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205B1 - 안경테에서 노즈 패드를 위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안경테에서 노즈 패드를 위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205B1
KR0174205B1 KR1019960702131A KR19960702131A KR0174205B1 KR 0174205 B1 KR0174205 B1 KR 0174205B1 KR 1019960702131 A KR1019960702131 A KR 1019960702131A KR 19960702131 A KR19960702131 A KR 19960702131A KR 0174205 B1 KR0174205 B1 KR 0174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support
nose pad
cross
fix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윙클러 롤프
Original Assignee
윙클러 롤프
에프 앤드 더블유 프레이 앤드 윙클러 지엠비 에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091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7420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윙클러 롤프, 에프 앤드 더블유 프레이 앤드 윙클러 지엠비 에취 filed Critical 윙클러 롤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Abstract

본 발명의 안경테에서 노즈 패드를 위한 고정장치는 지지부와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고정부재(20)는 탄성변형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고 분리되지 않은 버섯형상 전방부분을 가지며 제1횡단면의 좁은 지점(21)과 제2의 더 큰 횡단면의 후방부분을 갖는다. 이 고정부재는 탄성변형으로 비탄성의 지지부(10)에 형성된 긴 호올(11)에 삽입되어 고정부재(20)가 지지부(10)에 결합될 때에 노즈패드(30)가 원할하게 회전되고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제조허용공차를 최소화하고 노즈패드와 지지부를 균일하게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테에서 노즈 패드를 위한 고정장치
제1도는 고정장치의 전체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웨브 지지부의 측면도 및 밑면도.
제4도∼제6도는 노즈 패드-코어를 가진 고정부재의 측면도 및 정면도.
제7도 및 제8도 크기가 기입된 제5도에 따른 고정부재.
제9도∼제11도 코어를 가진 고정부재 및 이의 횡단면도.
이 웨브 지지부(10)는 금속선으로 이루어지고, 이의 단부는 0.9mm(제3도)의 두께까지 프레스 작업을 통해 얻어지므로, 이 금속선은 약 2.5mm의 폭을 갖는다. 이 범위에서 수용개구가 2.6mm의 길이와 1.1mm의 폭을 가지는 긴 호울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노즈 패드(30)의 코어(20c)와 하나의 부재로 실시되어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연성의, 피부 친화적인 플라스틱으로 된 커버(30A)와 함께 압출 코팅된다.
이 고정부재(20)는 두 개 부분으로 분할된다 : 슬롯에 끼워지는, 버섯모양의, 좁은 지점(21)을 가지는 앞부분(20A)과 상기 제1부분(20A)보다 더 큰 횡단면을 가지는 뒷부분(20B). 이에 대한 알맞은 크기가 특히 제7도와 제8도에서 알 수 있다.
서로 다른 횡단면을 가지는 이들 양 부분 사이의 전이 영역을 전이 표면(22)이 형성하고, 이것은 밖을 향해 볼록해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차원적인(one-dimentional) 융기부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구의 절개부와 비슷한 융기부 역시 제공될 수 있다.
이 웨브 지지부의 긴 호울(11)에서 고정부재(20)의 조립은, 먼저 버섯형상의 앞 부분의 한 모퉁이가 상기 긴 호울에 끼이고, 이 노즈 패드가 제1도에 도시된 지점에 대해 선회된 위치에 놓이므로써 이루어진다. 그 다음, 상기 전방 버섯형 부분의 변형 하에 다른 부분이 상기 긴 호울(11)에 끼워지므로, 이 과정에서 상기 버섯형상 부분의 상기 양 단부가 서로 마주한다.
조립 위치에서 이 웨브 지지부(10)가 상기 전방 부분(20A)의 좁은 지점(21)을 따라 이동되고, 이 전이 표면(22)은, 일반적으로 지지 위치에 상기 노즈 패드가 위치하고 있는 정지부로서 이용되고, 또한 상기 노즈 패드가 이 지지 웨브에 지지되며 그리고 제시된 범위에서 무단계로 선회될 수 있고 기울어질 수 있는 구름면(rolling surface)으로서도 이용된다.
다른 개별 부재들은, 치수가 제공된,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가 제7도에 도시된 도면에서 알수있다.
