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927B1 - 파워유니트가 스윙가능한 자동2륜차 - Google Patents

파워유니트가 스윙가능한 자동2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927B1
KR0162927B1 KR1019940037479A KR19940037479A KR0162927B1 KR 0162927 B1 KR0162927 B1 KR 0162927B1 KR 1019940037479 A KR1019940037479 A KR 1019940037479A KR 19940037479 A KR19940037479 A KR 19940037479A KR 0162927 B1 KR0162927 B1 KR 016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power unit
body frame
crankcase
intak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639A (ko
Inventor
아키오 야가사키
가즈오키 우키아나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5001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5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tw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이트의 하부방향에 물품수납실이 형성되고, 2싸이클엔진이 그 실린더 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해서 상기 시이트의 하부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 및 상기 엔진의 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전동기구으로 구성되는 파워유니트가 차체프레임에 스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자동2륜차에 있어서, 흡기 시스템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크게 함과 동시에 엔진의 전체높이를 비교적 낮게 억제하는외에, 파워 유니트의 스윙각을 비교적 작게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동2륜차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E)의 크랭크케이스(28) 상부에는, 대략 수평인 실린더축선과 둔각을 이루는 흡기포트(98)가 설치되고, 실린더블록(27) 및 흡기포트(98)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파워유니트가 차체프레임에 스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Description

파워유니트가 스윙가능한 자동2륜차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쿠터형 자동2륜차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2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요부 확대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4-4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라 절결한 부분절결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6-6선 확대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4도의 화살표 7-7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8도는 제7도의 8-8선 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7도의 9-9선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7도의 10-10선 단면도이다.
제11도는 제7도의 11-11선 단면도이다.
제12도는 제3도의 12-12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13도는 제4도의 13-13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오일펌프의 입력축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시이트 22 : 물품수납실
27 : 실린더블록 28 : 크랭크케이스
32 : 크랭크축 89 : 흡기포트
E : 2싸이클엔진 F: 차체프레임
M : 전동기구로서의 무단변속기 P : 파워유니트
V : 자동2륜차 Wr : 후륜
본 발명은 시이트의 하부에 물품수납실이 형성되고, 2싸이클엔진이 그 실린더 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해서 상기 시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엔진 및 상기 엔진의 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전동기구로 구성되는 파워유니트가 차체프레임에 스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자동2륜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자동2륜차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4-59454호 공보 등에 의해 이미 알려져있다.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파워 유니트를 차체 프레임에 지지시키는 지지축이 엔진의 앞쪽 하부위치에 배설되고, 기화기등의 흡기시스템은 엔진의 상부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그런데, 지축과 후륜의 접지점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고, 따라서 파워 유니트의 스윙각도가 비교적 커지며, 또 엔진의 배기시스템의 처리에 제약을 받는다. 