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636B1 -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636B1
KR0162636B1 KR1019890014875A KR890014875A KR0162636B1 KR 0162636 B1 KR0162636 B1 KR 0162636B1 KR 1019890014875 A KR1019890014875 A KR 1019890014875A KR 890014875 A KR890014875 A KR 890014875A KR 0162636 B1 KR0162636 B1 KR 016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drill bit
grinding
pin
har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079A (ko
Inventor
만크비스트 케이조
스조란더 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스조란더 로베르트
씨.엠.이.블라스팅 앤드 마이닝 이큅멘트 오브 캐나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조란더 로베르트, 씨.엠.이.블라스팅 앤드 마이닝 이큅멘트 오브 캐나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조란더 로베르트
Publication of KR90000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2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 B24B3/33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of drills for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24B27/04Grinding machines or devices in which the grinding tool is supported on a swinging 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6664Milling including means to infeed rotary cutter toward work
    • Y10T409/30756Machining arcuate surface
    • Y10T409/307616Machining arcuate surface with means to move cutter eccen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연마장치의 요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연마기에 궤도운동을 부여하는데 동작하는 저널기구의 단면도.
제3a-b도는 본 발명의 연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
제4도는 다중 비트지지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또는 공작 팁(working tip)을 연마하기 위한 자동센터링(self-centering)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며, 배타적인 의미는 아니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들어 광산업분야에서 정호(well) 파기 또는 그와 유사한 하향구멍 뚫기 작업등에 사용되는 종류의 버튼 비트의 탄화텅스턴 버튼의 연마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드릴 비트가 클램프되고 냉각액 수집베셀을 수용하는 고정홀더 장치를 포함하며, 종축수위를 회전하는 연마핀 및 상기 연마핀의 종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뻗는 연마기계 저널장치를 구비하는 연마기계도 또한 포함한다. 저널장치는 회전중심이 연마핀의 중심에 있도록 연마기에 회전운동(rotary motion)을 주도록 작동한다.
상기 종류의 버튼 비트의 탄화 텅스텐 버튼을 연마하기 위한 자동센터링 연마장치의 대표적인 예들이 스웨덴 특허출원 제8604159-7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공지의 연마기의 연마핀은 두가지의 두드러진 형태의 운동을 하는 바, 연마핀은 스스로의 종축주위를 회전하고 중첩된 우회 또는 회전운동도 수행하는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칼럼장비 지브아암(jib arm)위에 장치된다. 연마될 비트는 테이블이 자성체가 아닌 때 전자석 테이블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고정장치 또는 지그에 클램프된다. 처음에, 비트가 클램프되는 고정장치는 연마기계와 비슷한 중심맞추기(alignment)로 되고, 그 다음에 지브 아암이 하강되어 연마핀이 연마될 비트의 탄화 텅스텐 버튼과 맞물리게 된다. 이 단계에서, 고정장치가 테이블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탄화 텅스텐 버튼이 연마핀에 관하여 스스로 중심을 잡는다고 말하여진다. 그에 이어서, 테이블이 자성을 갖게 되고 고정장치를 테이블 위의 제자리에 고정 시킨다.
이러한 공지의 연마장치는 수평 평면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지지구 장치를 포함한다. 유사한 연마장치가 스웨덴 특허출원 제8702950-0호에 설명되어 있는데, 이 장치에서는 비트지지구장치가 플래트포옴 위를 움직이고 연마기계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운반대(carriage)를 포함한다. 연마기계는 스탠드나 후레임의 상부에 부착되어 그 안에서 제한된 수직운동을 하도록 장치된다.
그러나, 그러한 공지의 연마장치는, 한번에 오직 하나의 비트만이 홀더에 클램프될 수 있기 때문에, 합리적인 방법으로 여러개의 비트를 연마할 수 없다. 또한, 버튼의 효과적인 자동센터링이 실제로 일어나는 것은 의심스러운데, 그 이유는 홀더와 그에 지지된 부하, 즉 비트가, 핀위에 중심을 잡기 위해 핀자체를 연마함에 의해 작용되어야 하는 무겁고 상대적으로 굼뜬 유니트를 이루기 때문이다. 공지의 연마기에 의해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못하는 다른 문제는, 연마핀이 비트위의 각각의 개별 버튼에 버티도록 만들어진 힘을 제어하는 것이다.
공지의 연마기 구조에서는, 이 문제가 연마기계와 그 저널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의 중개에 의해 해결될 것처럼 보인다.
