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455B1 -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455B1
KR0165455B1 KR1019950037444A KR19950037444A KR0165455B1 KR 0165455 B1 KR0165455 B1 KR 0165455B1 KR 1019950037444 A KR1019950037444 A KR 1019950037444A KR 19950037444 A KR19950037444 A KR 19950037444A KR 0165455 B1 KR0165455 B1 KR 016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unit
sorting
measuring
ceram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317A (ko
Inventor
권중남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455B1/ko
Publication of KR97002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는, 세라믹소체를 공급하는 세라믹소체 공급부; 상기 세라믹소체 공급부에서 공급한 세라믹소체를 정확한 측정위치에 이동시키는 제1스텝모터부; 상기 스텝모터부에서 이동시킨 세라믹소체의 특성을 측정하는 세라믹소체 세라믹소체 측정부; 상기 세라믹소체 측정부에서 측정된 세라믹소체의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세라믹소체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세라믹소체공급부와 세라믹소체 측정부 및 선별부를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으로 세라믹소체를 세라믹소체 측정부에 공급된 세라믹소체를 파라미터별로 측정을 하여 측정한 값에 따라 신속하게 선별용기에 분류하여 저장하며, 또한, 측정하는 세라믹소체의 갯수, 전체검사 갯수, 총불량수등을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고 프린트로 출력하는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의 측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인덱스테이블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6도는 제3도의 인덱스테이블에서 세라믹소체와 접촉된 측정단자를 보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동측정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접어들면서 세라믹은 정밀산업 등 보다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수요 또한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이에따라, 세라믹소체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성을 갖고 측정하며 측정된 값에 따라 세라믹소체를 신속하게 선별하는 장치가 요구되어져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세라믹소체의 특성값을 측정하고 특성값에 따라 보다 세밀하게 세라믹소체를 선별하는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는, 세라믹소체를 진동시켜 정렬시키는 바울피더부와 상기 바울피더부의해 정렬된 상기 세라믹소체를 흡착하여 인덱스테이블에 이송시키는 픽앤플레이스부와 회전하여 측정위치로 상기 세라믹소체를 이송하고, 측정된 세라믹소체를 선별위치에서 낙하시키는 인덱스테이블을 구비하는 세라믹소체 공급부; 동축상에 설치된 상기 세라믹소체의 측정단자부와 상기 픽앤플레이스부의 캠기구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인덱스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스텝 모터부; 상기 측정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세라믹소체의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네트웍크아날라이저부를 구비하는 세라믹소체 측정부; 제2스텝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인덱스테이블로부터 유입된 측정된 세라믹소체를 상기 선별용기의 해당 소체선별칸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세라믹소체를 저장하는 선별가이드관을 구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세라믹소체 공급부와 상기 제1, 제2스텝모터부, 상기 세라믹소체 측정부 및 상기 선별부를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의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도의 세라믹소체의 측정방법의 흐름도를 살펴보면 참조번호 제100단계는 측정된 세라믹소체의 임피던스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피던스 상한값보다 큰값인지를 확인하고 큰 값이면 제102단계로 진행하여 임피던스 불량 선별용기에 측정한 해당 세라믹소체를 투입한다.
제100단계에서 측정한 세라믹소체의 임피던스가 사전에 설정된 임피던스 상한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104단계로 진행한다. 제104단계에서 세라믹소체의 임피던스가 사전에 설정된 임피던스 하한값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하한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106단계로 진행하여 임피던스 불량 선별용기에 측정한 해당 세라믹소체를 투입한다.
제104단계에서 측정한 세라믹소체의 임피던스가 설정한 하한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108단계로 진행하여 세라믹소체 공진주파수가 선별파일 공진주파수 범위의 최대값보다 큰값인가를 확인하여 클 때는 제110단계에서 공진주파수 불량 선별용기에 측정한 세라믹소체를 투입한다.
제108단계에서 측정한 세라믹소체의 공진주파수가 선별파일 공진주파수 범위의 최대값보다 작은 값일 경우에는 제112단계로 진행한다.
