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824B1 - 도포막 전사기구 - Google Patents

도포막 전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824B1
KR0168824B1 KR1019930700994A KR930700994A KR0168824B1 KR 0168824 B1 KR0168824 B1 KR 0168824B1 KR 1019930700994 A KR1019930700994 A KR 1019930700994A KR 930700994 A KR930700994 A KR 930700994A KR 0168824 B1 KR0168824 B1 KR 016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film transfer
reel
cas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타마이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쇼오로쿠
시이드고무코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3718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6882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쇼오로쿠, 시이드고무코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세가와 쇼오로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위, 옆으로 당기면서 사용할 때, 필기구를 사용하는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전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포막 전사용 헤드(18)의 선단 가압부(32a)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케이스(C)의 파지면에 대해 거의 정면 대응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한 케이스(C) 자체를 필기구를 잡는 듯한 자세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한 헤드(18)의 선단 가압부(32a)에 의해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지면 등의 위에 밀착상태로 눌러 붙이면서 상기한 케이스(C)를 지면 등에 대해서 좌우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 위의 수정도료층W)이나 점착제층 등의 도포막이 상기한 지면 등의 위에 전사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도포막 전사기구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도포막 전사테이프 위의 수정도료층이나 점착제층 등의 도포막을 지면(紙面) 등의 위에 전사하기 위한 도포막 전사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른바 옆으로 당기면서 사용할 때, 연필, 볼펜, 또는 만년필 등을 사용하듯이, 즉, 필기구를 사용하는 듯한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도포막 전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로부터 이러한 종류의 도포막 전사기구의 한 예로는, 일본국 특개소 61-5737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문자 등을 지우는 문자 지우개가 있다.
이러한 문자 지우개는 주로 오타 등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제10(a)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한 2개의 지지축(2), (3)에 도포막 전사테이프(4)가 감겨있는 조출릴(5)과 사용 후의 도포막 전사테이프(4)를 회수하는 권취릴(6)이 각각 회동자재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또, 상기한 케이스(1)의 선단부에는 첨두형(尖頭形)의 도포막 전사용 헤드(7)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첨두부(8)가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며, 그 선단 가장자리(8a)가 선단 가아부로 되어 있다. 상기한 조출릴(5)로부터 풀려나온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4)는 가이드핀(9)을 거쳐서 상기한 헤드(7)의 첨두부(8)에서 반전된 후, 상기한 권취릴(6)에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도포막 전사테이프(4)는 베이스필름(基材 film)의 한 쪽 면에 백색의 수정도료층이 박리제층을 개재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또, 그 위에 점착제층이 발려있는 것으로, 이 점착제층이 상기한 첨두부(8)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장진되어 있다.
또, 상기한 권취릴(6)에는 권취다이얼(10)이 동심원 형상으로, 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일분가 상기한 케이스(1)의 외부로 향하는 수동조작부로 되어서 상기한 권취릴(6)이 수동권취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문자 지우개를 사용하여 문자 등을 지우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10(b)도에 표시하듯이, 케이스(1)의 파지면(把持面), 즉, 앞, 뒤, 양면(1a,1b)을 손가락으로 잡고, 상기한 헤드(7)의 선단 가압부(8a)를 오자 등의 수정하고자 하는 피수정부분(피전사부)(E) 위에 밀착 형상으로 눌러 붙인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권취다이얼(10)을 집게손가락을 사용하여 권취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서, 상기한 케이스(1)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상기한 선단 가압부(8a)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테이프(4)의 수정도료층이 상기한 피수정부분(E) 위에 도포되어서 오자 등을 덮어 씌워져서 지워진다. 이와동시에, 사용 후의 도포막 전사테이프, 즉, 발리제층만 남은 베이스필름(4')은 상기한 권취릴에 권취, 회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문자 지우개는, 예컨대, 일본문과 같은 세로쓰기 문장, 즉, 사용자로부터 보아서, 지면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쓰여진 문장을 수정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만, 예컨대, 영문 등과 같은 가로쓰기 문장, 즉, 사용자로부터 보아서, 지면에 대해서 좌우 횡 방향으로 쓰여진 문장을 수정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였다.
