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583B1 - 청소용 걸레 - Google Patents

청소용 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583B1
KR0172583B1 KR1019960000417A KR19960000417A KR0172583B1 KR 0172583 B1 KR0172583 B1 KR 0172583B1 KR 1019960000417 A KR1019960000417 A KR 1019960000417A KR 19960000417 A KR19960000417 A KR 19960000417A KR 0172583 B1 KR0172583 B1 KR 017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cloth
fiber
conjugated polymer
fibers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502A (ko
Inventor
마사노부 미조구찌
토시키 이이지마
노보루 타나카
토시아끼 타카세
Original Assignee
이와쿠마 쇼조
니혼바이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쿠마 쇼조, 니혼바이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쿠마 쇼조
Publication of KR96002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8Gloves; Glove-like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한,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얇은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얇은 천에의 부착률이 0.05~3중량%이고,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얇은 천에의 부착률X(중량%)와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한 얇은 천의 표면저항Y(Ω/□)가 다음식(P)
logY-0.8X+5 . . . . (P)
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섬유직경이 10㎛이하인 청소용 걸레에 관한 것으로, 피청소물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청소 및 제전할 수 있고, 내구성, 작업성이 뛰어난 걸레를 제공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도장하기 전의 자동차의 차체나, 탁자, 책상, 옷장, 캐비닛, 의자 등의 가구, 플라스틱성형품, 또는 창, 문, 마루 등의 청소에 적합한 걸레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걸레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세섬유화(細纖維化)가능한 복합섬유의 단면형상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세섬유화가능한 복합섬유의 단면형상의 다른 일례를 표시한 도면.
제3(a)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세섬유화가능한 복합섬유의 단면형상의 또다른 일례를 표시한 도면.
제3(b)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세섬유화가능한 복합섬유의 단면형상의 또 다른 일례를 표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청소용 걸레의 응용예의 개략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청소용 걸레의 다른 응용예의 개략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청소용 걸레의 또다른 응용예의 개략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일성분 B : 다른 성분
1 : 장갑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장하기 전의 자동차의 차체나, 탁자, 책상, 옷장, 캐비닛, 의자등의 기구, 플라스틱성형품, 또는 창, 문, 마루 등의 청소에 있어서, 포백상의 걸레와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개소의 청소에 적합한 청소용 걸레(cleaning material)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를 도장하는 경우에, 피도장부에 대기속의 먼지 등이 부착되어 있으면, 도장의 마무리가 나쁘기 때문에, 도장하기 전에 피도장부를 깨끗이 청소할 필요가 있다. 이 청소수단으로서, 통상의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걸레를 사용하면, 일시적으로는 피부도장부를 청소할 수는 있으나, 상기 걸레와 피도장부와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여, 오히려, 대기속의 먼지가 부착하기 쉬워져, 실용에 적합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온중화장치와 표면에 점착제 등이 부여된 점착성을 가진 천조각을 병용해서 청소하고 있었으나, 이 청소수단은, 이온중화장치에 의해 제전(除電)한 후에 표면에 점착성을 가진 천조각으로 청소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하고, 또한, 이 이온중화장치는 고가였다.
다른 한편, 가구나, 플라스틱성형품, 창, 문 혹은 마루 등을, 통상의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걸레에 의해 청소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일시적으로는 청소할 수 있으나, 걸레와 피청소물과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여, 피청소물에 먼지 등이 부착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카본블랙이나 금속 분말 등을 혼입시킨 도전성 섬유나, 금속도금한 도전성 섬유를 사용한 걸레가 알려져 있으나, 전자는 섬유의 강도가 낮아 내구성이 없고, 후자는 피청소물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청소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정전기를 대전시키는 일없이 청소할 수 있는 내구성 및 작업성이 뛰어난 청소용 걸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전자공액계(電子共役系)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한,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얇은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얇은 천에의 부착률이 0.05~3중량%이고,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얇은 천에의 부착률X(중량%)와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한 얇은 천의 표면저항Y(Ω/□)가 다음식(P)
logY-0.8X+5 . . . . (P)
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섬유직경이 10㎛이하인 청소용 걸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걸레는,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사용하고 있고, 이 전자공액계 중합체는 유연하므로, 피청소물을 손상시키는 일없고, 또한 피청소물을 청소하는 동시에 코로나방전에 의해 제전할 수 있기 때문에, 피청소물에 정전기를 대전시키는 일없이 청소할 수 있다. 또, 전자공액계 중합체는 섬유표면을 피복하는 것만으로, 섬유강도를 열악화시키지 않으므로, 내구성도 뛰어난 청소용 걸레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소용 걸레는 단순히 피청소물을 닦아 내는 것만으로 청소 및 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도 뛰어나다.