본 발명은 제1항의 서문에 따른 노즈 패드(nose pad)를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고정장치는 다양한 구조로 공지되어 있고, 이들에 공통적인 것은, 한편으로 안경테에 고정될 수 있는 웨브 지지부와 다른 한편으로 노즈 패드가 그에 상응하게 형성된 부재들 또는 부재 부분들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안경의 지지 성질에 중요한 부재들의 어느 정도 영구적인 결합이 달성된다는 것이다.
그와 같은 고정 메카니즘을 위한 예들온 예를 들어 DE-PS 27 32 860, DE-PS 27 12 897, DE-OS 28 35 116와 FR-A-2 492 545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유사한 예로서는 DE-A-25 58 122가 있다.
이 웨브 지지부에서 이 노즈 패드의 결합은 매우 어려운데, 최적의 구조적인 매칭이 달성되지 않으면, 특히 밀리미터 범위에서 참여한 부재들의 작은 팽창으로 인해 힘 및 재료 스트레스의 한계가 이 웨브 지지부 안으로의 고정부재의 스냅 및 뻬냄 동작 시에 및 구체적인 제공치수로의 변환시에 불만족스런 결과를 매우 빠르게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것은 언급한 특허 공보에 제시된 시스템이 원리적인 기능의 충실함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판매될 수 없는 이유가 된다. 가능한 한 간단하고 저렴한 제조 및 가공에 대한 조건이, 안경의 휴대 편리성도 지지하며, 부재의 하자없는 그리고 영구적인 스트레스에서 만족스런 기능에 대한 조건에 못미친다 ; 따라서 예를 들어 DE-PS 28 35 116에 따른 해결책은 수용할 수 없는데, 거기에서 이 웨브 지지부가 두 개의 분리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서로 용접되어 있어야 한다 ; 이 경우 별도의 가공작업이 필요하며, 이 작업은 작업이 조심스러울지라도 용접 결여지점을 형성한다. 상기 웨브 아암과 별도로 제조된 고정박스 사이에 상기 용접 지점이 부러지므로, 이 용접 결여지점이 다시 못쓰게된다. 그와 같은 탈락은 심지어는 전체 생산물의 0.5 내지 1%에 달하지만, 최종 결과에서 유해한 결합 웨브로 인해 클레임을 먹은 안경에서 일반적으로 이 안경 전체가 못쓰게 되는데, 대부분의 안경 모델의 경우에서 수리비 역시 가격면에서 용접된 박스를 가진 이 웨브 지지부의 값의 범위보다 오히여 안경 전체의 값의 범위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언급한 탈락은 수적으로 매우 작은 양임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손실이 결함부품 자체의 값보다 크므로, 초비례적인(superproportional) 값손실을 야기한다. 이는 언제나 고객의 측면에서 항의와 불만을 가져온다.
DE-A-25 58 122에서 웨브 지지부로서 또는 상기 웨브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필 선(profile wire) 또는 유사물이 이용되는 점에서 이런 상황이 개선되므로, 단순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 공보 및 위에 언급한 모든 공보들은, 한편으로 웨브 지지부와 다른 한편으로 노즈 패드 사이에 그와 같은 결합의 목표가 단순한 조립뿐만아니라 이들 양 부재들의 간단한 분해 역시 달성하는데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 또한 안경상은 경우에 따라 손상된 또는 닮아지는 노즈 패드를 가능한한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다시 이 웨브 지지부로부터 빼내어 새로운 부재로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목표는, 적당한 프레싱 또는 조립 및 분해에서의 확장성(expanding)을 얻기 위해, 상기 노즈 패드의 고정 부분이나 또는 이 웨브 지지의 수용 영역이 (또는 DE-A-25 58 122에서처럼) 슬롯 형성을 가지므로써, 앞서 공지된 해결책이 필요한 탄성을 얻도록 시도하는 이유가 된다.
