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235B1 - 압축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235B1
KR0162235B1 KR1019910700812A KR910700812A KR0162235B1 KR 0162235 B1 KR0162235 B1 KR 0162235B1 KR 1019910700812 A KR1019910700812 A KR 1019910700812A KR 910700812 A KR910700812 A KR 910700812A KR 0162235 B1 KR0162235 B1 KR 016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ompression molding
passage
resin material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867A (ko
Inventor
가시와 무라야마
마사까즈 다쯔따
노부 우쯔노미야
Original Assignee
야마시따 덴노스께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시따 덴노스께,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시따 덴노스께
Publication of KR92070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7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moulds mounted on rotating supporting constuctions
    • B29C2043/3689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moulds mounted on rotating supporting constuctions on a support table, e.g. flat disk-like tables having moulds on the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29C33/3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continuously movable in one direction, e.g. in a closed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4Moulding material on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preformed part, e.g. outsert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개의 성형틀이 장착된 회전지지체를 구비하는 압축 성형장치, 상기 회전지지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성형틀 각각이 수지 소재 공급영역, 압축성형 영역 및 배출영역을 차례로 지나 반송된다. 상기 수지소재 공급영역에는 상기 성형틀 각각에 연화 용융상태의 합성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소재 공급수단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수지소재 공급수단은 압출기, 수지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압출블록 및, 상기 압출기와 압출블록 사이에 개재된 수지 유동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지 유동제어 수단은 상기 압출기에 연통되어지고 있는 입구로, 상기 압출 블록에 연통되어지고 있는 공급로 및 파기로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에는 제어밸브가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이같은 제어 밸브는 상기 입구로를 상기 파기로로부터 차단시켜서 상기 공급로에 연통되게 하는 공급 위치와, 상기 입구로를 상기 공급로로부터 차단케해서 상기 파기로에 연통되게하는 파기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진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압축 성형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압축 성형장치, 특히 합성수지제 파지링을 압축성형하는 동시에 용기 뚜껑 본체의 연결용 돌출편에 일체로 연결하는데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압축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특개소 57-17 87 30호 공보에는 간이 개봉형 용기 뚜껑의 적합한 예로서 금속제 용기 뚜껑 본체와 합성수지제 파지링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알루미늄기 합금박판과 같은 적당한 금속박판으로 성형되는 용기 뚜껑 본체는 원형 천면벽, 상기 천면벽의 주위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스커트 벽 및 스커트벽의 자유단의 일부에서 돌출하는 연결용 돌출편을 갖는다. 합성수지제 파지링은 용기 뚜껑 본체의 연결용 돌출편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특개소 63-302010호 공보에는 상기 형태의 용기 뚜껑에 있어서의 합성수지제 파지링을 압축 성형함과 동시에 용기 뚜껑 본체의 연결용 돌출편에 일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압축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같은 압축 성형장치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지지체와,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회전 지지체에 장착된 복수개의 성형틀을 포함하는 압축 성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지지체의 회전에 의해서 성형틀 각각은 수지소재 공급영역, 용기뚜껑 본체 공급영역, 압축성형영역 및 배출영역을 순차로 통하여 반송된다. 압축 성형장치는 또한, 상기 수지 소재 공급 영역에서 성형틀 각각에 가열용융상태의 합성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소재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지 소재 공급수단은 수입구에서 배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수지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압출 블록과 이 압출 블록에 접속된 압출기로 구성되어 잇다. 압출 블록의 배출구는 상기 수지 소재 공급영역에 위치되어지며, 압출 블록의 수입구는 압출기에 연통되어진다. 이같이 해서 압출기에서 압출된 가열 용융상태의 합성수지 소재가 압출블록의 수지유로를 통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성형틀에 공급된다.
그리고, 종래의 압축장치에는 다음같은 해결해야할 문제가 존재한다. 수지소재 공급수단에 있어서의 압출기의 운전을 개시하고부터 얼마간의 시간(예를들면 2 내지 3분 정도)이 경과할 때까지는 압출기의 작용이 안정되지 않으며,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합성수지는 압축 성형에 충분히 적합한 것은 아니다. 이같은 부적절한 수지소재를 사용해서 압축성형을 수행하면 불량품이 생성되고 만다. 또한, 상술한 형태의 압축성형장치에 있어서 압축성형 수단의 성형틀에 용기 뚜껑 본체가 공급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지소재를 공급해서 파지링을 압축성형하면, 이같은 성형된 파지링이 성형틀에서 배출되지 않고 잔류된다는 허용할 수 없는 자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합성수지 소재를 필요에 따라 성형틀에 공급하거나 성형틀로의 공급을 저지하도록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압축성형 장치는 이같은 요망에 응할 수 없었다. 압출기 자체는 그 작동의 안정성 등의 입장에서 볼 때 연속적으로 운전할 필요가 있으며, 압출기의 작동을 적절하게 정지시켜서 합성수지 공급을 제어할 수는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압출기의 운전을 정지할 필요없이 압출기에서 압출된 가열 연화 상태의 합성수지 소재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성형틀 각각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압축 성형장치의 수지소재 공급수단을 개량하는 것이다.
