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198B1 -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 Google Patents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4198B1 KR0164198B1 KR1019950055119A KR19950055119A KR0164198B1 KR 0164198 B1 KR0164198 B1 KR 0164198B1 KR 1019950055119 A KR1019950055119 A KR 1019950055119A KR 19950055119 A KR19950055119 A KR 19950055119A KR 0164198 B1 KR0164198 B1 KR 01641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supply
- raw
- processing
- fing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목적 :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에 미가공드럼의 공급과 척에서 회수한 가공드럼의 반출을 자동화하여 하부드럼의 리드면가공품질의 개선과 가공능률의 향상, 및 불량발생요인의 근절에 이바지할 수 있는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 보스, 축공, 체결공 등의 가공이 종료된 미가공드럼을 홀더가 집어들 수 있는 홀딩대기위치까지 보급하는 보급부 (A)와; 보급부 (A)에서 드럼가공기간에 가설한 레일(R)과; 홀딩대기위치에 당도한 미가공드럼을 홀더가 내려와 집어들 수 있는 물림위치까지 올려주는 인상부(B)와; 물림위치에서 미가공드럼을 집어 드럼가공기의 척에 공급하는 공급핑거 및 척에서 가공드럼을 회수하여 반출위치에서 놔주는 반출핑거로 된 자주식 홀더(C)와; 인도위치에서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부로 인도하는 인하부(E)와; 인하부(E)로부터 전해받은 가공드럼을 반출하는 반출부(F)로 구성되고, 이송위치와 공급/반송예비위치사이에는 미가공드럼의 가공개시점을 정위치시키기 위한 자세교정부(D)를 배치하여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에 대한 미가공드럼의 자동공급과 하부 드럼가공기로부터 가공드럼을 자동으로 반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VTR의 하부 드럼가공기의 전체 평면도.
제2도는 동 정면도.
제3도는 보급부, 인상부, 인하부 및 반출부의 사시도.
제4도는 동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제5도는 홀더의 사시도.
제6도는 공급핑거의 배면쪽에서 본 사시도.
제7도는 공급핑거가 미가공드럼을 집은 상태의 단면도.
제8도는 공급핑거 및 반출핑거의 작용도
제9도는 미가공드럼의 보급에서부터 가공드럼의 반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보급부 B : 인상부
C : 홀더 E : 인하부
F : 반출부 P1: 보급위치
P2: 물림위치 P3: 이송위치
P4: 자세교정위치 P5: 공급/반송예비위치
P6: 공급/회수대기위치 P7: 공급/회수위치,
P8: 인도대기위치 P9: 인도위치
P10 : 반출위치 1 : 보급컨베이어
2 : 스토퍼 3 : 센서
4 : 컨베이어틀 5,52 : 모터
11,41 : 기틀 12,42 : 실린더
13,43 : 드럼받이 14,44 : 평판
16,46 : 꽂이 21 : 승강실린더
22 : 현가대 23 :핑거미동장치
24 : 공급핑거 25 : 반출핑거
27 : 수평봉 29 : 구동장치
30 : 집게 31 : 요크
32 : 핀 33 : 완충재
34 : 와셔 51 : 반출컨베이어
본 발명은 VTR의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보스, 축공, 체결공 등 하부드럼이 지녀야 할 필요한 요소가 선가공되고 다만 바깥 원주면에 주어지는 리드면만 미가공인채 남겨 둔 VTR용 하부드럼(이하, 미가공드럼이라고 함)의 보급, 이송 후 척에의 공급, 리드면가공 후 척으로부터 가공드럼의 회수, 반송, 반출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하부드럼의 리드면가공품질의 개선과 가공능률의 향상, 및 불량발생요인의 근절에 이바지할 수 있게 한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VTR용 하부드럼은 정밀주조법 혹은 다이캐스팅법으로 제조한 드럼재를 선반작업과 드릴작업을 통해 보스, 축공, 체결공 등을 선가공하고, 마지막으로 미가공드럼의 바깥 원주면에 대한 리드면을 전용가공기에서 가공한다.
