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811B1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용 토너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용 토너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811B1
KR0163811B1 KR1019950020855A KR19950020855A KR0163811B1 KR 0163811 B1 KR0163811 B1 KR 0163811B1 KR 1019950020855 A KR1019950020855 A KR 1019950020855A KR 19950020855 A KR19950020855 A KR 19950020855A KR 0163811 B1 KR0163811 B1 KR 016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toner
rake
cartridge
sc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찌가와 히데오
테라자와 세이지
이께다 스나오
Original Assignee
켄지 히루마
가부시끼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지 히루마, 가부시끼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켄지 히루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현상장치에서,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 및 그 본체내에 설치된 보급부재를 갖는다.
이 카트리지는 본체의 내주연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용성편을 보급부재의 베이스 가장자리에 부착하거나 고착시킬 필요가 없다.
보급부재는 일정한 압력하에서 본체의 내주연과 미끄럼 접촉하고 있는 동안 토너를 떠낼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 장치의 현상장치용 토너 카트리지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한 현상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보급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 보급부재의 단면도.
제5a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다른 보급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5b도는 제5a도에 도시된 보급부재 측단면도.
제6a도는 제5a 및 제5b도에 도시된 보급부재의 변형예.
제6b도는 제5도 변형된 보급부재의 측단면도.
제7a-c도는 제6a도의 보급부재에 포함된 박편(薄片)부분의 개략 단면도.
제8도는 토너 보급부재를 카트리지내에서 회전구동시키는 경우 그 당해부재의 변형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9도는 보급부재의 휨을 나타내는 상태도.
제10a도는 카트리지내에 형성된 보급구에서 원래위치로 복원하기 전의 스크레이프(문지름) 박편을 나타낸 상태도.
제10b도는 원래위치를 복원된 스크레이프 박편을 나타낸 상태도.
제11도는 종래의 카트리지를 설치한 현상장치의 개략단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13도는 종래의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4도는 종래의 토너 보급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토너 카트리지 11 : 카트리지 본체
12 : 토너 보급부재 13 : 회전축
14 : 보급부재의 기체(基體) 20 : 박편(薄片)
21,39,40 : 중계편 35 : 중앙편
37 : 스쿠프편(scoop piece) 38 :레이크편(rake piece)
42 : 토너보급구
본 발명은 화상형성 장치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현상장치에 탈착가능하게 탑재되어 있으며 토너를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장치내로 보급하도록 회전가능한 보급부재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복사기, 팩시밀리, 레이저 프린터 같은 전자사진 화상형성 장치는 새로운 토너를 탈착가능한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장치내로 보급하고 있다.
통상의 토너 카트리지는 중공원통형 본체 및 그 본체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갖는 보급부재를 갖는다.
이 보급부재는 토너를 퍼내는 스쿠프 플레이트 또는 베이스 및 토너를 상기 축의 축방향으로 긁는 레이크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쿠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가요성 사각형 스트립이 부착 또는 고착되어 상기 본체의 내벽과 접하고 있다. 비슷한 가요성 스트립이 각각의 레이트 플레이트 가장자리에 부착 또는 고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은 통상의 카트리지는 상기 가요성 스쿠프 플레이트 및 스크레이프 플레이트 각각에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정단계가 필요하고 그 결과 원가상승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스트립의 부착에 결함이 있거나 노화되는 경우 쉽게 스쿠프 플레이트를 이탈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스트립은 체결, 용착 또한 이와 비슷한 기술을 이용하여 스쿠프 플레이트에 고착시킬 수도 있으나 이 역시 공정 및 원가상승 문제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스트립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탄성편을 보급부재의 베이스에 고착시키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일정한 압력하에 카트리지 본체상에서 미끄러지는 동안 토너를 퍼낼 수 있는 화상형성 장치의 현상장치용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현상장치내에 토너를 보급하는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 보급구가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 및 그 본체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토너를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상기 토너 보급구를 통해 현상장치내로 보급하는 보급부재를 갖는다.