상기 주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자는 수지소재 고급수단에 있어서 압출기와 압출블록 사이에 특정형태의 수지유동제어수단을 배열설치하는 것이다. 이같은 수지유동제어수단은 압출기의 압출구에 연통되어져 있는 입구로, 압출블록의 수입구에 연통되어진 공급로 및 파기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입구로를 상기 파기로에서 차단케 해서 상기 공급로에 연통케하는 공급 위치와 상기 입구로를 상기 공급로로부터 차단케해서 상기 파기로에 연통케하는 파기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지는 제어밸브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지지체, 및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상기 회전 지지체에 장착된 복수개의 성형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지지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성형틀 각각이 수지소재 공급영역, 압축성형 영역 및 배출 영역을 순차로 통해서 반송되는 회전식 압축성형 수단과, 상기 수지 소재 공급영역에서 상기 성형틀 각각에 가열 연화상태의 합성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소재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압축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 소재 공급수단은 압출기, 수입구로부터 상기 수지소재 공급영역에 위치하는 배출까지 연장하는 수지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압출블록 및 상기 압출기와 압출 블록사이에 개재되어진 수지 유동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지 유동 제어수단은 상기 압출기의 압출구에 연통되어져 있는 입구로, 상기 압출 블록의 수입구에 연통되어진 공급로 및 파기로를 갖는 본체, 아울러 상기 입구로를 파기로로부터 차단케해서 상기 공급로에 연통케하는 공급위치와 상기 입구로를 공급로로부터 차단케해서 파기로에 연통케하는 파기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부착되는 제어 밸브를 포함하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성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 밸브가 상기 공급 위치에서 파기 위치로 이동되어질 때에는, 상기 입구로가 상기 파기로에 연통되어진 후에 입구로가 공급로로부터 차단되어지며, 상기 제어 밸브가 파기 위치에서 공급 위치로 이동되어지는 때에는 상기 입구로가 공급로에 연통되어진 후에 입구로가 파기로로부터 차단되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 유동제어 수단의 본체는 원추대 형상 공동을 가지며, 상기 입구로, 공급로 및 파기로는 소정각도 간격을 두어 상기 원추대 형상 공동에 연통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 밸브를 상기 원추대 형상 공동에 삽입되는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를 가지며, 상기 밸브부재의 외주면에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밸브가 공급위치에 부착되면 상기 입구로가 상기 연통홈을 거쳐서 상기 공급로에 연통되어지며, 상기 제어 밸브가 상기 파기 위치에 부착되면 상기 입구로가 상기 연통홈을 거쳐서 파기로에 연통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압축 성형장치에 있어서는 압출기의 작동이 안정할 때까지의 동안 혹은 성형틀에 용기 뚜껑 본체가 공급되지 않았을 때 등의 성형틀에 합성수지 소재를 공급하는 것을 저지해야 할 경우에는 수지유동제어수단의 제어 밸브를 파기 위치에 설치한다. 이같이 하면, 압출기에서 압출된 수지소재를 수지 유동제어수단의 입구로에서 파지로로 유동되어지며, 이같이 해서 성형틀에 공급되어지는 것이 저지된다. 파지로를 통해서 유동되어진 수지 소재를 적절한 수집 수단내에 수집되어, 필요하다면 다시 압출기에 공급될 수 있다. 성형틀 각각에 수지 소재를 공급해야 할 경우에는 수지 유동 제어수단의 제어 밸브를 공급위치에 위치하게 한다. 이같이 하면, 압출기에서 압출된 수지소재는 수지 유동제어 수단의 입구로에서 공급로에 유동되어지고 이어서 공급로에서 압출블록의 수지 유로를 유동하여 배출구에서 배출되며 각각의 성형틀에 공급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압축성형 장치를 천공장치와 더불어 도시하는 개략 횡단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각각 천공전의 용기뚜껑 본체를 도시하는 사면도 및 단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제1도의 천공장치에 의해 천공된 용기뚜껑 본체를 도시하는 사면도 및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용기 뚜껑 본체와 더불어 제1도의 압축 성형장치에 의해 압축 성형된 합성수지제 파지링을 갖는 용기뚜껑을 도시하는 사면도 및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제1도의 압축 성형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소재 공급 수단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5도 및 제6도의 수지 소재 공급 수단에 있어서의 수지 유동 제어 수단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제7도 및 제8도의 수지 유동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그 제어 밸브가 공급위치 및 파기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개량된 압축 성형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전체를 도면부호 2로 도시하는 압축성형장치와 더불어 전체를 번호 4로 도시하는 천공장치를 포함하는 용기뚜껑 성형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천공장치(4)는 용기뚜껑 본체 공급수단(6)과 천공수단(8)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터릿 형태인 용기뚜껑 본체 공급수단(6)은 실질상 연직(제1도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반(10)을 구비하고 있다. 