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520B1 -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 및 수단 - Google Patents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 및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520B1
KR0169520B1 KR1019940023885A KR19940023885A KR0169520B1 KR 0169520 B1 KR0169520 B1 KR 0169520B1 KR 1019940023885 A KR1019940023885 A KR 1019940023885A KR 19940023885 A KR19940023885 A KR 19940023885A KR 0169520 B1 KR0169520 B1 KR 016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eader
printing
developing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352A (ko
Inventor
야스노부 시마무라
다쿠야 야마모토
히사시 네고로
유타카 기요나가
시게루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간이치
Publication of KR95000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 G03D13/003Film feed or extraction in development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03D3/13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for long films or prints in the shape of strips, e.g. fed by roller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Abstract

한 롤의 필름에 부착된 리더는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을 처리하는 동안 필름으로부터 제거된다. 인화 장치에 필름을 이송하기 전에, 리더는 필름으로부터 분리된다.
필름 건조장치로부터 인화 장치로 연장한 필름 이송방향이 전환하는 전환점에서, 필림은 똑바로 앞으로 이송되며, 리더는 절단기에 의해 필름제거된다. 그 후 필름은 역방향으로 뒤로 이송되며, 그 끝은 가이드에 의해 위로 향해진다. 인화 장치가 비워져있는 경우에, 리더없는 필름은 인화 장치에 이송된다.

Description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 및 수단
제1도는 일 실시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Ⅰ-Ⅰ)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Ⅱ-Ⅱ)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Ⅲ-Ⅲ)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일 실시예의 개략 투시도.
제6도는 일 실시예의 일부 개략 투시도.
제7a 내지 7b도는 작동방법을 개시하는 일 실시예의 개략도.
제8도는 일 실시예의 일부 개략 투시도.
제9도는 일 실실예의 일부 개략 정면 단면도.
제10도는 일 실시예의 일부 개략 정면도.
제11a 내지 11b도는 일 실시예의 필름 가이드의 투시도.
제12a 내지 12d도는 일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
제13도는 다른 실시예의 개략 투시도.
제14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 투시도.
제15도는 리더(leader)가 부착된 필름의 투시도. 그리고,
제16도는 종래 기술의 개략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필름을 현상하고, 건조하며, 사진용지(photographic paper)위에 필름의 화상을 인화하며, 그리고 사진용지를 현상하고, 건조하는 사진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종류의 사진 처리기는 다수의 처리탱크로 구성되는 필름 현상장치(A), 필름 건조장치(B), 인화 장치(C), 다수의 처리탱크를 가지는 인화지 현상장치(D) 및 인화지 건조장치(E)를 가진다. 필름(F)은 장치(A, B 및 C)를 통해 이송된다. 한 롤의 사진용지(P)는 장치(C, D 및 E)를 통해 이송된다. 필름 및 사진용지를 이송하는 동안, 필름은 현상되고, 건조되며, 그 위에 화상은 사진 용지 위에 인화된다. 이에 따라 인화된 사진용지는 현상되고 건조된다. 이들 단계는 모두 자동으로 수행된다. 제16도에 사용된 부재번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다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는 실시예에 설명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현상되지 않은 필름의 화상은 정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한 필름 피드롤러(film feed roller)와 접촉하지 않게 그들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을 안정하게 이송하기 위해서는 리더(leader)가 각각의 필름의 선단에 부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F)의 선단에 리더(L)를 부착(본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필름은 피드롤러 사이에 리더(L)가 끼워지는 동시에 가이드에 의해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가 유도되어 필름 현상장치(A) 및 필름 건조장치(B)를 통해 이송된다.
사진분야에 있어서, 필름 현상장치(A) 및 필름 건조장치(B)는 필름 처리기로써 포괄적으로 보통 인용되며, 인화 장치(C), 인화지 현상장치(D) 및 인화지 건조장치(E)는 인화 처리기로 포괄적으로 인용된다.