본 발명의 청소용 걸레는 얇은 천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나, 이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명주, 양모, 면, 삼 등의 천연섬유, 레이온섬유 등의 재생섬유, 아세테이트섬유 등의 반합성섬유, 폴리아미드섬유, 폴리비닐알코올섬유, 아크릴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섬유, 폴리염화비닐계섬유, 폴리우레탄섬유, 폴리에틸렌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방향족폴리아미드섬유 등의 합성섬유를 들수 있다. 또, 2성분이상의 수지성분으로 이루어진 칼집형상, 병렬형 등의 복합섬유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처리에 의해 섬유직경이 9㎛이하인 세섬유로서, 세섬유화가능한 복합섬유(이하, [세섬유화섬유]라 고함)로부터 파생된 세섬유를 함유한 청소용 걸레는, 코로나방전에 의한 제전성, 피청소물의 청소성, 청소한 먼지 등의 유지성이 뛰어나고, 피청소물을 보다 손상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강도도 뛰어나므로, 세섬유화섬유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세섬유화섬유로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일성분(A)속에 다른 성분(B)을 섬형상으로 배치한 단면을 가진 해도(海島)형 복합섬유,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일성분(A)과 다른 성분(B)을 교대로 층형상으로 적층한 단면을 가진 다중적층형 복합섬유, 또는 제3(a)도, 제3(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일성분(A)을 섬유의 중심으로부터 섬유 표면으로 뻗는 다른 성분(B)에 의해 분할할 단면을 가진 국화형(菊花型) 복합섬유를 예시할 수 있으나, 이들 중에서도, 다중적층형 복합섬유 또는 국화형 복합섬유로부터 파생된 세섬유는, 대략 사다리꼴형상이나 부채꼴형상 등의 이형(異型)단면 형상을 가지며, 보다 청소성 및 제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섬유를 세섬유화하려면, 잘 알려진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계적 응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제2도, 제3(a)도, 제3(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세섬유화섬유를 구성하는 각 성분(A), (B)의 경계면으로부터 분할해서 세섬유화하는 물리적 처리에 의한 방법이나, 제1도와 같은 해도형 복합섬유의 경우에는, 한쪽의 성분만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나, 한쪽의 성분(A)만을 분해할 수 있는 화학약품으로 처리함으로써 다른 쪽의 성분(B)으로 이루어진 세섬유를 얻는 화학적 처리에 의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물리적 처리방법이나 화학적 처리방법을 병용해도 된다. 또, 제2도, 제3(a)도 및 제3(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세섬유화섬유의 한쪽의 성분만을 남기기 위해, 상기 화학적 처리방법을 적용해도 되고,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해도형 복합섬유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성분(A)이 기계적 응력에 의해 분쇄될 수 있는 수지성분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한 물리적 처리방법을 적용해도 된다.