이상의 문제는 모두가 본 발명의 자동센터링 연마장치에 의해 해결되는데, 이 장치에서 연마기계 저널 장치는 고정 장착되는 비트 홀드에 관해 수평 및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마 기계 저널 장치는, 수직으로 뻗는 스탠드 또는 후레임 구조 위에 회전을 위해 저널되고 공기압 피스톤 실린더 장치와 협력하는 여러 쌍의 상호 평행아암에 지지된다. 실린더 인휘드(infeed) 압력은, 연마 작업중에 연마압력이 수직으로 작용하는 연마압력 모드 및 연마기계의 수동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상, 보조 압력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연마기계의 중량은 피스톤 실린더 장치의 보상기능, 즉 전술한 보조 압력모드에 의해 대항받는 사실로 인해서, 본 발명의 연마장치는 연마핀 세팅이 수동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게 한다. 자동 센터링 효과 또는 연마핀 세팅의 미세 조정은 실린더 인푸트 압력을 연마압력 모드로 전환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성취된다. 모든 공간 평면에서의 본 발명의 연마기계 저널장치의 완전히 자유로운 움직임 때문에 합리적인 방법으로 다수의 드릴 비트를 연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고정 비트지지구 장치는 두 개의 비트를 위한 두 개의 비트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연마기계 저널장치는 각 홀더위에, 또는 그 칫수로 인해 홀더장치의 밖에 위치해 있는 드릴 비트위에, 위치하는 자리로 방향을 바꿀 수 있고, 그 다음에 실린더 인푸트 압력은 그 연마압력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지지구 장치에 마련된 지지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식 테이블(tiltable table)에 위치한 오목부의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원하는 각도위치(angular position)에 정지되어 고착될(locked)수 있고, 그 상부 표면, 즉 테이블 상면 아래에 각 지지구에 대한 공기압 작동 피스톤 로드를 장착하고 있다.
각 지지구내에 드릴 비트의 잘 정의된 위치는 각 오목부에 코너기구(corner piece)를 만들고 피스톤이 그 코너 기구쪽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고, 비트의 스템은 오목부에 삽입되어 동작된 피스톤 로드에 의해 코너기구에 클램프된다.
다양한 칫수의 드릴 비트가 해당 비트홀더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위치적으로 오목부 아래에 옮겨질 수 있는 저면판이 경사식 테이블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대적으로 짧은 스템을 가진 보다 작은 드릴 비트가 저면판에 기대어지게 하여준다.
각각 두 개의 드릴비트 홀더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다른 경사식 테이블이 하나의 동일한 저널 장치에 의해 저널되지만 각 경사식 테이블이 개별적인 저널장치와 개별적인 연마기계를 갖추는 것이 유리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운전자가 각 테이블에서 연마된 비트를 제거하고 인접한 지지구에는 연마할 새로운 비트를 끼워넣을 수 있고, 두 개의 비트가 동시에 연마될 수 있기 때문에, 연마할 드릴비트의 취급을 크게 합리화한다.
지지구장치 및 이와 결합된 수집베셀은 연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그것의 운반을 위한 운반 콘테이너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연마장치 구성품은 운반 콘테이너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센터링 연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아래에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마장치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다.
연마장치는 그 탄화 텅스텐 버튼(31)를 연마하여야 할 비트들에 대한 비트 지지장치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또한 연마기계(3)를 지탱(carry)하기 위한 저널장치(4)도 포함된다. 연마기계(3)는 연마핀(15)을 고속으로 그 종축주위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저널 장치는 또한 부착수단(25)에 의해 연마기계(3)가 조절가능하게 장치된 샤프트(24)를 가진 다른 구동모터도 갖추고 있다. 저널장치(4)의 구동모터는, 회전중심을 연마핀(15)의 연마중심(30)에 가지도록, 연마기계(3)와 연마핀(15)에 우회 또는 궤도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작용한다(제2도).
저널장치는 360°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지주(6)위에 저널되는 평행 아암페어(5,7)에 매달려 움직인다. 지주(6)는 바닥 후레임(17)에 장치된다.