즉, 제10(a)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헤드(7)의 선단 가압부(8a)는,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4)의 앞, 뒤 면의 케이스(1)의 파지면(1a,1b)에 대해 거의 직교한 상태로 풀려나와서, 상기한 선단 가압부(8a)에서 반전된 후, 상기한 권취릴(6)에 감겨진다. 한편, 상기한 글자 지우개를 사용하여 문자 등을 지울 때에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선단 가압부(8a)에 의해 도포막 전사테이프(4)가 문자 등의 위에 밀착상태로 눌려 붙여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영문 등과 같은 가로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4)는 가로쓰기 문장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전사되게 되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는, 상기한 케이스(1)를 제10(b)도에 표시한 파지자세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대해 좌우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사용(즉, 횡으로 당기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기한 케이스(1)를 이와 같은 자세로 지지하면, 필연적으로 팔꿈치를 펴는 모습으로 될 뿐만 아니라, 팔꿈치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의 조작자세를 강요받게 된다. 이 결과, 글자 지우개 조작의 안정성과 확실성을 결여하여, 소정의 지우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한 헤드(7)의 선단 가압부(8a)를 정확하게 위치시키큰 것이 곤란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이러한 종래읨 문제점을 해소한 새로운 도포막 전사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즉, 옆으로 당기면서 사용할 때, 도포막 전사용 헤드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또, 안정된 상태로 쥐고 갈 수 있는, 안정적이며 확실하게, 문자 등을 지우거나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가능한 도포막 전사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필기구 감각으로 선을 옆으로 긋듯이 케이스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연필, 볼펜, 또는 만년필 등을 사용하듯이, 즉 필기구를 사용하는 듯한 느낌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며, 조작이 용이한 도포막 전사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기구의 구성은, 케이스 내에,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감고 있는 조출릴과 사용 후의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권취릴이 회전자제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 위에 가압하는 도포막 전사용 헤드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조출릴로부터 풀려나오는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상기한 헤드의 선단 가압부를 거쳐서, 상기한 권취릴에 감기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으로, 또, 상기한 헤드의 선단 가압부가,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해 거의 정면 대응시켜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해 거의 정면 대응한다"는 것은,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표리면이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과 거의 동일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의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것 및 그 이외의 관련하는 목적과 특징은,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한 설명과 청구의 범위에서 지적한 그 신규사항을 읽으므로써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도포막 전사기구를, 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2도는 실시예 1의 도포막 전사기구의 일부를 제1도에서의 II-II선 방향에서 보아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제3도는 실시예 1의 도포막 전사기구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도포막 전사기구를, 덮개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5도는 실시예 2의 도포막 전사기구의 일부를 제4도에서의 V-V선을 따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6도는 실시예 2의 도포막 전사기구에 있어서의 미끄럼기구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6(a)도는 클러치아암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6(b)도는 이 클러치아암과 조출실린더의 래칫부와의 치합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7도는 실시예 2의 도포막 전사기구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도포막 전사기구를, 덮개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9도는 실시예 3의 도포막 전사기구의 일부를 제8도에서의 V-V선을 따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종래의 도포막 전사기구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10(a)도는 그 덮개를 제거하여 표시하는 정면도, 제10(b)도는 그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9도에 본 발명에 관한 도포막 전사기구가 표시되어 있으며,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동일 구성부재 또는 요소를 표시하고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에의 도포막 전사기구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되며, 본 도포막 전사기구는 구체적으로는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글자 지우개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 손으로 잡고 조작이 가능한 크기와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1) 내에 3개의 지지축(12,13,14)이 기립(起立)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축(12,13,14)에, 테이프 조출수단으로서의 조출릴(15), 테이프 권취수단으로서의 권취릴(16) 및 권취다이얼(17)이 각각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케이스 본체(11)의 선단에는, 테이프 가압수단으로서의 도포막 전사용 헤드(18)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조출릴(15)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가 감겨 있고, 이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상기한 헤드(18)의 첨두부(32)를 거쳐서, 수동 권취식의 상기한 권취릴(16)에 감겨져 있다.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로서는, 구체적인 구조는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예컨대, 폴리에스텔 필름, 아세테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제 또는 종이의 베이스필름(두께 25 내지 38㎛ 정도)의 한 쪽 면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저분자 폴리에틸렌 등의 박리제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백색 수정도료층이 형성되고, 또, 그 위에, 가압접착성이 있는 폴리우레탄 등의 점착제(감압접착제)층이 발라져서 되는 구조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수정도료층은, 전사 후, 즉시 그 위에 필기가 가능한, 즉, 건식의 것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한 케이스 본체(11)는, 그 측면 개방부(11a)에 덮개(25)가 제거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제2도 참조), 케이스(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손으로 잡고 조작이 가능한 형상 및 치수(제3도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스(C)는 상기한 조출릴(15), 권취릴(16) 및 권취다이얼(17)을 내장할 수 있는 정면 윤곽 형상의 치수(제1도 참조)와 폭 치수(제2도 참조)를 구비하는 편평한 상자로 형성되며, 그 표리면(제1도의 지면에 대해서 앞, 뒤 양 쪽 면)(Ca,Cb)이 후술하는 조작시의 파지면으로 된다.