그래서, 파워유니트를 엔진의 상부에서 차체프레임에 지지시키는 것을 단순하게 생각할 수 있으나, 그 경우 흡기시스템의 배치상의 자유도가 좁아지는 것을 피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 엔진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면 물품수납실의 용적도 감소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흡기시스템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크게 함과 동시에 엔진의 전체높이를 비교적 낮게 억제한 다음에, 파워 유니트의 스윙각을 비교적 작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2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이트의 하부에 물품수납실이 형성되고, 2싸이클엔진이 그 실린더 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해서 상기 시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엔진 및 상기 엔진의 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전동기구로 구성되는 파워유니트가 차체프레임에 스윙이 가능하게 지지된 자동2륜차에 있어서,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의 상부에는 크랭크 축의 측선에 직교하는평면내에서 대략 수평인 실린더 측선과 둔각을이루는 흡기포트가 설치되고, 실린더블록 및 흡기포트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파워유니트가 차체프레임에 스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스쿠터형 자동2륜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2 방향에서 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라서 절결한 부분절결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6-6선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7-7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8-8선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9-9선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10-10선 단면도, 제11도는 제7도의 11-11선 단면도, 제12도는 제3도의 12-12선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제4도의 13-13선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오일펌프의 입력축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스쿠터형 자동2륜차(V)의 차체프레임(F)은, 전륜(Wf)을 현가시킨 프론트포크(7)를 조작가능하게 지지한 헤드 파이프(1), 상기 헤드 파이프(1)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뻗은 다운 튜브(2) 및 상기 다운 튜브(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후방으로 뻗은 리어 프레임(3)등을 구비한다. 상기 리어 프레임(3)은 앞쪽 단부가 다운 튜브(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후방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뻗은 한 쌍의 프론트부 프레임부(3a)(3a)와, 양 프론트부 프레임부(3a)(3a)의 후단으로부터 후측 상부로 뻗은 한 쌍의 중간 프레임부(3b)(3b)와, 양 중간 프레임부(3b)(3b)의 후단을 상호 연결하는 리어부 프레임부(3c)를 가지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차체프레임(F)은 차체커버(C)에 의해 덮혀진 것으로서, 이 차체커버(C)는 헤드 파이프(1)의 프론트부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프론트커버(11), 상기 프론트커버(11)에 접합되어 운전자의 다리부분 앞쪽을 덮는 레그쉴드(leg shield)(12), 상기 프론트커버(11) 및 레그쉴드(12)에 접합되어 프론트부 차체의 양측을 덮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커버(13)(13), 상기 레그쉴드(12)에 접합되어 운전자의 발을 지지하는 플로어 보드(floor board)(14),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3)(13) 및 플로어 보드(14)에 접합되어 리어부 차체의 양측면을 덮는 좌우 한쌍의 리어 로어 커버(16)(16) 및 양 리어 로어 커버(16)(16) 및 플로어 보드(14)에 접합되는 리어 어퍼 커버(17)등을 구비하며, 상기 리어 어퍼 커버(17)의 리어부에는, 후륜(Wr)의 상부를 덮는 리어펜더(18)가 장착된다. 리어 어퍼 커버(17)의 상부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그 상부면 개구부는 운전자가 앉는 시이트(20)에 의해 덮혀진다. 그리고, 시이트(20)는 개폐가능하게 리어 어퍼 커버(17)의 상단부에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상단부를 개구시킨 화물박스(luggage box)(21) 가 리어 어퍼 커버(17)의 상부내에 수납, 배설됨으로써, 시이트(20)의 하부방향에 헬멧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물품수납실(22)이 형성되고, 상기 물품수납실(22)은 시이트(20)에 의해 개폐되게 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후륜(Wr)은 차체프레임(F)에 스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파워유니트(P)의 리어부에 축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워유니트(P)는 강제공냉식인 2싸이클 엔진(E)과, 상기 엔진(E)의 출력을 상기 후륜(Wr)에 전달하는 전동기구로서의 무단변속기(M)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파워유니트(P)의 프론트부는 후륜(Wr)의 회전축선과 평행한 지지축(23)을 갖는 링크기구(24)를 통해서 상기 차체프레임(F)에 있어서의 리어 프레임(3)의 양 중간프레임부(3b)(3b)에 스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파워유니트(P) 의 리어부 및 상기 리어 프레임(3) 사이에는 리어 크락숀(25)이 설치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2싸이클 엔진(E)의 실린더헤드(26)는, 상기 리어 프레임(3)의 양 중간 프레임부(3b)(3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헤드(26)에는 대략 수평인 축선을 가지고 실린더 블록(27)의 전단부가 결합되고, 실린더 블록(27)의 후단부에는 크랭크케이스(28)가 결합된다. 실린더 블록(27)의 실린더 보어(29)에는 피스톤(30)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30)은 연접봉(31)을 통해서 크랭크축(32)에 연결된다.
크랭크케이스(28)로부터 돌출된 크랭크축(32)의 일단부에는 발전기(33)를 통해서 냉각팬(3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팬(34)의 주위에 스크롤통로(35)를 형성하는 슈라우드(shroud)(36)에 의해 냉각팬(34),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 블록(27)이 덮혀진다.
