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495B1 - 알파-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이용 - Google Patents

알파-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495B1
KR0168495B1 KR1019950040235A KR19950040235A KR0168495B1 KR 0168495 B1 KR0168495 B1 KR 0168495B1 KR 1019950040235 A KR1019950040235 A KR 1019950040235A KR 19950040235 A KR19950040235 A KR 19950040235A KR 0168495 B1 KR0168495 B1 KR 016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less
magnetic material
alloy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348A (ko
Inventor
조용수
김윤배
김창석
김택기
Original Assignee
정명세
재단법인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세, 재단법인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정명세
Priority to KR1019950040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495B1/ko
Publication of KR960019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 회토류 합금 자성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는 체심입방격자 구조를 갖는 연자성상을 주상(住相)으로 하고, 정방정 구조를 갖는 경자성상이 소량 부가된 합금으로서 REXFEyCOZBuMvCuW의 조성을 가지는데, 상기에서 M은 고융점 원소인 Nb, Mo, V,W 또는 Ta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원소이며 X=5 at% 이하, y=90 at% 이하, z=25 at% 이하, u=15 at% 이하, v=5 at% 이하 및 w=5 at%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금 자성체는 동방성 본드 자석,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 및 광대역 초고주파 전파 흡수체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 자성체는 기존의 Fe3B기 저 회토류 함유 자석에 비하여 자기 특성이 개선되고 경제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이용
본 발명은 저 RE 함유 RE-Fe-B 합금 자성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α-Fe 또는 α(Fe, Co) 연자성 기지상(Matrix phase)에 소량의 RE2Fe14B 또는 RE2(Fe, Co)14B의 경자성상을 석출시킨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RE(Rare Earth)라 함은 회토류 원소를 나타내는 것이며, Ce, Pr, Nd, Sm, Eu, Gd, Tb, Dy, Ao, Er, Tm, Yb, Lu, Y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의미한다.
고성능 회토류 자성체의 경우 회토류 원소 함유량이 높기 때문에 경제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RE 함유량을 5 at% 이하로 감소시킨 RE-Fe-B 자성체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까지 개발된 저희토류 원소 함유 RE-Fe-B 자성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4-7007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준안정 연자성상인 Fe3B 기지(matrix)에 소량의 RE2Fe14B를 석출시킨 초미세 결정 합금으로서 높은 잔류자화(Br=1.2T)를 나타내어 고에너지 동방성 영구 자석, 자기 기록 매체 및 광대역 초고주파 흡수체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저 RE 함유 RE-Fe-B 합금이 고잔류자화를 나타내는 원인은 연자성상과 경자성상 사이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이러한 합금으로부터 보다 높은 잔류자화를 얻기 위한 방안으로 연자성상의 자화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Fe3B 보다 자화가 큰 α-Fe를 주상(住相)으로 하는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의 발명을 착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개발된 저 RE 함유 RE-FE-B 자석의 기지상(matrix phase)을 변화시켜 자기 특성을 개선하고 경제성을 제고시킨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엥따른 α-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는 체심입방격자 구조를 갖는 연자성상을 주상으로 하고 정방정 구조를 갖는 경자성상이 소량 부가된 합금으로서 REXFeyCoZBuMvCuW의 조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M은 고융점 원소인 Nb, Mo, V, W 또는 Ta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원소이며 x=5 at% 이하, y=90 at% 이하, z=25 at% 이하, u=15 at% 이하, v=5 at% 이하, w=5 at% 이하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연자성상은 α-Fe 또는 상기 α-Fe 중 일부를 Co로 치환한 α-(Fe, Co)이며 경자성상은 RE2Fe14B 또는 RE2(Fe, Co)14B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대로 RE, Fe, Co, B, M, Cu로 구성된 합금을 용융시켜 금속 응고법 또는 기계적 합금법을 이용하여 비산화성 분위기하에서 비정질상으로 제조한 후 500-800℃에서 열처리함으로써 α-Fe 또는 상기 α-Fe 중 일부를 Co로 치환한 α-(Fe, Co)의 연자성 기지상과 소량의 RE2Fe14B 또는 RE2(FE, Co)14B의 경자성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앞서 먼저 α-Fe의 기지상에 RE2Fe14B가 석출 가능하도록 기존의 저 RE 함유 RE-Fe-B 합금 조성에서 B의 함유량을 20 at%이하로 감소시킨 RE-Fe-B 합금을 설계한 후 급속 응고법 또는 기계적 합금법을 이용하여 비정질상으로 제조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상변화 및 자기 특성을 조사하였다.