화살표 12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케하는 회전반(1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어 복수개의 용기 뚜껑 본체 수입 오목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반(10)이 화살표 12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번호 14로 도시하는 수입 영역에 있어서 송급 슈트(16)로부터 상기 수입 오목부 각각에 용기 뚜껑 본체(18)가 송급된다. 그리고, 이같은 용기뚜껑 본체(18)는 회전반(10)의 회전에 부수해서 공급영역(20)으로 반송된다. 그 동안에는, 상기 수입영역(14)으로부터 상기 공급영역(20)까지 회전반(10)의 외주를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정지 가이드(22)에 의해서, 상기 수입 오목부로부터 용기 뚜껑 본체(18)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천공수단(8)은 실질상 연직으로 연장하는 정지 지지축(24)과 이 정지 지지축(2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지지체(26)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지지체(26)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어 복수개의 용기뚜껑 본체 수용대(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지지체(26)에는 상기 수용대(28) 각각의 윗쪽에 천공장치 조립체(도시되지 않음)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영역(20)에 있어서는 용기 뚜껑 본체 공급수단(6)의 회전반(10)에 있어서의 상기 수입 오목부 각각으로부터 천공수단(8)의 회전지지체(26)에 설치되어 수용대(28) 각각으로, 용기 뚜껑 본체(18)가 이송된다. 천공수단(8)의 회전지지체(26)는 화살표 30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공급영역(20)에 있어서 수용대(28)에 이송된 용기뚜껑 본체(18)는 회전지지체(26)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공급영역(20)에서 배출영역(32)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이 동안에 천공장치 조립체가 수용대(28)상의 용기뚜껑 본체(18)에 작용해서 소요 천공작업을 가한다. 배출 영역(32)에 있어서는 소요 천공작업이 가해진 용기 뚜껑 본체(18)가 천공 수단(8)에서 압축성형장치(2)로 이송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송급 슈트(16)로부터 천공장치(4), 더욱 상세하게는 그 용기 뚜껑본체 송급수단(6)으로 송급되는 용기뚜껑 본체(18)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알루미늄기 합금박판, 크롬산 처리 강재 박판 또는 주석 박판과 같은 적절한 금속박판으로 형성할 수 있는 용기뚜껑 본체(18)는 원형천면 벽(34), 이 천면벽(34)의 주위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향의 원통형 스커트 벽(36) 및 스커트벽(36)의 자유단 일부에 돌출하는 연결용 돌출편(38)을 갖는다. 연결용 돌출편(38)은 스커트벽(36)의 자유단 일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혹은 실질상 수평 반경방향으로 돌출해도 좋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15 내지 60도 정도의 경사각 α로 아래쪽으로 경사해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연결용 돌출편(38)의 기단 양측에 있어서 스커트벽(36)에는 대략 삼각형상의 절결부(37)가 형성되며, 또 이같은 절결부(37)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파단 라인(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용 돌출편(38)의 원주방향 중앙에서 원주방향 양측에 약 90도의 각도간격을 둔 부위의 각각에 있어서는 스커트벽(36)의 자유단에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파단라인(40)(제2b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단라인(39, 40)은 소위 스코어 여도 좋다. 천면벽(34)의 주위가장자리부는 위쪽으로 융기되어지고 있으며, 이같은 융기 주위가장자리부의 내면에는 합성수지제 환상 라이너(42)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천공장치(4)의 천공수단(8)에 있어서는 제3a도 및 제3b도에 명확히 도시하듯이 용기뚜껑 본체(18)의 상기 연결용 돌출편(38)에 1개 또는 복수개(예를들면 3개)이 구멍(44)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술한 천공장치(4) 자체의 구성은 특개소 64-1523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 혹은 본 출원인의 출원에 관계하는 특원평 1-121361호(출원인 : 평성 1년 5월 17일, 발명의 명칭 : 천공장치)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상기 문헌의 개시내용에 맡기고,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해서 설명을 계속하면, 전체를 도면부호 2로 나타내는 압축 성형장치는 회전식 압축 성형수단(46), 용기뚜껑 본체 공급수단(48) 및 배출수단(50)과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해 개량이 가해진 수지소재 공급수단(52)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식 압축 성형수단(46)은 실질상 연직(제1도에 있어서 지면과 수직)으로 연장하는 정지 지지축(53)과 이 지지축(5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지지체(54)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지지체(54)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어 복수개의 성형틀(56)(그 일부만을 제1도에 도시하고 있다)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회전지지체(54)는 화살표 58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어지며, 이것에 의해서 성형틀(56)의 각각은 용기뚜껑 본체 공급영역(60), 수지 소재 공급영역(62), 압축 성형 영역(64) 및 배출영역(66)을 차례로 통해서 반송되어 진다.