상기한 케이스 본체(11)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18)의 기부(基部) 양 쪽 부분에는,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통과시키는 슬리트(20,20)가 형성되어 있으며(제2도 참조), 케이스 본체(11)의 내부에는 3개의 가이드판(21,22,23)과 래칫아암(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칫아암(24)은 상기한 조출릴(15) 및 권취릴(16)의 래칫휠(28,28)과 함게 작동하여, 이들 양 릴(15,16)의 자유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기구(회전방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한 래칫아암(24)은 한 쌍의 탄성아암(26,26)으로 형성되며, 각 탄성아암(26)은 그 선단에 계지폴(27)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한 래칫휠(28)은 상기한 조출릴(15) 및 권취릴(16)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에 다수의 폴(29,29,---)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탄성아암(26) 자체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한 래칫아암(24)의 계지폴(27,27)이 상기한 폴(29,29,---)에 각각 자유자재로 결합 및 해제되도록 치합하며, 이에 의해서, 상기한 조출릴(15) 및 권취릴(16)의 자유회전이 방지되고 있다.
상기한 권취다이얼(17)은, 그 일부가 케이스 본체(11)의 외측을 향하는 권취조작부로 되며, 그 옆에 래칫휠(3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칫휠(30)의 외주에는, 다수의 폴(31,31,---)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폴(31,31,---)이 상기한 권취릴(16)의 래칫휠(28)의 폴(29)에 치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권취다이얼(17)을 권취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폴(28,30)을 개재하여 상기한 권취릴(16)이 권취작동되게 되다.
상기한 헤드(18)는 제2도에 표시한 첨두형을 나타내며, 단면 삼각형 형상으로 된 첨두부(32)의 선단 가장자리(32a)가,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가압하는 선단 가압부로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첨두부(32)의 양 측부에는, 가이드플렌지(33,33)가 각각 형성되며, 이들 양 가이드플렌지(33,33)에 의해,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가 첨두부(32) 위에서 안내된다.
상기한 헤드(18)의 선단 가압부(32a)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케이스(C)의 파지면(Ca,Cb)에 대해 거의 정면 대응시켜서 안내한다. 즉, 상기한 선단 가압부(32a)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푤리면이 케이스(C)의 파지면(Ca,Cb)과 거의 동일 방향으로 향하도록(정면 대응한다) 안내된다.
이것에 관련하여, 상기한 헤드(18)와, 조출릴(15) 및 권취릴(16)과의 사이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비틀어 꼬기 위한 꼬입기구(꼬임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꼬임기구는,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한 쌍의 가이드핀(22,22)을 구비하여 된다.
그리고, 상기한 조출릴(15)로부터 풀려나오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상기한 가이드핀(21)을 거쳐서 상기한 헤드(18)의 상류측의 가이드핀(22)에서 90°각도만큼 꼬인 후, 상기한 한 쪽의 슬리트(20)로부터 케이스(C)의 외부로 안내된다. 이 외부로 안내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헤드(18)의 첨두부(32)를 거쳐서, 상기한 다른 슬리트(20)로부터 케이스(C)의 내부로 다시 안내된다. 또, 이 내부로 안내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상기한 헤드(18)의 하류측 가이드핀(23)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한 꼬임이 원상으로 복귀된 후, 상기한 권취릴(16)에 감긴다. 이 때,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전사되어야 할 도포막, 즉, 점착제층을 갖는 수정도료층이 루프의 외측으로 되도록 장진될 필요가 있는 것은 말 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글자 지우개를 사용하여 예컨대, 영문 등과 같은 가로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할 때에는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헤드(18)의 선단 가압부(32a)에 의해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지면 위의 문자등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E) 위에 눌러 붙이면서, 상기한 에키스(C)를 이 피스정부분(E)을 따라 좌우 횡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C)의 파지면(Ca,Cb)에 대해 거의 정면 대응하여, 헤드(18)의 선단 가압부(32a)를 통과하므로, 사용자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C) 자체를 필기구와 같은 자세로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18)의 선단 가아부(32a)에 의해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상기한 피수정부분(E) 위에서 밀착상태로 눌러 붙일 수 있으며, 이 상태 그대로, 좌우 횡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좋다.