평행아암페어(5,7)은 각각 내·외측 아암페어(9,10)를 가지므로, 저널장치(4)와 그에 매달린 연마기계는 평행아암페어(5,7)의 경간(span)내에서의 수직과 수평으로 모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손잡이(8)를 잡고 버튼(31)의 바로위의 위치로 연마핀(15)를 이동시킴으로써, 연마핀(15)은 연마할 탄화 텅스텐 버튼과 수동으로 중심맞추기가 된다. 이러한 수동식 이동은 각 내·외측 아암(9,10)의 피보트 아암사이에 설치된 복동식 공기보상 피스톤-실린더 장치(11,12)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압력이 공기압 피스톤-실린더 장치(11,12)에 가해질 때, 피스톤이 평행아암페어(5,7)에 보상력(compensating force)을 가하므로, 저널 장치(4)는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전된 위치에 고정된 채로 머물러 있게 될 것이다. 바른 평형효과(correct balancing effect)를 얻기 위해 각 피스톤-실린더 장치(11,12)의 전원회로에 조절식 압력조정기(13)가 포함되어 있다.
피스톤-실린더 장치의 전원회로는 또한 공기공급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동작하는 하나의 스위치(14)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저널장치(4)와 연마기계(3)의 수평하향력(vertical downward force)을 평행 아암페어(5,7)이 가하도록 한다. 이 시설은 아래에 기술한 바와 같이 자동식의 연속연마 작업에 사용된다.
제2도는 저널장치(4)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다. 이 장치의 주요 구성부품은 다른 구동모터(23)와 그 출력 샤프트(24)를 수용하는 하우징(22)을 포함한다. 연마기계(3)에 가압공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도관으로부터의 가압공기가 구동모터에 공급된다. 구동모터(23)에 이어여 연결되는 분지(branch)에는 쓰로틀 밸브(26)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쓰로틀 밸브에 의해 운전자는 그 구동모터(23)에 대해 공기흐름을 조정하고 그 모터의 속도를 0으로부터 최대치까지 제어할 수 있다.
출력샤프트(24)는 두 개의 보올 베어링(27)으로 하우징(22)에 저널되며, 그 안에는 세 개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스위치(28)를 통해 연마기계(3)에, 그리고 연마기계(3)로부터 공기가 공급되고 냉각수도 공급된다. 그 통로는 호오스(29)에 의해 연마기(3)에 연결된다.
연마기계 부착구(25)는 소정의 각도로 출력샤프트(24)의 하단에 부착되는데, 그 각도는, 연마기계가 각을 이루며 위치를 잡은 것에 불구하고, 연마핀(15)의 연마중심(30)이 출력샤프트(24)의 회전축과 일치하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결과로, 구동모터(23)는 연마작업중 순환경로로(in a circuit path)연마기계(3)를 구동시키며, 그에 따라 고도로 만족스러운 연마결과를 제공한다. 제1도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연마기계 부착구(25)는 연마할 드릴비트의 각도 위치에 맞추도록 서로 상이한 각도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제3a도와 제3b도는 본 발명의 연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제3a도 에 측면도로, 제3b도에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3a도, 제3b도에서 사용된 도면부호의 대부분이 제1도에 있으며, 두 실시예의 상응한 구성부품을 상호 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있어서, 평행아암페어(5,7)에 매어달려 있는 저널장치(4)는 공기공급장치(a,b)와 냉각수 공급장치(c)를 포함하며, 각 공급장치는 회전스위치 또는 카플링을 통해 제1도 실시예의 호오스(29)에 상응하는 각각의 회전 파이프(a',b',c')에 의해 연마기계에 연결된다. 공기공급장치(a)는 제2도에 도면 부호 26으로 나타낸 쓰로틀 밸브를 포함한다.
제3a도와 제3b도는 조절식 부착수단(25)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다 명백히 나타낸다. 이 부착수단은, 록킹핀 및 그것과 결합된 록킹장치(33)와 협력하기 위한 두 개의 활모양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을 가지며, 그에 따라 연마기계의 위치를 저널장치(4)에 맞추어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연마핀(15)의 종축과 구동샤프트(24)의 종축사이에 마주보는 각도는 그렇게 조절될 수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궤도 또는 우회이동의 폭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제4도는 연마할 탄화 텅스텐 버튼(31)을 가진 드릴 비트를 지지하기 위한 드릴비트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지지장치는, 제1도에서 굴대(20)와 화살표(21)로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이블(35)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향 개구부(34)을 가진 수집베셀(18)을 포함하며, 박스를 수집베셀로 할 수도 있다. 각 테이블(35)은 드릴비트(1)의 스템이 삽입되는, 대략 직사각형인 홈의 형상으로 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지지구(19)를 포함한다. 지지구(19)는 또한 공기압 피스톤-실린더 장치를 포함하는데 그 피스톤(36)은 위의 홈의 벽에 대해 효과적으로 고착된 드릴 비트(1)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 지지구(19)의 피스톤-실린더 장치는, 그 장치의 각 피스톤이 홈의 하나의 대각선 방향으로 동작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4도의 좌측에 도시한 테이블(35)로부터 알수 있듯이 홈의 한쪽 코너에 드릴 비트(1)를 효과적으로 고착시킨다.