이 보급부재는 회전축을 갖는 기체(基體) 및 그 기체의 자유단에 제공된 박편을 가지며, 이들 기체와 박편은 하나의 성형체로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통상의 토너 카트리지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11도는 통상의 토너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현상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11도에 있어서 현상장치 102는 마그네틱 롤러 103, 교반기 104 및 기타 통상의 부재를 갖는 현상 챔버 105를 갖는다. 자기롤러 103은 드럼 101 형태로 된 감광체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 110은 현상챔버 105에 연결된 토너 호퍼 106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새로운 토너는 카트리지 110으로부터 카트리지 110내에 형성된 토너출구 117을 통해 상기 호퍼 106 내부로 보급된다. 호퍼 106내의 토너는 정해진 양만큼 현상 챔버 105 내부로 공급된다. 제12 및 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트리지 110은 내부에 보급부재 112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 본체 111을 갖는다. 회전축 113은 보급부재 1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에 고착되어 있다. 보급부재 112는 토너를 퍼내기 위한 스쿠프 플레이트 또는 베이스 114와 토너를 축 113의 축방향으로 긁어내는 레이크 플레이트(rake plate) 115로 이루어져 있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요성 사각 스트립 116이 스쿠프 플레이트 114에 부착되거나 고착되어 있어 본체 110의 내벽과 접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비슷한 가요성 스트립이 각각의 레이크 스트립 115의 가장자리에도 부착되거나 고착되어 있다. 카트리지 110이 호퍼 106에 설치된 후 축 113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보급부재 112도 회전된다. 그 결과 스쿠프 플레이트 114의 가요성 스트립 116이 본체 110의 내주연을 미끄러지는 동안 토너를 퍼내고 이에 따라 토너를 출구 117을 통해 호퍼내부로 보급하게 된다. 상기 스트립 116은 탄성 및 가요성이 있기 때문에 토너보급을 보다 확실하게 하게한다. 상기 스트립 116은 본체 110와의 미끄럼(활강) 접촉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탄성 및 가요성을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적절한 재료로는 Mylar(E.I.Du Pont의 상품명으로써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를 들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카트리지 110은 앞서 언급한 바와같은 몇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Mylar 스트립 116은 스쿠프 플레이트 114 및 스크레이프 플레이트 115 각각에 부착되어야 하는데 그로 인해 별도의 공정단계 및 원가가 소요되는 것이다. 더욱이 접착이 잘못되거나 노화에 의해 스트립 116은 쉽게 스쿠프 플레이트 114로부터 박리된다. 스트립 116을 체결, 융착 또는 이와 비슷한 기술로 스쿠프 플레이트 114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이 역시 별도의 공정단계 및 원가부담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쉽게 박리되는 것이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를 갖는 현상장치가 감광체 및 몇몇 화상형성에 관련된 통상의 장치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화상전사 장치 및 접착장치는 제1도에 도시되지 않고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크리닝 장치(부호가 없음)는 브레이드 3 및 롤러 4를 갖고 있으며 감광체롤러 혹은 화상담비체 1상에 위치한다.
대전롤러 2는 감광체 1과 접촉을 유지하고 크리닝 유니트에 의해 덮혀 있다.
브레이드 3은 화상전사후 감광체 1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낸다. 롤러 4는 브레이드 3에 의해 수집된 토너를 제거한다. 현상장치(부호가 없음)는 현상장치내에 저장된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5, 중간롤러 6 및 현상롤러 7을 갖는다. 중간롤러 6 및 현상롤러 7은 토너를 마찰 대전하는 동안 토너를 감광체 1로 공급한다. 토너 카트리지 10은 현상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중공본체 11을 갖는다. 본체 11 상에는 셔터 8이 탑재되어 있어 본체 11내에 형성된 토너출구를 폐쇄한다. 본체 11상에는 보급롤러 9가 또한 탑재되어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현상장치내에 저장된 토너가 감소함에 따라 셔터 8이 개방되어 카트리지 10으로부터 롤러 9 및 출구를 통해 토너를 현상장치내로 보급하게 된다. 보급부재 12는 카트리지 10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에서 본체 11의 내주연과 활주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트리지 10가 현상장치에 견고하게 탑재되도록 카트리지 10의 반대단의 상부에는 지지핀 28이 박혀있다.