이제까지는 미가공드럼의 리드면가공을 위하여 드럼가공기의 척에 미가공드럼을 물리고 리드면이 가공된 드럼을 회수하는 일을 수작업에 의존했었다. 즉, 하부드럼가공기의 척에 미가공드럼을 물려 바깥 원주면에 대한 기하적인 곡선면으로 되는 리드면을 절삭가공한 후 그 하부드럼가공기의 척에서 가공드럼을 회수하여 반출컨베이어에 실어주는 일을 순전히 인력에 의존했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미가공드럼을 일일이 사람의 손을 빌어 하부드럼가공기의 척에 공급하고 또 거기서 가공드럼을 들어내 반출한다는 것은 어느모로 보나 비능률적이고, 미가공드럼을 척에 공급 또는 척에서 가공드럼을 회수할 때 부주의로 인하여 미가공 또는 가공드럼의 표면이 손상되는 등 품질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므로 작업자의 피로감을 더했다. 뿐만 아니라 하부드럼 가공기마다 작업자가 딸려야 했으므로 인원관리면에서 적잖은 애로가 있어 왔고, 인건비부담도 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가공드럼의 리드면가공품질의 개선 및 가공능률의 향상, 취급부주의 등으로 인한 불량요인의 근절에 이바지할 수 있는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드면을 가공할 미가공드럼을 인상부까지 실어나르는 보급하는 보급부와; 이송위치에서 드럼가공기간에 가설한 레일과; 보급위치에서 물림위치까지 미가공드럼을 올려주는 인상부와; 물림위치에서 미가공드럼을 집어 드럼가공기의 척에 공급하고 가공드럼을 회수하여 인도위치까지 운반하고 이송위치로 복귀하는 자주식 홀더와; 인도위치에서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부로 옮겨주는 인하부와; 인하부에서 건네받은 가공드럼을 반출하는 반출부로 이뤄지고, 이송위치와 공급/반송예비위치 사이에 미가공드럼의 가공 개시점을 정위치시키기 위한 자세교정부를 배치하며, 드럼가공기의 척이 빈초기상태에서 미가공드럼의 보급위치도착 - 미가공드럼의 공급대기위치로 상승 - 홀더의 하강 및 공급핑거가 물고 상승 - 자세교정위치 이동 - 공급 핑거하강후 미가공드럼의 자세교정 - 공급핑거의 수직상승 - 공급/반송예비 위치 이동 - 공급/회수대기위치로 하강 - 공급/회수위치 미동 공급 - 공급/회수대기위치 복귀/공급/반송위치로 상승 - 이송위치 복귀 - 제2 미가공드럼의 보급위치도착 - 미가공드럼의 공급대기위치로 상승 - 홀더의 하강 및 공급핑거가 물고 상승 - 자세조정위치 이동 - 공급핑거하강후 미가공드럼의 자세교정 - 공급핑거의 수직상승 - 반출핑거의 공급/반송예비위치 이동 - 반출핑거의 공급/회수대기위치 하강 - 반출핑거의 공급/회수위치 미동후 가공드럼회수 - 공급/회수대기위치 복귀 - 공급/반송위치 상승 - 인도대기위치이동 - 가공드럼 인도후 복귀 - 이송위치 복귀와 동시 가공드럼의 반출로 이어지는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은 제1, 2도에서 보듯이, 보급부(A)와 인상부(B), 홀더(C), 자세교정부(D), 인하부(E) 및 반출부(F)로 구성된다.
보급부(A)는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낱개투입부에 의하여 낱개씩 실리는 미가공드럼을 보급위치(P1)로 실어나르는 보급컨베이어(1)와, 이 보급 컨베이어(1)에 실려오는 미가공드럼을 보급위치(P1)에서 저지하는 스토퍼(2), 그리고 보급위치(P1)에 미가공드럼이 도착해 멈춘 사실을 인상부(B)와 홀더(C)측에 신호적으로 통보하는 센서(3)로 구성한다.
도시예에서, 상기 보급컨베이어(1)는 한쌍의 무한궤도형 벨트컨베이어를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나란히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두 컨베이어간의 거리는 미가공드럼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축공용 보스의 외경가 같거나 약간 넓다. 이는 그들간의 틈으로 보스를 내려서 미가공드럼이 반듯한 자세로 보급되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스토퍼(2)는 컨베이어틀(4)의 말단 양쪽에 설치한다. 그리고 센서(3)는 스토퍼(2)의 직전방에서 컨베이어틀(4)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한다. 상기 보급컨베이어(1)는 모터(5)로 구동한다.