상기한 케이스(C)의 이동에 따라 새로운 도포막 전사테이프(19)가 조출릴(15)로부터 조출된다. 그 때,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장력이, 상기한 조출릴(15)에 회전력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하면, 탄성아암(26)이 탄성변형하여, 상기한 계지폴(27)과 래칫휠(28)의 폴(29)과의 치합이 해제되면, 이에 의해서 조출릴(15)의 조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상기한 헤드(18)의 선단 가압부(32a)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수정도료층(백색)(W)이, 상기한 점차제층에 의해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피수정부분(E) 위에 전사됨과 동시에, 박리제층에 의해 상기한 베이스필름으로부터 박리된다. 그리고, 이 수정도료층(W)에 의해, 상기한 피수정부분(E) 위의 오자 등이 피복 소거됨과 함께, 이 위에 정확한 문자 등을 즉시 기입할 수 있다.
한편, 사용 후의 도포막 전사테이프, 즉, 박리제층만 남은 베이스필림(19')은, 집게손가락을 사용하여 권취다이얼(17)을 회전조작하므로써, 양 래칫휠(28,30)의 폴(29,31)의 치합을 개재하여 권취릴(16)이 회전되며, 이 권취릴(16)에 상기한 베이스필림(19')이 이완됨이 없이 권취, 회수된다. 이 때에도, 상기한 조출할 때와 마찬가지로, 탄성아암(26)이 탄성변형하여, 상기한 계지폴(27)과 래칫휠(28)의 폴(29)과의 치합이 해제되며, 이에 의해서, 권취릴(16)의 권취회전이 허용된다.
또, 상기한 조작에 있어서는, 케이스(C)를 이동시켜서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전사작업을 행한 후, 권취다이얼(17)을 회전조작하여, 사용 후의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권취하도록 하고 있는데, 제3도에 있어서, 권취다이얼(17)을 집게손가락으로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서, 상기한 케이스(C)를 횡방향(A)으로 이동시키면,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전사작업과 권취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꼬임기구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꼬임이 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으로 복귀되는 대신에, 90°각도 더 꼬이도록 하여도 좋다.
더우기, 상기한 구성의 도포막 전사기구를 풀칠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로서 상기한 베이스필름의 한 쪽 면에, 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접착제층만 형성된 구조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이에 의해서, 전술한 글자 지우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조작으로, 점착제층만 지면 등에 전사되어, 풀칠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표시되어 있으며, 권취릴(42)이 조출릴(41)에 연동하는 자동권취식으로 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도는 및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 내게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지지축(12,13)에, 상기한 조출릴(41) 및 권취릴(42)이 각각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조출릴(41)은 림(44) 및 보스(45)로 되는 릴 본체와, 이 릴 본체 위에 설치된 조출실린더(47)로 된다. 상기한 림(44)과 보스(45)는, 4개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스코프(46,46,---)에 의해 동심원 형상으로 접합됨과 함께, 상기 한 림(44)의 외주에는 구동기어(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보스(45)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소경(小經)의 내부실린더(內筒)(48)와 대경(大徑)의 외부실린더(外筒)(49)로 된다.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외부실린더(49)의 기단부가 상기한 내부실린더(48)의 기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내부실린더(48)의 중공공(中空孔)이 상기한 지지축(12)에서 회전재한 상태로 삽입되어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외부실린더(49)의 외주에는, 상기한 조출실린더(47)가 회전자재한 상태로 삽입되어서 지지되어 있으며, 이 조출실린더(47)의 외주에 도포막 전사테이프(19)가 감겨져 있다.