상기 보급부재 12는 본체 11상에 탑재된 베어링 22에 의해 그 반대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보급부재 12와 토너보급용 롤러 9는 서로 평행하게 신장되어 서로 맞물린 기어 32 및 33에 의해 서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3 및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급부재 12는 상기 베어링 22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 13 및 베이스 또는 지지체 14를 갖는다. 베이스 14의 자유단에는 본체 11의 내주연과 만나는 박편 20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박편 20은 2 이상의 연결편 21에 의해 베이스 14와 연결된다. 상기 축 13, 베이스 14, 박편 20 및 연결편 21은 폴리프로필렌(pp)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된 단일 성형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이 하나의 성형체로 형성됨으로서 제14도에 도시된 종래의 배열에서와 같이 Mylar 스트립을 베이스에 부착하거나 고착시킬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는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박편 20이 베이스 14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박편 20과 연결된 21은 통상의 카트리지 110의 Mylar 스트립 116과 같이 탄성이고 가요성일 필요가 있다.
이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박편 20은 약 0.1mm~0.3mm 두께로 형성된다. 연결편 21 역시 그 두게가 박편 20의 두께와 같거나 약 2배 정도의 두께를 갖으나, 이같은 배열에서, 박편 20과 연결편 21은 충분한 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연결편 21의 폭 및 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박편 20의 탄성 및 가요성을 제14도의 Mylar 스트립의 탄성 및 유연성에 접근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박편 20은 일정한 하중하에 카트리지 본체 11의 내면과 미끄럼 접촉을 유지한다. 축 13과 박편 20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박편 20의 가장자리가 공급구 16을 둘러싼 본체 11 내면의 최소일부와 미그럼접촉가능하도록 선택된다.
이에 따라 박편 20은 토너를 바라는 바대로 긁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박편 20 및 연결편 21을 포함한 보급부재 12는 폴리프로필렌이나 이와 비슷한 물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하면 ABS 수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5a 및 5b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보급부재 12는 사다리형태의 베이스 또는 중앙편 35를 갖는다. 보강을 위해 축 36이 베이스 35의 중앙을 지나 신장되어 있다. 축36은 그 양단의 직경이 약간 크게 되어 있음으로써 보급부재 12의 축부위 13을 이룬다. 얇은 스쿠프편 37이 연결편 39에 의해 베이스 35의 반대 측면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얇은 레이크 편 38이 연결편 40a 및 40b에 의해 베이스 35의 마주편 측면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레이크편 38을 지지하는 연결편 40a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레이크편 38이 스쿠프편 37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보급부재 12가 축부위 13 주위로 회전될 때 레이크편 38은 토너를 스쿠프편 37을 향해 긁게 된다.
레이크편 38의 경사는 예컨데 보급부재 12의 회전축에 대하여 약15。-35。이다. 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에서 레이크편 38의 수는 다르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에 3개의 레이크편이 제공되어 있으며 왼쪽에는 하나의 레이크편이 제공되어 있다.