제3,4도에 있어서, 인상부(B)는 보급위치에 당도한 미가공드럼을 물림위치까지 올려주고 복귀하기를 반복하는 것으로, 기틀(11)과, 실린더(12), 드럼받이(13)가 그 요체이다. 실린더(12)는 상기 기틀(11)의 평판(14) 밑에 고정적으로 매달린 직립형이고, 그 램(15)은 상기 평판(14)을 상향 관통시킨 다음 드럼받이(13)의 저면에 고정한다.
드럼받이(13)는 보급위치(P1)에서 물림위치(P2)까지 미가공드럼이 타고 갈 일종의 안장이며, 전반부는 폭이 좁고 후반부는 폭이 넓어 내려다보면 T자형이다. 이렇게 드럼받이(13)의 전반부의 폭을 좁힌 것은 그 부분이 양보급컨베이어(1) 사이로 오르내리며 미가공드럼을 걷어올려야 하기 때문이며, 이럴 때 전반부가 보급컨베이어(1)에 걸려서는 아니되므로 두 보급컨베이어(1)의 간격보다도 폭을 더 좁게 한다.
드럼받이(13)의 상면 선단에는 낮은 꽂이(16) 하나를 부착한다. 이 꽂이(16)는 미가공드럼의 축공에 끼워지게 하여 미가공드럼이 물림위치에서 홀더에 인도될 때까지 미가공드럼을 더욱 안정시키는 동시에 물림센터를 맞추기 위한 요소로서, 미가공드럼의 축공보다는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또 드럼받이(13)의 후반부 저면에는 실린더(12)의 램(15)을 사이에 두고서 두 개의 안내봉(17)을 매달아 기틀(11)에 수직으로 천공한 안내공(18)에 내리 끼워서 미끄럼안내받도록 한다. 이들 안내봉(17)은 드럼받이(13)가 수직으로 오르내릴 때 전후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제5도 내지 제8도는 홀더(C)에 관한 것이다. 이 홀더(C)는 승강실린더(21)와 현가대(22), 핑거미동기구(23)와 공급핑거(24) 및 반출핑거(25)로 구성된다. 승강실린더(21)는 레일(R)을 타고 다니는 자주식이며, 승강실린더(21)의 케이싱내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자주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 승강실린더(21)는 또 공급핑거(24)를 이송위치(P3)에서 물림위치(P2)로 수직하강시켜 공급핑거(24)가 물림위치(P2)에 당도한 미가공드럼을 물게한 후 이송위치(P3)로 수직상승시키는 동시에 반출핑거(25)는 반출대기위치(P7)에서 반출핑거(25)를 인도위치(P9)로 수직하강시켜 반출핑거(25)가 가공드럼을 인하부(E)에 인도한 후 수직상승시키는 임무를 띈다.
현가대(22)는 승강실린더(21)에 공급핑거(24)와 반출핑거(25)를 매달기 위한 중간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앞 뒤에 아래로 늘어진 동형의 브래킷(26)을 일체로 형성하고, 앞 뒤 브래킷(26)간에 한쌍의 수평봉(27)을 나란히 설치한다. 이 현가대(22)는 그 상면을 상기 승강실린더(21)의 램 선단에 고정한다.
핑거미동장치(23)는 현가대(22)상에서 공급핑거(24)와 반출핑거(25)를 상기 레일(R)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아주 짧은 제한거리내에서 이동시키는 핑거전후이송장치로서, 수평봉(27)상에 설치하여 이것을 레일삼아 수평으로 전후진하며 공급핑거(24) 및 반출핑거(25)의 앞 뒤 위치를 바꾼다. 공급핑거(24)와 반출핑거(25)의 전후미동은 자세교정부(D)의 출입, 하부 드럼가공기(M)의 출입시에 이뤄진다.
핑거미동기구(23)의 밑에는 핑거지지용 대판(28)을 부착하고, 이 대판(28)에 공급핑거(24)와 반출핑거(25)를 설치한다.
공급핑거(24)는 물림위치(P2)에 당도한 미가공드럼을 인수하여 하부 드럼가공기(M)의 척(N)에 공급하는 것으로, 구동장치(29)와 집게(30)로 구성한다.
