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442B1 - 자동2륜차 - Google Patents
자동2륜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0442B1 KR0170442B1 KR1019940037480A KR19940037480A KR0170442B1 KR 0170442 B1 KR0170442 B1 KR 0170442B1 KR 1019940037480 A KR1019940037480 A KR 1019940037480A KR 19940037480 A KR19940037480 A KR 19940037480A KR 0170442 B1 KR0170442 B1 KR 01704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buretor
- engine
- cylinder block
- air cleaner
- cooling fa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크리너의 커버부 및 도풍덕트가 협동하여 기화기의 외측을 커버하고, 강우, 물방울 및 주행풍 등의 외부환경인자에 대한 기화기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기화기를 배기열로 보온가능하게 할 수 있고, 또 덕트에서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기화기에 유도함으로서 기화기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는 자동 2륜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엔진의 크랭크축 및 후륜 사이에 삽입된 전동기구 케이스의 상부에 엔진의 흡기포트에 연결된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에 접속된 에어크리너가 배치되고, 엔진의 실린더블록, 실린더헤드 및 크랭크축의 축단부에 연결된 냉각팬이 슈라우드로 덮인 자동 2륜차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에는 냉각팬을 향한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블록에의 흡입구와는 반대쪽에 배치된 배기구가 형성되며, 에어크리너에는 기화기의 외측방을 덮는 커버부가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배기구에는 일단이 연통된 덕트의 타단이 기화기 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에어크리너의 상기 커버부에 연결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쿠터형 자동 2륜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2에서 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 4-4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화살표 5-5선을 따라 절결된 부분절결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는 화살표 6-6선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화살표 7-7선에서 본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화살표 8-8선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화살표 9-9선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화살표 10-10선 단면도.
제11도는 제7도의 화살표 11-11선 단면도.
제12도는 제3도의 화살표 12-12선 확대단면도.
제13도는 제4도의 화살표 13-13선 확대단면도.
제14도는 오일펌프의 입력축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파이프 2 : 다운튜브
3 : 리어프레임 11 : 프론트커버
12 : 레그시일드 13 : 프론트사이드커버
14 : 플로어보드 16 : 리어하부커버
17 : 리어상부커버 18 : 리어펜더
20 : 시이트 22 : 물품수납실
23 : 지지축 24 : 링크기구
25 : 리어쿠션 26 : 실린더헤드
27 : 실린더블록 28 : 크랭크케이스
29 : 실린더보어 30 : 피스톤
31 : 연접봉 32 : 크랭크축
33 : 발전기 34 : 냉각팬
35 : 스크롤통로 36 : 슈라우드
39 : 핀 40 : 러버
41 : 장착볼트 42 : 장착보스
43 : 삽입관통홀 44 : 마운트고무
45 : 점화플러그 47 : 플러그시일
48 : 캡 49 : 리드
50 : 연료탱크 51 : 회전궤적
52 : 격벽 55 : 원형홀
56 : 흡입구 57 : 간막이부
58 : 커버 59 : 흡음재
62 : 가스킷 63 : 케이스부재
64 : 전동기케이스 68 : 전동풀리
69 : 환상홈 70 : V벨트
71 : 램프플레이트 72 : 웨이트로울러
73 : 종동축 74 : 감속기어열
75 : 원심클러치 76 : 전동풀리
80 : 기화기 81 : 에어크리너
84 : 여과재 85 : 미정화실
86 : 정화실 87 : 흡입관
88 : 접속관 89 : 커버부
90H : 작업홀 92 : 덕트
95 : 오목부 93a : 커버부
97 : 리이드밸브 98 : 흡기포트
99 : 흡기관 101 : 오목부
102 : 나사기어 103 : 나사기어
104 : 입력축 105 : 오일펌프
106 : 피막
