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971B1 -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971B1
KR0167971B1 KR1019960015875A KR19960015875A KR0167971B1 KR 0167971 B1 KR0167971 B1 KR 0167971B1 KR 1019960015875 A KR1019960015875 A KR 1019960015875A KR 19960015875 A KR19960015875 A KR 19960015875A KR 0167971 B1 KR0167971 B1 KR 016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circular rim
cable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462A (ko
Inventor
송재학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1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971B1/ko
Publication of KR97007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에 관한 것으로, 원형림과 혼패드에는 스프링으로 연결된 공간부를 다수개 절결 형성하되 그 공간부의 외주면에는 커버를 씌우면서 상기 혼패드에 형성된 공간부에 관통되게 인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에 상응한 위치로 절결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상기 원형림으로부터 공간부, 인출공, 출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케이블의 구멍을 형성하면서 표면으로 고정돌기와 누름버튼이 있는 탄지부를 형성하고, 수개의 케이블이 고정된 조절구의 표면에는 상기 누름버튼의 가이드홈과 상기 케이블의 안내홈을 형성하며, 내벽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고정홈을 다수개 환설하여 된 것으로,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보다 편리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게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제1도는 본 발명의 가변식 조향핸들을 보인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가변식 조향핸들을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A-A선에 따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조향핸들 10 : 원형림
20 : 혼패드 30 : 바디
40 : 보스 50 : 조절구
60 : 케이블 70 : 커버
80 : 슬라이딩 컨텍트
본 발명은 조향핸들에 설치된 조작구의 회전에 따라 원형림의 직경이 확대 축소됨으로써 운전시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장치로 조향 핸들을 돌려서 앞바퀴가 조향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력을 조향기어 기구에 전달하는 조향조작 기구와 조작력의 방향을 바꾸어 줌과 동시에 회전력을 증대하여 조향링크 기구에 전달하는 조향기어 기구와 기어 기구의 움직임을 앞마퀴에 전달함과 동시에 좌우의 앞바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하는 조향링크 기구로 되어 있다.
이중 상기 조작 기구는 조향핸들, 조향축 및 조향축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전자의 조작력을 기어장치에 전달하는 부분이며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여러가지 안전장치가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은 허브, 스포크 및 림 등으로 구성되며, 스포크나 림의 내부에는 보강하기 위한 강이나 경합금심이 들어 있고, 바깥쪽은 합성수지로 설형되어 있고, 조향축의 결합방법은 테이퍼 부분과 세레이션, 또는 세레이션 홈에 끼워서 너트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향축은 조향핸들의 조작력을 조향기어에 전달하는 축이며, 윗부분에 조향핸들이 결합되어 있으며 아랫 부분에는 조향기어가 결합되어 있고, 조향기어와의 연결방법은 조향기어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과 플레시블 조인트를 사이에 끼워 연결한 방식이 있다.
이렇게 조향핸들과 조향축을 구성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다음 주행할 경우 운전자는 상기 조향핸들을 손으로 잡은 후 조향조작을 하게 되는데 상기 조향샌들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조향핸들과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가깝기 때문에 조향 조작을 하는데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조향핸들의 림 직경을 확대 축소함으로서 보다 편리한 운전을 하도록 한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형림과 혼패드에는 스프링으로 연결된 공간부를 다수개 절결 형성하되 그 공간부의 회주면에는 커버를 씌우면서 상기 혼패드에 형성된 공간부에 관통되게 인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에 상응한 위치로 절결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상기 원형림으로부터 공간부, 인출공, 출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케이블의 구멍을 형성하면서 표면으로 고정돌기와 누름버튼이 있는 탄지부를 형성하고, 수개의 케이블이 고정된 조절구의 표면에는 상기 누름 버튼의 가이드홈과 상기 케이블의 안내홈을 형성하며, 내벽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고정홈을 다수개 환설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하게 기술한다.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향핸들(S)의 원형림(10)과 혼패드(20)에는 수개의 공간부(14)를 형성하고, 보스(40)에는 누름버튼(48)과 고정돌기(46) 그리고 구멍(42)을 형성하고, 상기 보스(40)에 끼워 회전되게 조절구(50)를 설치하여 상기 원형림(50)를 설치하여 상기 원형림(10)의 직경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형림(10)과 혼패드(20)에는 혼패드(20)에는 스프링(12)으로 연결된 공간부(14)를 다수개 절결 형성하되 그 공간부(14)의 외주면에는 커버(70)를 씌우면서 상기 혼패드(20)에 형성된 공간부(14)에 관통되게 인출공(22)을 형성한다.
상기 바디(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14)에 상응한 위치로 절결부(32)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보스(40)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상기 원형림(10)으로부터 공간부(14), 인출공(22)을 통해 인출되는 케이블(60)의 구멍(42)을 형성하며, 표면으로 고정돌기(46)와 누름버튼(48)이 있는 탄지부(44)를 형성한다.
상기 조절구(50)의 표면에는 수개의 케이블(60)이 고정되며, 된 조절구(50)의 표면에는 상기 누름버튼(48)의 가이드 홈(52)과 상기 케이블(60)의 안내홈(54)을 형성하며, 내벽에는 상기 고정돌기(46)의 고정홈(56)을 다수개 환설하여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80)는 상기 보스(40)에 끼워 고정되게 한 슬라이딩 컨텍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조향핸들(S)의 원형림(10)과 혼패드(20)를 절단한 다음 공간부(14)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14)에서 확대 축소조작이 이루어지게 하되, 그 기능은 상기 케이블(60)을 당겨주고 늦춰주는 작업으로 한다. 즉, 상기 보스(40)에 끼워 설치된 조절구(50)의 회전 멈춤에 의해 상기 케이블(60)이 당겨지고 늦춰짐에 따라 상기 원형림(10)의 직경이 변화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형림(10)의 직경을 변화시키는 작업을 도면 제2도 내지 제3도 (a)(b)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원형림(10)의 2직경을 작게 할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조절구(50)의 가이드 홈(52)으로 돌출된 누름 버튼(48)을 눌러 상기 탄지부(44)의 고정돌기(46)를 상기 고정홈(56)에서 이탈시켜 상기 조절구(5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절구(5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조절구(50)에 고정된 상기 케이블(40)이 상기 안내홈(54)을 통해 당겨지면서, 상기 공간부(14), 인출공(22), 구멍(42)과 안내홈(54)을 통해 상기 원형림(10)을 당겨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보스(40)의 내부로 케이블(60)이 당겨져 상기 원형림(10)을 내부로 당겨준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60)이 상기 원형림(10)을 당겨줌에 따라 공간부(14)에 설치된 스프링(12)이 압축되고, 케이블(60)을 상기 혼패드(20)에 형성한 인출공(22)을 통해 당겨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누름버튼(48)을 계속 누르고 있다가 상기 원형림(10)의 직경이 원하는 상태로 변화되었다고 판단될 때 누름버튼(48)에서 손을 떼게 된다.
이처럼 상기 누름버튼(48)을 누른 상태에서 해제시켜주면, 상기 탄지부(44)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그 탄지부(44)의 고정돌기(46)가 상기 고정홈(56)에서 걸려져 상기 조절구(50)는 회전 불가능해진다. 이 상태가 도면 제 3도(b)에서 보여준다. 이는 주로 체형이 작은 운전자에게 적용된다.
이에 반해, 체형이 비교적 큰 운전자는 도면 제3도(a)에서 설명한 것과는 달리 상기 원형림(10)의 직경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누름버튼(48)을 눌러 상기 고정홈(56)에서 상기 고정돌기(46)를 이탈시켜 조절구(5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러면, 상기 공간부(14)에 설치된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케이블(60)이 당겨지면서 상기 원형림(10)은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케이블(60)에 의해 상기 조절구(50)도 회전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에 따르면, 운전자의 체형이 클 경우 상기 조절구를 회전시켜 원형림의 직경을 크게 하는 한편 체형이 작을 경우 상기 조절구를 회전시켜 원형림의 직경을 축소함으로써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보다 편리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게 한 발명이다.