또, 이 세섬유화섬유를 구성하는 수지성분은 2성분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되고, 2성분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조합으로서, 예를들면, 폴리아미드계수지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폴리아미드계수지와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와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수지, 폴리아미드계수지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수지, 폴리올레핀계수지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수지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섬유화섬유로부터 파생한 세섬유는, 청소용 걸레를 구성하는 얇은 천중 5중량%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많은 쪽이 코로나방전효율이 좋아, 제전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닦아내기성능도 뛰어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이상 함유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는, 평균섬유 직경이 10㎛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며, 평균섬유직경이 10㎛보다 크면, 제전성능과 닦아내기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평균섬유직경이 10~0.1㎛의 범위면, 제전성능 및 닦아내기성능이 좋고, 또한, 기계적 강도, 내구성도 그다지 저하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섬유직경이란, 이형단면형상을 가진 섬유의 경우에는, 당해 섬유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을 가진 원형단면의 섬유로 환산하였을 경우의 섬유직경을 말한다.
상기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길이는, 통상 1~160㎜인 것이 사용되나, 평균섬유길이로 20~11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며, 이 범위의 섬유길이에 있어서는, 너무 지나치게 짧아서 섬유의 탈락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결점도 없고, 또, 너무 지나치게 길어서,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끝부분의 수가 적어져, 제전성능이 저하하는 일도 없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평균섬유직경 및 평균섬유길이는 무작위로 선택한 100개의 섬유의 평균치를 말한다.
또,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연신된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내구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며, 연신배율로서는, 15~5배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상과 같은 섬유를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해서 도전성 섬유를 형성하나, 섬유의 상태로 피복한 후에 얇은 천을 형성하면, 얇은 천형성시에, 전자공액계 중합체를 손상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얇은 천을 형성한 후에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해서 도전성 섬유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완전한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되어 있지 않은 도전성 섬유의 존재도 있을 수 있다.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얇은 천에의 부착률은 0.05~3중량%로 할 필요가 있으며, 부착률이 0.05중량%보다도 적을 경우에는, 얻어지는 청소용 걸레의 재전성능이 나빠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부착률이 3중량%보다도 많을 경우에는, 얻어지는 청소용 걸레의 유연성이 나빠져, 청소하는 경우의 작업성이 저하하여, 피청소물과의 마찰에 의해, 전자공액계 중합체가 박리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얇은 천에의 부착률X(중량%)는
부착률X(중량%)=[(전자공액계 중합체중량)/(전자공액계 중합체중량+얇은 천중량)]×100으로 표시된다.
이하, 얇은 천형성후에 전자공액계 중합체에 의해 피복해서, 본 발명의 청소용 걸레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청소용 걸레를 구성하는 얇은 천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이 있으나, 이들 중에서도, 부직포는 섬유의 배향방향을 두께방향으로 함으로써, 코로나방전에 관여할 수 있는 섬유단부를 많게 해서 코로나방전에 의해 쉽게 제전할 수 있고, 또한 3차원적인 빈틈을 가지고 피청소물로부터 닦아낸 먼지등을 이 빈틈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섬유의 배향방향이 두께방향인 부직포는, 예를 들면, 카드(card)법이나 에어레이션법 등의 건식법, 습식법, 스팬본드법(span bond)이나, 멜트블로우법(melt blow) 등의 직접법등에 의해 얻은 섬유웨브를, 물등의 유체류(流體流) 또는 바늘 등의 기계적 외력에 의해 엉키게 해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자의 유체류에 의해 엉키게 하면, 보다 균일하게 강도적으로 뛰어난 부직포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보다 적합하다. 또, 카드법에 의해 섬유웨브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섬유의 배향방향이, 섬유웨브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크로스레이어(cross-layer 또는 cross-laying machine; 카드기 등에 의해 개직(開織)된 일방향으로 배열한 섬유웨브를, 섬유의 배열방향이 섬유웨브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도록,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한 섬유웨브를 공급하는 장치임) 등에 의해 교차시킨 교차섬유웨브를 함유하고 있으면, 폭방향의 강도가 향상하고, 형태안정성이 뛰어나고, 작업성이 뛰어난 청소용 걸레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한 배향방향이다.