제6도를 아울러 참조하여, 슈라우드(36)는 적어도 실린더헤드(26)(이 실시예에서는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 블록(27))를 전방측으로부터 덮는 헤드 대응부재로서의 제1부재(37)와, 잔여부분을 덮는 제2부재(38)가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제1부재(37)는 실린더헤드(26)에 설치된 다수의 핀(pin)(39… )의 선단 사이에 러버(rubber)(40)가 게재된 상태에서, 체결방향을 실린더 블록(27)의 축선을 따르게 한 복수의 부착볼트(41… )에 의해 실린더헤드(26)에 체결된다. 즉, 실린더헤드(26)에는 러버(40)의 내면에 선단부를 당접시키는 복수의 부착보스(42… )가 실린더 블록(27)의 축선과 평행하게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러버(40) 및 상기 러버(40)의 바깥면에 당접한 제1부재(37)에는 각 부착보스(42… )에 대응하여 삽통홀(43… )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착보스(42… )에 일단을 당접시켜서 삽통홀(43… )에 삽통시킴과 동시에 타단이 제1부재(37)의 바깥면에 계합되는 원통형상의 마운트고무(44)를 관통한 부착볼트(41… )가 각 부착보스(42… )에 나사결합된다.
제1부재(37)에는, 실린더헤드(26)에 나사결합되는 점화플러그(45)를 삽입하기 위한 홀(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46)에는 점화플러그(45)의 바깥둘레에 밀접하는 플러그시일(47)의 바깥둘레가 계합된다. 또, 플러그시일(47)에는 점화플러그(45)의 외단부를 덮는 캡(48)이 착탈이 가능하게 해서 탄발계합된다.
그런데,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26)의 전방 연장선상에서, 차체커버(C)의 플로어 보드(14)에는, 유지보수용 리드(49)가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보수용 리드(49)의 개방시에 급유를 가능하게 해서 연료탱크(50)가 상기 플로어 보드(14)의 하부방향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제1부재(37) 및 제2부재(38)는, 실린더 블록(27)의 축선을 따른 제1부재(37)의 이동조작에 따른 계합 및 이탈을 가능케 하여 상호계합된다.
제7도를 아울러 참조하여, 슈라우드(36)의 제2부재(38)에는 냉각팬(34)의 가장 바깥가장자리의 회전궤적(51)에 대략적으로 대응하여 내부측 즉, 냉각팬(34) 측으로 돌출된 환형상의 격벽(52)이 돌출설치되고, 이 격벽(52)과 제2부재(38)의 외주벽 사이에 스크롤통로(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통로(35)는, 냉각팬(34)의 회전방향(53)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그 유통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격벽(5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제2부재(38)의 외주벽은, 상기 회전방향(53)을 따른 하류측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격벽(52)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이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부재(38)의 스크롤통로(3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냉각팬(34)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팽창되어 나온 팽출부(3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팽출부(38a)는 회전방향(53)을 따른 하류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팽출량을 점차적으로 증대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스크롤통로(35)에 있어서 회전방향(53)을 따른 상류측의 제1위치(P1)에서의 팽출부(38a)가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팽출량(L1)일 때에, 제1위치(P1)보다 하류측인 제2위치(P2)에서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팽출량(L1)보다 큰 팽출량(L2)으로 팽출부(38a)가 형성되고, 제2위치(P2)보다 하류측인 제3위치(P3)에서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팽출량(L2)보다 큰 팽출량(L3)으로 팽출부(38a)가 형성되며, 또한 제3위치(P3)보다 하류측의 제4위치(P4)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팽출량(L3)보다 큰 팽출량(L4)으로 팽출부(38a)가 형성된다.
제2부재(38)에는 냉각팬(34)을 향한 원형홀(55)이 크랭크축(32)과 동축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형홀(55)로 통하는 흡입구(56…)를 칸막이부(57) 사이에 둔 커버(58)가 제2부재(38)에 부착되며, 제2부재(38) 및 커버(58) 사이에는 흡음재(59)가 충전된다. 그리고, 제2부재(38)의 흡음재(59)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다수의 홀(60… )이 형성되어 있으며, 슈라우드(36)내에서 생긴 소음이 그들 홀(60… )을 통해서 흡음재(59)에 의해 흡수된다.