X-선 회절분석결과 B 함유량이 높은 경우 주상은 Fe3B가 되나 B 함유량이 낮은 경우 주상은 α-Fe로 되고 RE2Fe14B가 소량 형성된 미세구조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합금의 경우 결정립이 조대(粗大)하여 자기적 특성 이 낮았고 이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Fe에 대한 고용도가 매우 낮아 결정화 초기에 α-Fe 핵 생성 속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되는 Cu를 소량 첨가하고, 결정립 성장을 억제할 것으로 판단되는 고융점 원소인 Mo, Nb, V, W, Ta를 첨가한 저 RE 함유 RE-Fe-B-M-Cu (M은 Mo, Nb, V, W 또는 T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말한다) 합금을 설계하여 급속 응고법 또는 기계적 합금법을 이용, 비정질상으로 제조하였다.
결과물인 RE-Fe-B-M-Cu 합금의 자기 특성중 보자력(iHc)은 향상 되었으나 자기이력곡선의 각형성이 낮아 잔류 자화(Br)의 향상을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각형성 및 잔류 자화의 개선을 위하여 결정립을 더욱 미세화시키고 연자성상의 자화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Co/Fe = 1/4까지 Co를 치환한 저 RE 함유 RE-(Fe,Co)-B-M-Cu (M=Mo, Nb, V, W, Ta) 합금을 설계한 후 상기 합금을 용융시켜 급속 응고법 또는 기계적 합금법을 이용하여 비산화성 분위기하에서 비정질상의로 제조한 후, 500-800℃에서 열처리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이의 자기특성조사 및 상분석을 체계적으로 행하였다.
상기 저 RE 함유 RE-(Fe, Co)-B-M-Cu (M=Mo, Nb, V, W, Ta) 합금의 상을 분석한 결과, α-(Fe, Co) 기지상에 RE2(Fe, Co)14B가 석출된 합금DL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Co의 첨가로 보자력의 감소없이 잔류자화가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합금 자성체는 1.2T 이상의 높은 잔류자화와 0.65 이상의 높은 각형비(Br/Bs)를 갖는다.
한편, 보론함유량을 더욱 감소시킬 경우 잔류자화가 상승하여 최대 자기 에너지적 [(BH)max]이 크게 증가하며 보론함유량 6 at% 부근에서 기존의 Fe3B기 REFeB 합금보다 우수한 자기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합금 자성체는 체심입방격자 구조를 갖는 연자성상을 주상으로 하고, 정방정 구조를 갖는 소량의 경자성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발명의 합금 자성체는 연구결과 RExFeyCozBuMvCuw의 조성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M은 고융점 원소인 Nb, Mo, V, W, Ta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원소이며, x=5 at% 이하, y=90 at% 이하, z=25 at% 이하, u=15at%, v=5 at% 이하, w=5 at%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제조되어 자기 기록 매체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자성상은 α-Fe 또는 α-(Fe, Co)이며 경자성상은 RE2Fe14B 또는 RE2(Fe, Co)14B가 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비교예 침실시예와 그 물성분석 결과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비교예 1]
희토류 원소로서 ND를 채용하여 α-Fe의 기지상에 Nd2Fe14B가 석출될 수 있도록 기존의 저 ND 함유 Nd-Fe-B 합금 조성에서 B의 합유량을 19 at%로 감소시킨 Nd4Fe77B19로 Nd-Fe-B 합금을 설계한후 급속 응고법중 단롤법을 이용하여 불활성 기체 분위기하에서 비정질상으로 제조하고, 600℃에서 열처리하여 합금 자성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B 함유량을 10.5 at%로 낮추어 Nd4Fe85.5B10.5로 합금을 설계하되,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실험을 하였다.
비교예 1 및 2의 결과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선 회절 분석결과 B 함유량이 높은 비교예 1이러 경우 주상이 Fe3B로 되어 자기 특성이 개선되지 않았고, B의 함유량이 낮은 비교예 2의 경우 주상이 α-Fe로 되고 Nd2Fe14B가 소량 형성된 미세 구조를 나타내기는 하였지만 결정립이 조대(粗大)하여 자기적 특성(B2=1.21T, IHc=1.2 kOe)이 낮았다.
[비교예 3-5]
합금 설계시 B의 함유량을 10 at% 로 소량 첨가하고, 고융점 원소인 Mo(비교예 3), Nb(비교예 4) 및 V(비교예 5)를 각각 3 at%씩 첨가하여 저 Nd 함유 Nd4Fe82B10M3Cu1의 합금을 설계하고 나머지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합금 자성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M은 Mo, Nb 또는 V를 나타낸다.