지지구(19)의 피스톤-실린더 장치는, 밸브가 우발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막기 위해 케이싱(38)내에 수용되는 밸브(37)에 의해 동작된다. 결과적으로, 운전자는 서로 반대되는 측에 뚫려 있는 공간으로부터 밸브(37)를 동작시킬 수 있을 뿐이다. 한쪽으로부터 동작되면, 밸브(37)는 피스톤-실린더 장치에 고착동작을 제공하도록 동작하고, 다른 쪽으로부터 동작되면 반대로 해제동작을 하도록 동작한다.
제4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지지구(19)에는 교체가능 바닥부(39)가 형성되어 있어서, 작은 치수의 드릴을 지지구가 쉽게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바닥부(39)는 레버(40)의 도움으로 변위된다. 제4도의 도시에 있어서, 좌측 테이블(35)의 바닥부(39)는, 작은 치수의 드릴 비트(1)를 지지하도록 된 위치로 옮겨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우측 테이블의 바닥부(39)는 큰 치수의 드릴 비트(1)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거되어 있는데, 이들 비트의 두부직경은, 드릴 스템이 테이블의 지지구의 홈의 하나에 삽입될 때, 두부가 바닥부(39)의 표면에 맞닿도록 하여 주는 크기로 되어 있다.
위의 설명과 같이, 각 테이블은 원하는 각도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제4도의 우측 테이블에 도시된 방법으로 밀거나 당겨질 수 있는 레버(41)에 의해 그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테이블은 록킹 장치(42)에 의해 그 선택된 위치에 고착될 수 있다.
연마공정중 연마기계로부터 연마위치로 보내어지는 액체 냉각제를 수집하는 역할을 박스형태의 수집베셀(18)이 한다. 제4도에 하나만이 도시된 착탈가능한 튀김받이(43)는 수집베셀(18)의 모든 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수집베셀(18)은 액체 냉각제를 연마기계(3)에 재순환시키기 위해 순환 펌프와 필터장치에 연결된다.
수집베셀(18)에 의해 얻어지는 다른 장점은 연마장치의 전체를 수용하도록 수정되는 것이다. 일정한 정도로 해체된 후에, 연마장치는 수집베셀(18)에 포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운반상자의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시된 지지구장치(2)는 서로 독립적으로 조종될 수 있는 두 개의 테이블(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평행아암페어(5,7)내에서 회전될 수 있는 두 대의 연마기계(3)가 배설될 수 있음이 제4도에 나타나 있다.
이로 인해서, 서로 상이한 칫수의 드릴 비트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연마될 수 있다. 각 테이블에 두 개의 지지구(19)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홀더에서 드릴 비트를 연마하는 동안 다른 홀더에서는 드릴 비트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자연히, 수집베셀(18)을 단 하나의 경사식 테이블(35)과 부착하고 또한 단 하나의 연마기계(3)를 각 수집베셀(18)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본 발명의 연마장치가 사용되게 되어 수집베셀(18)에 넣어져 사용장소에 운반된 때, 각종 구성부품이 수집베셀에서 꺼내어져 서로 조립되며, 그 후에는 액체 냉각제가 연마장치에 주입되고 연마장치는 적당한 압축공기 공급장치에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연마장치의 사용준비가 끝난다.
그 탄화 텅스텐 버튼(31)을 연마할 드릴 비트(1)는 테이블(36)위의 각 지지구(19)에 클램프된다. 그리고 나서 테이블은 각 드릴 비트의 두부 또는 원주에 위치한 버튼을 연마하기 위한 위치로 기울여진다. 연마기계(3)의 연마핀(15)은 다시 연마할 첫 번째 버튼(31)쪽으로 이동된다. 연마핀(15)의 이러한 조절동작중에, 평행아암페어(5,7)의 보상 피스톤-실린더장치(11,12)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매우 쉬운 방법으로 버튼(31)위의 가운데의 위치에 연마핀(5)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연마핀을 버튼(31)과 중심 맞추기한 다음, 운전자는 구동모터(3,23)를 동시에 시동하면서, 압축공기의 공급을 보상 피스톤-실린더 장치(11,12)로부터의 연마압력시설로 바꾸도록 스위치(14)를 동작시킨다.