본 발명은 엔진의 크랭크축 및 후륜 사이에 설치된 전동기구의 케이스 상부에 엔진의 흡기포트에 연결된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에 접속되는 에어크리너가 배치되고, 엔진의 실린더블록, 실린더헤드 및 크랭크축의 축단부에 연결된 냉각팬이 슈라우드로 덮인 자동 2륜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자동 2륜차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2-124250호 공보 및 실개평 3-37260호 공보 등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은 슈라우드의 배기구가 기화기 쪽으로 개구되며, 슈라우드에는 배기구로부터의 배기되는 공기를 기화기로 유도하는 가이드판이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열을 기화기에 주고 보온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외부환경인자. 예를 들면 강우, 비말 및 주행풍 등의 영향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슈라우드에 기화기를 근접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기화기 배치상의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부 환경인자에 대한 내구성 향상을 가능하게 하여 기화기를 배기열로 보온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기화기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킨 자동 2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진의 크랭크 축 및 후륜 사이에 설치된 전동기구의 케이스 상부에 엔진의 흡기포트에 연결된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에 접속된 에어크리너가 배치되며, 엔진의 실린더블록, 실린더헤드 및 크랭크축의 축단부에 연결된 냉각팬이 슈라우드로 덮인 자동 2륜차에 있어서, 슈라우드에는 냉각팬을 향한 흡입구와, 에어크리너에는 기화기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가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블록에 관해 흡입구와는 반대쪽에 배치된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에 일단이 연통된 덕트의 타단이 기화기를 향해 연장됨과 동시에 에어크리너의 상기 커버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에어크리너의 커버부 및 덕트에서 협동하여 기화기의 외측을 커버하고, 강우, 비말 및 주행풍 등의 외부환경인자에 대한 기화기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기화기를 배기열로 보온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덕트에 의해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기화기로 유도함으로써 기화기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차체프레임에는 시이트의 하부에서 상하로 뻗은 한 쌍의 프레임부가 설치되며, 양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린더헤드에, 대체로 수평한 축선을 가지며 후방으로 뻗은 실린더블록이 연결되고, 슈라우드는 적어도 실린더헤드를 그 전방축에서부터 덮는 헤드대응부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대응부재는 결합방향을 실린더블록의 축선을 따르게 하여 실린더헤드에 결합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린더헤드의 핀 사이를 냉각 공기가 유통할 때의 유통저항보다 큰 유통저항이 발생하도록 슈라우드 및 실린더헤드 사이의 간격을 엄밀하게 좁히는 것이 용이하고, 냉각공기에 의한 냉각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또 슈라우드의 헤드대응부재를 떼어내서 엔진의 유지보수작업을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냉각팬 주위에 스크롤 통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의 상기 스크롤 통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냉각팬의 축방향 외부로 팽출된 팽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크롤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슈라우드를 냉각팬의 반경방향을 따른 외부로 팽출시키는 것을 억제하고, 냉각팬 및 구동륜 사이의 거리를 비교적 작게 하더라도 구동륜의 유지보수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자동 2륜차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스쿠터형 자동 2륜차(V)의 차체프레임(F)은 전륜(Wf)을 현가한 프론트포크(7)를 조향가능하게 지지한 헤드파이프(1), 상기 헤드파이프(1)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다운튜브(2) 및 상기 다운튜브(2)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되어 후방으로 뻗은 리어프레임(3) 등을 구비한다. 상기 리어프레임(3)은 전단부가 다운튜브(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후방측을 향해서 대체로 수평으로 뻗은 한 쌍의 프론트부 프레임부(3a)(3a)와, 양 프론트부 프레임부(3a)(3a)의 후단에서 리어부 상부로 뻗은 한 쌍의 중간프레임부(3b)(3b)와, 양 중간프레임부(3b)(3b)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리어부프레임부(3c)를 가지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차체프레임(F)은 차체커버(C)에 의해 덮인 것으로서, 이 차체커버(C)는 헤드파이프(1)의 프론트부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프론트커버(11), 프론트커버(11)에 접합되어 운전자의 다리부 전방을 덮는 레그시일드(12), 프론트커버(11) 및 레그시일드(12)에 접합되어 프론트부 차체의 양측을 덮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사이드커버(13)(13), 레그시일드(12)에 접합되어 운전자의 발을 지지하는 플로어보드(14), 양 프론트사이드커버(13)(13) 및 플로어보드(14)에 접합되어 리어부 차체의 양측면을 덮는 좌우 한 쌍의 리어하부커버(16)(16) 및 양 리어하부커버(16)(16) 및 플로어보드(14)에 접합된 리어상부커버(17) 등을 구비하고, 리어상부커버(17)의 리어부에는 후륜(Wr)의 상부를 덮는 리어펜더(18)가 장착된다.