결과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자력(iHc)은 2.1 내지 2.7로 향상되었으나 자기이력곡선의 각형성이 낮아 잔류자화(Br)의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1-4]
비교예 3과 같이 고융점 원소로서 Mo를 채용하고, Co/Fe가 각각 1/19.5(실시예 1), 1/9.25(실시예 2), 1/5.83(실시예 3) 및 1/4.25(실시예 4)로 되도록 Fe를 Co로 치환하여 Nd4(FE, Co)82B10Mo3Cu1의 합금을 설계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공정조건으로 합금 자성체를 제조한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α-(Fe, Co) 기지상에 Nd2(Fe, Co)14B가 석출된 합금이 제조되었으며, Co의 첨가로 보자력의 감소없이 잔류자화가 증가하는 효과를 얻었다.
[실시예 5 및 6]
고융점원소를 Mo에서 각각 Nb(실시예 6) 및 V(실시예 7)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Nd4Fe74Co8B10M3Cu1으로 합금을 설계하여 공정을 진행시킨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 이상의 높은 잔류자화와 0.65 이상의 높은 각형비(Br/Bs)를 갖는 합금 자성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및 8]
ND, Fe 및 CO의 함유량을 다소 변화시켜가면서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조건으로 하여 본 발명의 합금자성체를 제조한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시 잔류자화가 1.2 이상이 고각형비가 0.65 이상인 양호한 합금자성체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9-11]
고융점 원소를 Nb로 하고 B의 함유량을 6 at%로 낮추어 하기 표 1에서와 같은 합금을 설계하고 공정을 진행한 결과 잔류자화가 더욱 상승하고 최대 자기에너지적 [(BH)max]이 크게 증가하는 우수한 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합금자성체가 제조되었다.
표 1은 각 비교예 및 실시예의 합금 조성에 따른 자기적 특성치 및 상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표 1 내지 도표 4는 표 1에 근거하여 각 합금성분의 함량에 따른 자기적 특성치를 그래프화한 것이고, 도표 5는 표 1에 근거하여 다른 성분의 함량이 일정할 때 Fe와 Co의 구벙비 변화에 따른 자기적 특성치 변화를 그래프화한 것이며, 도표 6은 표 1에 근거하여 다른 성분의 구성비가 일정할 때, ND와 (Fe0.9Co0.1)의 구성비 변화에 따른 자기적 특성치 변화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실시예 12-15]
각 원소의 함량을 Nd=4 at%, Fe=74 at%, Co=8 at%, B=10 at%, Mo=3 at%, Cu=1 at%로 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열처리 온도만을 620℃에서 700℃까지 변화시켜 가면서 본 발명의 합금 자성체를 제조하고, 그 자기 특성치를 그래프화하여 도표 7에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는 기존에 개발된 FeB기 저 RE 함유 자석에 비하여 자기적 특성 및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B의 함유량 감소로 인해 경제성이 개선되었다.
본 발명의 합금 자성체는 동방성 본드 자석 뿐만 아니라 하드 디스크, 디스켓 또는 테이프와 같은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 전기 발전기, 모타 및 광대역 초고주파 전파 흡수체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소재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합금 자성체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물질과 혼합되어 영구 자석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고성능 희토류 합금 자성체에 있어서, 입방정계의 체심입방격자 구조를 갖는 연자성상을 주상(住相)으로 하고, 정방정계의 구조를 갖는 경자성상이 소량 부가된 합금으로서 RExFeyCozBuMvCuw의 조성을 가지며, 상기에서 RE(Rare Earth)는 희토류 원소로서 Ce, Pr, Nd, Sm, Eu, Gd, Tb, Dy, Ao, Er, Tm, Yb, Lu, Y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내며, M은 고융점 원소인 Nb, Mo, V, W 또는 Ta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원소이며 x=5 at% 이하, y=90 at% 이하, z=25% 이하, u=15 at% 이하, v=25at% 및 w=5 at% 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상이 α-Fe 또는 Fe 중 일부를 Co로 치환한 α-(Fe, Co)이고,경자성상은 RE2Fe14B 또는 RE2(Fe, Co)1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o 치환 비율이 Co/Fe = 1/4 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4. 제1항의 원소 조성을 가지는 합금을 설계한 후 용융시켜 급속 응고법중 단롤법을 이용하여 불활성 기체 분위기하에서 비정질상으로 제조한 후 500 내지 800℃에서 열처리함으로써 α-Fe 또는 상기 α-Fe 중 일부를 Co로 치환한 α-Fe(Co)의 연자성 기지상과 소량의 RE2Fe14B 또는 RE29(Fe, Co)14B의 경자성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상이 α-Fe 또는 Fe 중 일부를 Co로 치환한 α-(Fe, Co)이고, 경자성상은 RE2Fe14B 또는 RE2(Fe,Co)1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o 치환 비율이 Co/Fe = 1/4 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α-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의 제조방법.