그러나 이 슬롯 형성이 밀리미터 범위에서의 상기 크기에서 피할수 없는 제조 오차와 함께 상기 결합 및 결합 해제상태의 불충분하게 되는데, 이것이 부재 제조 자체를 통해 이미 존재하는 허용 오차를 더욱 크게하기 때문이다. 이 불충분성의 결과는 불충분한 기능에 반영되고, 상기 원하던 조립 및 분해상태가 계획했던 것보다 실제로 더 어렵게 실현되고, 이 결합이 헐거워지므로, 이 양 부재들의 결합이 만족스럽게 되지만, 노즈 패드의 원하지 않던 손실의 위험이 초비례적으로 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한 그러나 동시에 제시된 한계에서 움직일 수 있는 노즈 패드의 고정이 이 웨브 지지부에서 보장되도록 노즈 패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온 제1항의 특징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조립과 분해를 위한 유극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웨브 지지부뿐만 아니라 이 노즈 패드의 고정부재 역시 분리되지 않은 횡단면을 가지는, 즉 슬롯 형성없이 실시되어 있는데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이 노즈 패드의 분해가, 급할 경우 이 고정부재의, 버섯형상의 전방부분의 파손으로 인해 예를 들어 알맞은 텅으로 집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상에서 출발한다. 이는 단지 작은 단점을 나타내는데, 전술한 것처럼, 노즈 패드 자체의 값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노즈 패드의 파손없는 분해이 생략되어, 이 고정장치의 신뢰성 및 기능 충실성을 높이는 조건이 제공된다.
비탄성의 (예를 들어 금속성) 재료로 된 웨브 지지부의 형성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 실시에서 프레싱과 정밀한 스탬핑에 의해 금속-등근 프로필로 된 매우 정밀한 제조가 가능해지므로, 여기에서 일단 정해진 치수는 최소의 허용 오차를 가지고 대량생산에서 유지되는데, 공지된 슬롯 버전에서처럼 확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에 상응하는 것이 플라스틱으로 된, 슬롯을 가지지 않는 고정부재에도 적용된다. 플라스틱의 탄성 특성 및 형상 부여에 대한 조건들이 매우 협소하게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웨브 지지부 안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아무런 문제없는 유입의 가능성만이 그리고 거기에서의 로킹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단단한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노즈 패드 자체 또는 이에 포함된 코어와 함께 일체로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단단한 상기 플라스틱 재료가 상이한 횡단면의 양 부분들 사이에 전이 표면의 제한된 형성을 가능하게 만들고, 상기 부분들은 상기 노즈 패드의 동적인 상태, 즉 그의 기울일수 있고 회전할 수 있는 범위를 제공한다.
크기 및 재료 성질을 위한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가능성이 대량 생산에서의 최소의 제조 허용오차 및 동일한 지지 성질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그외 구성은 종속항에 나타나 있다.

Claims (10)

  1. U-형상의 대칭적으로 이용가능한 웨브지지부(10)와 이 웨브지지부(10)의 수용개구안으로 삽입가능하고 거기에서 조인트로 로킹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된 노즈패드를 고정부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웨브지지부의 제1다리는 고정을 위해 안경테에 제공되고, 제2다리는 그 단부에서 수용개구가 있는 편편한 영역을 가지며, 유극을 가지는 상기 수용개구의 가장자리가 상기 고정부재의 좁은 지점과 결합하며, 슬롯없는 상기 고정부재(20)가 버섯과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는 전방부분(20A)을 가지며, 제1횡단면을 가지는 좁은 지점(21)을 포함하며, 제2의 큰 황단면을 가지는 후방부분을 포함하는 안경테에서 노즈 패드를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웨브지지부(10)의 이 수용개구가 거기에서 비탄성인, 최대 1.1mm두께를 갖는 웨브지지부(10)에 의해 완전히 에워싸여 긴 호울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변형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된 고정부재(20)의 상기 양부분들(20A, 20B)사이에 전이표면(22)이 전방부분(20A)을 향해 볼록해 있으며, 및 상기 긴 호울(11)의 횡단면, 상기 양 횡단면들 및 상기 전이표면(22)의 유기부는, 상기 웨브지지부(10)에서 이 고정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상기 노즈패드(30)가 상기 전이표면(22)의 융기부에서의 지지하에 무단계로 회전되고 기울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 긴 호울(11)의 길이가 상기 좁은 지점(21)의 길이(L2)보다 20% 내지 50%만큼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 웨브 지지부(10)의 상기 긴 호울(11의 횡단면이 상기 좁은 지점(21)의 제1 횡단면보다 20% 내지 60%만큼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분의 버섯형상 단부(20A)가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웨브 지지부(10)의 긴 호울(11)과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표면(22)의 응기부의 반경(RW)이 5와 20mm 사이, 특히 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a) 상기 긴 호울(11)이 