평 동기신호 출력부(30)를 비록한 모니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평 동기신호(Hsync)를 기초로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를 인식한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20)에 제어로 수평 동기신호 발생부(30)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소정 레벨까지 승압하여 플라이 백 트랜스(4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모니터(50)상에 퍼스날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데이타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이때 극성 전환부(60)에 의해 반전된 플라이 백 트랜스(40)의 플라이 백 펄스(FBP)와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10)의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조합한 엔드 게이트(70)의 출력이 인가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20)는 이를 기초로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 전환여부를 판단하여 후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10)에서 인가되는 수평 동기신호(Hsync)가 제3도의 (a)와 같운 파형으로 엔드 게이트(70)의 입력단에 인가되고, 플라이 백 트랜스(40)의 플라이 백 펄스(FBP)가 극성 전환부(60)에 의해 제3도의 (b)와 같은 파형으로 엔드 게이트(70)의 입력단에 입력되어 엔그 게이트(70)의 출력이 제3도의 (d)와같이 로우 레벨로 인가되면,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20)는 이를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가 전환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정하고 후단의 동작을 현재와 같이 유지시킨다.
반면에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10)에서 인가되는 수평 동기신호(Hsync)가 제3도의 (d)와 같은 파형으로 엔그 게이트(70)의 입력단에 인가되고, 플라이 백 트랜스(40)의 플라이 백 펄스(FBP)가 극성 전환부(60)에 의해 제3도의 (e)와 같은 파형으로 엔드 게이트(70)의 입력단에 입력되어 엔드 게이트(70)의 출력이 제3도의 (f)와 같은 파형으로 인가되면,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20)는 이를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가 전환된 것으로 판정하고 수평 동기신호 출력부(30)를 비롯한 후단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킨다.
따라서,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가 전환되었을 때 모니터의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20)가 동기신호를 기초로 이를 판단하여 후단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제어하기까지 걸리는 시간동안 플라이 백 트랜스를 비롯한 후단의 동작을 정지시켜 CRT에 정상보다 높은 고압이 인가된다든지 하는 동작을 사전에 차단하므로서, 모니터의 동작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퍼스날 컴퓨터의 모드가 전환될 때 모니터의 CRT상에 가해지는 고압의 발생을 소정시간 동안 차단하므로서, 모드 전환시 CRT를 비롯한 모니터의 소자들이 망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모드(Mode)에 따라 일정한 극성을 갖는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입력하는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와; 상기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의 수평 동기신호(Hsync)의 레벨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수평 동기신호 출력부; 상기 승압된 수평 동기신호(Hsync)에 의해 CRT상에 고압의 전압을 공급하는 플라이 백 트랜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의 플라이 백 펄스(FBP)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부; 상기 극성 전환부의 플라이 백 펄스(FBP)와 수평 동기신호 입력부의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조합하는 엔드 게이트와; 상기 엔드 게이트의 출력 레벨에 따라 모드(Mode) 절환상태를 판단하고 모드(Mode) 절환시 수평 동기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차단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 장치.
  2. 퍼스날 컴퓨터에서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여 CRT상에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서, 상기 CRT상에 고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플라이 백 트랜스의 플라이 백 펄스(FBP)의 극성을 반전시킨 신호와 인가되는 수평 동기신호(Hsync)와 논리곱 연산하는 단계와, 논리곱 연산된 신호가 로우 레벨을 유지하면 디스플레이 모드의 전환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논리곱 연산된 신호중 하이 레벨의 구간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CRT상으로 출력하는 고압의 발생을 소정 시간 차단하고,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방법.
KR1019950038545A 1995-10-31 1995-10-31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0174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545A KR0174908B1 (ko) 1995-10-31 1995-10-31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545A KR0174908B1 (ko) 1995-10-31 1995-10-31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898A KR970024898A (ko) 1997-05-30
KR0174908B1 true KR0174908B1 (ko) 1999-03-20

Family

ID=1943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545A KR0174908B1 (ko) 1995-10-31 1995-10-31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9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898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9007B2 (en) Driver IC of a display panel waiting a predetermined time before supplying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fter sleep-out command is received
JPH0769670B2 (ja) 電源装置
KR0174908B1 (ko) 모드 전환시 모니터 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920007931Y1 (ko) 기체방전형 표시장치의 스캔라인 구동회로
KR960028245A (ko) 알파-파 발생기를 내장한 텔레비젼
JP2008276132A (ja) ドットクロック発生回路、半導体装置及びドットクロック発生方法
JP3473004B2 (ja) Pll回路
JPH0787391A (ja) 信号波形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5940147A (en) Power supply synchronization
KR100587003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과도현상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H09200566A (ja) 信号判別回路及び同期信号発生器
KR200172699Y1 (ko) 주파수가변시오동작방지회로
JP2798870B2 (ja) ドラムサーボ制御システム
KR0178183B1 (ko) 클램프 신호 생성 동작 제어방법
KR100341705B1 (ko) 전원 동기화를 위한 방법, 장치, 제어 회로
JP3203682B2 (ja) 垂直同期処理回路
JP2005165315A (ja) マルチプルモードのための相異なるクロックに同期されるチャージポンピング信号を発生させるディスプレイドライバ
KR100206315B1 (ko)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회로
JPH03201882A (ja) 映像表示回路
JP2003216112A (ja) 液晶駆動回路
KR0128399Y1 (ko) 모니터의 전원 동기화장치
JP2573573B2 (ja) プラズマ表示装置
KR200173057Y1 (ko) 모니터의 동기신호 지연장치
KR0128090Y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KR200148423Y1 (ko) 영상처리시스템의 고압편향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