또, 상기한 외부실린더(49)의 선단부에는,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러치아암(50,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클러치아암(50)은, 상기한 외부실린더(49)의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됨과 함께, 그 선단에는,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외향의 클러치폴(50a)이 외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관련하여, 상기한 조출실린더(47)의 선단 내주에는, 복수의 내향의 계지폴(52a,52a,---)이 있는 폴(52)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제6(b)도 참조). 그리고, 이들 폴(52)의 계지폴(52a,52a,---)에, 상기한 양 클러치아암(50,50)의 클러치폴(50a)이 탄성적으로, 또, 자유자재로 결합 및 해제되도록 치합되어서, 후술하는 미끄럼기구(미끄럼수단)가 구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스포크(46,46)의 직경 방향 중간부에는, 한 쌍의 래칫아암(53,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칫아암(53)은, 상기한 내부실린더(48)와 동심원상의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래칫아암(53)의 선단부에는 계지폴(5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대향하여, 케이스 본체(11)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계지폴로 되는 폴(55)이 상기한 지지축(12)과 동심원의 환(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폴(55)의 계지폴에, 상기한 래칫아암(53,53)의 계지폴(53a)이 각각 탄성적으로, 또, 자유잦로 결합 및 해제되도록 치합되어서, 조출릴(41) 및 권취릴(42)의 자유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기구(회전방지수단)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권취릴(42)은 권취실린더(56)의 테이프 안내용 플렌지(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권취실린더(56)의 중공공이 상기한 지지축(13)에서 회전자재한 상태로 삽입되어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권취실린더(56)의 외주에는, 사용이 끝난 도포막 전사테이프(19')가 감겨져 있다. 또, 상기한 플렌지(57)의 뒷 면에는 종동기어(5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종동기어(58)가 상기한 조출릴(41)의 구동기어(43)에 치합하므로써, 상기한 권취릴(42)이, 조출릴(41)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권취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포막 전사기구에 있어서, 사용시에 도포막 전사테이프(19)가 상기한 조출릴(41)로부터 조출될 때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장력이 이 조출릴(41)에 회전력으로 작용한다. 이에 의해서, 상기한 래칫아암(53)이 탄성변형하여, 그 계지폴(53a)과 폴(55)과의 치합이 해제되며, 상기한 조출릴(41)의 조출 방향(제4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또, 이 조출릴(41)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양 기어(43,58)를 재개하여, 상기한 권취릴(42)이 권취 방향(제4도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권취릴(42)은, 사용 후의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자동적으로 권취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구동측의 조출릴(41)과 종동측의 권취릴(42)의 회전비(상기한 양기어(43,58)의 기어비에 대응)가 항상 일정한 것에 대해, 조출릴(41)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외경과, 권취릴(42)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외경과의 비는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다. 즉, 사용함에 따라, 상기한 조출릴(41)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외경은 점차작게 되는 것에 대해서, 권취릴(42)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외경은 반대로 커져단다.
그러므로, 권취릴(42)의 권취속도는, 조출릴(41)의 조출속도와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빨라져가며, 이들 양 속도의 동기가 무너져서, 조출릴(41)에 작용하는 회전력도 점차 크게 된다. 이것을 그대로 방치하면,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조출측과 권취측 사이에서 장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며, 그 결과, 도포막 전사테이프(19)가 신장되거나, 또는, 극단적인 경우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가 중간에서 끊어지거나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므로, 상기한 조출속도와 권취속도를 항상 안정된 상태로 동기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술한 미끄럼기구(50,50,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미끄럼기구에 의해, 조출릴(41)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크게 되면, 이 회전력이 클러치아암(50)의 클러치홀(50a)과 폴(52)과의 탄성적인 치합력을 극복하여, 이들 양 자의 치합이 해제되며, 조출실린더(47)가 상기한 릴 본체의 외부실린더(49)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미끄럼회전한다. 이 결과, 상기한 조출속도와 권취속도가 서로 동기하게 되며,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원활한 주행이 확보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포막 전사기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로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할 때에는 사용자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C)의 파지면(Ca,Cb)을, 필기구를 잡듯이 손가락으로 잡고, 이 상태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헤드(18)의 선단 가압부(32a)를 피수정부분(E)의 시작부분(좌측 끝)에 접촉시켜 누르면, 그 상태에서 케이스(C)를 횡 방향, 즉, 지면 등에 대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피수정부분(E)의 끝부분(우측 끝)에서 정지시키면, 오자 등이 지워져서 정확한 문자의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되어 있으며, 실시예2의 자동권취식 구조에 있어서, 미끄럼기구(미끄럼수단)가 변형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조출릴(41)은, 상기한 릴 본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보스(45)가 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스(45)의 중공공이 상기한 지지축(12)에서 회전자재한 상태로 삽입되어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보스(45)의 외주에는, 상기한 조출실린더(47)가 마찰부재(70)를 개재하여 회전자재한 상태로 삽입되어서 지지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한 미끄럼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마찰부재(70)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장력에 의해 조출실린더(47)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마찰회전력으로 하여, 상기한 보스(45) 또는 구동기어(43)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마찰부재(70)는, 약간 압축한 상태에서 상기한 보스(45)와 조출실린더(47)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마찰부재(70)로서는, 엘라스토머제의 원통 부시나 O링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도면에 표시한 예에 있어서는, 원통 부시가 사용되고 있다. 또, 마찰부재(70)로서 엘라스톰제의 O링을 사용하면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포막 전사기구에 있어서, 케이스(C)의 이동에 따라 도포막 전사테이프(19)에 가해지는 장력이 조출실린더(47)에 회전력으로 작용하면, 이 조출실린더(47)가 회전되며, 새로운 도포막 전사테이프(19)가 풀려나옴과 함께, 상기한 마찰부재(70)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한 구동기어(43)도 회전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한 종동기어(58)를 개재하여 귄취릴(42)도 자동적으로 권취작동되게 된다.