2.6mm 길이와 1.1mm 폭을 가지며, b) (상기 좁은지점(21)의) 상기 제1횡단면이 2.0 × 1.4mm이며, c) 상기 전방부분(20A)의 버섯형상 단부의 최대길이(L3)가 3.8mm이고, 상기의 크기를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20)와 노즈 패드(30)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가 상기 노즈 패드(30) 내에 코어(20c)와 일체로 되어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연성의, 피부 친화적인 플라스틱으로 된 커버(30A)와 함께 압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이 고정부재(20)가 90....120의 볼 경도(ball hardness)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이 웨브 지지부(10)가(예를 들어 귀금속 또는 니켈 은 같은) 금속선으로 완전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KR1019960702131A 1994-02-01 1995-01-11 안경테에서 노즈 패드를 위한 고정장치 KR0174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02983A DE4402983A1 (de) 1994-02-01 1994-02-01 Halterung für Nasenpads an einem Brillengestell
DEP4402983.7 1994-02-01
PCT/DE1995/000035 WO1995021399A1 (de) 1994-02-01 1995-01-11 Halterung für nasenpads an einem brillengest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4205B1 true KR0174205B1 (ko) 1999-05-15

Family

ID=650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131A KR0174205B1 (ko) 1994-02-01 1995-01-11 안경테에서 노즈 패드를 위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5457506A (ko)
EP (1) EP0742913B1 (ko)
JP (1) JP2774382B2 (ko)
KR (1) KR0174205B1 (ko)
CN (1) CN1071899C (ko)
AT (1) ATE154447T1 (ko)
AU (1) AU679603B2 (ko)
BR (1) BR9506575A (ko)
CZ (1) CZ283825B6 (ko)
DE (2) DE4402983A1 (ko)
ES (1) ES2105885T3 (ko)
MX (1) MX9603121A (ko)
TW (1) TW327963U (ko)
WO (1) WO1995021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2983A1 (de) * 1994-02-01 1995-08-03 Frey & Winkler Halterung für Nasenpads an einem Brillengestell
US5872612A (en) * 1998-01-13 1999-02-16 The Hilsinger Company Lp Dual-purpose nose pad insert assembly
US6615832B1 (en) 1999-06-22 2003-09-09 Bragel International, Inc. Wear article with detachable interface assembly
US6079825A (en) * 1999-06-25 2000-06-27 Chen; Ping-Huang Nose pad and hanger assembly for eyeglasses
US7513618B2 (en) * 2007-08-22 2009-04-07 Four Nines, Inc. Nose pad
AT508941B1 (de) 2010-01-28 2011-05-15 Silhouette Int Schmied Ag Brille
ITBO20120328A1 (it) * 2012-06-14 2013-12-15 Luxottica Srl Placchetta per nasello di occhiale e sistema di collegamento tra perno e placchetta in un nasello di occhiale
CZ306212B6 (cs) * 2012-10-18 2016-10-05 Silroc Cz, A. S. Pružné brýlové sedýlko
FR3004819B1 (fr) 2013-04-19 2016-09-30 Jean Luc Berthelot Ensemble d'appui nasal et monture de lunettes correspondante
KR101505784B1 (ko) * 2014-08-29 2015-03-25 금명섭 결속이 용이한 코 패드가 구비된 안경
JP1575215S (ko) * 2016-06-24 2017-05-01
DE202016105277U1 (de) 2016-09-22 2018-02-05 F & W Frey + Winkler Gmbh Stegstütze und System bestehend aus einer Stegstütze und einem Nasenpad
USD837871S1 (en) 2017-09-01 2019-01-08 Roka Sports, Inc. Sport eyeglasses
WO2019075089A1 (en) 2017-10-11 2019-04-18 Roka Sports, Inc. INTERCHANGEABLE LENS GLASSES
USD849823S1 (en) 2018-03-13 2019-05-28 Roka Sports, Inc. Sport eyeglasses
USD849825S1 (en) 2018-03-13 2019-05-28 Roka Sports, Inc. Sport eyeglasses
USD870802S1 (en) 2018-03-28 2019-12-24 Roka Sports, Inc. Sport eyeglasses
USD912722S1 (en) 2018-04-06 2021-03-09 Roka Sports, Inc. Snap-in nose pads for eyewear
USD871497S1 (en) 2018-04-06 2019-12-31 Roka Sports, Inc Eyeglass temples