구동장치(29)는 집게(30)를 수직에서 수평 또는 그 반대로 직각 구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대판(28)의 저면에 고정부착하고, 그 축에는 집게(30)의 요크(31)를 축끼움한다. 요크(31)의 저면 중심에는 집게(30)를 설치한다. 이 집게(30)는 두 개의 반원밴드형 집게부재조합체이며, 구동장치(32)에 의해 벌어지고 오무라들 수 있도록 한다. 집게부재가 합쳤을 때의 내경은 미가공드럼의 외경과 같고 또한 매끄럽게 가공하여 미가공드럼에 대한 파지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파지압력 때문에 미가공드럼의 리드면이 될 외주면의 손상을 예방한다.
집게(30)에 물리는 미가공드럼의 중심쪽으로 들어온 요크(31)의 연장부(31a)에서 그 미가공드럼의 중심과 일치하는 지점에는 연장부(31a)에 대하여 직각되게 머리달린 핀(32)을 박아 고정하되 여기에 와셔(34)와 압축코일스프링 등으로 이뤄지는 완충재(33)를 끼운다. 핀(32)은 공급핑거(24)에 물리는 미가공드럼의 축공에 꽂히게 해서 그것의 중심을 잡기 위한 요소이고, 완충재(33)는 미가공드럼과 연장부(31a)과의 충돌방지용이며, 와셔(34)는 완충재(33)의 이탈방지와 미가공드럼의 축공이 핀(32)에 꽂힐 때 완충재(33)의 완충작용이 그 미가공드럼에 그대로 작용하도록 하는 요소이다.
제7도에서 보듯이, 미가공드럼을 물기위해 그리로 집게(30)가 다가설 때에는 연장부(31a)가 소정의 누름압력을 갖고서 접촉하게 된다. 이 누름압력을 방치하면 미가공드럼의 축방향 양면이 상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제대로 물리지 않을 염려도 있다. 완충재(33)는 미가공드럼에 대하여 가해지는 연장부(31a)의 압력에 짓눌려 어느 만큼 수축되면서 한편으로는 수축에 대항하려는 상대적인 반발력도 작용한다. 상치되는 두 압력이 평형을 이룰 때 미가공드럼은 집게(30)에 제대로 물릴 수 있고, 그러면서도 미가공드럼은 연장부(31a)와의 충돌을 피해 안전해질 수 있다.
반출핑거(25)는 가공드럼을 하부 드럼가공기(M)의 척(N)에서 회수하여 인도위치(P9)에서 인하기구(F)위에 떨궈주는 것으로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공급핑거(24)의 옆에 나란히 설치한다. 이 반출행거(25)도 구동장치(35)와 집게(36)로 구성한다. 구동장치(35)는 집게(36)를 수직에서 수평 또는 그 반대로 직각 구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대판(28)의 저면에 고정부착하고, 그 축에는 요크(37)를 축끼움한다.
집게(36)는 상기 요크(31)의 저면 중심에 설치한다. 이 집게(36)는 두 개의 반원밴드형 집게부재를 조합한 것으로, 구동장치(35)에 의해 벌어지고 오무라들게 한다. 이 집게(36)는 가공드럼에서 축공이 뚤린 보스를 물어주는 것이므로 집게부재가 합쳤을 때의 내경은 가공드럼의 보스의 외경과 같고 또한 매끄럽게 가공하여 보스에 대한 파지력을 강화하고 동시에 파지압력 때문에 가보스의 외주면에 해를 주지않도록 한다.
자세교정부(D)는 공급핑거(24)에 아무렇게나 물려온 미가공드럼을 리드면 가공의 개시점에 정확히 맞춰 미가공드럼의 자세를 바르게 잡아주는 것으로, 여기서는 다만 공정중 필요할 뿐이므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4도로 돌아가서, 인하부(E)에 대해 설명한다. 인하부(E)는 리드면 가공후에 인도위치(P9)로 반송된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부(F)의 초입으로 옮겨주고 이송위치로 복귀하는 일을 되풀이하는 부서로서, 기틀(41)과, 실린더(42), 드럼받이(43)가 그 요체를 이룬다. 실린더(42)는 상기 기틀(41)의 평판(44) 밑에 고정적으로 매달린 직립형이고, 그 램은 상기 평판(44)을 상향 관통한 다음 드럼받이(43)의 저면에 고정한다.
