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163B1 -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 Google Patents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163B1
KR0164163B1 KR1019950055125A KR19950055125A KR0164163B1 KR 0164163 B1 KR0164163 B1 KR 0164163B1 KR 1019950055125 A KR1019950055125 A KR 1019950055125A KR 19950055125 A KR19950055125 A KR 19950055125A KR 0164163 B1 KR0164163 B1 KR 0164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rocessing
raw
conveyo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665A (ko
Inventor
이금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5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163B1/ko
Publication of KR97005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목 적: 본발명은 VTR의 하부 드럼가공기에 미가공드럼을 집어서 척까지 나르고 척에서 가공드럼을 회수하여 반출컨베이어로 집어나르는 자동운반장치(예: 홀더 또는 로더)에 미가공드럼을 집기 좋게 보좌하고 또 그 자동운반장치로 부터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컨베이어로 인도할 때 반출을 보좌하는 장치를 자동화하여 미가공드럼의 공급과 가공드럼의 반출편의제공을 목적을 하는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 성: 컨베이어틀(14)상에 한쌍의 컨베이어(11)를 나란히 설치하고, 이 컨베이어(11)의 말단 컨베이어틀(14)에는 보급위치에서 미가공드럼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2)와 미가공드럼의 도착사실을 인상부(20)의 실린더(22)측에 통보하는 센서(13)를 설치한 보급부(10)와; 이 보급부(10)의 말단에는 기틀(21)에 상기 센서(13)의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운반장치(A)가 인수하기 편한 높이까지 상승하여 미가공드럼을 올려준후 복귀하는 실린더(22)를 설치하고 그 램(25)의 선단에는 드럼받이(23)를 탑재한 인상부(20)를 배치하며, 인상부(20)의 옆에는 인수위치로 올라가 자동운반장치(A)로 부터 가공드럼을 인수해 하강 복귀하는 행정을 가진 실린더(32)를 설치하고 이 실린더(32)의 램 선단에 드럼받이(33)를 탑재한 인하부(30)를 배치하고, 상기 보급부(10)의 옆에는 컨베이어(51)가 인하부(30)로 부터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하는 반출부(40)를 설치한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 장치이다.

Description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위치를 나타낸 VTR의 하부 드럼가공기의 개괄적 평면도.
제2도는 하부 드럼가공기와 자동운반장치 및 본발명의 배치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사시도.
제4도는 인상부 및 인하부의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보급컨베이어 12 : 스토퍼
13 : 센서 14 : 컨베이어틀
15,42 : 모터 21,31 : 기틀
22,32 : 실린더 23,33 : 드럼받이
24,34 : 평판 26,36 : 꽂이
본발명은 VTR의 하부 드럼가공기에 미가공드럼을 집어서 척까지 나르고 척에서 가공드럼을 회수하여 반출컨베이어로 집어나르는 자동운반장치(예: 홀더 또는 로더)에 미가공드럼을 집기 좋게 보좌하고 또 그 자동운반장치로 부터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컨베이어로 인도할 때 반출을 보좌하는 장치를 자동화하여 미가공드럼의 공급과 가공드럼의 반출편의제공을 목적을 하는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VTR용 하부드럼은 소정의 선반작업과 드릴작업, 밀링작업 등을 통하여 보스, 축공, 체결공 등을 선가공한 후에는 최종적으로 바깥 원주면에 대한 리드면을 전용가공기에서 가공한다.