CN112255806A (zh) * 2020-11-13 2021-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鼻托组件及头戴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8448A (en) * 1930-05-23 1931-06-02 American Optical Corp Ophthalmic mounting
IT1037597B (it) * 1974-04-29 1979-11-20 Frey & Winkler Traversino laterale per montature di occhiali
DE2558122A1 (de) * 1975-12-23 1977-07-14 Laib Otto Kg Halterung fuer nasenpads an metallbrillen
DE2712897A1 (de) * 1977-03-24 1978-10-05 Laib Otto Kg Halterung fuer nasenpads an metallbrillen
DE2732860C3 (de) * 1977-07-21 1981-10-01 Dieter 7531 Keltern Riexinger Stegplättchen für Metallbrillen
DE2835116A1 (de) * 1978-08-10 1980-02-14 Menrad Ferdinand Fa Seitenstegpad fuer metallbrillenfassungen
FR2492545A1 (fr) * 1980-10-16 1982-04-23 Gierden Ernest Plaquette et son support pour lunettes metalliques
DE3303749A1 (de) * 1983-02-04 1984-08-09 Ferdinand Wagner GmbH & Co, 7530 Pforzheim Padbefestigung
DE3403569A1 (de) * 1984-02-02 1985-08-08 Helmut 7530 Pforzheim Wünsch Padbefestigung fuer brillenfassungen
IT1181354B (it) * 1984-10-19 1987-09-23 Comet Costruzione Occhiali Met Supporto di placchetta per occhiali
DE3707297A1 (de) * 1987-03-06 1988-09-15 Frey & Winkler Nasenplaettchen fuer brillen
DE3934163A1 (de) * 1989-10-12 1991-04-25 Gerhard Kainberger Stegstuetze fuer brillen
DE4402983A1 (de) * 1994-02-01 1995-08-03 Frey & Winkler Halterung für Nasenpads an einem Brillengest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42913B1 (de) 1997-06-11
MX9603121A (es) 1997-03-29
US5696572A (en) 1997-12-09
AU679603B2 (en) 1997-07-03
EP0742913A1 (de) 1996-11-20
DE4402983A1 (de) 1995-08-03
AU1382295A (en) 1995-08-21
TW327963U (en) 1998-03-01
ATE154447T1 (de) 1997-06-15
CN1138903A (zh) 1996-12-25
JP2774382B2 (ja) 1998-07-09
CZ283825B6 (cs) 1998-06-17
DE59500311D1 (de) 1997-07-17
BR9506575A (pt) 1997-09-23
US5457506A (en) 1995-10-10
CN1071899C (zh) 2001-09-26
WO1995021399A1 (de) 1995-08-10
CZ207696A3 (en) 1996-11-13
JPH09512920A (ja) 1997-12-22
ES2105885T3 (es) 199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205B1 (ko) 안경테에서 노즈 패드를 위한 고정장치
US7048373B2 (en) Rimless eyeglasses and parts thereof
US6139143A (en) Temple for eyewear having an integrally formed serpentine hinge
US5585870A (en) Rimless spectacles with its lenses supported and clipped at three points
JP2007537468A (ja) メガネ
US20120198885A1 (en) Watch bracelet with ceramic links
CN110403306A (zh) 用于将腕带固定至表壳的装置
US7232215B2 (en) Reinforced nose bridge and eyeglasses utilizing same
US11540600B2 (en) Link bracelet
JPH1039261A (ja) ヒンジレス眼鏡テンプルの折り畳み機構
US3209366A (en) Auxiliary nose piece for spectacle frames
US20010019394A1 (en) Adjustable nose pad structure for eyeglasses
JPS6220528B2 (ko)
US6869181B2 (en) Lens mounting mechanism of spectacles, lens mounting member, auxiliary spectacles, and spectacles
JP2600784Y2 (ja) 眼鏡フレームにおける装飾体の止着構造
KR20030036176A (ko) 상이하게 만곡된 프레임과 교체 가능한 스템을 갖는 안경류
JPH0213921A (ja) 眼鏡用のリム線材及びこれを用いた眼鏡用のレンズリム
JPH09329767A (ja) 縁なし眼鏡枠のレンズ固定構造
JP2006504142A (ja) 眼鏡のスクリーンと同スクリーンを形成するための部品
KR101816908B1 (ko) 개량된 렌즈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테 안경
JP2002258221A (ja) 眼鏡フレームにおける装飾品の取付構造
JP4102232B2 (ja) リムロック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58665U (ja) 縁無眼鏡枠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縁無眼鏡枠
KR19990022697U (ko) 안경용힌지조립구조
WO2001020388A1 (en) Rimless spectacles with bent metallic parts in use and the same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