리어상부커버(17)의 상부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그 상부면 개구부는 운전자가 않는 시이트로 덮인다.
또한, 시이트(20)는 개폐가능하게 되어 리어상부커버(17)의 상단부에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상단부를 개구시킨 수화물박스(21)가 리어상부커버(17)의 상부내에 수납설치됨으로써, 시이트(20)의 하부에 헬멧 등을 수납가능한 물품수납실(22)이 형성되며, 상기 물품수납실(22)은 시이트(20)에 의해 개폐되게 된다.
제3도를 함께 참조하면, 구동륜으로서의 후륜(Wr)은 차체프레임(F)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워유닛(P)의 프론트부는 후륜(Wr)의 회전축선과 평행한 지지축(23)을 가진 링크기구(24)를 통해 상기 차체프레임(F)에 있어서의 리어프레임(3)의 양 중간프레임부(3b)(3b)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파워유닛(P)의 리어부 및 상기 리어프레임(3) 사이에는 리어쿠션(25)이 삽입설치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2사이클 강제 공냉 엔진(E)의 실린더헤드(26)는 상기 리어프레임(3)의 양 중간프레임부(3b)(3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헤드(26)에는 대체로 수평의 축선을 가지며 실린더블록(27)의 전단부가 결합되며, 실린더블록(27)의 후단부에는 크랭크케이스(28)가 결합된다. 실린더블록(27)의 실린더보어(29)에는 피스톤(30)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상기 피스톤(30)은 연접봉(31)을 통해 크랭크축(32)에 연결된다.
크랭크케이스(28)로부터 돌출된 크랭크축(32)의 일단부에는 발전기(33)를 통해 냉각팬(3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팬(34) 주변에 스크롤 통로(35)를 형성하는 슈라우드(36)에 의해 냉각팬(34),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블록(27)이 덮인다.
제6도를 함께 참조하면, 슈라우드(36)는 적어도 실린더헤드(26)(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블록(27))를 전방쪽에서부터 덮는 헤드대응부재로서의 제1부재(37)와,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부재(38)가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제1부재(37)는 실린더헤드(26)에 배치된 다수 핀(39...)의 선단 사이에 러버(40)가 개재된 상태에서 결합방향을 실린더블록(27)의 축선을 따르게 한 다수의 장착볼트(41...)에 의해 실린더헤드(26)에 체결된다.
즉, 실린더헤드(26)에는 러버(40) 내면에 선단을 당접시키는 다수의 장착보스(42...)가 실린더블록(27)의 축선과 평행하게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러버(40) 및 상기 러버(40)의 외부면에 당접한 제1부재(37)에는 각 장착보스(42...)에 대응하여 삽입관통홀(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보스(42)에 일단을 당접시켜서 삽입관통홀(43...)에 삽입관통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제1부재(37)의 외부면에 결합된 원통형상의 마운트고무(44)를 관통한 장착볼트(41...)가 각 장착보스(42...)에 나사결합된다.
제1부재(37)에는 실린더헤드(26)에 나사결합된 점화플러그(45)를 삽입하기 위한 홀(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46)에는 점화플러그(45)의 외주에 밀접한 플러그시일(47)의 외주가 결합된다.
또, 플러그시일(47)에는 점화플러그(45)의 외부단을 덮는 캡(48)이 착탈가능하게 되어 탄발결합된다.
그런데,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헤드(26)의 전방연장선상에서 차체커버(C)의 플로어보드(14)에는 유지보수용 리드(49)가 개폐가능하게 하여 연료탱크(50)가 상기 플로어보드(14)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제1부재(37) 및 제2부재(38)는 실린더블록(27)의 축선을 따른 제1부재(37)의 이동조작에 따른 결합 및 이탈을 가능하게 하여 서로 결합된다.