이같은 배열의 필수조건은 구동 토크가 왼쪽축부위 13에 부여되는 것이며, 이같은 경우에 구동축으로부터 면쪽에 레이크편 38을 다수 존재시킴으로써 그 레이크편 38과 카트리지 본체 11의 내벽과의 마찰 저항이 회전구동에 가까운 축보다 크게 되고, 그 결과에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보급부재 12상에 비틀림이 확실하게 작용하게 된다. 보급부재 12의 어느 가장자리의 레이크편 38의 수는 비틀림(torsion)이 밈버 12에 작용하는 한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스쿠프편 37과 레이크편 38 모두는 사다리 형태의 베이스 35의 측면양측에 제공되고 예시된 바와같이 보급부재 12의 회전축에 대하여 180。 대칭형으로 형성하면 이익적이다. 그 결과 회전구동시에 토너 작용의 불균일한 분포가 없게 되어 축13의 변형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스쿠프편 37과 레이크편 38중 최소하나는 베이스의 측면 가장자리에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또는 중앙편 35, 보강축 36, 회전축부분 13, 스쿠프편 37, 레이크편 38, 및 연결편 39, 40a 및 40b 역시 폴리프로필렌이나 이와 유사한 유연성 물질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 하나의 성형물로 제조된다.
전체 보급부재 12는 곡탄성계수가 약 42Kg/㎟-454kg/㎟정도이며, 특정재질로 인해 회전동안 쉽게 꼬여진다. 보급부재 12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박편 37 및 38이 베이스 35보다 훨씬 얇기 때문에 유연성이 보다 크다.
이는 전체 부재 12가 예컨데 공극율이 85%이상인 골조를 갖고 있다는 사실과 결합하여 부재 12가 토너를 느슨하게 풀어주는 작용을 충분히 하게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10내에 수납하는 토너의 충진율을 높이더라도 토너 블록킹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제6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어링 2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양단의 회전축 13을 제외하고 보강축 36을 생략할 수 있다.
이 배열은 보급부재 12의 꼬임을 보다 증진시킬 것이다.
제6a도의 부재12가 제6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5a도의 부재 12와 같은 단면을 가지고 있으나, 제6a도의 부재12는 5a도의 부재 12보다 많이 비틀릴 수 있다.
제7a,7b 및 7c도는 각각 제6a도에서 원으로 둘러싼 중계편 39, 40a, 40b의 확대단면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같이 중계편 40a,40b 및 39는 각각 그 골부위가 얇게 되어 있다. 그 얇은 골부위의 두께 t1은 예를들어 0.2mm-0.3mm이며 아주 쉽게 변형된다. t2는 t1보다 크나 제5b 및 제6b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중앙편 또는 베이스 35의 두께보다 훨신 작게 되어 있다.
중간편 40a,40b 및 39의 길이 a 및 e, 중계편 39 및 40의 길이 b, 및 중계편 40a의 길이 (c+f+d)는 카트리지의 내경과 중앙편(베이스)35의 크기에 관련하여 결정된다. 박편 38의 보다 긴 연결편 40a는 길이 f, 두께t1인 압축부위 41을 갖는다.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부재 12가 카트리지 10내에서 회전시, 박편 38과 연결된 연결편 40a는 그 압축부위 41로 인해 크게 휘게 된다.
따라서 박편 38은 부재 12의 회전 방향으로 늦어져 크로스 형태로 휘게 된다.
그 결과 당해 연결편 40a가 스쿠프편 37에 근접되기 때문에 박편 38이 토너를 스쿠프편 37로 향해 이송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35는 상당한 정도의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스스로 휘게 되며, 부재 12의 이같은 휨운동은 토너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그 벌크 밀도를 감소시키고 부재 12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9도는 회전축을 따라 일어나는 보급부재의 휨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토크가 왼쪽축부위 13에 가해진다. 박편 37 및 38의 가장자리가 카트리지 본체 11의 내주연상에서 활강할 때 부재 12는 휘게 된다. 동시에 박편 38 각각은 보다 짧은 연결편과 합쳐지는 부위보다 긴 연결편과 합쳐지는 부위에서 보다 늦어진다. 그 결과 각편 38은 토너를 스쿠프편 37로 향해 이동시킨다. 멤버 12에 의해 느슨하게 된 토너는 제12도에 도시된 출구 117로 나타낸 바와같이 카트리지의 중간부에 형성된 출구를 통해 현상장치내로 보급된다. 또한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스쿠프편 37은 회전동안 카트리지 본체 11의 내주연과 활강접촉하여 크게 휘게 된다. 그러나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박편 37이 카트리지 본체 11에 형성된 공급구 42에 도달할 때마다 박편 37은 그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는 박편 37의 길이가 공급구 42의 세로 길이보다 짧기 때문이다. 그 결과 박편 37의 진동이 토너를 보급부재 12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또한 이 진동은 카트리지 본체 11내에 존재하는 토너로 전달되어 토너를 느슨하게 한다. 이 진동의 효과는 베이스 35의 오직 일측단에만 박편 37이 제공되더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잇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카트리지 본체내에 설치된 보급부재가 Mylar나 이와 유사한 물질로 된 어떠한 박편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하기가 쉽고 생산단가가 낮아진다. 뿐만 아니라 이같은 박편이 보급부재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 보급부재가 하나의 성형물로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얇은 박편이 일정한 하중하에 카트리지의 내면과 활강 접촉을 유지할 수가 있다.