다시 제4도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28)는 후륜(Wr)의 일측방향까지 뻗은 케이스부(6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케이스부(61)에 개스킷(62)을 통해서 결합된 케이스부(63)에 의해 전동케이스(64)가 구성된다. 그리고, 크랭크케이스(28)로부터 돌출된 크랭크축(32)의 타단부와, 전동케이스(64)의 리어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후륜(Wr)의 차륜(65) 차이에 무단변속기(M)가 설치된다.
이 무단변속기(M)는 종래 주지된 것으로서, 그 구성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크랭크축(32)에는 상기 크랭크축(32)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풀리반체(66)와, 크랭크축(32)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풀리반체(67)로 이루어진 구동측 전동풀리(68)가 설치된다. 고정 및 가동풀리반체(66)(67) 사이에는 V자형상의 환형상 홈(69)이 형성되며, 상기 환형상 홈(69)내에 무단형상의 V벨트(70)가 삽입된다. 또, 가동풀리반체(67)의 배면에 있어서, 크랭크축(32)에는 램프플레이트(71)가 고착되고, 이 램프플레이트(71)와 가동풀리반체(67) 사이에는, 복수의 웨이트롤러(72)가 부동상태로 수용된다. 그리고 크랭크축(32)의 회전시에 회전수가 증대하면, 원심력을 받는 웨이트롤러(72)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가동풀리반체(67)를 고정풀리반체(66)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지않고, 그것에 의해 양 풀리반체(66)(67)에의 V벨트(70)의 접촉반경을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크랭크축(32)과 평행한 종동축(73)이 전동케이스(64)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종동축(73)은 감속톱니바퀴열(74)을 통해서 후륜(Wr)의 차축(65)에 연결된다.
상기 종동축(73)은 종래 주지된 원심클러치(75)를 통해서, 상기 종동축(73)과 동축인 종동축 전동풀리(76)에 연결된다. 종동축 전동풀리(76)는 구동축 전동풀리(68)와 쌍을 이루는 것으로서, V벨트(70)가 구동축 전동풀리(68)에 감겨진다.
제12도를 참조하면, 전동케이스(64)의 상부에는 기화기(80)와, 상기 기화기(80)에 접속되는 에어클리너(81)가 배설된다. 상기 에어클리너(81)는, 제1케이스부재(82)와, 제1케이스부재(82)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부재(83) 사이에 여과재(84)가 끼워져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케이스부재(82) 및 여과재(84) 사이에 미정화실(85)이, 또한 제2케이스부재(83) 및 여과재(84) 사이에 정화실(86)이 형성된다. 제1케이스부재(82)에는 미정화실(85)를 통해서 하부방향으로 개구되는 흡기관(87)이 접속되고, 제2케이스부재(83)에는, 기화기(80)에 접속되는 접속관(88)이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이 에어클리너(81)에 있어서의 제1케이스부재(82)에는, 기화기(80)의 외부방향을 덮는 커버부(89)가 앞쪽으로 뻗어서 일체적으로 연설(連設)되고, 상기 커버부(89)에는 기화기(80)의 조정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홀(89a)이 기화기(80)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한편, 슈라우드(36)의 제1부재(37)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27)에 관하여 흡입구(56)와는 반대측 위치에는, 슈라우드(36)내를 유통해와서 승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도시생략)와, 상기 기화기(80)에 보온용의 공기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공기배출구(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배출구(90)에는 고무제 접속관(91)이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접속관(91)에 덕트(92)의 일단이 접속된다.
덕트(92)는 한 쌍의 덕트반체(93)(94)가 상호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동케이스(64)에 있어서의 케이스부(63)에 형성된 오목부(95)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부(63)의 외부면에 대략 일치하도록 해서 기화기(80)측으로 뻗어서 설치된다. 또한, 덕트(92)의 타단부는 나사부재(96)에 의해 커버부(89)에 체결된다. 또, 덕트(92)의 타단부에는 기화기(80)의 전방측 상부를 덮는 커버부(93a)가 덕트반체(93)와 일체로 하여 설치된다. 또한, 덕트(92)에는 기화기(80)에 관한 파이핑류를계합하기 위한 계합부(도시생략)도 설치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케이스(28)의 상부에는 리드밸브(97)가 배치되는 흡기포트(9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화기(80)는 흡기관(99)을 통해서 흡기포트(98)에 연통된다. 또한, 크랭크축(32)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실린더 블록(27)의 축선과 흡기포트(98)가 이루는 각도(α)는 둔각으로 설정되며, 파워유니트(P)를 차체프레임(F)에 지지시키는 링크기구(24)의 지지축(23)은 실린더 블록(27) 및 흡기포트(98)에 의해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한다.