한편, 사용함에 따라, 조출릴(41)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크게 되면, 이 회전력이 상기한 마찰부재(70)의 마찰력을 극복하여, 조출실린더(47)가 상기한 릴 본체의 보스(4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미끄럼회전한다. 이 결과, 상기한 조출릴(41)의 조출속도와 권취릴(42)의 권취속도가 서로 동기하게 되어, 도포막 전사테이프(19)의 원활한 주행이 확보된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도포막 전사헤드의 선단 가입부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해 거의 정면 대향하여 안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케이스 자체를 필기구와 같은 자세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한 도포막 전사헤드의 선단 가압부에 의해,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지면등의 위에 밀착상태로 눌러 붙일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문자 지우개로서, 영문 등과 같은 가로쓰기 문장, 즉, 사용자가 보아서 지면에 대하여 좌우 횡 방향으로 쓰여진 문장을 수정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기구는, 팔꿈치를 펴는 일이 없이, 책상 위 등에 놓은 상태에서, 마치 연필, 볼펜 또는 만년필 등을 사용하듯이 즉, 필기구를 사용하는 듯한 느낌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 지금까지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는 없은 구체적인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예만으로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청구의 범위에 기술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면,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한 손으로 잡고 조작이 가능한 형상 및 치수를 구비한 케이스(C), 상기한 케이스(C) 내에 설치되며,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풀어내어 공급하는 테이프 조출수단(15), 상기한 케이스(C)의 선단부에 돌출하여 설치되며, 상기한 테이프 조출수단(15)으로부터 공급되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피전사부(E) 위에 가압하는 테이프 가아부단(18) 및 상기한 케이스(C) 내에 설치되며, 상기한 테이프 가압수단(18)의 선단가압부(32a)를 거쳐서 안내되는 사용 후의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회수하는 테이프 회수수단(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한 테이프 가압수단(18)의 선단 가압부(32a)는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상기한 케이스(C)의 파지면에 대해 거의 정면 대응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포막 전사기구.