또한, 상기한 다중적층형 섬유 또는 국화형 섬유의 세섬유화섬유를 함유한 섬유웨브에, 유체류 또는 바늘 등의 기계적 외력을 작용시키면, 세섬유의 파생과 동시에 세섬유를 엉키게 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세섬유화공정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 합리적인 부직포의 형성방법이다. 또, 세섬유의 엉킴에 의해 치밀한 구조로 되기 때문에, 보다 먼지등의 유지성이 뛰어나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 부직포의 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화제계, 용제계, 분말계 등의 결합제(binder)에 의해 고정하거나, 부직포구성섬유끼리의 교차점을 융착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제전성 및 닦아내기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적으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고정에 의한 강도, 내마모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제전성, 닦아내기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1개당의 고정면적이 0.01~5㎟이고, 총고정면적이 부직포전체의 면적(부직포표면이 평활하다고 간주하였을 때의 면적)의 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부직포구성섬유를 엠보스롤(embossing roll)이나 초음파에 의해 부분적으로 융착하는 방법은, 결합제에 의해 고정한 경우와 같이, 청소용 걸레의 사용중에 결합제 등의 탈락물이 발생하지 않아, 청소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보다 적합한 방법이다.
또한, 보다 제전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열융착성 섬유를 함유한 섬유웨브를 한쪽면 또는 중간층으로 한 2층 또는 3층구조의 적층섬유웨브를 열처리해도 된다.
또, 섬유웨브에, 유체류, 예를 들면 수류(水流)등을 작용시켜서, 섬유를 엉키게 해서 부직포를 형성하는 경우에, 금속이나 플라스틱제의 50매시이상의 눈이 성긴 망이나, 이에 상당하는 다공판을 지지체로 해서 사용하면, 망이나 다공판이 존재하는 부분에서 수류가 반사하고, 반사하는 수류에 의해, 망이나 다공판이 존재하는 부분의 섬유가 밀려 젖혀지는 동시에 서로 엉키기 때문에, 망이나 다공판이 존재하는 부분에 상당하는 개방구멍(얇은 천의 대략 두께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을 이하, 개방구멍부를 가진 부직포라고 약칭한다.
그리고, 이 개방구멍부를 가진 부직포는, 엉킨 섬유다발이 서로 대략 교차하고 있으며, 또한 각 섬유다발끼리의 교차점에서도 엉킨 구조를 가진 부직포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개방구멍부를 가진 부직포는, 개방구멍의 측벽으로부터도 먼지 등을 내부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먼지유지성이 우수하다는 이점도 있다. 수류등에 의해 이와 같은 개방구멍부를 가진 부직포를 제조하는 경우, 지지체이외의 조건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수류를 분출하는 노즐의 직경은 0.05~0.3㎜, 노즐의 배치피치를 0.2~3㎜정도로 해서, 1열로 배열하거나, 노즐을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2열이상 배치한 노즐판으로부터 섬유웨브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1번이상 수류를 분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수류의 분출압력은 10~300㎏/㎠정도면 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얇은 천은 어느 것이나 다공성이기 때문에, 얇은 천 거의 전체를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할 수 있다. 전자공액계 중합체는 얇은 천과의 밀착성이 양호하므로, 내구성이 뛰어나며, 또 유연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피청소물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닦아냄과 동시에 제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각종의 얇은 천의 가공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본 발명의 청소용 걸레의10%모듈러스(modulus)강도를, 세로방향, 가로방향다같이 각각 0.5㎏/5㎝폭이상으로 하는 것이, 형태안정성이 좋아, 걸레를 사용할 때의 작업성이 양호하고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섬유의 배향방향이, 섬유웨브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일방향성인 섬유웨브와, 크로스레이어 등에 의해 교차시킨 교차섬유웨브를 적층한 웨브를 사용해서 제조한 부직포나, 상기 개방구멍부를 가진 부직포 등은 특히 바람직한 것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피복에 의해 얻어지는 청소용 걸레의 표면저항은 약 1×105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표면저항이 1×105Ω/□을 초과하면, 제전성능이 저하하기 때문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4Ω/□이하이다.