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목적으로 드럼가공기에 인접하여 레일을 가설하고 거기다 드럼가공기의 척 보다도 높게 자동운반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경우 지금까지는 보급되는 미가공드럼을 일일이 손으로 집어서 자동운반장치에 물리고 척에서 회수한 가공드럼 역시 반출위치에 당도한 자동운반장치로 부터 손으로 받아내야 했다. 불편하기 이를데 없고 작업능률이 떨어지며, 부주의때문에 낭패를 당하는 일도 잦았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낮은 위치에서 보급되는 미가공드럼을 자동운반장치로 옮겨주고 또 높은 위치로 반송된 가공드럼을 낮은 위치로 반출하기 수월하고 그런 작업 역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컨베이어틀상에 한쌍의 컨베이어를 나란히 설치하고, 이 컨베이어의 말단 컨베이어틀에는 보급위치에서 미가공드럼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미가공드럼의 도착사실을 인상부의 실린더측에 통보하는 센서를 설치한 보급부와; 이 보급부의 말단에는 기틀에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운반장치가 인수하기 편한 높이까지 상승하여 미가공드럼을 올려준후 복귀하는 실린더를 설치하고 그 램의 선단에는 드럼받이를 탑재한 인상부를 배치하며, 인상부의 옆에는 인수위치로 올라가 자동운반장치로 부터 가공드럼을 인수해 하강 복귀하는 행정을 가진 실린더를 설치하고 이 실린더의 램 선안에 드럼받이를 탑재한 인하부를 배치하고, 상기 보급부의 옆에는 컨베이어가 인하부로 부터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하는 반출부를 설치한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발명은 제1,2도에서 보듯이 하부 드럼가공기(A)로 미가공드럼을 공급하고 또 거기서 가공완료된 가공드럼을 반출위치로 운반하는 자동운반장치(B)의 하위에 설치하여 미가공드럼을 실어날라 집기 편하게 올려주고 가공드럼을 되받아 반출하는 것으로,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미가공드럼을 보급위치로 실어나르는 보급부(10)와, 보급위치에 당도한 미가공드럼을 자동운반장치가 집기쉬운 위치로 올려주는 인상부(20)와, 자동운반장치에 실려온 가공드럼을 되받아내리는 인하부(30), 및 인하부(30)로 부터 전해받은 가공드럼을 반출하는 반출부(40)로 구성한다. 보급부(10)는 보급컨베이어(11)와, 이 보급컨베이어(11)에 실려오는 미가공드럼을 보급위치에서 저지하는 스토퍼(12), 그리고 보급위치에 미가공드럼이 도착해 멈춘 사실을 인상부(20)에 신호적으로 통보하는 센서(13)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 상기 보급컨베이어(11)는 한쌍의 무한궤도형 벨트컨베이어를 소정을 간격을 띄우고 나란히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두 컨베이어간의 거리는 미가공드럼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보스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넓다. 그들간의 틈으로 보스를 내려서 미가공드럼이 반듯한 자세를 취해 안전하게 보급되도록 하기위해 필요한 사항이다.
스토퍼(12)는 컨베이어틀(14)의 말단 양쪽에 설치한다. 그리고 센서(3)는 스토퍼(12)의 직전방에서 컨베이어틀(14)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한다.
상기 보급컨베이어(11)는 모터(15)가 구동시킨다.
제3,4도에 있어서, 인상부(20)는 보급위치에 당도한 미가공드럼을 자동운반장치(A)가 집기 쉬운 위치까지 올려주고 복귀하는 것으로, 기틀(21)과, 실린더(22), 드럼받이(23)로 이뤄진다. 실린더(22)는 상기 기틀(21)의 평판(24) 밑에 고정적으로 매달린 직립형이고, 그 램(25)은 상기 평판(24)을 상향 관통 시킨 다음 드럼받이(23)의 저면에 고정한다.
드럼받이(23)는 보급위치에서 자동운반장치에 인도할 곳까지 미가공드럼이 타고 갈 안장이며, 전반부는 폭이 좁고 후반부는 폭이 넓어 내려다보면 T자형이다. 드럼받이(23)의 전반부를 좁게 한 것은 그 부분이 양 보급컨베이어(11) 사이로 오르내리며 미가공드럼을 걷어올려야 하기때문이다. 이럴 때 전반부가 보급컨베이어(11)에 걸려서는 아니되기에 양 보급컨베이어(11)의 간격보다도 폭을 더 좁게 한 것이다.
드럼받이(23)의 상면 선단에는 낮은 꽂이(26) 하나를 부착한다. 이 꽂이(26)는 미가공드럼의 축공에 끼워지게 하여 미가공드럼이 인상된 후 자동운반장치(B)에 인도될 때까지 미가공드럼을 더욱 안정시키고 동시에 미가공드럼인도시 그 중심을 자동운반장치(B)의 물림중심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미가공드럼의 축공보다는 약간 작은 외경으로 형성하여 그 축공에 기어들기 쉽게 한다.