연마핀(15)은, 자동 센터링 동작을 통해, 탄화 텅스텐 버튼(31)위의 정확한 연마위치를 자동적으로 찾게 된다.
드릴 비트가 연마됨에 따라, 연마되고 있는 드릴비트가 들어 있는 지지구 근처에 위치한 다른 지지구에 연마가 끝난 드릴비트를 새로운 닳아버린 드릴 비트로 교환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운전자가 할 일은 그 드릴 비트의 연마가 끝났을 때 연마장치를 꺼버리는 것외에는 남아 있지 않다. 이러한 운전작업이 끝날 때, 스위치(14)는 보상스위치로 돌려지고, 연마핀(15)은 연마할 새로운 버튼에 수동으로 이동시켜진다.
전술한 자동 센터링동작과 그 다음의 연마공정이 그 다음에 반복된다.
연마할 드릴 비트가 큰 치수로 되어 있을 때, 즉 드릴 스템이 지지구(19)에 비해 너무 크면, 평행아암페어는 수집베셀(18)의 외측 위치로 지주(6)위에서 회전된다. 과도하게 큰 치수의 드릴비트는 적당한 수단의 도움을 받아 이 위치에 클램프될 수 있고, 보다 작은 치수의 드릴 비트를 연마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은 기계의 도움을 받아 연마될 수 있다.
연마할 드릴 비트의 버튼이 너무 닳아서 버튼 주위에 위치한 재료를 깍아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목적에 사용하도록 특별히 만든 연마핀이 사용된다. 이 특수한 연마핀은 연마기계가 동일한 하나의 위치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연마핀을 그렇게 잠그어 고정하는 것은, 쓰로틀 밸브(26)를 닫아서 회전하는 저널 장치(4)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해 쉽게 이룰 수 있다.
모든 형태의 암석드릴 장치, 즉 상이한 단면과 상이한 크기의 드릴이 본 발명의 연마기계의 도움을 받아 연마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탄화 텅스텐 버튼이 형성된 드릴비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들면, 드릴 비트 홀더는 그것을 특수 제조의 드릴 비트로 만드는 방법으로 형태를 만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장치는 액체 냉각제를 수집베셀(18)로부터 연마기계(3)로 펌프하도록 동작하는 펌프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그 드릴비트(1)가 액체냉각제 수집베셀(18)을 포함하는 지지구 장치(2)에 클램프되고, 연마장치는 종축주위를 회전하는 연마핀(15)을 장비한 연마기계(3)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핀(15)의 종축에 비스듬하게 위치하여 연마기계(3)를 연마핀(15)의 연마중심에 자리잡은 회전중심과 궤도상의 경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연마기계 저널장치(4)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연마기계 저널장치(4)는 정지되어 있는 지지구장치에 관하여 수평 및 수직 평면으로 움직일 수 있고; 수직 스탠드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고 공기압식으로 동작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11,12)와 상호 작용하는 평행아암페어들 위에 장치되며, 피스톤-실린더 장치의 공급압력 통로는 자동연마 동작중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연마압력을 제공하고 연마기계의 수동이동 중에 보상 보조압력을 제공하도록 바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호 파기 및 유사한 구멍뚫기 작업을 위한 채굴산업에 사용되는 종류의 버튼비트(1)의 탄화 텅스텐 버튼(31)등의 드릴 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평해아암페어(5,7)가 함께 회전되게 연결되는 내측 및 외측 아암페어(9,10)를 포함하고; 아암페어(9,10)가 그 하나의 피보트 아암위에서 작동하는 하나의 피스톤-실린더 장치와 상호 작용하고; 내측 아암페어(9)가 수직스탠드(6)에 매달려지고 외측 아암페어(10)는 연마기계 저널장치(4)에 매달려 지며; 피스톤-실린더 장치에 대한 공급압력의 통로가 밸브스위치(14)에 의해 바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내측 아암페어(9)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이동 하도록 장치된 튜브지주를 수직스탠드가 포함하고; 외측아암페어가 고정식 드릴비트 지지구장치(2)내의 상이한 드릴비트 사이 그리고 또한 고정식 드릴비트 지지구 장치밖에 클램프된 드릴비트에도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 자동센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아암페어의 외측 아암페어(10)의 자유단에 장치되고 구동모터(23)가 전술한 궤도이동을 하도록 수용하는 하우징을 연마기계 저널장치(4)가 포함하고, 구동모터(23)는, 평행아암페어(5,7)에 의해 그 내측 아암페어(9)를 매달고 있는 수직 스탠드와 평행하게 지지되는, 샤프트 방향을 가지며; 연마기계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고착될 수 있는 부착장치(25)에 의해 구동모터의 샤프트(24)에 부착됨으로써 연마핀(15)의 종축과 연마기계 저널기구(4)의 사이의 상기 각도위치를 얻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연마기계(3)로부터 