드럼받이(43)는 인도위치(P9)에서 반출위치(P10)까지 가공드럼이 타고 내려갈 안장이며, 전반부는 폭이 좁고 후반부는 폭이 넓어 내려다보면 T자형이다. 이렇게 드럼받이(43) 전반부의 폭을 좁게 한 것을 그 부분이 양 반출컨베이어(51) 사이오 오르내리며 가공드럼을 받아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럴 때 전반부가 반출컨베이어(51)에 걸려서는 아니되므로 두 반출컨베이어(*)의 간격보다도 폭을 더 좁게 한다.
드럼받이(43)의 상면 선단에는 낮은 꽂이(46) 하나를 세운다. 이 꽂이(46)는 가공드럼의 축공에 꽂혀서 가공드럼이 반출위치(P9)에서 반출컨베이어(51)에 인도될때까지 가공드럼을 더욱 안정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가공드럼의 축공보다는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또 드럼받이(43)의 후반부 저면에는 실린더(42)의 램(45)을 사이에 두고서 두 개의 안내봉(47)을 매달아 기틀(41)에 수직으로 천공한 안내공(48)에 내리끼워서 미끄럼안내받도록 한다. 이들 안내봉(47)은 드럼받이(43)가 수직으로 오르내릴 때 전후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반출부(F)는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인하부(F)에 의해 실려내려진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실어내보내는 반출컨베이어(51)와, 모터(52)로 구성한다.
도시예에서 보듯이, 상기 반출컨베이어(51)는 한쌍의 무한궤도형 벨트컨베이어를 소정을 간격을 띄우고 나란히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양 컨베이어간의 거리는 가공드럼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보스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넓다. 이는 그들간의 틈새로 보스를 내려서 가공드럼이 반듯하게 누워 반출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일(R)은 척(N)의 정면에 근접한 곳을 척(N)의 축방향과는 직교하도록 상위에 가설한다.
다음으로, 제9도와 더불어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초기상태]
홀더(C)는 레일(R)의 이송위치(P3)에 머물고, 공급핑거(24)와 반출핑거(25)는 수평자세이며, 하부 드럼가공기(M)는 정지되어 있고 그 출입구는 닫혀있다. 또, 보급컨베이어(1)와 반출컨베이어(51)도 정지되어 있다. 하지만 모든 가동부에는 전류가 흘러 언제든 각자 맡은 일을 즉각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중이다.
[미가공드럼의 보급]
기동스위치로 모터(5)를 가동하면 보급컨베이어(1)가 궤도를 선회한다.
이런 상황하에서 낱개투입부(G)에서는 하나의 미가공드럼(가)을 보급컨베이어(1)의 초입에 싣는다.
보급컨베이어(1)에 실려오던 미가공드럼(가)은 보급위치(P1)에 당도했을 때 스토퍼(2)에 의해 저지당하고, 그 사실은 센서(2)에 의해 감지되어 실린더(12)와 승강실린더(21)에 동시적으로 전달된다.
이에 실린더(12)는 상승행정에 그리고 승강실린더(21)는 하강행정에 돌입한다. 실린더(12)의 상승행정에서는 드럼받이(13)이 동반상승하면서 보급위치(P1)에 있던 미가공드럼(가)을 받쳐서 물림위치(P2)까지 올린다. 거의 동시적으로 홀더(C)의 공급핑거(24)가 물림위치(P2)로 내려와서 미가공드럼(가)를 집는다. 공급핑거(24)가 미가공 드럼(가)를 물고나면 이들 각 부는 복귀행정으로 접어든다. 홀더(C)가 복귀한 위치가 이송위치(P3)이다. 홀더(C)가 복귀한 즉시 자주장치가 기동하여 자세교정위치(P4)로 홀더(C)가 이동한다.
자세교정위치(P4)에 당도한 직후 이번에도 승강실린더(21)가 다시 하강행정에 접어들어 미가공드럼(가)을 자세교정부(D)에 잠시 인도하고 자세교정을 마친 후 공급핑거(24)가 다시 그 미가공드럼(가)을 집어들고서 상승복귀한 후 공급/반송예비위치(P5)로 이동한다. 공급/반송예비위치(P5)란 척(N)의 바로 앞 윗쪽 지점을 말한다.