이 전자공액계 중합체에 의한 피복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중합촉매인 염화철(III)[FeCl3]이나, 염화구리(II)[CuCl2]등의 산화제를 함유한 용액을 얇은 천에 함유시킨 후, 원료단량체와 접촉시켜서 중합시키거나, 최초에 원료단량체를 얇은 천에 함유시킨 후에, 중합촉매인 염화철(III)이나 염화구리(II) 등의 산화제를 함유한 용액에 접촉시켜서 중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단량체와의 접촉방법으로서는, 단량체가 액체상태인 경우, 얇은 천에 단량체를 함침, 도포, 또는 분사하면 되며, 단량체가 기체상태인 경우, 단량체로 충전한 용기내에 얇은 천을 얹어 놓으면 된다.
또, 중합촉매는 함침, 도포 또는 분사해서 얇은 천에 함유시키거나, 얇은 천과 접촉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 전자공액계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로서, 예를 들면, 아세틸렌, 벤젠, 아닐린, 페닐아세틸렌, 피롤, 푸란, 티오펜, 인돌 및 이들 단량체의 유도체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피롤은 도전성 및 중합성이 뛰어나고, 제전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얇은 천에의 부착률X(중량%)와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한 얇은 천의 표면저항Y(Ω/□)가 다음식(P)
logY-0.8X+5 . . . . (P)
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식(P)가 의미하는 바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부착량을너무 지나치게 많게 하면, 얻어지는 청소용 걸레의 유연성이 나빠져, 청소할 경우의 작업성이 저하하고, 피청소물과의 마찰에 의해 전자공액계 중합체가 쉽게 박리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부착량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경우, 걸레의 표면저항치Y가 너무 크게 되지 않도록 상기 식(P)에 의해 규제된 조건이 만족하도록 하는 양호한 도전성을 가지는 전자공액계 중합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상, 이러한 전자공액계 중합체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즉 중합체 사슬이 길어질수록 표면저항치가 작아지고, 또, 걸레 사용시에 피청소물과의 마찰에 의해서도, 전자공액계 중합체가 박리하기 어렵게 된다. 분자량이 큰 전자공액계 중합체를 얻기 위하여, 구체적으로는 중합촉매인 산화제를 함유한 용액을 얇은 천에 함유시켜, 단량체와 접촉시킨 후, 또는, 단량체를 얇은 천에 함유시켜, 중합촉매인 산화제를 함유한 용액을 얇은 천에 접촉시킨 후에, 즉시 세정해서 미반응의 단량체나 산화제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고, 1분이상, 바람직하게는 2분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분이상 방치해서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상기 관계식(P)를 만족시키는데 충분한 분자량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또, 1분이상, 바람직하게는 2분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분이상 방치해서 반응을 진행시키는 경우의 온도조건은, 실온(室溫)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전자공액계 중합체에 의해 얇은 천 전체를 피복하면, 보다 제전성이 뛰어나지만, 상기 관계식(P)를 만족하고, 또,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얇은 천을 피복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얇은 천을 피복하였을 경우에는, 표면저항은, 전자공액계 중합체에 의해 피복된 개소의 표면저항을 말한다.