리더(L)에 의해 유도된 필름(F)을 필름 처리기에 이송하는 것은 편리한 방법이지만, 리더(L)가 필름에 부착된 채로 (음화 마스크(14)의 이송경로내에) 장치(C)를 통해 필름(F)를 이송하는 것은, 필름 인화 장치(C)의 구조를 고려하면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화 장치(C)를 포함한 인화 처리기로부터 개별적으로 필름 현상장치(A)를 포함한 필름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은, 접착 테이프(t)를 벗기거나 또는 점선을 따라 필름(F)선단을 자름으로써 필름 처리기 외부에서 이송된 모든 필름(F)으로부터 리더(L)를 분리하고, 그 후에 인화 처리기의 필름 입구(14a)내에 이제 리더가 없는 필름을 직접 삽입하기 위해서 이제까지 필요했다. 상기 작업은 극도로 귀찮고 시간을 소모하는 일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공보 3-265851은 리더(L)를 자동적으로 자르고 인화 처리기내에 리더없는 필름을 공급하는 해결책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 리더(L)는 직선 이송경로를 따라 필름을 이송하는 동안에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단계가 절단된 리더를 처리하는데 요구되었다.
또한 직선으로 필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다소 긴 사진 처리기가 요구된다. 그러한 긴 장치의 성치를 허용하는 장소를 찾는 것은 오늘날 특히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소형장치가 요구된다. 처리기의 크리를 감소하는 한 방법은 필름 이송 경로의 중간지점에서 필름 이송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필름 처리기와 인화 처리기 사이에 위치적 관계를 변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이송경로가 그 중간지점에서 반전되더라도 리더의 원활한 분리를 가능케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필름 현상장치, 필름 건조장치, 인화 장치, 사진용지 현상장치 및 사진용지 건조장치로 구성되는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을 현상하고 건조하기 위해 필름 현상장치 및 필름 건조장치를 통해 그 선단에 리더가 부착된 필름을 이송하는 단계,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단계, 인화 장치내에 필름을 이송하는 단계 및 사진용지 위에 필름의 화상을 인화하고 사진 용지를 현상하고, 건조하기 위해 인화 장치, 사진용지 현상장치 및 사진용지 건조장치를 통해 사진용지를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더를 가진 필름은 필름 건조장치로부터 인화 장치로 연장한 필름 이송경로의 필름 이송방향이 변환하는 전환점으로 상기 필름이 돌출할 때까지 이송되며, 전환점에서 리더를 가진 필름의 이송이 멈춰지며, 필름으로부터 리더가 절단 제거되며, 필름의 선단이 전환점으로 복귀할 때까지 후방으로 필름이 이동되며, 그리고 인화 장치로 이어진 필름 이송경로에 따라 필름이 인화 장치내에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배열된 필름 현상장치, 필름 건조장치, 인화 장치, 사진용지 현상장치 및 사진용지 건조장치로 구성되며, 그 선단에 리더가 부착된 필름은 필름을 현상하고 건조하기 위해 필름 현상장치 및 필름 건조장치를 통해 이송되며, 그리고 사진용지는 사진용지 위에 필름의 화상을 인화하고, 사진용지를 현상하고, 건조하기 위해 인화 장치, 사진용지 현상장치 및 사진용지 건조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사진처리기에 있어서, 필름 건조장치로부터 인화 장치로 연장한 필름 이송경로는 그 방향이 변환되는 전환점을 가지며, 그리고 처리기는 앞뒤로 필름을 이송시키는 전환점에 제공된 롤러, 인화 장치쪽으로 또는 곧장 앞쪽으로 필름을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전환점에 제공된 가이드 및 리더를 절단 제거하는 가이드의 다음 순서에 제공된 절단기로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기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필름이 길이 조정가능한 루프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는 필름 저장장치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건조장치(필름 처리기)로부터 인화 장치(인화 처리기)로 연장한 필름 이송경로의 방향이 변환되는 전환점에 필름 끝이 도달하였을 때, 필름을 곧장 앞으로 이송하는 그 위치에 있는 전환 가이드를 이용하여, 필름 끝(리더)은 롤러에 의해 곧장 앞으로 이동되며, 이동하여 절단기를 지났을 때 멈춰진다.