세라믹소체 공진주파수가 선별파일 공진주파수 범위의 최소값보다 작은 값일 경우에는 제114단계로 진행하여 공진주파수 불량 선별용기에 측정한 세라믹소체를 투입한다.
제112단계에서 세라믹소체 공진주파수가 선별파일 공진주파수 범위의 최소값보다 큰값일 경우에는 제116단계로 진행한다.
측정하는 세라믹소체의 (반공진주파수-공진주파수) 값이 편차범위 최대값보다 클때는 제118단계로 진행하여 편차범위 불량 선별용기에 측정한 세라믹소체를 투입한다.
제116단계에서 측정하는 세라믹소체의 (반공진주파수-공진주파수) 값이 편차범위 최소값보다 작은가를 확인하여 작을 때는 제122단계로 진행하여 편차범위 불량 선별용기에 측정한 세라믹소체를 투입하고 124단계로 진행한다. 제124단계는 측정하는 세라믹소체가 공진주파수를 포함하는 공진주파수 범위내에 있고 (반공진주파수-공진주파수)값을 포함하는 편차범위가 기록파일의 항목에 존재하는가를 확인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28단계로 진행하여 기록항목 불량 선별용기에 세라믹소체를 투입한다.
상기 편차범위가 기록파일의 항목에 존재하는가를 확인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26단계로 진행하여 기록파일상의 해당 용기에 세라믹소체를 투입하고 종료한다.
이하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세부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며,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선별용기(260)는 별도로 도시되었다.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의 정면도이며,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인덱스테이블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6도는 제3도의 인덱스테이블에서 세라믹소체와 접촉된 측정단자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2도에 도시된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는 세라믹소체 공급부(200), 제1스텝모터부(210), 디지탈입력 처리부(220), 세라믹소체 측정부(230), 선별부(250), 컴퓨터제어부(270), 모니터부(280), 프린트부(290)를 포함한다. 제1스텝모터부(210)는 5상스텝모터(211)와 세라믹소체로딩을 위해 5상스텝모터(211)의 축상에 설치된 픽앤플레이스(204) 구동용 캠기구와 세라믹소체의 위면과 아래면을 접촉하기 위한 측정단자의 상핀과 하핀의 일반적인 구동용 캠기구와 5상스텝모터(211)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1엔코더(212)를 구비한다. 또한, 5상스텝모터(211)와 인덱스테이블(205)과는 풀리(213)로 동력이 전달되며, 세라믹소체가 측정위치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인덱스테이블(205)을 제어한다.
세라믹소체 공급부(200)는 직진피더(202)에 투입되도록 세라믹소체를 일시 저장하는 세라믹호퍼(201)와 세라믹호퍼(201)에 있는 세라믹소체를 바울피더(203)에 공급하는 직진피더부(202), 직진피더부(202)를 통하여 공급된 세라믹소체들을 진동하여 정렬시키는 바울피더부(203)와, 바울피더부(203)에서 정렬된 세라믹소체를 공압으로 흡착하여 인덱스테이블(205)에 이동시키는 픽앤플레이스부(204)를 구비한다.
디지탈 입력처리부(220)는 컴퓨터제어부(270)내에 설치되어 데이터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며, 선별용기(260)의 미도시된 착탈감지센서와 직진피더부(202)에서 세라믹소체의 검출을 감지하는 미도시된 소체검출센서와 픽앤플레이스부(204)의 공압감지센서와 제1,제2엔코더(212, 256)의 출력신호를 유입하여 신호처리한 후 컴퓨터제어부(270)에 출력한다.
세라믹소체 측정부(230)는 세라믹소체에 단자핀을 접속하는 측정단자부(235)와 측정단자부(235)를 통하여 압전특성을 갖는 세라믹소체의 임피던스와 공진주파수, 반공진주파수를 측정하는 네트워크 아날라이저(240)를 포함한다.
선별부(250)는 원통타입으로서 원통둘레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원통의 중심 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다수개의 소체선별칸을 형성하며, 세라믹소체 특성에 따라 분류된 세라믹소체를 각각의 소체선별칸에 갖는 선별용기(260)와 측정된 후 인덱스테이블(205)의 선별부(2054)에서 낙하되는 측정된 세라믹소체를 유입하여 해당 소체선별칸의 위치로 회전하여 이동한 후 정지하여 세라믹소체를 저장시키는 선별가이드관(261)과 선별가이드관(261)을 회전시키는 2상스텝모터(255)의 탈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2엔코더(256)를 구비한다.