(3) 보급부재가 토너를 효과적으로 펴낼 수 있어 낭비없이 토너를 보급할 수 있다.
(4) 간단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보급부재가 가요적으로 토너를 변형시켜 느슨하게 하기 때문에 보급부재가 최소 토크로 회전될 수 있다.
(5) 박편과 카트리지의 내주연 사이의 마찰차이로 인해 보급부재가 정확한 정도만큼 변형된다.
(6) 박편중에서 레이크편에 의해 느슨하게 된 토너가 스쿠프편을 향해 이동된다.
(7) 박편이 카트리지의 내주연(내벽)과 접촉시 레이크편이 카트리지의 축에 대하여 큰 각도를 이룸으로써 토너 이송을 확실히 한다.
(8) 보급부재의 회전축상에 대칭력이 미치기 때문에 축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9) 각각의 스쿠프편이 카트리지내에 형성된 공급구에 도달할 때마다 그 원래위치로 복귀되어 그 결과 진동에 의해 토너가 박편으로부터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이 진동이 카트리지내의 토너에도 전달되어 토너를 느슨하게 한다.

Claims (10)

  1. 토너공급구가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 및 상기 카트리지 본체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시 토너를 상기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상기 토너 공급구를 통해 현상장치내로 보급하는 보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급부재는 회전축을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자유 가장자리에 제공된 박편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박편은 단일성형체로 이루어진, 현상장치내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2. 상기 보급부재는 나아가 상기 박편과 상기 베이스와 접하는 최소 2개의 연결편(tie piece)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2개의 연결편의 두께 및 폭은 상기 최소 2개의 연결편을 포함하는 상기 박편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급부재의 회전중심과 상기 박편의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의 거리는 상기 토너 공급구를 둘러싼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내벽의 일부와 상기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가 미끄럼(활강) 접촉되기에 충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평탄형 사다리 형태의 중심편을 포함하고, 상기 박편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내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스쿠프편 및 레이크편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크편은 상기 중심편의 세로방향의 반대 끝단들과 만나며 상기 스쿠프편은 상기 레이크편 사이에 끼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편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내면과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중심편은 구동되어 상기 세로방향의 양단들 중 하나에서 회전되며, 상기 레이크편은 상기 중심편의 일단에서 타단보다 적은 수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편 각각은 상기 중심편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경사진 최외측 가장자리를 가짐으로써 상기 스쿠프편에 보다 가까운 상기 레이크편의 일측면이 다른 측면보다 높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편은 각각 비교적 긴 연결편 및 비교적 짧은 연결편에 의해 상기 중심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비교적 긴 연결편은 상기 중심편과 만나는 부위에서 두께가 감소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편, 상기 레이크편 및 상기 스쿠프편을 포함하는 상기 보급부재에는 상기 회전중심에 대하여 180。대칭배열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쿠프편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세로 방향으로 측정시 상기 토너 공급구의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KR1019950020855A 1994-07-15 1995-07-1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용 토너 카트리지 KR0163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63774 1994-07-15
JP16377494 1994-07-15
JP94-221610 1994-09-16
JP22161094 1994-09-16
JP94-310773 1994-12-14
JP31077394 1994-12-14
JP12349895 1995-05-23
JP95-123498 1995-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3811B1 true KR0163811B1 (ko) 1999-03-20

Family

ID=2747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855A KR0163811B1 (ko) 1994-07-15 1995-07-1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용 토너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5655195A (ko)
EP (1) EP0692748B1 (ko)
KR (1) KR0163811B1 (ko)
DE (1) DE69504777T2 (ko)
ES (1) ES2123871T3 (ko)
HK (1) HK1010413A1 (ko)
TW (1) TW34210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40299B (ko) 1992-12-30 1995-02-11 Ricoh Kk
JP3839932B2 (ja)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US5835828A (en) * 1995-06-15 1998-11-10 Mita Industrial Co., Ltd. Stirrer and toner cartridge equipped with the stirrer