그 후, 리더는 절단기에 의해 제거된다. 리더는 주요 필름 이송경로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리더를 분리한 후에, 필름은 그 선단이 전환점에 도달할 때까지 변환된다. 그 후, 전환가이드는 인화 장치쪽으로 필름을 이송하는 지점으로 이동된다. 인화 장치가 비어있을 때, 상기 필름은 피드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인화 장치내에 이송된다.
필름 저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루프의 형태로 필름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름 끝(리더)이 피드롤러에 의해 앞뒤로 이동될지라도, 단지 루프만이 연장되거나 또는 줄어들어, 필름의 나머지부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필름 끝의 상기 앞뒤 이동은 필름 건조단계와 같은 전단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리더는 필름의 선단(즉, 리더)을 앞뒤로 이동시킴으로써 필름 이송 방향의 전환점에서 각각의 필름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분리된 리더는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더 분리수단은 필름 처리기로부터 인화 처리기로의 필름 이송경로에 전환점을 가지는 형태의 사진 처리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는 전체 장치의 크키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목적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는 하기의 설명으로 명백할 것이다.
제1 내지 1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도는 상기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 선단에 리더(L)가 부착되어진 필름(F)은 그 필름입구(1)를 통해 필름 현상장치(A)내에 수동적으로 이송된다. 이 때, 필름은 리더(L)에 의해 유도되어, 다수의 처리탱크(To)의 처리용액을 통해 이송됨으로써 자동적으로 현상된다. 따라서, 현상된 필름(F)은 필름 건조장치(B)에 이송되고 건조된다. 건조 이후에 제1필름 저장장치(Q1)로 이송된다.
필름 저장장치(Q1)의 전 순서에 필름 방출루트(3)(제5 내지 7도 참조)를 향해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가이드(4)가 있다. 전환 가이드(4)는 그 자유단이 필름(F)의 이송경로에 따라 위치되도록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a)에 의해 피봇중심(4c)에 대해 하방으로 통상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필름(F)은 필름 방출루트(3)에 이송되고, 그 후 필름 저장소(5)(제2도)에 이송된다. 필름을 단지 현상할 경우, 또는 제1필름 저장장치(Q1)와 같은 후단계에서의 어떤 장치가 고장이라면, 필름은 상기 방향으로 이송된다. 필름은 예를 들어, 정전의 경우에 필름 현상장치(A)로부터 전환가이드(4)를 통해 필름 저장소(5)로 수동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반면, 필름을 현상하고 그 후 인화하는 경우에, 전화 가이드(4)는 필름(F)의 선단이 가이드(4) 직전에 위치된 센서(a)에 의해 검출되자마자 제7b도에 도시된 솔레노이드(4b)에 의해 전환되어, 전환 가이드의 자유단이 필름 이송경로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필름(F)은 제1필름 저장장치(Q1)로 곧장 앞으로 이송된다.
필름(F)은 한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또는, 피드롤러(6a, 6c)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킴으로써 루프(L1)를 형성한다.
즉,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가이드(4)를 통해 통과한 이후에, 리더(L)를 가진 필름(F)은 피드롤러(6a 및 6c)에 의해 곧장 앞으로 이송되며, 그 후 피드롤러(6d)에 의해 하방으로 돌려진다. 필름의 선단이 센서(c)에 의해 검출되어진 이후에, 필름은 소정의 거리만큼 더 이송된다. 필름 선단이 피드롤러(6e)사이에 끼워지는 경우에 피드롤러(6c 및 6d)는 정지된다. 반면, 피드롤러(6a)는 계속 회전하여, 필름(F)을 앞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루프(L1)가 형성된다.
필름(F)의 후단이 피드롤러(6a)를 통과한 이후일지라도, 필름은 자유 프레스 롤러(6b)사이에 여전히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루프(L1)는 유지된다. 롤러는 펄스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제2필름 저장장치(Q2)가 소정의 위치(제5도에 실선으로 도시됨)에 있는 경우, 피드롤러(6c, 6d 및 6e)는 센서(a)가 필름(F)의 후단을 검출할 때 또는 센서(b)가 루프(L1)를 확인할 때 회전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필름(F)은 제2필름 저장장치(Q2)에 이송된다. 반면, 장치(Q2)가 소정의 위치에 있지 않다면, 루프(L1)가 형성되고 유지된다. 상기 상태에서, 제2필름 저장장치(Q2)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필름(F)은 장치(Q2)에 이송된다.