  2. 케이스(C) 내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며,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감고 있는 조출릴(15), 상기한 케이스(C)의 선단부에 돌출하여 설치되며, 상기한 조출릴(15)로 부터 풀려나오는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피전사부(E) 위에 가압하는 도포막 전사용 헤드(18) 및 상기한 케이스(C) 내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며, 상기한 헤드(18)의 선단가압부(32a)를 거쳐서 안내되는 사용 후의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회수하는 권취릴(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한 테이프 가압수단(18)의 선단 가압부(32a)는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상기한 케이스(C)의 파지면에 대해 거의 정면 대응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포막 전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18)는 첨두형을 하고 있으며, 그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첨두부의 선단 가장자리가 상기한 선단 가압부(32a)로 되어 있는 도포막 전사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C)는 한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조출릴(15)과 권취릴(16)을 내장할 수 있는 윤곽 형상의 치수와 폭 치수를 구비하는 편평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편평한 표리면(Ca, Cb)이 상기한 파지면으로 되는 도포막 전사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18)와 상기한 조출릴(15) 및 권취릴(16) 사이에,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꼬기 위한 꼬임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꼬임수단에 의해, 상기한 조출릴(15)로부터 풀려나오는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상기한 헤드(18)의 상류측에서 90°각도만큼 꼬여지며, 상기한 헤드(18)의 선단 가압부(32a)를 거친 후, 상기한 헤드(18)의 하류측에서 상기한 꼬임이 원상으로 복귀되어서, 상기한 권취릴(16)에 감겨지는 도포막 전사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18)와 상기한 조출릴(15)및 권취릴(16) 사이에,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꼬기 위한 꼬임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꼬임수단에 의해, 상기한 조출릴(15)로부터 풀려나오는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상기한 헤드(18)의 상류측에서 90°각도만큼 꼬여지며, 상기한 헤드(18)의 선단 가압부(32a)를 거친 후, 상기한 헤드(18)의 하류측에서 다시 90°각도 꼬여져서, 상기한 권취릴(16)에 감겨지는 도포막 전사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베이스필름의 한 쪽 면에 박리제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백색 수정도료층(W)이 형성되고, 다시, 그 위에 감압접착제층이 발라져서 되는 도포막 전사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는 베이스필름의 한 쪽 면에 박리제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서 되는 도포막 전사기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권취릴(16)에 치합하는 권취다이얼(17)이 상기한 케이스(C) 내에서 회전자재하게 지지됨과 함께, 그 외주부분의 일부가 상기한 케이스(C)의 외부를 향하는 권취조작부로 되어서, 상기한 권취릴(16)이 수동조작식으로 되어 있는 도포막 전사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출릴(15) 및 권취릴(16)의 자유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며, 이 회전방지수단은, 상기한 케이스(C)의 내측면에 설치된 래칫아암(24)과, 상기한 양 릴(15,16)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래칫아암(24)과 자유자재로 결합 및 해제되도록 치합하는 래칫휠(28)로 되는 도포막 전사기구.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출릴(41) 및 권취릴(42)이 서로 치합되어서, 상기한 권취릴(42)이 상기한 조출릴(41)에 연동하는 자동권취식으로 되어 있는 도포막 전사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출릴(41) 및 권취릴(42)의 자유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며, 이 회전방지수단은, 상기한 케이스(C)의 내측면에 환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계지폴을 폴(55)과, 상기한 조출릴(41)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폴(52)과 자유자재로 결합 및 해제되도록 치합하는 래칫아암(53)으로 되는 도포막 전사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출릴(41)의 조출속도와 상기한 권취릴(42)의 권취속도를 동기시키는 미끄럼수단을 구비하는 도포막 전사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C)에 설치된 지지축(12,13)에, 상기한 조출릴(41)의 보스(45)가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이 보스(45) 외주에, 상기한 도포막 전사테이프(19)를 감는 조출실린더(47)가 회전자재하게 설치되며, 이 조출실린더(47)와 상기한 보스(45)와의 사이에, 상기한 미끄럼수단이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는 도포막 전사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미끄럼수단은, 상기한 보스(45)의 외주에 설치된 클러치아암(50)과, 상기한 조출실린더(47)의 내주 전체에 설치된 복수의 계지폴(52a)을 구비하는 폴(52)로 되며, 이들 클러치아암(50)과 폴(52)이 탄성적으로, 또, 자유자재로 결합 및 해제되도록 치합되어 있는 도포막 전사기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미끄럼수단은, 상기한 보스(45)의 외주면과 상기한 조출실린더(47)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마찰부재(70)가 마찰결합이 가능하도록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는 도포막 전사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찰부재(7)가 엘라스토머제의 원통 부시인 도포막 전사기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찰부재(70)가 엘라스토머제의 0링인 도포막 전사기구.