JP3239258B2 (ja) * 1996-07-04 2001-12-1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攪拌器及びこれを備え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19980020116A (ko) * 1996-09-05 1998-06-25 김광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JP3545919B2 (ja) * 1996-10-22 2004-07-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給容器を構成する部品のリサイクル使用方法
JP3680479B2 (ja) * 1997-02-28 2005-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その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に用いら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SG128420A1 (en) * 1998-12-22 2007-01-30 Ricoh Kk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6456810B1 (en) * 1999-07-14 2002-09-2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having toner agitator agitating toners in toner container and transferring toner to developing chamber
JP3523547B2 (ja) * 1999-10-01 2004-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を備えた現像装置
CN1900837B (zh) 2000-02-17 2012-10-03 株式会社理光 墨粉收纳容器、补给墨粉的方法及墨粉补给装置
US6421517B1 (en) * 2000-06-06 2002-07-16 Sharp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device with rotatable agitating element
JP2002006601A (ja) * 2000-06-23 2002-01-11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EP1607078A3 (en) * 2000-07-18 2006-03-22 Coloplast A/S A dressing
US6526245B1 (en) * 2000-08-29 2003-02-2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958511B2 (ja) *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221858A (ja) 2000-11-24 2002-08-09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これを装着す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並びにトナーボトルの成形方法
EP1555582B1 (en) * 2001-01-31 2011-06-29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2296884A (ja) * 2001-03-30 2002-10-09 Canon Inc 現像剤搬送部材、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6633738B2 (en) * 2001-12-20 2003-10-14 Xerox Corporation Self-cleaning mechanism enabling visibility into containers of particles
TWI220896B (en) 2002-01-30 2004-09-11 Ricoh Kk Apparatus and method of filling microscopic powder
US6885840B2 (en) * 2003-06-25 2005-04-26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Toner container and a removable lid for use therewith
US7260346B2 (en) * 2004-05-24 2007-08-21 Himes William D Developer cartridge with a geometry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shutter
US7532843B2 (en) * 2005-08-16 2009-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e forming substance engaging device
JP4871641B2 (ja) * 2006-05-18 2012-02-08 株式会社東芝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8091723B2 (en) * 2006-07-10 2012-01-10 General Plastics Industrial Co., Ltd. Removable lid for use with a toner container
JP4298733B2 (ja) * 2006-09-25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413912B2 (ja) * 2006-11-29 2010-02-10 株式会社沖データ 粉体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07703B2 (ja) * 2007-02-20 2010-02-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30784B2 (ja) * 2007-05-15 2013-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10959B2 (ja) * 2008-11-05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搬送用の搬送部材、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89390B2 (ja) * 2010-07-07 2013-09-11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8973759B2 (en) 2011-03-17 2015-03-10 Ricoh Company, Ltd. Sieving device, sieving device for developing device, and powder-charging device
EP2691817B1 (en) 2011-03-30 2021-06-30 Ricoh Company, Lt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688016B2 (en) * 2011-12-30 2014-04-01 Lexmark International, Inc. Paddle assembly for a shake-free toner cartridge
US8660469B2 (en) * 2011-12-30 2014-02-2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delivery system for a shake-free toner cartridge
US9360796B2 (en) 2014-06-05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Angled toner paddles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e forming device