제13도에 있어서, 흡기관(99)의 하부위치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28)의 상부면에는 오목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축(32)에 형성된 나사톱니바퀴(102)에 맞물리는 나사톱니바퀴(103)가 형성된 입력축(104)을 가진 오일펌프(105)가, 그 대부분을 오목부(101) 내에 수용되도록 해서 크랭크케이스(28)에 부착된다.
그런데, 입력축(104)의 나사톱니바퀴(103)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케이스(28)내에 있어서, 크랭크축(32)의 상부측에 상기 크랭크축(32)의 나사톱니바퀴(102)에 맞물리는 것으로서, 나사톱니바퀴(102)(103)의 맞물림부에는 전동케이스(64)내의 윤활유에 의한 윤활을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상기 맞물림부의 적어도 한 쪽, 예를 들면 나사톱니바퀴(103)를 가진 입력축(104)의 대략 전체 표면에 걸쳐서는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윤활성을 지닌 재료, 예를 들면 불소수지 등을 함유하는 재료에 의한 도금처리에 의해 피막(106)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입력축(104)이 그 재질을 SCM415H(JIS)로 하여, 침탄깊이 0.2mm~0.4mm 표면경도가 HRA 78 ~ 83이 되는 침탄처리가 행해져 있는 경우의 도금처리조건 및 열처리 조건은 다음과 같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엔진(E)의 작동시에는, 크랭크축(32)에 연결되어 있는 냉각팬(34)이 회전작동하고, 흡입구(56)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가 냉각팬(34)으로부터 스크롤통로(35)를 거쳐서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 블록(27)으로 토출되어 나간다. 여기에서, 스크롤통로(35)에는, 냉각팬(34)의 회전방향(53)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그 유통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향(53)을 따른 하류측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슈라우드(36)의 제2부재(38)의 외주부를 냉각팬(34)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점차 확대시킴과 동시에, 제2부재(38)의 스크롤통로(35)에 대응하는 부분에 냉각팬(34)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팽출된 팽출부(38a)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회전방향(53)을 따른 스크롤통로(35)의 유통면적증대를 꾀하도록 하고, 따라서, 스크롤통로(35)의 유통면적을 회전방향(53)을 따라서 이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냉각팬(34)의 반경방향을 따른 바깥쪽으로의 상기 제2부재(38)의 확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며, 냉각팬(34) 및 후륜(Wr) 사이의 거리를 비교적 작게 해도 후륜(Wr)의 유지보수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자동2륜차(V)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스크롤통로(35)로부터의 공기는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 블록(27)을 냉각함으로써 승온되어, 일부가 외부에 배출됨과 동시에, 잔여의 승온공기가 공기배출구(90)로부터 접속관(91)을 거쳐 덕트(92)에 의해 기화기(80)를 향해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기화기(80)가 보온되게 된다. 또한 에어클리너(81)에는 기화기(80)의 외측방향을 덮는 커버부(89)가 일체적으로 연설되고, 덕트(92)가 상기 커버부(89)에 연결되므로, 강우, 물보라 및 주행풍 등의 외부환경요인에 대한 보호작용을, 덕트(92) 및 에어클리너(81)의 커버부(89)가 함께 행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환경요인에 대한 기화기(8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덕트(92)에 의해 공기배출구(90)로부터의 공기배출을 기화기(80)로 안내하므로, 슈라우드(36)에 기화기(80)를 근접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기화기(80)를 배치함으로써의 제약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덕트(92)가 전동케이스(64)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재(63)의 오목부(95)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부재(63)의 외부면에 대체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동케이스(64)의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클리너(81), 덕트(92) 및 전동케이스(64)를 외관상 깔끔한 일체감을 주도록 배치할 수 있다.