제7도를 함께 참조하면, 슈라우드(36)의 제2부재(38)에는 냉각팬(34)의 가장 외측 가장자리의 회전궤적(51)에 대체로 대응하여 안쪽 즉 냉각팬(34)측으로 돌출된 환상의 격벽(52)이 돌출설치되며, 이 격벽(52)과 제2부재(38)의 외주벽 사이에는 스크롤 통로(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통로(35)는 냉각팬(34)의 회전방향(53)을 따라 점차 그 유통면적을 증대하는 것이며, 격벽(5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제2부재(38)의 외주벽은 상기 회전방향(53)을 따른 하류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격벽(52)으로부터 점차 이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부재(38)의 스크롤통로(3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냉각팬(34)의 축방향 외부로 팽출된 팽출부(38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팽출부(38a)는 회전방향(53)을 따른 하류쪽을 향함에 따라서 팽출량을 점차 증대하도록 형성된다.
즉, 스크롤통로(35)에 있어서 회전방향(53)을 따른 상류측 제1위치(P1)에서의 팽출부(38a)가 제8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팽출량(L1)일 때 그 제1위치(P1)보다 하류측의 제2 위치(P2)에서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출량(L1)보다 큰 팽출량(L2)으로 팽출부(38a)가 형성되고, 제2위치(P2)보다 하류측인 제3위치(P3)에서는 제10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출량(L2)보다 큰 팽출량(L3)으로 팽출부(38a)가 형성되며, 또한 제3위치(P3)보다 하류측인 제4위치(P4)에서는 제1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출량(L3)보다 큰 팽출량(L4)으로 팽출부(38a)가 형성된다.
제2부재(38)에는 냉각팬(34)을 향하게 한 원형홀(55)이 크랭크축(32)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홀(55)에 통하는 다수의 흡입구(56...)를 간막이부(57) 사이에 가진 커버(58)가 제2부재(38)에 장착되며, 제2부재(38) 및 커버(58) 사이에는 흡음재(59)가 충전된다.
제2부재(38)에는 냉각팬(34)을 향하게 한 원형홀(55)이 크랭크축(32)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홀(55)에 통하는 다수의 흡입구(56...)를 간막이부(57) 사이에 가진 커버(58)가 제2부재(38)에 장착되며, 제2부재(38) 및 커버(58) 사이에는 흡음재(59)에 의해 흡수된다.
다시 제4도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28)에는 후륜(Wr)의 일측까지 연장된 케이스부(6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케이스부(61)에 가스킷(62)을 통해 결합된 케이스부재(63)에 의해 전동케이스(64)가 구성된다.
그리고, 크랭크케이스(28)로부터 돌출된 크랭크축(32)의 타단부와, 전동케이스(64)의 리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후륜(Wr)의 아축(65) 사이에 무단변속기(M)가 설치된다.
이 무단변속기(M)는 종래 주지된 것이므로, 그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크랭크축(32)에는 상기 크랭크축(32)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풀리반체(66)와, 크랭크축(32)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 가동풀리반체(67)로 이루어진 구동측 전동풀리(68)가 설치된다.
고정 및 가동풀리반체(66)(67) 사이에는 V자형상의 환상홈(69)이 형성되며, 상기 환상홈(69)내의 무단형상의 V벨트(70)가 삽입된다.
또, 가동풀리반체(67)의 배면에 있어서, 크랭크축(32)에는 램프 플레이트(71)가 고착되며, 이 램프 플레이트(71)와 가동풀리반체(67) 사이에는 다수의 웨이트로울러(72)가 유동상태로 수용된다.
그리고, 크랭크축(32)의 회전시에 회전수가 증대하면 원심력을 받는 웨이트로울러(72)는 반경방향 외부로 이동하며, 가동풀리반체(67)를 고정풀리반체(66)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양풀리반체(66)(67)에의 V벨트(70)의 접촉반경을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크랭크축(32)과 평행한 종동축(73)이 전동케이스(6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종동축(73)은 감속기어열(74)을 통해 후륜(Wr)의 차축(65)에 연결된다.