본 발명의 걸레는 얇은 천상태 그대로 사용해도 되나, 다른 적당한 형태로 가공해서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얇은 천상태의 걸레재료를 사용하여, 자루형상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청소하기 쉽고, 작업성이 뛰어난 걸레로 해도 된다. 이 자루형상의 공간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5개의 손가락을 각각 분리해서 삽입할 수 있는 장갑형상이어도 되고,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과 다른 4개의 손가락을 분리해서 삽입할 수 있는 벙어리장갑형상이라도 되고, 손전체를 삽입할 수 있는 반원형의 장갑형상이어도 되고,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장갑과 도전성의 얇은 천을 일체화한 것이어도 된다. 또, 손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외에, 예를 들면, 자루걸레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어도 되고,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걸레를 장갑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전성의 얇은 천은 걸레의 적어도 한쪽면에 사용하고, 이 도전성의 얇은 천의 면이 피청소물과 접촉하도록 사용하면, 피청소물을 대전시키는 일없이 청소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쪽면 다같이 상기 도전성의 얇은 천을 사용하여, 양쪽면에 의해 청소가능하게 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루형상의 공간은, 도전성의 얇은 천을 봉제하거나, 도전성의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융착성을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봉제용실로서 도전성의 것을 사용하면, 보다 제전성이 우수하다. 또, 얇은 천에 의해 자루형상의 공간을 형성한 후에 전자공액계 폴리머중합체로 피복해서, 도전성을 부여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걸레는 피청소물을 손상하는 일없이, 청소성 및 제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도장하기 전의 자동차의 차체, 탁자, 책상, 옷장, 캐비닛, 의자등의 가구, 플라스틱성형품, 또는 창, 문, 마루등, 마찰에 의해서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개소의 청소에 적합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나,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면저항은「로레스터AP MCP-T400」(일본국, 미쯔비시유화(주)제의 표면저항계)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실시예 1]
제3(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성분(A)을, 섬유의 중심으로부터 섬유표면을 향해서 방사형상으로 뻗는 폴리아미드성분(B)에 의해 8구분으로 분할한 국화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연신배율이 3배이고, 섬도(纖度) 2데니어, 섬유길이 38㎜의 세섬유화섬유[폴리에스테르성분으로 이루어진 섬유직경(원형단면으로 환산한 값, 이하, 마찬가지임) 4.2㎛의 세섬유 및 폴리아미드성분으로 이루어진 섬유 직경 3.1㎛의 세섬유를 파생가능]를 카딩한 일방향섬유웨브위에, 이 일방향성의 섬유웨브와 동등한 웨브를 크로스레이어에 의해 교차시키면서 적층하여, 상기 일방향성의 섬유웨브와 교차섬유웨브를, 중량비 1;4로 적층한 적층섬유웨브를 얻었다. 이 적층섬유웨브를 80메시의 철망으로 이루어진 지지체위에 얹어놓은 후, 직경 0.15㎜, 피치0.6㎜의 노즐판으로부터, 압력 95㎏/㎠로 물을 분출해서 적층섬유웨브를 엉키게 하여, 단위무게 85g/㎡, 두께 0.4㎜의 부직포를 얻었다. 이어서, 이 부직포에 30중량%농도의 염화철(III)수용액을 함침시킨 후, 피롤용액을 증발시킨 피롤단량체기체에 접촉시켜, 실온하에서, 7분간 방치해서 피롤을 중합한 후, 세정해서 미반응의 피롤과 산화제를 제거하고, 건조시켜서, 부직포표면전체가 2.4g/㎡의 폴리피롤로 피복된(부착률 2.7중량%) 표면저항 180Ω/□(692Ω/□)의 걸레를 얻었다. 