슈라우드(36)는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 블록(27)을 전방측으로부터 덮는 제1부재(37)와, 잔여부분을 덮는 제2부재(38)가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부재(37)는 복수의 부착볼트(41… )에 의해 실린더헤드(26)에 장착된다. 따라서, 실린더헤드(26)와 슈라우드(36) 사이의 간격을 엄밀히 설정할 수 있으며, 실린더헤드(26)의 핀(39… ) 사이를 냉각공기가 유통할 때의 유통저항보다 큰 유통저항이 생기도록 슈라우드(36) 및 실린더헤드(26)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용이하며, 냉각공기에 의한 냉각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와 같이 슈라우드(36) 및 상기 핀(39 …) 사이에 러버(40)가 끼워질 경우에는, 상기 핀(39 …) 사이를 냉각공기가 확실히 유통되게 할 수 있으며, 냉각공기에 의한 냉각효율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러버(40)는 실린더헤드(26)의 핀울림을 억제하는 작용도 발휘하는 것으로서, 슈라우드(36)가 마운트고무(44)를 통해서 부착볼트(41...)에 의해 실린더헤드(26)에 부착되므로, 진동에 의한 소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 블록(27)을 전방측으로부터 덮는 제1부재(37)가 체결방향을 실린더 블록(27)의 축선에 따르게 한 부착볼트(41...)에 의해 실린더헤드(26)에 장착됨으로써, 실린더 블록(27)의 축선 연장선상에 있는 유지보수용 리드(49)를 개방한 상태에서 슈라우드(36)의 제1부재(37)를 떼어내고, 엔진(E)의 유지보수작업을 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런데, 엔진(E)의 흡기포트(98)는 크랭크축(32)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실린더 블록(27)의 축선과 둔각을 이루도록 해서 크랭크케이스(28)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피스톤(30)의 상사점측으로의 이동시에 흡기포트(98)로부터 크랭크케이스(28) 내에 혼합공기를 효율좋게 흡입할 수 있다. 또, 파워유니트(P)를 차체프레임(F)에 지지시키는 링크기구(24)의 지지축(23)이 실린더 블록(27) 및 흡기포트(98)에 의해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후륜(Wr)의 접지점으로부터 지지축(23)까지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파워유니트(P)의 상하스윙각을 비교적 작게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엔진(E)의 전체높이를 비교적 낮게 억제하여 기화기(80) 및 에어클리너(81) 등의 흡기시스템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물품수납실(22)의 용적증대에서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오일펌프(105)가 흡기관(99)의 하부에서 크랭크케이스(28)에 형성된 오목부(101)내에 대부분이 수용되도록 해서 배치되므로, 흡기관(99)의 흡기포트(98)에의 접속에 있어서 흡기관(99)의 배치에 오일펌프(105)가 제약을 주지 않고, 흡기시스템 배치상의 자유도가 더욱 증대한다.
또한, 오일펌프(105)의 입력축(104)에는 자기윤활성을 가진 재료, 예를 들면, 불소수지 등을 함유하는 재료에 의한 도금처리에 의해 피막(106)이 형성되므로, 상기 입력축(104)의 나사톱니바퀴(103)와 크랭크축(32)의 나사톱니바퀴(102)와 맞물림부가, 전동케이스(64)내의 윤활유에 의한 윤활을 기대할 수 없는 크랭크케이스(28)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충분한 윤활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부 즉 오일펌프(105)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설계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상부에는 크랭크 축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대략 수평인 실린더 축선과 둔각을 이루는 흡기포트가 설치되고, 실린더 블록 및 흡기포트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파워유니트가 차체 프레임에 스윙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흡기포트로부터 크랭크케이스내에 혼합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또 후륜의 접지점으로부터 스윙지점까지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설정하여 파워유니트의 상하스윙각을 비교적 작게 억제할 수 있으며, 엔진의 전체높이를 비교적 낮게 억제하여 물품수납실의 용적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흡기시스템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시이트(20)의 하부방향에 물품수납실(22)이 형성되고, 2싸이클엔진(E)이 그 실린더 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해서 상기 시이트(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E) 및 상기 엔진(E)의 동력을 후륜(Wr)에 전달하는 전동기구(M)으로 구성되는 파워유니트(P)가 차체프레임(F)에 스윙가능하게 지지되는 자동2륜차에 있어서, 엔진(E)의 크랭크케이스(28) 상부에는, 크랭크축(32)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대략 수평한 실린더 축선과 둔각을 이루는 흡기포트(98)가 설치되고, 실린더 블록(27) 및 흡기포트(98)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파워유니트(P)가 차체프레임(F)에 스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워유니트(P)가 스윙가능한 자동2륜차.