제6,8 및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필름 저장장치(Q2)는 횡(橫)레일(7)을 따라 이동가능한 케이싱(8)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필름 저장장치(Q1)로부터 운송되어진 필름(F)은 최상부에 형성된 입구(8a)를 통해 제2필름 저장장치(Q2)로 이송된다. 루프(L2)는 피드롤러(9a, 9b ···)를 제어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피드롤러(9a, 9b, 9c 및 9d)는 단일 공통 펄스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피드롤러(9f, 9g 및 9h)는 다른 펄스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가이드판(9')이 제9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입구(8a)를 통해 이송된 필름(F)은 피드롤러(9a···9h)를 동기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U-형 경로를 따라 진행된다. 센서(e)가 필름의 선단을 검출하는 경우, 롤러(9f 내지 9h)는 소정의 시간주기동안 정지되며, 반면 가이드판(9')은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되돌려진다. 필름(F)은 그 선단이 피드롤러(9h)에 의해 전방으로 향해진 채, 케이싱(8)에서 L2로 루프된다. 루프(L2)의 형성은 필름(F)의 후단이 유휴 프레스롤러(9e)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에 완수된다. 반면에, 센서(d)는 필름(F)이 케이싱(8)내로 전부 이동되어졌는지를 체크한다. 그 후 피드롤러(9a 내지 9d)는 정지된다.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되지 않더라도, 원통형 보조롤러(90a) 및 필름 가이드(90b)가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8)에 제공된다. 제1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필름 가이드(90b)는 베이스 예를 들어, 케이싱(8)에 고정된 지지축(90c)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통상적으로, 가이드(90b)는 제 11a도에 도시된 것처럼 필름(F)을 가이드하기 위해 제9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스프링(90d)에 의해 가압된다. 리더(L)와 접촉시에, 가이드(90b)는 제9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뒤로 회전되며, 리더를 통과시킨다.
케이싱(8)은 속도 감소장치(10b) 및 벨트(10a)를 통해 펄스모터(10)에 의해 이동된다. 케이싱(8)은 그 최상부에 두 개의 평행 검출판(80a 및 80b)을 가진다. 각각의 3개의 센서(81a, 81b, 81c와 82a, 82b, 82c)는 검출판(80a 및 80b)의 각각의 진행경로에 따라 제공된다. 검출판(80a, 80b)이 각각의 센서(81a···, 82a···)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그들은 각각의 센서를 거쳐 전송된 광이 검출판(80a, 80b)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턴오프된다.
검출판(80a, 80b)이 제1센서(81a, 82a)사이로 이동하여, 그것을 거쳐 전송된 광을 차단하는 경우에, 그들은 턴오프된다. 검출판이 더 앞으로 이동하여 제2센서(81b, 82b) 사이로 진입하는 경우에, 그들은 턴오프된다. 각각의 검출판(80a, 80b)에 형성된 슬릿(80c, 80d)이 제1센서(81a, 82a) 사에에 위치되는 경우에, 제1센서는 턴온된다.
상기 위치에서, 즉 제1센서(81a, 82a)가 온상태이며, 제2센서(81b, 82b)가 오프상태인 위치에서, 펄스모터(10)는 정지된다. 따라서, 케이싱(8)은 상기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케이싱(8)이 오버런하여, 그에 따라 제3센서(81c, 82c)를 턴오프시키면, 펄스모터(10)은 온되고, 그 후 오프되었던 제1센서(81a, 82a)가 다시 턴온될 때까지(슬릿(80c, 80d)이 제1센서 사이로 다시 이동할 때까지) 케이싱(8)을 되돌리기 위해 역방향으로 돌려질 것이다. 따라서 제3센서(81c, 82c)는 케이싱(8)의 각각의 끝을 검출한다.