뻗은 록킹핀(33)이 돌출되어 구동모터의 샤프트(24)에 관하여 원하는 각도 위치에 연마기계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팔모양으로 굽은 홈(32)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을 상기 부착장치(25)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회전 커플링(28)을 통해, 연마기계에 형성된 호오스(A,B,C)에 공기 및 냉각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통로를 구동모터 샤프트(24)가 갖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식 지지구자이(2)가 상응한 수의 드릴비트(1)를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지지구(19)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식 테이블(35)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식 테이블(35)이 드릴비터(1)위에 축방향으로 방향을 가진 탄화 텅스텐 버튼(31)과 상기 드릴비트의 축에 비스듬한 방향을 가진 버튼을 모두 연마하기 위한 원하는 각도위치에 고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경상식 테이블(35)의 각 지지구(19)는 그 윗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형태를 가지며, 그 오목부에 삽입된 드릴비트(1)의 스템이 경사식 테이블(35)의 윗면 아래쪽에 위치한 피스톤-실린더 장치(36)에 의해 클램프되어 지지되는 코너기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테이블 윗면의 각 오목부가 넓은 치수 범위의 드릴비트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면적을 가지며, 경사식 테이블(35)은 상기 오목부내에서 위치를 바꿀 수 있고 작은 치수의 드릴비트(1)의 짧은 스템을 지지하도록 작용하는 저면판(39)을 그 안에 장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고정식 지지구장치(2)가 두 개의 지지구(19)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경사식 테이블(35)을 가지며; 각 테이블은 하나의 저널장치(4) 그리고 결합된 연마기계(3)가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된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수집베셀(18)을 가진 지지구 장치(2)가 해체된 연마장치의 수송을 위한 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KR1019890014875A 1988-10-17 1989-10-16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KR0162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803684A SE462901B (sv) 1988-10-17 1988-10-17 Anordning foer slipning av stiften paa borrkronor
SE8803684-3 1988-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079A KR900006079A (ko) 1990-05-07
KR0162636B1 true KR0162636B1 (ko) 1999-02-18

Family

ID=2037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875A KR0162636B1 (ko) 1988-10-17 1989-10-16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070654A (ko)
EP (1) EP0365497B1 (ko)
JP (2) JPH02160466A (ko)
KR (1) KR0162636B1 (ko)
CN (1) CN1015784B (ko)
AT (1) ATE86907T1 (ko)
AU (1) AU607353B2 (ko)
BR (1) BR8904607A (ko)
CA (1) CA1325108C (ko)
DE (1) DE68905427T2 (ko)
FI (1) FI894000A (ko)
NO (1) NO172105C (ko)
RU (1) RU1838090C (ko)
SE (2) SE462901B (ko)
ZA (1) ZA8968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7399B (sv) * 1990-08-17 1992-07-13 Constr Mining Equip Cme Anordning foer slipning exempelvis av stift paa borrkronor
SE9201835L (sv) * 1992-06-15 1993-10-18 Uniroc Grinding Ab Vibrationsdämpande slipkopp för slipning av hårdmetallstift hos stiftborrkronor och hållare för en sådan slipkopp
GB9217020D0 (en) * 1992-08-11 1992-09-23 Redfern Gary Grinding apparatus
SE501695C2 (sv) * 1993-06-22 1995-04-24 Sandvik Ab Förfarande för tillförsel av kylmedel till en slipkopp samt slipkopp för att utföra förfarandet