KR1019940037479A 1993-12-27 1994-12-27 파워유니트가 스윙가능한 자동2륜차 KR0162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3507 1993-12-27
JP33350793A JP3569539B2 (ja) 1993-12-27 1993-12-27 自動二輪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639A KR950017639A (ko) 1995-07-20
KR0162927B1 true KR0162927B1 (ko) 1998-12-01

Family

ID=1826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479A KR0162927B1 (ko) 1993-12-27 1994-12-27 파워유니트가 스윙가능한 자동2륜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569539B2 (ko)
KR (1) KR0162927B1 (ko)
CN (1) CN1045568C (ko)
ES (1) ES2116187B1 (ko)
FR (1) FR2714353A1 (ko)
IT (1) IT1268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670A (ja) * 1998-07-09 2000-01-25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2004231172A (ja) * 2003-01-10 2004-08-19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装置
US20090277709A1 (en) * 2006-06-19 2009-11-1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otorcycle
JP4844616B2 (ja) * 2008-10-24 2011-12-28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WO2018135190A1 (ja) * 2017-01-18 2019-06-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4645A1 (de) * 1985-12-27 1987-08-27 Honda Motor Co Ltd Motorroller-fahrzeug
ES2059713T3 (es) * 1988-01-08 1994-11-16 Honda Motor Co Ltd Moto scooter.
JPH0337260U (ko) * 1989-08-23 1991-04-11
DE69106599T2 (de) * 1990-06-21 1995-05-18 Suzuki Co Ltd Rollerartiges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14353B1 (ko) 1997-02-07
ITTO941072A0 (it) 1994-12-23
KR950017639A (ko) 1995-07-20
CN1045568C (zh) 1999-10-13
JPH07187050A (ja) 1995-07-25
JP3569539B2 (ja) 2004-09-22
ES2116187B1 (es) 1999-01-01
FR2714353A1 (fr) 1995-06-30
ITTO941072A1 (it) 1996-06-23
ES2116187A1 (es) 1998-07-01
CN1111583A (zh) 1995-11-15
IT1268197B1 (it)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435B1 (en) Cooling air intake structure for v-belt type stepless transmission
US6142129A (en) Breather apparatus for engine
US6311483B1 (en) Apparatus for feeding secondary air to exhaust gas in engine
US6305332B1 (en) Cooling assembly for engine
EP0806557A1 (en)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707141B1 (en) Motorcycle
US6192865B1 (en)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vehicular engine
KR101063066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냉각 구조
CA2352724C (en) Valve-operating device with breather system in engine
JP3908983B2 (ja) 自動二輪車用強制空冷式エンジン
KR0162927B1 (ko) 파워유니트가 스윙가능한 자동2륜차
KR100688221B1 (ko) 내연기관의 보조 기구 부착 구조
US8454401B2 (en) Outboard motor
CA2224833C (en) Outboard engine
KR0170442B1 (ko) 자동2륜차
JP2000310118A (ja) 船外機のサイレンサ装置
JP2001123833A (ja) 強制空冷式筒内噴射エンジン
JP337392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気化器保温装置
JP2923352B2 (ja) 自動二輪車
JP3397083B2 (ja) 船外機の吸気構造
KR0137906B1 (ko)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
EP2014890B1 (en) Cooling system of engine for motorcycle
EP1172543B1 (en) Seal structure between cylinder head and head cover in engine
US6209505B1 (en) Four-cycle engine for vehicle
US6626714B2 (en) Oil pump arrangement for marine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