이 걸레의 10%모듈러스강도는, 세로방향이 5.2㎏/5㎝폭이고, 가로방향이 1.2㎏/5㎝폭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전적으로 마찬가지로 해서 얻은 부직포를, 다수의 볼록부를 가진 온도 185℃, 선압(線壓)60㎏/㎝의 엠보스롤(1개당의 볼록부면적 0.25㎟, 엠보스롤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차지하는 면적 16%)사이를 통과시켜서, 부분적으로 융착하여, 단위무게 85g/㎡, 비융착부의 두께 0.4㎜의 융착부직포를 얻었다. 이어서, 융착부직포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융착부직포전체를 2.4g/㎡의 폴리피롤에 의해 피복하여(부착률 2.7중량%), 표면저항 180Ω/□(692Ω/□)의 걸레를 얻었다. 이 걸레의 10%모듈러스강도는, 세로방향이 5.6㎏/5㎝폭이고, 가로방향이 1.2㎏/5㎝폭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얻은 부직포에 물을 함침시키고, 피롤용액을 증발시킨 피롤단량체기체에 접촉시킨 후, 10중량%농도의 염화철(III)수용액을 함침시키고, 이어서, 실온하에서, 5분간 방치해서 중합시킨 후, 세정해서 미반응의 피롤과 산화제를 제거하여 건조시켜서, 부직포표면전체가 0.8g/㎡의 폴리피롤로 피복된(부착률 0.93중량%), 표면저항 1,000Ω/□(18,030Ω/□)의 걸레를 얻었다. 이 걸레의 10%모듈러스강도는, 세로방향이 5.2㎏/5㎝폭이고, 가로방향이 1.2㎏/5㎝폭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얻은 부직포에 30중량%농도의 염화철(III)수용액을 함침시키고, 피롤용액을 증발시킨 피롤단량체기체에 접촉시킨 후, 즉시, 세정해서 미반응의 피롤과 산화제를 제거하고, 건조시켜서, 부직포표면전체가 2.4g/㎡의 폴리피롤로 피복된(부착률 2.7중량%), 표면저항 850Ω/□(692Ω/□)의 걸레를 얻었다. 이 걸레의10%모듈러스강도는, 세로방향이 5.2㎏/5㎝폭이고, 가로방향이 1.2㎏/5㎝폭이었다.
[비교예 2]
단면이 원형의 섬유직경 12.4㎛, 섬유길이 38㎜, 연신배율이 3배인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무게 85g/㎡, 두께 0.8㎜의 부직포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부직포표면전체를 2.4g/㎡의 폴리피롤로 피복된(부착률 2.7중량%), 표면저항 370Ω/□(692Ω/□)의 걸레를 얻었다. 이 걸레의 10%모듈러스강도는 세로방향이5.7㎏/5㎝폭이고, 가로방향이 0.2㎏/5㎝폭이었다.
[제전성시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걸레에 의해, 폴리이미드필름을 각각 5회 왕복해서 닦아낸 후, 이 폴리이미드필름의 대전압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 대전압 측정은 JIS(JIS는 Japanese Industrial Standard의 약칭임)규격, L1092참고법에 준거한 마찰대전압시험장치(일본국, 카네보엔지니어링(주)회사제 EST-7)로 행하였다. 또한, 이 측정은 온도 20℃, 습도 50%의 조건하에서 행하였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실시예 1: 0.3KV
실시예 2: 0.5KV
실시예 3: 1.2KV
실시예 4: 1.2KV
실시예 5: 1.5KV
[내마모성시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걸레의 내마모성을, JIS-L-1076에 준하는 C법(어피어런스리텐션형 시험기)에 의해, 하중 20g/㎠에서, 마찰을 200회 행하고, 육안에 의해 평가를 행하는 동시에, 이들 내마모성 시험후의 걸레의 제전성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시험하였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내마모성 대전압
실시예 1 L 0.2KV
실시예 2 N 0.5KV
실시예 3 L 1.1KV
비교예 1 L 1.5KV
비교예 2 M 1.6KV
또한, 여기서 내마모성은, JIS-L-1076(C법)에 규정된 기준에 의하면, NLMH의 순으로 우수하다.
본 발명의 걸레는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한 평균섬유직경 10㎛이하의 얇은 천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피청소물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청소 및 제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걸레는 내구성도 뛰어나다. 또, 본 발명의 걸레는 단순히 닦아내는 것만으로 청소 및 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도 뛰어난 것이다.