제2도의 구성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세라믹소체 공급부(200)의 측정하기 위해 투입된 세라믹소체들은 세라믹호퍼(201)에서 직진피더부(202)를 통하여 정렬되어 바울피더부(203)에 공급된다.
세라믹소체가 공급되면 디지탈 입력처리부(220)는 제4도의 제1, 제2인코더(212,256)와 선별용기(260)의 착탈여부 미도시된 감지센서와 세라믹소체 검출을 하여 컴퓨터제어부(27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직진피더부(202)를 통하여 바울피더부(203)에 공급된 세라믹소체들은 바울피더부(203)의 진동에 의하여 정렬된 다음 픽앤플레이스부(204)에 의해 흡착되어 인덱스테이블(205)에 이동된다. 제5도의 인덱스테이블(205)은 5상스텝모터(211)와 풀리(213)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며 5상스텝모터(211)의 소정 스텝의 회전에 따라 90도씩 회전하며, 픽앤플레이스부(204)가 바울피더부(203)에서 세라믹소체(262)를 흡착하여 이송하여 드롭시키는 소체투입부(2051)와 측정을 대기하는 버퍼부(2052), 세라믹소체(262)를 측정하는 측정부(2053)와 측정된 세라믹소체가 선별되도록 인텍스테이블(205)의 베이스판(206)의 홀(hole)로 낙하시키는 선별부(2054)로 구분되어 회전에 따라 세라믹소체(262)가 순차적으로 측정되고 분류되어진다.
여기서, 5상스텝모터(211)의 축에는 각 구동용 캠기구가 연결되어 5상스텝모터(211)의 회전에 따라 픽앤플레이스부(204)를 작동시키고, 또한 측정단자부(235)의 상,하핀(2351, 2352)이 세라믹소체(262)와 접속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인덱스테이블(205)에 투입된 세라믹소체(262)가 측정부(2053)에 위치하게 되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자의 상, 하핀(2351, 2352)이 세라믹소체(262)의 상과 하면에 접속하여 세라믹소체(252)의 파라미터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5상스텝모터(211)의 축 일단에 설치된 제1엔코더(21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디지탈입력 처리부(220)를 통하여 컴퓨터제어부(270)에 전송되어 5상스텝모터(211)의 탈조여부와 소체선별타이밍, 픽 앤플레이스부(204)의 세라믹소체 흡입타이밍을 검출한다.
네트워크 아날라이저(240)에서는 측정단자부(235)를 통하여 세라믹소체의 파라미터인 임피던스와 공진주파수, 반공진주파수를 측정하여 컴퓨터제어부(27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컴퓨터제어부(270)는 사전에 설정되어져 있는 세라믹소체의 특성값을 파라미터별로 비교하여 설정된 값의 범위내에 포함여부에 따라 5상스텝모터(211)를 제어하여 5상스텝모터(211)로부터 풀리(213)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인덱스테이블(205)을 좌측으로 회전시켜 측정된 세라믹소체를 선별부(2054)를 통하여 선별가이드관(261)으로 낙하시킨다. 이때, 컴퓨터제어부(270)는 선별가이드관(261)에 접속된 2상스텝모터(255)를 제어하여, 측정된 값에 해당하는 선별용기(260) 칸의 위치로 선별가이드관(261)을 회전시켜 세라믹소체를 선별용기(260)의 해당 칸에 분류되어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2상스텝모터(255)의 운전각도는 스텝모터 1회전 구동시에 소요되는 펄스수를 선별용기(260)의 칸의 개수분으로 나눈 값으로 산정된다.
또한, 2상스텝모터(255)의 축의 일단에는 제2엔코더(256)가 접속되어 있어서 컴퓨터제어부(270)에서 2상스텝모터(255)탈조 여부를 검출한다.