SE503183C2 (sv) * 1993-12-14 1996-04-15 Sandvik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slipa stift hos en bergborrkrona och spolhuvud för att tillföra spolmedium vid slipningen av stiften hos en dylik bergborrkrona
SE504443C2 (sv) * 1994-11-21 1997-02-10 Sandvik Ab Slipkopp samt slitdel därtill
US5639273A (en) * 1995-02-03 1997-06-17 C.M.E. Blasting & Mining Equipment Ltd. Grinding cup and holder device
JP3570833B2 (ja) * 1996-12-04 2004-09-29 ミヤモ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ドリル研磨方法
DE59812216D1 (de) * 1997-12-01 2004-12-09 Weissenfluh Hawe Neos Vorrichtung zum Schärfen von Dentalinstrumenten
SE512081C2 (sv) * 1998-06-26 2000-01-24 Sandvik Ab Fixtur och slipmaskin för att slipa stift hos en bergborrkrona
CA2300315A1 (en) * 2000-03-09 2001-09-09 Bo Thomas Sjolander Mass reduced grinding cup
GB2381768B (en) * 2000-07-10 2004-02-25 Cme Blasting & Mining Equip Improved grinding apparatus
US7811155B2 (en) * 2001-11-21 2010-10-12 Cme Blasting & Mining Equipment Ltd. Grinding member for buttons on rock drill bit
CA2419214A1 (en) * 2003-02-19 2004-08-19 C.M.E. Blasting & Mining Equipment Ltd. Grinding apparatus for buttons on rock drill bit
SE526439C2 (sv) * 2003-03-10 2005-09-13 Atlas Copco Secoroc Ab Slipmaskin för slipning av stiftborrkronor
SE527994C2 (sv) * 2004-12-15 2006-08-01 Atlas Copco Secoroc Ab Inställningsarrangemang för en slipmaskin för slipning av stiftborrkronor
US20060131283A1 (en) * 2004-12-17 2006-06-22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gled vias in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substrate
FI126233B (sv) * 2006-02-23 2016-08-31 Oy Kwh Mirka Ab Oscillerande slipmaskin
SE529596C2 (sv) * 2006-03-09 2007-10-0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lipmaskin och förfarande för att slipa stiften i en bergborrkrona
CA2636995A1 (en) * 2008-07-08 2010-01-08 C.M.E. Blasting & Mining Equipment Ltd. Manual locking means for bit holder with micro/macro adjustment
JP2010099811A (ja) * 2008-10-27 2010-05-06 Fujitsu Ltd 研磨装置
IT1396809B1 (it) * 2009-05-15 2012-12-14 Re Ma Sas Di Pressato Emanuele & C Macchina affilatrice portatile per affilare punte da legno
US20110097979A1 (en) * 2009-10-26 2011-04-28 Illinois Tool Works Inc. Fusion Bonded Epoxy Removal Tool
US8961077B2 (en) * 2009-10-26 2015-02-24 Illlinois Tool Works Inc. Severing and beveling tool
US20110097157A1 (en) * 2009-10-26 2011-04-28 Illinois Tool Works Inc. Deep Water Pipe Preparation Machine
CN102120305A (zh) * 2010-12-23 2011-07-13 山西力天世纪刀具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金刚石球形面的磨床
US8926407B2 (en) * 2011-11-01 2015-01-06 Illinois Tool Work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ing a coating on a surface of a submerged pipeline
CN102699878B (zh) * 2012-02-08 2015-01-14 苏州喜和喜精密机械有限公司 倒钝砂抛钻攻复合机
CA2823643A1 (en) * 2013-08-12 2015-02-12 Bo Thomas Sjolander Grinding apparatus with non-pneumatic load control
MX370557B (es) 2013-10-03 2019-12-17 Illinois Tool Works Soporte de herramientas giratorio para un aparato de maquinado de tubos.