상기 종동축(73)은 종래 주지된 원심클러치(75)를 통해 상기 종동축(73)과 같은 축의 종동측 전동풀리(76)에 연결된다.
이 종동측 전동풀리(76)는 구동측 전동풀리(68)와 쌍을 이루는 것으로써 V벨트(70)가 종동측 전동풀리(76)에 감겨진다.
제12도를 함께 참조하면, 전동케이스(64)의 상부에는 기화기(80)와, 상기 기화기(80)에 접속된 에어크리너(81)가 설치된다.
에어크리너(81)는 제1케이스부재(82)와, 제1케이스부재(82)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부재(83) 사이에 여과재(84)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1케이스부재(82) 및 여과재(84) 사이에 미정화실(85)이, 또 제2케이스부재(83) 및 여과재(84) 사이에 정화실(86)이 형성된다.
제1케이스부재(82)에는 미정화실(85)을 통하여 하부로 개구된 흡입관(87)이 접속되며, 제2케이스부재(83)에는 기화기(80)에 접속된 접속관(88)이 일체로 설치된다.
이 에어크리너(81)에 있어서의 제1케이스부재(82)에는 기화기(80)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89)가 전방 쪽으로 뻗어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커버부(89)에는 기화기(80)의 조정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홀(90H)이 이 기화기(8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한편, 슈라우드(36)의 제1부재(37)에 있어서, 실린더블록(27)에 관하여 흡입구(56)와는 반대쪽 위치에는 슈라우드(36)내를 유통하여 와서 승온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도시생략)와, 상기 기화기(80)에 보온용 배기를 유도하기 위한 배기구(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구(90)에는 고무제 접속관(91)이 접속되고, 또 상기 접속관(91)에는 덕트(92)의 일단이 접속된다.
덕트(92)는 한 쌍의 덕트반체(93)(94)가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전동케이스(64)에 있어서 케이스부재(63)에 형성된 오목부(95)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부재(63)의 외부면에 대체로 면일치가 되도록 하여 기화기(80)쪽으로 연장 설치된다.
또한, 덕트(92)의 타단부는 나사부재(96)에 의해 커버부(89)에 체결된다. 또, 덕트(92)의 타단부에는 기화기(80)의 전방측 상부를덮는 커버부(93a)가 덕트반체(93)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덕트(92)에는 기화기(80)에 관한 파이핑류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도시생략)도 설치되어 있다.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케이스(28)의 상부에는 리이드밸브(97)가 배치도니 흡기포트(9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화기(80)는 흡기관(9)을 통해 흡기포트(98)에 연통된다.
또한, 크랭크축(32)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실린더블록(27)의 축선과 흡기포트(98)가 이루는 각도α는 둔각으로 설정되며, 파워유닛(P)을 차체프레임(F)에 지지하는 링크기구(24)의 지축(23)은 실린더블록(27) 및 흡기포트(98)에 의해 형성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13도에 있어서, 흡기관(99)의 하부위치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28)의 상부면에는 오목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크랭크축(32)에 설치된 나사기어(102)에 맞물리는 나사기어(103)가 형성된 입력축(104)을 가진 오일펌프(105)가 그 대부분을 오목부(101)내에 수용되게 하여 크랭크케이스(28)에 장착된다.
그런데, 입력축(104)의 나사기어(103)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케이스(28)내에 있어서, 크랭크축(32)의 사부에서 상기 크랭크축(32)의 나사기어(102)에 맞물리는 것이며, 나사기어(102)(103)의 맞물림에는 전동케이스(64)내의 윤활유에 의한 윤활을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상기 맞물림부 중 적어도 한쪽 예를 들면 나사기어(103)를 가진 입력축(104)의 거의 전체표면에 걸쳐서는 제1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윤활성을 가진 재료, 예를 들면 불소수지 등을 함유한 재료에 의한 도금처리로 피막(106)이 형성된다.