또 드럼받이(23)의 후반부 저면에는 실린더(22)의 램(25)을 사이에 두고서 두 개의 안내봉(27)을 매달아 기틀(21)에 수직으로 천공한 안내공(28)에 내리끼워서 미끄럼안내받도록 한다. 이들 안내봉(27)은 드럼받이(23)가 수직으로 오르내릴 때 전후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같은 그림에서, 인하부(30)는 리드면이 가공된 후 반출위치로 반송된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부(40)로 옮겨주고 복귀하는 것으로, 기틀(31)과, 실린더(32), 드럼받이(33)ㄹ 구성된다. 실린더(32)는 상기 기틀(31)의 평판(34) 밑에 고정적으로 매달린 직립형이고, 그 램은 상기 평판(34)을 상향 관통한 다음 드럼받이(33)의 저면에 고정한다.
드럼받이(33)는 인수위치에서 반출위치까지 가공드럼이 타고갈 안장이며, 전반부는 폭이 좁고 후반부는 폭이 넓어 내려다보면 T자형이다. 이렇게 드럼받이(33) 전반부의 폭을 좁게 한 것은 그 부분이 양쪽 반출컨베이어(41) 사이로 오르내리며 가공드럼을 내려주고 복귀하기때문이다. 이럴 때 전분부가 반출컨베이어(41)에 걸려서는 아니되기에 반출컨베이어(41)의 간격보다도 폭을 더 좁게 한 것이다.
드럼받이(33)의 상면 선단에는 낮은 꽂이(36) 하나를 세운다. 이 꽂이(36)는 가공드럼의 축공에 꽂혀서 가공드럼이 인수위치에서 반출컨베이어(41)에 인도될 때까지 가공드럼을 더욱 안정시켜주는 요소로, 가공드럼의 축공보다는 약간 작은 외경으로 형성하여 축공에 기어들기 쉽게 한다.
또 드럼받이(33)의 후반부 저면에는 실린더(32)의 램(35)을 사이에 두고서 두 개의 안내봉(37)을 매달아 기틀(31)에 수직으로 천공한 안내공(38)에 내리끼워서 미끄럼안내받도록 한다. 이들 안내봉(37)은 드럼받이(33)가 수직으로 오르내릴 때 전후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한다.
반출부(40 인하부(30)에 의해 실려내린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실어내는 반출컨베이어(41)와, 모터(42)로 이뤄진다. 반출컨베이어(41)는 한쌍의 무한궤도형 벨트컨베이어를 소정을 간격을 띄우고 나란히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양 컨베이어간의 거리는 가공드럼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보스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넓다. 이는 그들간의 틈새로 보스를 내려서 가공드럼이 반듯하게 누워 안전하게 반출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다음으로, 제2,3도를 보면서와 본발명의 작용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동스위치로 모터(15)를 가동하면 보급컨베이어(11)가 궤도를 선회한다.
이런 상황에서 하나의 미가공드럼(가)이 보급컨베이어(11)에 실려 보급부(10)의 말단에 이른다.
보급우치에 미가공드럼(a)이 당도하면 우선은 스토퍼(12)에 저지당한다.
그 리고 이 사실은 센서(12)에 감지되어 실린더(22)에 곧바로 전달된다. 실린더(22)는 상승행정에 접어든다. 실린더(22)의 상승행정에서는 드럼받이(23)이 동반상승하면서 보급위치에 있던 미가공드럼(가)을 걷워올린다.
그러다가 실린더(22)의 상승행정이 멈추면 거기에 와서 대기중인 자동운반장치(B)의 공급핑거(나)가 미가공드럼(가)을 인수해가고, 실린더(22)는 복귀행정으로 접어들어 드럼받이(23)를 내린다.
앞서 공급된 미가공드럼(가)이 가공을 마치고 자동운반장치(B)의 반출핑거(다)가 가공드럼(라)을 집어와서 소정의 높이까지 내리면 이번에는 그 신호가 인하부(30)의 실린더(32)에 가해져 거기까지 곧장 상승한다. 이때, 드럼받이(33)가 가공드럼(라)을 인수한 후 하강하고 반출핑거(다)도 물러간다.