홀더(C)가 공급/반송예비위치(P5)에 당도하면 하부 드럼가공기(M)의 출입구(Q)가 열리고, 그 직후 홀더(C)는 공급/회수대기위치(P6)로 하강한다. 이 위치에서 공급핑거(24)는 수평에서 수직자세로 반전된다. 이같은 자세의 반전은 그 구동장치(29)에 의해 이뤄지며, 이렇게되면 미가공드럼(가)의 중심은 척(N)의 회전중심과 일치한다.
공급/회수대기위치(P6)에서는 핑거미동기구(23)가 작동하여 공급핑거(24)를 척(N)쪽으로 다가서게 한다. 그 종착점이 바로 공급/회수위치(P7)로, 그 지점에서 미가공드럼(가)은 척(N) 에 물리고 공급핑거(24)는 미가공드럼(가)를 놔주고 공급/회수대기위치(P6), 공급/반송예비위치(P5)로 복귀한다.
홀더(C)가 출입구(Q)를 빠져나간 직후 출입구(Q)가 닫히고 공급된 미가공드럼(가)에 대한 리드면가공에 돌입한다. 이후 공급/반송예비위치(P5)에 도달한 직후 공급핑거(24)는 다시 수평자세로 반전되고, 이어서 홀더(C)가 이송위치(P3)로 복귀한다.
[미가공드럼의 재보급 및 가공드럼의 반출]
앞서 공급된 미가공드럼(가)에 대한 리드면가공이 진행되는 동안 이번에는 제2 미가공드럼이 보급위치(P1)에 당도하고, 그때부터 앞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 다시 공급/반송예비위치(P5)에 당한다.
이때, 만약 앞서 공급된 것에 대한 리드면가공이 종료된 경우에는 가공드럼(나)부터 회수한 뒤에 후속 미가공드럼을 공급해야 한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반출필거(25)가 수직자세로 반전한 후 공급/회수대기위치(P6)에 와서 대기하다가 척(N)이 정지한 다음에, 핑거미동기구(23)가 작동하여 반출핑거(25)를 공급/회수예비위치(P7)로 이동시켜 반출핑거(25)가 가공드럼(나)을 물게 한다.
반출핑거(25)가 가공드럼(나)을 물고 공급/회수대기위치(P6)로 나오면 이번에는 홀더(C)가 일보 전진하여 공급핑거(24)를 공급/회수대기위치(P6)로 옮긴다. 여기서 다시 핑거미동기구(23)가 이동하여 제2 미가공드럼을 척(N)에 양도하고 공급/회수대기위치(P6)를 거쳐 공급/반송예비위치(P5)로 되돌아 온다. 여기서 공급핑거(24)와 반출핑거(25)가 동시에 수평자세로 반전하고 그대로 이송위치(P3) 바로 전의 인도대기위치(P8)로 돌아온다.
이때 그 도착신호가 승강실린더(21)와 인하부(F)의 실린더(42)에 신호로써 절달된다. 이에따라 반출핑거(25)는 인도위치(P9)를 향해 곧장 내려지고 드럼받이(43)은 인도위치(P9)까지 수직 상승한다. 이들은 인도위치(P9)에서 가공드럼(나)을 주고 받은 뒤 각자 제위치로 되돌아간다.
드럼받이(43)가 제위치로 거의 돌아올 무렵 홀더(C)는 이송위치(P3)로 완전복귀하고, 드럼받이(43)는 인수해온 가공드럼(나)을 반출컨베이어(51)에 얹고 복귀하며, 반출컨베이어(51)에 실린 가공드럼(나)은 그대로 반출된다.
이상의 과정은 축차적으로 반복된다.