여기서, 입력축(104)이 그 재질을 SCM415H(JIS)로 하고, 침탄 깊이 0.2~0.4mm, 표면경도 HRA78~83이 되는 침탄처리가 가해지는 경우의 도금처리조건 및 열처리조건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도금처리]
도금막 두께 : 20±4㎛
도금피막조성
Ni : 88.2~89.3wt%
P : 9.8~9.9wt%
4불화 에틸렌수지 : 0.8~2.0wt%(3.0~7.0체적%)
4불화 에틸렌 수지직경 : 1㎛이하
도금피막밀도 : 7.3~7.6g/㎥
[열처리]
처리온도 : 300±10℃
처리시간 : 60분 이상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엔진(E)의 작동시에는 크랭크축(32)에 연결되어 있는 냉각팬(34)이 회전작동하여, 흡입구(56)로부터 흡인된 공기가 냉각팬(34)으로부터 스크롤통로(35)를 거쳐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블록(27) 쪽으로 토출되어 나간다.
여기서, 스크롤통로(35)는 냉각팬(34)의 회전방향(53)을 따라 점차 그 유통면적을 증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향(53)을 따른 하류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슈라우드(36)에 있어서의 제2부재(38)의 외주부를 냉각팬(34)의 반경방향 외부로 점차 확대됨과 동시에, 제2부재(38)의 스크롤통로(35)에 대응하는 부분에 냉각팬(34)의 축방향 외부로 팽출된 팽출부(38a)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회전방향(53)을 따르는 스크롤통로(35)의 유통면적증대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롤통로(35)의 유통면적을 회전방향(53)을 따라 이상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냉각팬(34)의 반경방향을 따르는 외부에 대한 상기 제2부재(38)의 확대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냉각팬(34) 및 후륜(Wr) 사이의 거리를 비교적 작게 하더라도 휴륜(Wr)의 유지보수성을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자동 2륜차(V)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스크롤통로(35)로부터의 공기는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블록(27)을 냉각함으로서 승온하며, 일부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나머지 승온공기가 배기구(90)으로부터 접속관(91)을 거쳐서 덕트(92)에 의해 기화기(80)쪽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기화기(80)가 보온되게 된다.
또한, 에어크리너(81)에는 기화기(80)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89)가 일체로 연결설치되며, 덕츠(92)가 상기 커버부(89)에 연결되므로, 상우, 비말 및 주행풍 등의 외부환경인자에 대한 보호작용을, 덕트(92) 및 에어크리너(81)의 커버부(89)가 공동으로 기능하여 상기 외부환경인자에 대한 기화기(8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덕트(92)에 의해 배기구(90)으로부터의 배기를 기화기(80)에 유도하므로, 슈라우드(36)에 기화기(80)를 근접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기화기(80)를 배치한 외의 제약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덕트(92)가 전동케이스(64)에 있어서 케이스부재(63)의 오목부(95)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부재(63)의 외부면에 거의 면일치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서, 상기 전동케이스(64)의 상부에 배치된 에어크리너(81), 덕트(92) 및 전동케이스(64)를 외관상 세련된 일체감을 얻도록 배치할 수 있다.
슈라우드(36)는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블록(27)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제1부재(37)와,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부재(38)가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제1부재(37)는 다수의 장착볼트(41...)에 의해 실린더헤드(26)에 체결된다.