제2필름 저장장치(Q2)에 하나의 필름(F)을 저장한 후에, 케이싱(8)은 제8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횡으로 이동되고 정지한다. 케이싱(8)은 모터(10)에 주어진 펄스의 수를 제어함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제5도의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케이싱(8)은 필름 현상장치(A)내의 필름(F)이송 경로에 평행하게 이동하는 직선 이송장치(G)와 정렬된다. 따라서, 제2필름 저장장치(Q2)에 저장된 필름은 직선 이송장치(G)를 향해 그 앞측에 형성된 출구(8b)를 통해 이송된다. 장치(G)로부터, 필름(F)은 제3 및 제4필름 저장장치(Q3 및 Q4)로 이송된다.
제2필름 저장장치(Q2)에서의 필름(F)은 피드롤러(9f 내지 9h)에 의해 밖으로 이송된다. 센서(f)가 필름(F)의 후단을 검출하는 경우에, 케이싱(8)은 제1필름 저장장치(Q1)에 이어진 위치(제5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되돌려 진다. 직선 이송장치(G)는 다수의 피드롤러(13)와 그 주위에 감겨진 벨트(13a)를 가진다.
필름(F)은 벨트(13a)(제3도)를 통해 펄스모터(13c)에 의해 피드롤러(13)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된다.
제3 및 제4필름 저장장치(Q3, Q4)는 필름(F)을 저장하기 위해 제1필름 저장장치(Q1)에 있는 것과 유사한 롤러(11a 내지 11c 및 12c 내지 12c) 및 센서(g, h 및 i)를 가진다.
필름(F)이 제4필름 저장장치(Q4)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제3필름 저장장치(Q3)에 이송된 필름은 장치(Q3)에 저장되지 않고, 제4필름 저장장치(Q4)를 향해 이송된다.
즉, 센서(b)와 유사한 센서(i)는 제4필름 저장장치(Q4)에 루프(L4)가 있는지 또한 없는지를 검출한다. 만일 루프(L4)가 없다면, 피드롤러(11c)는 계속 회전하여, 결국 필름(F)은 장치(Q3)에서 루프(L3)를 형성하지 않고, 제4필름 저장장치(Q4)에 이송된다. 반면, 루프(L4)가 검출되면, 필름(F)의 선단이 센서(g)에 의해 검출된 이후에, 피드롤러(11C)는 정지되고 필름의 선단은 피드롤러(12a) 사이에 끼워진다.
따라서, 루프(L3)는 피드롤러(11a)가 계속 회전하기 때문에 장치(Q3)에 형성된다.
제4필름 저장장치(Q4)의 다음 순서에 리더 분리수단(R)이 제공되어 있다. 제10 내지 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더 불리수단(R)은 상부 및 하부 칼날(41a, 41b)로 구성된 절단기(41), 리더 저장소(42) 및 가이드(43)로 구성된다. 리더(L)가 부착된 필름(F)은 그 단이 제10도 및 제12a도에 도시된 것처럼 송출롤러(40)로부터 돌출할 때까지 이송되며, 그 다음 필름으로부터 리더(L)를 분리하기 위해 제12b도에 도시된 것처럼 절단기(41)에 의해 절단된다. 센서(h)에 의해 리더(L)를 검출한 이후, 피드롤러(12c)가 소정의 시간주기로 회전한 경우, 절단기(41)는 작동된다. 따라서, 절단 분리된 리더(L)는 송출롤러(40)에 의해 이송되고 리더 저장소(42)에 떨어진다.
피드롤러(12c)에 가까이 제공된 가이드(43)는 필름 이송경로를 벗어나 있어, 리더(L)(필름(F))의 원활한 이송을 허용한다. 리더(L)가 절단분리되어 리더 저장소(42)에 떨어지는 경우, 피드롤러(12c)는 역으로 회전하여, 제12c도에 도시된 위치로 필름(F)을 되감는다. 가이드(43)는 제1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에서 직립되어진다.
그 후 필름(F)은 다시 앞으로 이송되며, 가이드(43)에 의해 상방으로 돌려진다.
가이드(43)는 가이드(43)의 축과 동축으로 제공된 회전식 솔레노이드에 의해 필름 이송 경로 밖으로 이동되며, 스프링(43a)에 의해 직립위치로 복귀된다. 송출롤러(40) 및 피드롤러(12c)는 퍼스모터(50a)에 의해 구동되며, 피드롤러(12a)는 펄스모터(50b)에 의해 구동된다.