컴퓨터제어부(270)는 검사결과가 양품인 경우에는 측정결과를 데이터파일로 저장하고 모니터(280)에 측정값 및 각 선별용기에 선별된 세라믹소체의 갯수, 전체검사 갯수, 총불량수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프린트부(290)는 세라믹소체의 측정을 완료할 때까지 모니터(280)에 출력된 데이터를 프린트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으로 세라믹소체를 세라믹소체 측정부에 공급된 세라믹소체를 파라미터별로 측정을 하여 측정한 값에 따라 신속하게 선별용기에 분류하여 저장하며, 또한, 측정하는 세라믹소체의 갯수, 전체검사 갯수, 총불량수등을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고 프린트로 출력하는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5)

  1.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에 있어서, 세라믹소체를 진동시켜 정렬시키는 바울피더부와 상기 바울피더부의해 정렬된 세라믹소체를 흡착하여 인덱스테이블에 이송시키는 픽앤플레이스부와 회전하여 측정위치로 상기 세라믹소체를 이송하고, 측정된 세라믹소체를 선별위치에서 낙하시키는 인덱스테이블을 구비하는 세라믹소체 공급부; 동축상에 설치된 상기 세라믹소체의 측정단자부와 상기 픽앤플레이스부의 캠기구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인덱스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스텝모터부; 상기 측정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세라믹소체의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네트웍크아날라이저부를 구비하는 세라믹소체 측정부; 제2스텝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인덱스테이블로부터 유입된 측정된 세라믹소체를 상기 선별용기의 해당 소체선별칸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세라믹소체를 저장하는 선별가이드관을 구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세라믹소체 공급부와 상기 제1, 제2스텝모터부, 상기 세라믹소체 측정부 및 상기 선별부를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스텝모터의 축의 일단에는 각각 엔코더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를 유입하여 상기 컴퓨터제어부로 출력하는 디지탈입력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측정하는 상기 세라믹소체의 갯수, 전체검사 갯수, 총불량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측정하는 상기 세라믹소체의 갯수, 전체검사 갯수, 총불량수, 불량 통계 그래프를 프린트하는 프린트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KR1019950037444A 1995-10-26 1995-10-26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KR016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444A KR0165455B1 (ko) 1995-10-26 1995-10-26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444A KR0165455B1 (ko) 1995-10-26 1995-10-26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317A KR970022317A (ko) 1997-05-28
KR0165455B1 true KR0165455B1 (ko) 1999-05-01

Family

ID=1943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444A KR0165455B1 (ko) 1995-10-26 1995-10-26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4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317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912B1 (ko) 피크-앤-플레이스 로봇으로 기판 상에 배치된 소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
US7558693B2 (en) Automatic tes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EP0085124B1 (en) Screw inspection device
KR20000038533A (ko) 모듈외관검사설비
EP04250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orienting and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KR0165455B1 (ko) 세라믹소체의 자동측정 및 선별장치
CN100506400C (zh) 插针直径自动检测及分拣系统
US7750653B2 (en) Automated contact alignment tool
CN107363505B (zh) 料库装置
KR200332887Y1 (ko) 비접촉식 부품외관검사장치
CN111994600A (zh) 一种螺纹检测设备
KR20020073957A (ko)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부품 검사장치
JPH0780420A (ja) 部品の検査仕分け装置
TWI612598B (zh) 晶圓檢測分類裝置及其檢測分類方法
CN211392942U (zh) 一种下料装置及螺纹检测设备
KR100295775B1 (ko) 번인 테스터 소팅 핸들러용 소팅부의 트레이 적재장치
KR960011213B1 (ko) 컨택트 이미지 센서(Contact Ima ge Senser) 검사 시스템
JP2001212522A (ja) 部品検査装置
CN210312287U (zh) 一种上料装置及螺纹检测设备
CN218963324U (zh) 一种零件分选设备
CN215004257U (zh) 阀具检测机
CN212093291U (zh) 一种自动挑片机
CN215430290U (zh) 一种孔径自动检测筛选装置
KR930009925B1 (ko) 알루미늄 합금 주조봉 절단피스(piece)의 중량선별장치
CN210464260U (zh) 一种螺纹检测规、检测装置及螺纹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