따라서, 실린더헤드(26)와 슈라우드(36) 사이의 간격을 엄밀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실린더헤드(26)의 핀(39...) 사이를 냉각공기가 유통할 때의 유통저항보다 큰 유통저항이 발생하도록 슈라우드(36) 및 실린더헤드(26)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용이하고, 냉각공기에 의한 냉각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슈라우드(36) 및 상기 핀(39...) 사이에 러버(40)가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 핀(39...) 사이를 냉각공기가 확실하게 유통되도록 할 수 있으며, 냉각공기에 의한 냉각효율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러버(40)는 실린더헤드(26)의 핀울림을 억제하는 작용도 발휘하는 것이며, 슈라우드(36)가 마운트고무(44)를 통해 장착볼트(41...)에 의해 실린더헤드(26)에 장착되므로, 진동에 의한 소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블록(27)을 전방측에서부터 덮는 제1부재(37)가 결합방향을 실린더블록(27)의 축선을 따르게 한 장착볼트(41...)에 의해 실린더헤드(26)에 체결됨으로서, 실린더블록(27)의 축선연장상에 있는 유지보수용 리드(49)를 개방한 상태에서 슈라우드(36)의 제1부재(37)를 제거하고, 엔진(E)의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런데, 엔진(E)의 흡기포트(98)는 크랭크축(32)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실린더블록(27)의 축선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여 크랭크케이스(28)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피스톤(30)의 상사점측에의 이동시 흡기포트(98)로부터 크랭크케이스(28)내에 혼합기체를 효율적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파워유닛(P)을 차체프레임(F)에 지지하는 링크기구(24)의 지지축(23)이 실린더블록(27) 및 흡기포트(98)에 의해 좁혀지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후륜(Wr)의 접지점으로부터 지지축(23)까지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파워유닛(P)의 상하요동각을 비교적 작게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엔진(E)의 전체높이를 비교적 낮게 억제하여 기화기(80) 및 에어크리너(81) 등 흡기시스템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품수납실(22)의 용적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오일펌프(105)가 흡기관(99)의 하부방향에서 크랭크케이스(28)에 형성된 오목부(101)내에 대부분이 수용되도록 하여 배치되므로, 흡기관(99)의 흡기포트(98)의 접속에 있어서 흡기관(99)의 배치에 오일펌프(105)가 제약을 주는 일이 없으며, 흡기시스템 배치상의 자유도가 더욱 증대한다.
또한, 오일펌프(105)의 입력축(104)에는 자기윤활성을 가진 재료, 예를 들면 불소수지 등을 포함하는 재료에 의한 도금처리에 의해 피막(106)이 형성되므로, 상기 입력축(104) 나사기어(103)와, 크랭크축(32) 나사기어(102)의 맞물림부가 전동케이스(64)내의 윤활유에 의한 윤활을 기대할 수 없는 크랭크케이스(28)내에 있다고 해도, 충분한 윤활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부, 즉 오일펌프(105)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덕트(92)가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체로 성형된 것이어도 되며, 또 덕트(92) 및 전동케이스(64) 사이에 흡음재를 삽입하여 전동케이스(64) 측으로부터의 방사음을 흡수시키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린더블록(27)의 핀 및 슈라우드(36) 사이에 러버(40)가 삽입되도록 해도 되며, 러버(40)에 플러그시일(47)이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 엔진(E)의 크랭크축(32) 및 후륜(Wr) 사이에 삽입된 전동기구의 케이스 상부에 엔진의 흡기포트(98)에 연결된 기화기(80)와, 상기 기화기에 접속된 에어크리너(81)가 배치되고, 엔진의 실린더블록(27), 실린더헤드(26) 및 크랭크축(32)의 축단부에 연결된 냉각팬(34)이 슈라우드(36)에 의해 덮인 자동 2륜차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36)에는 냉각팬(34)을 향한 흡입구(56)와, 상기 실린더블록(27)에 관하여 흡입구(56)와는 반대쪽에 배치된 배기구(90)가 형성되며, 에어크리너(81)에는 기화기(80)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89)가 일체로 연장설치되고, 상기 배기구(90)에 일단이 연통된 덕트(92)의 타단이 기화기(80)족으로 향해서 연장됨과 동시에 에어크리너(81)의 상기 커버부(8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
- 제1항에 있어서, 차체프레임(F)에는 시이트(20) 하부에서 상하로 뻗은 한 쌍의 프레임부(3)가 설치되며, 양 프레임(3) 사이에 배치된 실린더헤드(26)에 대체로 수평한 축선을 가지고 후방으로 뻗은 실린더블록(27)이 연결되고, 상기 슈라우드(36)는 적어도 실린더헤드(26)를 그 전방측에서부터 덮는 헤드대응부재(37)(38)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대응부재(37)(38)는 결합방향을 실린더블록(27)의 축선을 따라 실린더헤드(26)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34) 주변에 스크롤통로(35)를 형성하우드(36)의 상기 스크롤통로(3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냉각팬(34)의 축방향 외부로 팽출된 팽출부(38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333504 | 1993-12-27 | ||