이리하여 드럼받이(33)가 제위치로 거의 돌아올 무렵에서 드럼받이(33)는 인수해온 가공드럼(라)을 궤도를 선회중인 반출컨베이어(41)가 거두어 간다.
이 과정이 축차적으로 반복된다.
이상 설명한 본발명의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는 보급되는 미가공드럼을 자동운반장치가 집어들기 쉬운 곳으로 올려주고 또 가공돼온 가공드럼을 되받아 내려 반출컨베이어에 어옮겨 실은 뒤에 반출하는 것으로, 낮은 위치에서 보급되는 미가공드럼을 자동운반장치로 옮겨주고 또 높은 위치로 반송된 가공드럼을 낮은 위치로 반출하기 수월하고 그런 작업 역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어 특히 협소한 공간에 여러가지 설비가 배치된 곳에서도 아무 불편없이 미가공드럼의 보급과 가공드럼을 반출을 도와주는 편의가 제공된다.

Claims (3)

  1. 컨베이어틀(14)상에 한쌍의 컨베이어(11)를 나란히 설치하고, 이 컨베이어(11)의 말단 컨베이어틀(14)에는 보급위치에서 미가공드럼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2)와 미가공드럼의 도착사실을 인상부(20)의 실린더(22)측에 통보하는 센서(13)를 설치한 보급부(10)와; 이 보급부(10)의 말단에는 기틀(21)에 상기 센서(13)의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운반장치(B)가 인수하기 편한 높이까지 상승하여 미가공드럼을 올려준후 복귀하는 실린더(22)를 설치하고 그 램(25)의 선단에는 드럼받이(23)를 탑재한 인상부(20)를 배치하며, 인상부(20)의 옆에는 인수위치로 올라가 자동운반장치(A)로 부터 가공드럼을 인수해 하강 복귀하는 행정을 가진 실린더(32)를 설치하고 이 실린더(32)의 램 선단에 드럼받이(33)를 탑재한 인하부(30)를 배치하고, 상기 보급부(10)의 옆에는 컨베이어(51)가 인하부(30)로 부터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하는 반출부(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받이(23)는 선단에 미가공드럼의 축공에을 꽂히는 꽂이(26)를 세워붙인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받이(33)는 선단에 미가공드럼의 축공에을 꽂히는 꽂이(36)를 세워붙이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 드럼반출용 보좌장치.
KR1019950055125A 1995-12-23 1995-12-23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KR0164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125A KR0164163B1 (ko) 1995-12-23 1995-12-23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125A KR0164163B1 (ko) 1995-12-23 1995-12-23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665A KR970050665A (ko) 1997-07-29
KR0164163B1 true KR0164163B1 (ko) 1999-01-15

Family

ID=1944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5125A KR0164163B1 (ko) 1995-12-23 1995-12-23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1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665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4663B1 (en) Automated assembly line
CN111038958A (zh) 物料托盘转移装置及物料托盘转移方法
KR0164163B1 (ko)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JP2597391B2 (ja) 自動保管検索装置およびその搬入機構ならびに搬出機構
KR0164198B1 (ko)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JPS6246660Y2 (ko)
KR200147517Y1 (ko) 캠코더 데크의 자동 조립장치
JPH0228401A (ja) 物品搬送システム
KR100203815B1 (ko) 파이프형 소재의 피드 백 로더
JPS591127A (ja) 部品収容装置
JPH08113325A (ja) ピッキング装置
KR0113179Y1 (ko) 수평핸들러의 빈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JPH0613370B2 (ja) ワ−クの乗換え方法
JPH0375458B2 (ko)
JPH05271997A (ja) 自動鍍金処理設備
JPH0435302Y2 (ko)
JPH0720957Y2 (ja) プリント回路板の自動投入装置
KR200148834Y1 (ko) 펀넬 융착을 위한 넥크박스 이재와 넥크 공급장치
JPH04129923A (ja) ワークの自動供給装置
JPS62211219A (ja) 搬送装置
JPH06304839A (ja) アングル材のnc切断ライン及びこれに使用するアングル材搬送台
JPS6125966Y2 (ko)
KR0177004B1 (ko) 디바이스 로딩장치
JPS5994427A (ja) 半導体製造装置
JPH0624845U (ja) チップ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