CN104551950B (zh) * 2015-01-31 2016-09-14 南通恒鼎重型机床有限公司 一种大型罐体外壁抛光装置
CN106826426B (zh) * 2017-01-09 2019-10-2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刃口研磨机
AU2017399764A1 (en) * 2017-02-21 2019-08-08 Montrae Mining Pty Ltd Drill bit sharpener
SE542627C2 (en) * 2017-06-21 2020-06-23 Torstorps Mek Hydraulic grinding machine for grinding rock drill bit buttons
CN107322378A (zh) * 2017-09-01 2017-11-07 贵州迈锐钻探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钻头修磨机
DE102019002054A1 (de) * 2019-03-22 2020-09-24 Vollmer Werke Maschinenfabrik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arbeiten von gleichartigen Werkstücken
CN109940484A (zh) * 2019-04-26 2019-06-28 四川天府珞埔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义齿自动打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6409A (en) * 1960-11-02 1962-05-29 Forrest R Whitcomb Tool feed control
US3279126A (en) * 1964-02-14 1966-10-18 Lee H Barron Machine for generating surfaces on hard materials
FR2055862A5 (ko) * 1969-08-01 1971-05-14 Gazuit Georges
US3854250A (en) * 1973-11-01 1974-12-17 Int Shoe Machine Corp Roughing machine having counterweighted roughing tool
JPS5847315B2 (ja) * 1975-12-24 1983-10-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サンギヨウヨウロボツトノア−ム
FR2369055A1 (fr) * 1976-10-29 1978-05-26 Creusot Loire Dis
SE416115B (sv) * 1977-02-11 1980-12-01 Fagersta Ab Slipfixtur for slipning av skerstift i bergborrkronor
DE2937976C2 (de) * 1979-09-20 1983-02-24 Prontor-Werk Alfred Gauthier Gmbh, 7547 Wildbad Maschine zum Schleifen oder Fräsen von konvexen und/oder konkaven sphärischen Flächen
JPS58102669A (ja) * 1981-12-11 1983-06-18 Hitachi Ltd 曲面研磨用ロボツト
IT1159299B (it) * 1982-07-09 1987-02-25 Ideal Standard Spa Macchina automatica per la canapatura interna delle apparecchiature igienico-sanitarie in genere
AU3583084A (en) * 1983-12-10 1985-06-13 Aida Engineering Ltd. Playback grinding robot
AU589535B2 (en) * 1986-07-25 1989-10-12 Boart International Limited Restoration of drill buttons
US4858388A (en) * 1986-07-25 1989-08-22 Bice Keith C Restoration or drill buttons
GB2193456B (en) * 1986-07-25 1990-06-06 Boart Int Ltd Restoration of drill buttons
SE460584B (sv) * 1986-10-01 1989-10-30 Sandvik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lipning av en stiftborrkro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93425D0 (no) 1989-08-25
EP0365497B1 (en) 1993-03-17
CA1325108C (en) 1993-12-14
JPH02160466A (ja) 1990-06-20
SE8803684D0 (sv) 1988-10-17
RU1838090C (ru) 1993-08-30
SE8902794L (sv) 1990-04-18
AU607353B2 (en) 1991-02-28
NO172105C (no) 1993-06-09
BR8904607A (pt) 1990-04-24
SE462901B (sv) 1990-09-17
SE8803684L (sv) 1990-04-18
ATE86907T1 (de) 1993-04-15
KR900006079A (ko) 1990-05-07
FI894000A0 (fi) 1989-08-25
DE68905427T2 (de) 1993-09-30
SE8902794D0 (sv) 1989-08-22
CN1041902A (zh) 1990-05-09
DE68905427D1 (de) 1993-04-22
EP0365497A2 (en) 1990-04-25
NO893425L (no) 1990-04-18
AU4131389A (en) 1990-04-26
JPH0720246U (ja) 1995-04-11
ZA896846B (en) 1990-06-27
CN1015784B (zh) 1992-03-11
NO172105B (no) 1993-03-01
FI894000A (fi) 1990-04-18
US5070654A (en) 1991-12-10
EP0365497A3 (en) 1990-09-19
SE467347B (sv) 199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636B1 (ko) 드릴비트의 경질금속핀 연마용의 자동센터링 장치
RU2037389C1 (ru) Вертикально-шлифовальный станок
FI125440B (fi) Hiontalaite, jossa on nivelletty varsi
US3568371A (en) Lapping and polishing machine
AU748233B2 (en) A fixture and a grinding machine for grinding buttons of a rock drill bit
KR102328387B1 (ko) 반도체용 그랜드 내경 연마장치
US4965964A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cessing marble tile
JP2808067B2 (ja) 舶用弁と弁座の研磨、摺合装置
CN219563108U (zh) 机械臂加工工装
CN217750699U (zh) 一种具有改良型调整轮的无心磨床
JPH09300155A (ja) ワークの芯出しクランプ装置
US2787090A (en) Lapping machine
CA2414145C (en) Grinding apparatus with articulated arm
JP3013160U (ja) 筒状部材の周面研削装置
CA2342481C (en) Improved grinding apparatus
KR200249097Y1 (ko) 나이프 연마장치
ZA200300040B (en) Improved grinding apparatus.
CZ286980B6 (cs) Přípravek pro ruční broušení nebo leštění metalografických vzork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