JP33350493A JP3373921B2 (ja) | 1993-12-27 | 1993-12-27 | 自動二輪車における気化器保温装置 |
JP93-333506 | 1993-12-27 | ||
JP33350693A JP3205657B2 (ja) | 1993-12-27 | 1993-12-27 | 車両用強制空冷エンジン |
JP33350593A JP3205656B2 (ja) | 1993-12-27 | 1993-12-27 | スクータ型車両用強制空冷エンジン |
JP93-333505 | 1993-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7640A KR950017640A (ko) | 1995-07-20 |
KR0170442B1 true KR0170442B1 (ko) | 1999-03-30 |
Family
ID=2734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7480A KR0170442B1 (ko) | 1993-12-27 | 1994-12-27 | 자동2륜차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0170442B1 (ko) |
CN (1) | CN1042311C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353B1 (ko) * | 2002-05-31 | 2004-11-06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기화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4415B1 (ko) * | 1997-12-30 | 2001-09-17 | 배명진 | 스쿠터형 이륜 자동차의 흡기장치 |
TWI254006B (en) * | 2002-06-17 | 2006-05-01 | Yamaha Motor Co Ltd | Air intake device for scooter-type two-wheeled motor vehicle |
JP4732375B2 (ja) * | 2007-02-05 | 2011-07-2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強制空冷式内燃機関 |
MX2018001383A (es) * | 2017-02-01 | 2018-11-29 | Tvs Motor Co Ltd | Un sistema de enfriamiento para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1887A (en) * | 1979-08-21 | 1981-03-31 | Honda Motor Co Ltd | Transmitting case device for autobicycle |
-
1994
- 1994-12-26 CN CN94113415A patent/CN104231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2-27 KR KR1019940037480A patent/KR01704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353B1 (ko) * | 2002-05-31 | 2004-11-06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기화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1202A (zh) | 1995-11-08 |
CN1042311C (zh) | 1999-03-03 |
KR950017640A (ko) | 1995-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02181B2 (en) | Engine | |
US6598595B2 (en) | Breather device for motorcycle | |
US6557438B2 (en) | Breather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vehicles | |
JP3881796B2 (ja) | エンジンの冷却装置 | |
US6557516B2 (en) | Engine unit for a vehicle | |
CA2438507C (en) | Component arrangement for snowmobile | |
JP3435143B2 (ja) | オーバヘッドカム型v型エンジン | |
KR0170442B1 (ko) | 자동2륜차 | |
JP5486872B2 (ja) | パワーユニットの冷却装置 | |
JP2011163429A (ja) | パワーユニットのブリーザ構造 | |
KR0162927B1 (ko) | 파워유니트가 스윙가능한 자동2륜차 | |
JP3466352B2 (ja) | 4サイクル内燃機関のオイル供給装置 | |
EP1170480B1 (en) | Motorcycle, especially scooter type motorcycle | |
JP4999582B2 (ja) | 自動二輪車用パワーユニットの変速機ケース冷却構造 | |
JP2923352B2 (ja) | 自動二輪車 | |
KR0156509B1 (ko) | 엔진출력 취출장치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 |
EP1170475B1 (en) | Motorcycle, especially scooter type motorcycle | |
JP3373921B2 (ja) | 自動二輪車における気化器保温装置 | |
EP0957249B1 (en) | Outboard motor | |
JP2753727B2 (ja) | 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を備えた自動二輪車 | |
JP4970171B2 (ja) | 車両用ブローバイガス換気装置 | |
EP1170479B1 (en) | Motorcycle, especially scooter type motorcycle | |
JP3205656B2 (ja) | スクータ型車両用強制空冷エンジン | |
JP2762108B2 (ja) |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パワーユニットの始動装置 | |
JP3805506B2 (ja) | ドライサンプ潤滑式4サイクルエンジン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807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