제10도에 있어서, 부재번호 48은 필름(F)을 하방으로 휘어지게 하는 필름 가이드를 나타낸다. 제11b도에 도시된 것처럼, 필름 가이드(48)는 가이드 롤러(12d)에 피봇식으로 정착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필름 가이드(48)는 제10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스프링(48a)에 의해 유지된다. 리더(L)가 제11b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필름 가이드(48) 아래에 삽입되는 경우, 필름 가이드(48)는 제10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상승된다. 필름(F)이 이어서 제11b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필름 가이드(48) 아래에 삽입되는 경우, 필름 가이드(48)는 필름이 리더(L)보다 더 좁기 때문에 제10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따라서, 필름(F)은 하방으로 휘어진다. 그 후 피드롤러(12a)에 의해 필름을 이송함으로써, 제10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루프(L4)는 원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한 필름 가이드(48)가 다른 필름 저장장치(Q1···)에 제공되어야 한다.
필름(리더(L))의 선단이 피드롤러(12a)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필름 저장장치(Q4)에 형성된 루프(L4)의 길이는 감소하고 줄어든다. 따라서, 리더(L)를 분리하는 경우의 필름 선단의 이동은 직선 이송장치(G)를 포함하는 선행 장치의 단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인화 장치(C)에서 필름(F)의 모든 프레임이 인화되는 경우에 상기 필름(F)은 방출된다. 그 후, 제12d도에 도시된 것처럼 그 선단이 상방으로 돌려져서 필름 저장장치(Q4)에 저장된 필름(F)은 장치(Q4)에 이어서 위치된 피드롤러(12c)에 의해 음화 마스크(14)를 통해 노출장치(15)를 향해 이송된다.
노출장치(15)에서, 광원(16)으로부터의 광은 노출장치(15)(제5도)에 이송된 필름(F)에 대향한 2개의 미러(17a, 17b)를 통해 방사된다. 필름의 화상은 인화 렌즈(18)에 의해 확대되고, 노출 테이블(19)위에 꺼내진 인화지(P) 위에 미러(17c)를 통해 인화된다.
인화지(P)는 롤의 형태로 매거진(20)에 저장되어 있고, 노출 테이블 위에 꺼내진다.
인화 이후에, 인화지(P)는 현상장치(D)내의 다수의 처리탱크(T1)의 다양한 처리용액을 통해 이송됨으로써 현상된다. 따라서 현상된 인화지는 그 후 건조장치(E)를 통해 이송되고, 방출포트(21)를 통해 분류기(H)로 보내진다.
필름 입구(14a) 이외에, 음화 마스크(14)는 여분의 인화 또는 재인화를 위해 필름을 삽입하는 또 다른 필름 입구(22)를 가지고 있다. 입구(22)를 통해 이송된 필름(F)은 입구(14a)를 통해 이송된 필름 정확히 같은 방법으로 인화 장치(C)에서 처리된다. 즉, 필름의 화상은 인화지(P)위에 인화되며, 그 다음에 현상되고 건조된다.
입구(14a)를 통해 이송된 필름을 처리하는 동안 필름(F)이 입구(22)를 통해 음화 마스크에 이송되는 경우, 음화 장치(C)내의 필름(F)을 방출시킨 후에, 제4필름 저장장치(Q4)내의 필름은 인화 장치(C)를 향해 이송되지 않고 루프(L4)의 형태로 장치(Q4)에 저장된다. 상기 상태에서, 제3필름 저장장치(Q3)에 이송된 현상된 필름(F)은 장치(Q4)로 보내지지 않고 루프(L3)의 형태로 장치(Q3)에 유지될 것이다.
루프(L3)가 이미 장치(Q3)에 형성되어 있다면, 필름(F)은 루프(L2)의 형태로 장치(Q2)에 저장된다. 만일 루프(L2)가 이미 장치(Q2)에 형성되어 있다면, 필름(F)은 루프(L1)의 형태로 장치(Q1)에 저장된다. 따라서, 여분의 인화 및 재인화 단계는 필름을 현상하고 건조시키는 정규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인화 처리는 그 이후에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만일 현상이 연속적으로 되지 않고, 간격의 길이를 무시하고 간헐적으로 된다면, 필름 저장장치(Q1 내지 Q4)에서의 필름(F)부는 인화용 인화 장치로 차례로 이송된다.