KR1019930700994A 1991-07-31 1992-07-24 도포막 전사기구 KR0168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68371U JP2544030Y2 (ja) 1991-07-31 1991-07-31 塗膜転写具
JP91-68371 1991-07-31
PCT/JP1992/000947 WO1993002870A1 (en) 1991-07-31 1992-07-24 Device for transferring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8824B1 true KR0168824B1 (ko) 1999-10-01

Family

ID=1337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994A KR0168824B1 (ko) 1991-07-31 1992-07-24 도포막 전사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551522B1 (ko)
JP (1) JP2544030Y2 (ko)
KR (1) KR0168824B1 (ko)
CA (1) CA2091996C (ko)
DE (1) DE69224732T2 (ko)
HK (1) HK1005775A1 (ko)
WO (1) WO19930028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331B1 (ko) * 1998-06-24 2002-04-01 요시히사 이마이쭈미 도포막전사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9606B2 (ja) * 1991-08-30 1997-08-13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EP0742111A3 (en) * 1991-10-02 1997-09-24 Fuji Kagaku Shikogyo Device for transferring a painted film
GB2275042B (en) * 1993-02-10 1995-10-25 Gillette Co Correction tape dispenser
CN1043974C (zh) * 1993-02-20 1999-07-07 种子橡胶工业株式会社 涂膜传送工具
US5685944A (en) * 1994-04-28 1997-11-11 Fujicopian Co., Ltd. Film transfer apparatus and a film transfer roller used therein
TW318812B (ko) * 1994-12-12 1997-11-01 Yutoku Gum Kogyo Kk
JP2869855B2 (ja) * 1995-03-28 1999-03-10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字消し具
JPH11348493A (ja) * 1998-06-08 1999-12-21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0025392A (ja) 1998-07-08 2000-01-25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DE19830522A1 (de) * 1998-07-08 2000-01-13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in Form eines Filmes auf ein Trägerband aufgebrachten Stoffes
US6601631B1 (en) 1999-09-07 2003-08-05 Berol Corporation Dispenser for applying a material to a surface
US6499524B1 (en) 1999-09-07 2002-12-31 Berol Corporation Dispenser for applying a material to a surface
DE10118830B4 (de) * 2001-04-17 2009-06-18 Henkel Ag & Co. Kgaa Kassettengerät
EP1295834B1 (en) 2001-09-19 2008-05-21 Société BIC A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film of adhesive,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onto a substrate
US6997229B2 (en)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JP4947643B2 (ja) * 2007-03-28 2012-06-06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横引きタイプ塗膜転写具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60660D1 (en) * 1981-08-17 1984-10-11 Ciba Geigy Ag Device for 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edge of sheet material
JPS6356690U (ko) * 1986-09-30 1988-04-15
JPS6384998A (ja) * 1986-09-30 1988-04-15 三菱鉛筆株式会社 誤記修正テ−プの貼付具
JPH02146092U (ko) * 1989-05-12 1990-12-11
JPH03128299A (ja) * 1989-10-14 1991-05-31 Shiide Rubber Kogyo Kk 手持式転写塗膜転写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331B1 (ko) * 1998-06-24 2002-04-01 요시히사 이마이쭈미 도포막전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51522A1 (en) 1993-07-21
DE69224732T2 (de) 1998-07-02
DE69224732D1 (de) 1998-04-16
CA2091996C (en) 1999-10-05
JP2544030Y2 (ja) 1997-08-13
EP0551522B1 (en) 1998-03-11
JPH0513800U (ja) 1993-02-23
WO1993002870A1 (en) 1993-02-18
CA2091996A1 (en) 1993-02-01
HK1005775A1 (en) 1999-01-22
EP0551522A4 (ko) 199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824B1 (ko) 도포막 전사기구
JP2943134B2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KR0168825B1 (ko) 도막 전사구(轉寫具)
JP2829699B2 (ja) 塗膜転写具
JP2807805B2 (ja) 塗膜転写具
JP3027309B2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TW453954B (en) Coat film transfer head device and coat film transfer tool
JP3296265B2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1071689A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H0311639B2 (ko)
KR20000005998A (ko) 도막전사구용테이프카트리지및도막전사구
JP2876301B2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2337830A (ja) マーク転写具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
JP2957358B2 (ja) ロールディスペンサー
JP2975895B2 (ja) 塗膜転写用ヘッド、塗膜転写具および塗膜転写具の組立方法
JPS6384998A (ja) 誤記修正テ−プの貼付具
JP2002500998A (ja) 塗膜保持テープから基体に塗膜を転写させる転写具
JP3670092B2 (ja) 字消し具における修正塗料膜転写テープの供給リール装置
RU206159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носа покровной пленки
JP2003094887A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装置
JP3071759B2 (ja) 塗膜転写具
JPH0673026U (ja) 修正テープの貼付具
JPH08119523A (ja) テープホルダ
JPH11342699A (ja) 塗膜転写具
JPH0661858U (ja) 字消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