이 도전성 섬유가 세섬유화가능한 복합섬유로부터 파생한 세섬유를,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한 얇은 천이면, 보다 청소성, 제전성 및 먼지 등의 유지성이 뛰어난 걸레로 할 수 있고, 또, 이 세섬유가, 이형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보다 청소성 및 제전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장하기 전의 자동차의 차체나, 탁자, 책상, 옷장, 캐비닛, 의자 등의 가구, 플라스틱성형품, 또는 창, 문, 마루 등의 청소에 있어서, 걸레와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개소의 청소에 적합한 걸레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정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한,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얇은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얇은 천에의 부착률이 0.05~3중량%이고,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의 얇은 천에의 부착률X(중량%)와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한 얇은 천의 표면저항Y(Ω/□)가 다음식(P)
    logY-0.8X+5 . . . . (P)
    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섬유직경이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걸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된 도전성 섬유가, 세섬유화가능한 복합섬유로부터 파생한 세섬유를 전자공액계 중합체로 피복하여 이루어진 도전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걸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섬유화가능한 복함섬유로부터 파생한 세섬유가, 이형단면형상을 가진 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걸레.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천이, 당해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섬유길이가 20~110㎜인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걸레.
  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천을 구성하는 섬유가, 연신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걸레.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의 10%모듈러스강도가 세로방향, 가로방향 다같이 각각 0.5㎏/5㎝폭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걸레.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천이 일방향성웨브와 교차섬유웨브를 적층한 적층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걸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부분적으로 고정된 부분을 가진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걸레.
KR1019960000417A 1995-01-13 1996-01-11 청소용 걸레 KR0172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3095 1995-01-13
JP95-21330 1995-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02A KR960029502A (ko) 1996-08-17
KR0172583B1 true KR0172583B1 (ko) 1999-02-18

Family

ID=1205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417A KR0172583B1 (ko) 1995-01-13 1996-01-11 청소용 걸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721760B1 (ko)
KR (1) KR0172583B1 (ko)
CN (1) CN1077183C (ko)
DE (1) DE6960351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3184B1 (en) 2000-06-28 2003-02-04 S. C. Johnson & Son, Inc. Particle entrapment system
US6550639B2 (en) 2000-12-05 2003-04-22 S.C. Johnson & Son, Inc. Triboelectric system
CN107307821A (zh) * 2017-07-10 2017-11-03 耿兴利 手抓可撕式静电纸毛发吸附套
IT201800011003A1 (it) * 2018-12-12 2020-06-12 Ester Marinelli Articolo cattura-polvere usa e gett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3096A (en) * 1987-08-03 1989-02-07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ve textile material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975317A (en) * 1987-08-03 1990-12-04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ve textile materials and method for making same
FR2704567B1 (fr) * 1993-04-30 1995-06-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preparation d'une nappe de materiau poreux revetue d'un polymere conducteur electronique et produit obtenu par ce proce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165A (zh) 1997-01-01
EP0721760B1 (en) 1999-08-04
DE69603510D1 (de) 1999-09-09
EP0721760A1 (en) 1996-07-17
KR960029502A (ko) 1996-08-17
CN1077183C (zh) 2002-01-02
DE69603510T2 (de) 200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6186A (en) Ultrafine fiber entangled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542194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
JPH11217757A (ja) 短繊維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51582B2 (ko)
KR20030044920A (ko) 클리닝 시트
KR0172583B1 (ko) 청소용 걸레
JP3182331B2 (ja) クリーニング材
JP4869673B2 (ja) 洗車機用洗浄ブラシのブラシ片及び洗車機用洗浄ブラシ及び洗車機
JP2007284838A (ja) 水流交絡不織布およびワイパー
JP3226440B2 (ja) クリーニング材
JP3912177B2 (ja) 起毛様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3948781B2 (ja) 短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3910738B2 (ja) 開孔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38204A (ja) クリーニング材
JP3666760B2 (ja) ワイパー
JPH10280263A (ja) 清拭材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3058A (ja) 清掃体及び洗車機用洗浄ブラシのブラシ片及び洗車機用洗浄ブラシ及び洗車機
JP2989249B2 (ja) 高強度極細繊維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
JPH0478741B2 (ko)
JPH07279020A (ja) 絡合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接着芯地
JPH11100764A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01487A (ja) 除電シート
JP2022134470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107587A (ja) 繊維複合製品及び繊維複合製品の製造方法
JP2000034661A (ja) 複合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