이상 설명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은 리드면을 가공할 미가공드럼을 인상부까지 실어나르는 보급하는 보급부와; 이송위치에서 드럼가공기간에 가설한 레일과; 보급위치에서 물림위치까지 미가공드럼을 올려주는 인상부와; 물림위치에서 미가공드럼을 집어 드럼가공기의 척에 공급하고 가공드럼을 회수하여 인도위치까지 운반하고 이송위치로 복귀하는 자주식 홀더와; 인도위치에서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부로 옮겨주는 인하부와; 인하부에서 건네받은 가공드럼을 반출하는 반출부로 이뤄지고, 이송위치와 공급/반송예비위치 사이에 미가공드럼의 가공개시점을 정위치시키기 위한 자세교정부를 배치하며, 드럼가공기의 척이 빈 초기상태에서 미가공드럼의 보급위치도착 - 미가공드럼의 공급대기위치로 상승 - 홀더의 하강 및 공급핑거에의 물림후 상승 - 자세조정위치 이동 - 공급핑거하강후 미가공드럼의 자세교정 - 공급핑거의 수직상승 - 공급/반송예비위치 이동 - 공급/회수대기위치로 하강 - 공급/회수위치 미동 공급 - 공급/회수대기위치 복귀 - 공급/반송위치로 상승 - 이송위치 복귀 - 제2 미가공드럼의 보급위치도착 - 미가공드럼의 공급대기위치로의 상승 - 홀더의 하강 및 공급핑거에의 물림후 상승 - 자세조정위치 이동 - 공급핑거하강후 미가공드럼의 자세교정 - 공급핑거의 수직상승 - 반출핑거의 공급/반송예비위치 이동 - 반출핑거의 공급/회수대기위치 하강 - 반출핑거의 공급/회수위치 미동후 가공드럼회수 - 공급/회수대기위치 복귀 - 공급/반송위치 상승 - 인도대기위치이동 - 가공드럼 인도후 복귀 - 이송위치 복귀와 동시 가공드럼의 반출로 이뤄지는 행정을 가진 VTR용 하부드럼 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 시스템으로서, 미가공드럼을 능률좋고 안전하게 가공하여 반출할 수 있다.
또, 미가공드럼을 척킹하고 가공후 회수하여 반출하는 과정에서 촉수와 취급부주의로 인한 가공불량요인이 일절 없으므로 양질의 가공드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1)
- 보스, 축공, 체결공 등의 가공이 종료된 미가공드럼을 홀더가 집어들 수 있는 홀딩대기위치까지 보급하는 보급부(A)와; 보급부(A)에서 드럼가공기간에 가설한 레일(R)과; 홀딩대기위치에 당도한 미가공드럼을 홀더가 내려와 집어들 수 있는 물림위치까지 올려주는 인상부(B)와; 물림위치에서 미가공드럼을 집어 드럼가공기의 척에 공급하는 공급핑거 및 척에서 가공드럼을 회수하여 반출위치에서 놔주는 반출핑거로 된 자주식 홀더(C)와; 인도위치에서 가공드럼을 인수하여 반출부로 인도하는 인하부(E)와; 인하부(E)로부터 전해받은 가공드럼을 반출하는 반출부(F)로 구성되고, 이송위치와 공급/반송예비위치사이에는 미가공드럼의 가공개시점을 정위치시키기 위한 자세교정부(D)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급부(A)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한 한쌍의 컨베이어(1)와, 이 컨베이어(1)의 말단에서 보급위치에 설치한 스토퍼(2) 및 미가공드럼의 보급위치도착사실을 인상부(B)와 홀더(C)측에 통보하는 센서(3), 그리고 보급컨베이어구동용 모터(5)로 이뤄진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인상부(B)는 보급위치의 직후에 설치한 기틀(11)에 상기 센서(3)의 감지신호에 따라 물림위치까지 상승후 복귀하는 직립형 실린더(12)를 설치하고 그 램(15)의 선단에는 드럼받이(13)를 탑재한 VTR용 하부드럼가공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받이(13)는 전반부는 폭이 상기 보급컨베이(1)간의 공간보다도 좁게 한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홀더(C)는 레일(R)을 타고 다니는 직립형 자주식 승강실린더(21)를 이동용 구동부로 하고, 이 승강실린더(21)의 램 선단에는 핑거미동장치(23)를 가진 현가대(22)를 매달고, 상기 핑거미동장치(23)에는 각각 구동장치(29)에 의하여 수직에서 수평 또는 수평에서 수직으로 자세가 반전되는 공급핑거(24) 및 반출핑거(25)를 장착한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미동장치(23)는 공급핑거(24) 및 반출핑거(25)를, 홀더(C)의 이송방향, 즉 레일(R)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짧은 범위내에서 이동시키는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핑거(24)는 집게(30)의 영역으로 진입한 요크(31)의 연장부(31a)에서 미가공드럼의 축중심과 일치하는 곳에 머리달린 핀(32)을 꽂아고정하되 멀리쪽에서부터 와셔(34)와 완충재(33)의 순으로 끼워 물리는 미가공드럼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인하부(E)는 인도위치의 직하방에 설치한 기틀(41)에 반출대기위치에서 물림위치간을 행정으로 하는 직립형 실린더(42)를 설치하고, 그 램(45)의 선단에는 드럼받이(43)를 탑재한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받이(43)는 전반부는 폭이 반출컨베이어(51)간의 공간보다도 좁게 형성한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반출부(F)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한 한쌍의 반출컨베이어(51)로 와, 이 반출컨베이어(51)로 구동하는 모터(52)로 구성된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시스템.