노출에 대한 더 긴 시간을 요구하는 필름(F)이 인화 장치(C)에 있다면, 다음의 필름은 제4필름 저장장치(Q4)에 저장된다. 만일 루프가 이미 장치(Q4)에 형성되어 있다면, 필름은 상기 설명된 방법으로 필름 저장장치(Q3, Q2 및 그후 Q1)에 루프의 형태로 저장된다.
필름 처리기로부터 리더 분리수단(R)으로 배열된, 피드롤러(6a···, 9a···, 11a···, 12a···, 13···)의 소정의 피드롤러는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부가 절결된 모래시계 형상이다. 필름(F)은 그러한 중앙절결부를 통해 이송된다. 리더(L)가 절결부보다 더 넓기 때문에, 피드롤러(9a···)사이에 끼워져 이송되며, 반면 필름(F)의 화상운반은 룰러의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게 유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2필름 저장장치(Q2)는 필름(F)이송방향이 단일 수직면에 있지 않도록 이동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리더 분리수단(R)은 또한 제13도에 도시된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필름 건조장치(B)(필름 처리기)로부터 직선 이송장치(G)(인화 처리기)로의 필름 이송경로는 수직적으로 연장한다. 상기 배열에서, 제4필름 저장장치(Q4)는 가이드(43)의 전순서에 제공된다. 리더 분리수단은 제13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상술된 수직 필름 이송경로의 전환점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필름 저장장치(Q), 피드롤러(30a, 30c 및 31c), 자유 프레스 롤러(30b, 31b) 및 센서(s)를 가진다.
또한 제14도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리더 분리수단(R)은 인화 처리기의 필름 입구(14a)가 필름 건조장치(B)의 다음 순서에 위치된(필름 처리기의)필름 저장장치(Q)의 바로 다음 순서에 제공되는 배열로 적용가능하다. 상기 경우에서, 리더 분리수단(R)은 필름 이송방향의 전환점에 제공된다.

Claims (3)

  1.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필름 현상장치, 필름 건조장치, 인화 장치, 사진용지 현상장치 및 사진용지 건조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을 현상하고 건조하기 위해 필름 현상장치 및 필름 건조장치를 통해 그 선단에 리더가 부착된 필름을 이송하는 단계,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단계, 인화 장치로 필름을 이송하는 단계 및 사진용지 위에 필름의 화상을 인화하고 사진용지를 현상하고 건조하기 위해 인화 장치, 사진용지 현상장치 및 사진용지 건조장치를 통해 사진용지를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더를 가진 필름은 필름 건조장치로부터 인화 장치로 뻗어 있는 필름 이송경로의 필름 이송방향이 변환되는 전환점으로부터 상기 필름이 돌출할 때까지 이송되며, 상기 전환점에서 리더를 가진 필름의 이송이 멈춰지며, 필름으로부터 리더가 절단되며, 필름의 선단이 전환점으로 되돌아올 때까지 필름이 뒤로 이동되며, 그리고 인화 장치로 유도되는 필름 이송경로를 따라 필름이 인화 장치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
  2.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필름 현상장치, 필름 건조장치, 인화 장치, 사진용지 현상장치 및 사진용지 건조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 리더가 부착된 필름은 필름을 현상하고 건조하기 위해 필름현상장치 및 필름 건조장치를 통해 이송되고, 그리고 사진용지는 사진용지 위에 필름의 화상을 인화하고 사진용지를 현상하고 건조하기 위해 인화장치, 사진용지 현상장치 및 사진용지 건조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사진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필름 건조장치로부터 상기 인화 장치로 뻗어 있는 필름 이송경로는 그 방향이 변환되는 전환점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처리기는 필름을 앞뒤로 이송시키는 상기 전환점에 제공된 롤러, 필름을 인화 장치쪽으로 또는 곧장 앞으로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상기 전환점에 제공된 가이드 및 리더를 절단 제거하는 상기 가이드의 다음 순서에 제공된 절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처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필름이 길이 조정가능한 루프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는 필름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처리기.