JP6575140B2 (ja) * 2015-05-22 2019-09-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収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US9869950B1 (en) 2017-02-15 2018-01-1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agitator assembly
US10203628B1 (en) 2017-10-02 2019-02-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agitator assembly
US11402768B2 (en) 2018-11-13 2022-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material agitators coupled to tab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0763A1 (de) * 1982-08-16 1984-02-16 Schering AG, 1000 Berlin und 4709 Bergkamen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substanzen an behaelterinnenwaenden
JPS63173250A (ja) * 1987-01-13 1988-07-1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光磁気デイスク
US4986450A (en) * 1988-09-19 1991-01-22 Kao Corporation Toner cartridge
JPH02210479A (ja) * 1989-02-10 1990-08-21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134441A (en) * 1989-05-30 1992-07-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including the device
DE4035745A1 (de) * 1989-11-10 1991-05-29 Asahi Optical Co Ltd Tonerruehrarm
JPH0453982A (ja) * 1990-06-22 1992-02-21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4125668A (ja) * 1990-09-18 1992-04-27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の現像器
JPH04260075A (ja) * 1991-02-15 1992-09-16 Ricoh Co Ltd 現像装置
GB2257534A (en) * 1991-06-07 1993-01-13 Asahi Optical Co Ltd Scraper structure for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unit
JPH04372967A (ja) * 1991-06-21 1992-12-25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546026A (ja) * 1991-08-14 1993-02-26 Ricoh Co Ltd トナー残量検出装置
JPH05165325A (ja) * 1991-12-17 1993-07-02 Ricoh Co Ltd 現像装置
TW240299B (ko) 1992-12-30 1995-02-11 Ricoh Kk
US5337032A (en) * 1993-02-26 1994-08-09 Lexmark International, Inc. Reduced component toner cartridge
JP3904246B2 (ja) 1994-04-08 2007-04-1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2105U (en) 1998-10-01
EP0692748A1 (en) 1996-01-17
HK1010413A1 (en) 1999-06-17
DE69504777D1 (de) 1998-10-22
ES2123871T3 (es) 1999-01-16
US5655195A (en) 1997-08-05
DE69504777T2 (de) 1999-02-04
EP0692748B1 (en) 1998-09-16
USRE37542E1 (en) 2002-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811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용 토너 카트리지
EP1158370B1 (en) Toner cartridge with toner agitator
EP0816937B1 (en) Stirrer and toner cartridge equipped with the stirrer
US6088561A (en) Toner cartridge, image formation apparatus comprising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recycling the toner cartridge
US5734952A (en)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artridge for replenishing a fresh toner to the developing device
US5629758A (en) Toner transporting and loosening device
US5202728A (en) Image-forming machine with improved developer agitating means, developer regulating blade means, cleaning device, and toner recovery system
US5812916A (en) Conveyer device and toner cartridge equipped with conveyer device
JP3462860B2 (ja) 攪拌部材及びトナー供給容器
US5729804A (en) Toner storage device and supply mechanism for image forming
US20150355579A1 (en) Angled toner paddles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6421517B1 (en) Toner supply device with rotatable agitating element
JP2002258590A (ja) トナー収納容器、及び、このトナー収納容器に用いられるスクレーパ機構
US20080145112A1 (en) High-capacity toner cartridge and toner agitator
EP3147718B1 (en)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ame
CA2751903C (en) Rotating toner cleaning member for a toner delivery devic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388063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388064B2 (ja) 補給カートリッジ
JPH0934233A (ja) トナーボトル
CN1116737A (zh) 包括在成象仪器内的显象器件的上色剂盒
JPH10282774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453982A (ja) 現像装置
KR100477666B1 (ko) 분말교반장치
GB2287100A (en) Toner tank for image forming appratus
JPH01158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