Claims (1)

  1. 원형림(10)과 혼패드(20)와 바디(30) 그리고 보스(4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조향핸들(S)에 있어서, 상기 원형림(10)과 혼패드(20)에는 스프링(12)으로 연결된 공간부(14)를 다수개 절결 형성하되 그 공간부(14)의 외주면에는 커버(70)를 씌우면서 상기 혼패드(20)에 형성된 공간부(14)에 관통되게 인출공(22)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 (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14)에 상응한 위치로 절결부(3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보스(40)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상기 원형림(10)으로부터 공간부(14), 인출공(22)을 통해 인출되는 케이블(60)의 구멍(42)을 형성하면서 표면으로 고정돌기(46)와 누름버튼(48)이 있는 탄지부(44)를 절결 형성하고, 수개의 케이블(60)이 고정된 조절구(50)의 표면에는 상기 누름버튼(48)의 가이드홈(52)과 상기 케이블(60)의 안내홈 (54)을 형성하며, 내벽에는 상기 고정돌기(46)의 고정홈(56)을 다수개 환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KR1019960015875A 1996-05-14 1996-05-14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KR016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875A KR0167971B1 (ko) 1996-05-14 1996-05-14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875A KR0167971B1 (ko) 1996-05-14 1996-05-14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462A KR970074462A (ko) 1997-12-10
KR0167971B1 true KR0167971B1 (ko) 1999-01-15

Family

ID=1945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875A KR0167971B1 (ko) 1996-05-14 1996-05-14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637B1 (ko) * 2000-12-26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휠
KR100447566B1 (ko) * 2002-08-13 2004-09-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가변핸들
KR100867021B1 (ko) * 2008-05-23 2008-11-04 여삼현 길이조절이 가능한 핸들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462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287B2 (en) Steering device with measured value transmitter
US5520066A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n operating device disposed on the steering wheel
US5340342A (en) Universal tiller handle with shift and throttle
KR0167971B1 (ko)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JPH0536730Y2 (ko)
KR20050048097A (ko)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
JPS63158621A (ja) 自動変速機用可倒式シフトレバ−装置
JP7322869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918963B2 (ja) 操作レバー装置
KR20020027452A (ko) 빙판길 주행용 보조장치
JPH0423697Y2 (ko)
JP2022018551A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S638971Y2 (ko)
JP2933965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100907374B1 (ko) 스티어링휠용 스위치 조립체
JP2966021B2 (ja) 操作レバー装置
KR100423036B1 (ko) 차량용 조향 핸들휠의 보조핸들구조
JPH0344586Y2 (ko)
JPH11297166A (ja) コラムスイッチ装置
JPH0623517Y2 (ja) 自転車用操作装置
JP3875830B2 (ja) 電動車の駆動操作装置
JP3811547B2 (ja) 乗用型田植機等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34916B1 (ko) 자동차의 조향핸들 구조
JPH03253425A (ja) 操作レバー装置
KR200221359Y1 (ko) 스티어링 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