KR1019940023885A 1993-09-24 1994-09-22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 및 수단 KR0169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38336 1993-09-24
JP23833693 1993-09-24
JP6107053A JP2979957B2 (ja) 1993-09-24 1994-05-20 写真処理装置におけるリーダの切離し
JP94-107053 1994-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352A KR950009352A (ko) 1995-04-21
KR0169520B1 true KR0169520B1 (ko) 1999-01-15

Family

ID=2644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885A KR0169520B1 (ko) 1993-09-24 1994-09-22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 및 수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61449A (ko)
EP (1) EP0646843B1 (ko)
JP (1) JP2979957B2 (ko)
KR (1) KR0169520B1 (ko)
CN (1) CN1043088C (ko)
CA (1) CA2117723C (ko)
DE (1) DE6941512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671B1 (en) 2000-10-13 2002-05-28 Eastman Kodak Company Auto-mechanism for removing film leader card from 35 and APS film after processing
JP2003241358A (ja) * 2002-02-20 2003-08-27 Phogenix Imaging Llc フィルムスキャナー付き自動現像機
CN112540506B (zh) * 2020-11-03 2021-12-17 李晓光 一种胶片烘干放置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5912A (en) * 1977-06-27 1980-01-29 Theodore F. Schwartz Photographic developer and printer
FR2616925B1 (fr) * 1987-06-16 1989-09-08 Crasnianski Serge Dispositif automatique integre pour le developpement de films photographiques et le tirage et le developpement d'epreuves photographiques en continu
JP2664531B2 (ja) * 1990-10-02 1997-10-15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感光材料の自動現像焼付装置
JPH04142539A (ja) * 1990-10-03 1992-05-15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プロセサ
DE4110642C2 (de) * 1991-04-02 1998-02-19 Agfa Gevaert Ag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Herstellung von Papierbildern von belichteten Filmen in einer Gerätelinie
DE4126578C2 (de) * 1991-08-12 1996-12-12 Agfa Gevaert Ag Vorrichtung zum Kopieren von fotografischen Aufnah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352A (ko) 1995-04-21
DE69415121T2 (de) 1999-04-29
DE69415121D1 (de) 1999-01-21
JPH07140629A (ja) 1995-06-02
CN1043088C (zh) 1999-04-21
EP0646843B1 (en) 1998-12-09
JP2979957B2 (ja) 1999-11-22
US5461449A (en) 1995-10-24
CN1116320A (zh) 1996-02-07
CA2117723A1 (en) 1995-03-25
EP0646843A1 (en) 1995-04-05
CA2117723C (en) 1998-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1456A (en) Photographic printer apparatus
JPH08314022A (ja) 感光材料の露光方法及び感光材料の露光装置
KR0169520B1 (ko)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 및 수단
KR100194367B1 (ko) 사진 처리기
JPH06148756A (ja) 自動現像焼付装置
EP0646844B1 (en) Photographic processing machine
JPH06347983A (ja) 感光材料処理装置
JP3804936B2 (ja) シート体搬送装置
JPH1090802A (ja) 写真処理装置
JP2606865B2 (ja) 写真プリント装置
JP2501201Y2 (ja) 写真プリント装置
JP2782460B2 (ja) 写真焼付装置
JP3726573B2 (ja) 感光材料の幅方向位置調節方法及び写真処理装置
JP2780751B2 (ja) フィルム処理装置
JP3428831B2 (ja) 写真処理装置
JP2006352363A (ja) オートフィルムローダ
JPH06258812A (ja) 写真フィルムの処理装置
JPH01234836A (ja) 写真プリント装置
JP2000101783A (ja) 写真処理装置
JP2000086036A (ja) ネガシート搬送装置
JPH08286280A (ja) 写真焼付処理方法及び装置
JPH05257206A (ja) プリント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H10319563A (ja) フィルム収容手段取扱システム
JPH11109597A (ja) 写真処理装置
JP2606865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