- 상기 제1항 기재의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 시스템은, 드럼가공기의 척이 빈 초기상태에서 미가공드럼의 보급위치도착 - 미가공드럼의 공급대기위치로 상승 - 홀더의 하강 및 공급핑거에의 물림후 상승 - 자세조정위치 이동 - 공급핑거하강후 미가공드럼의 자세교정 - 공급핑거의 수직상승 - 공급/반송예비위치 이동 - 공급/회수대기위치로 하강 - 공급/회수위치 미동 공급 - 공급/회수대기위치 복귀 - 공급/반송위치로 상승 - 이송위치 복귀 - 제2 미가공드럼의 보급위치도착 - 미가공드럼의 공급대기위치로의 상승 - 홀더의 하강 및 공급핑거에의 물림후 상승 - 자세조정위치 이동 - 공급핑거하강후 미가공드럼의 자세교정 - 공급핑거의 수직상승 - 반출핑거의 공급/반송예비위치 이동 - 반출핑거의 공급/회수 대기위치 하강 - 반출핑거의 공급/회수위치 미동후 가공드럼회수 - 공급/회수대기위치 복귀 - 공급/반송위치 상승 - 인도대기위치이동 - 가공드럼 인도후 복귀 - 이송위치 복귀와 동시 가공드럼의 반출을 1행정으로 하는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55119A KR0164198B1 (ko) | 1995-12-23 | 1995-12-23 |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55119A KR0164198B1 (ko) | 1995-12-23 | 1995-12-23 |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0664A KR970050664A (ko) | 1997-07-29 |
KR0164198B1 true KR0164198B1 (ko) | 1999-01-15 |
Family
ID=1944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55119A KR0164198B1 (ko) | 1995-12-23 | 1995-12-23 |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64198B1 (ko) |
-
1995
- 1995-12-23 KR KR1019950055119A patent/KR01641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0664A (ko) | 1997-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57655A (en) | Delivery of articles to and from a mechanical treating machine served by an industrial robot | |
US4842181A (en) | Apparatus for loading food for alignment with food sticks | |
CN112824261A (zh) | 一种双组托盘自动上下料装置 | |
US5454466A (en) | Accumulating conveyor | |
KR0164198B1 (ko) |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 |
DK151302B (da) | Fremgangsmaade til gruppering, orientering og emballering af genstande samt et anlaeg til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 |
KR950035566A (ko) | 부품공급장치 및 부품공급방법 | |
US5108245A (en) | Device for the axial transport of elongated objects | |
KR100188387B1 (ko) | Vtr 드럼가공용 cnc선반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 |
US3938846A (en) | Automatic loader for broaching machines | |
KR0164162B1 (ko) | Vtr용 하부 드럼가공기의 드럼운반용 홀더 | |
JPS5828069B2 (ja) | ワ−ク搬送装置 | |
KR0164163B1 (ko) |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 |
IT202000004255A1 (it) | Apparato per caricare e scaricare tranci di pancetta | |
JPH04223911A (ja) | 丸棒材料の搬送装置 | |
CN217807172U (zh) | 一种pcb板自动上料机 | |
JPH05114797A (ja) | 基板収納装置 | |
KR100190239B1 (ko) | 자동선반용 공작물 이송장치 | |
JPH0478416B2 (ko) | ||
JPS60248560A (ja) | 集積束受渡し方法 | |
JPH06344239A (ja) | Nc加工装置の材料供給システム | |
JPH0614910Y2 (ja) | プレス製品の自動排出装置 | |
JPS627529Y2 (ko) | ||
JPS5917763Y2 (ja) | バルクアンケ−サの送出部における分解位置の位置決め機構 | |
JPH10203611A (ja) | 収納箱の搬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