  7. 제1항의 합금 자성체와 고무 또는 플라스틱 물질과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영구 자석.
  8. 제1항의 합금 자성체를 이용한 자기 기록 매체.
  9. 제1항의 합금 자성체를 이용한 광대역 전파흡수체.
KR1019950040235A 1994-11-12 1995-11-08 알파-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이용 KR016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235A KR0168495B1 (ko) 1994-11-12 1995-11-08 알파-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이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4-29717 1994-11-12
KR19940029717 1994-11-12
KR1019950040235A KR0168495B1 (ko) 1994-11-12 1995-11-08 알파-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이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348A KR960019348A (ko) 1996-06-17
KR0168495B1 true KR0168495B1 (ko) 1999-01-15

Family

ID=1939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235A KR0168495B1 (ko) 1994-11-12 1995-11-08 알파-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이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894976B2 (ko)
KR (1) KR0168495B1 (ko)
CN (1) CN11302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9920A1 (en) * 2005-05-30 2006-12-07 Millinet Co., Ltd.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and socks there by
KR100770818B1 (ko) * 2000-05-29 2007-10-26 다이도 스틸 코오퍼레이션 리미티드 등방성 분말 자성체와 그 제조공정 및 이를 이용한수지본드자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496B1 (ko) * 2006-05-02 2007-10-04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다단계 변형이 가능한 이상분리 비정질 합금
CN103741008B (zh) * 2013-12-27 2016-05-11 青岛云路先进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铁基纳米晶合金的制备方法
CN103730227B (zh) * 2014-01-28 2016-04-27 成都银河磁体股份有限公司 一种纳米双相各向同性复合永磁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604B2 (ja) * 1987-12-04 1995-07-26 日立金属株式会社 Fe基磁性合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18B1 (ko) * 2000-05-29 2007-10-26 다이도 스틸 코오퍼레이션 리미티드 등방성 분말 자성체와 그 제조공정 및 이를 이용한수지본드자석
WO2006129920A1 (en) * 2005-05-30 2006-12-07 Millinet Co., Ltd. Knitting machine, knitted fabric and socks there 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288A (zh) 1996-09-04
KR960019348A (ko) 1996-06-17
JPH08296006A (ja) 1996-11-12
JP2894976B2 (ja) 199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0413A (en) Fe-NI based soft magnetic alloys having nanocrystalline structure
JP2011187624A (ja) 希土類系永久磁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00728A (en) Permanent magnetic material made of iron-rare earth metal alloy
JP3317646B2 (ja) 磁石の製造方法
JP3488358B2 (ja) 微細結晶永久磁石合金及び永久磁石粉末の製造方法
JP5732877B2 (ja) 磁性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219143A (ja) 焼結永久磁石材料とその製造方法
KR0168495B1 (ko) 알파-Fe기 RE-Fe-B 초미세 결정립 합금 자성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이용
JP3411663B2 (ja) 永久磁石合金並びに永久磁石合金粉末とその製造方法
JPH118109A (ja) 希土類永久磁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07204A (ja) 希土類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3469496B2 (ja) 磁石材料の製造方法
JP3488354B2 (ja) 微細結晶永久磁石合金及び等方性永久磁石粉末の製造方法
JP2966169B2 (ja) 希土類磁石並びに希土類磁石用合金粉末とその製造方法
JP3143157B2 (ja) 希土類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H07173501A (ja) 永久磁石合金粉末とその製造方法
JPS6077959A (ja) 永久磁石材料の製造方法
JP2999648B2 (ja) 希土類磁石並びに希土類磁石合金粉末とその製造方法
JP4043613B2 (ja) 過冷却液体領域を有するFe基硬磁性合金
WO2023054035A1 (ja) 希土類磁石材料及び磁石
JP3238779B2 (ja) 希土類磁石合金粉末とその製造方法
JP3516820B2 (ja) 希土類永久磁石用合金原料、希土類永久磁石用合金粉末及び希土類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2001217109A (ja) 磁石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ボンド磁石
JPH0435547B2 (ko)
JPH09143641A (ja) 硬磁性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