용기뚜껑 본체 공급수단(48)은 상술한 천공수단(4)에 있어서의 용기뚜껑 본체공급수단(6)과 실질상 동일한 형태로도 되며, 실질상 연직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반(68)을 구비하고 있다. 화살표 70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어지는 회전반(68)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어서 복수개의 용기뚜껑 본체 수입 오목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반(68)이 화살표 70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어지는 동안에, 상술한 천공장치(4)에 있어서의 배출영역(32)에 있어서 상술한 천공장치(4)의 천공수단(8)에 있어서 구멍(제3a도 및 제3b도)이 형성된 용기뚜껑 본체(18)가 천공수단(8)으로부터 배출되어, 압축 성형장치(2)에 있어서의 용기뚜껑 본체 공급수단(48)의 상기 수입 오목부로 송급된다. 그리고, 이같은 용기뚜껑 본체(8)가 회전반(68)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급영역(60)으로 반송된다. 그 동안에 있어서는, 상기 배출영역(32)에서 상기 공급영역(60)까지 회전반(68)의 외주를 따라서 원호상으로 연장하는 정지 가이드(72)에 의해서 상기 수입 오목부에서 용기뚜껑 본체(18)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공급영역(60)에 있어서는 용기뚜껑 본체 공급수단(48)에 있어서의 상기 수입 오목부 각각으로부터 회전식 압축 성형수단(46)에 있어서의 성형틀(56)각각으로 용기 뚜껑 본체(18)가 이송된다.
상기 수지소재 공급영역(62)에 있어서는 수지소재 공급수단(52)에 의해, 회전식 압축 성형수단(46)에 있어서의 성형틀(56) 각각에 가열용융상태의 합성수지소재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개량이 가해진 수지소재 공급수단(52)에 대해선 후에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뚜껑 본체(18)가 공급되고, 이어서 합성수지 소재가 공급된 성형틀(56)이 압축성형영역(64)을 통해서 반송되는 동안에는 합성수지 소재가 소요링 형상으로 압축성형되어짐과 더불어 용기뚜껑 본체(18)의 연결용 돌출편(38)에 연결되어진다. 그리고, 배출영역(66)에 있어서는 합성수지 링을 구비한 용기뚜껑이 압축성형 수단(46)에 있어서의 성형틀(56) 각각으로부터 배출수단(50)으로 배출되어진다. 배출수단(50)은 화살표 74의 방향으로 구동되어지는 무단반송벨트(76)을 포함하는 반송 벨트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무단 반송벨트(76)의 위쪽에는 실선으로 도시하는 비작용 위치와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작용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절환레버(78)가 설치되어 있다. 후에 다시 상술하는 바와같이, 요구되는 바와같이 제조된 용기뚜껑이 압축성형수단(46)의 성형틀(56)에서 무단 반송 벨트(76)상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절환 레버(78)는 실선으로 도시하는 비작용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무단 반송 벨트(76)상에 배출된 용기뚜껑은 무단 반송 벨트(76)상에 배출된 용기뚜껑은 이같은 무단 반송 벨트(76)에 의해서 소요 영역(예를 들면 검사·계수·포장영역)으로 반송된다. 한편, 압축성형수단(46)의 성형틀(56)에서 무단 반송 벨트(76)상으로 배출되는 용기뚜껑이 불완전한 불량품인 경우 등에 있어서는 절환 레버(78)가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작용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무단 반송 벨트(76)상에 배출된 용기뚜껑은 무단반송 벨트(76)상을 반송됨이 없고 절환 레버(78)의 작용에 의해서 회수상자(80)내에 도입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압축성형수단(46)에 있어서 요구되는 바와같이 성형된 합성수지제 파지링(82)을 갖는 용기뚜껑을 도시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수지로 압축성형되는 파지링(82)은 기부(84)와 이 기부(84)에서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링 형상부(86)를 갖는다. 파지링(82)의 기부(84)는 용기뚜껑 본체(18)의 연결용 돌출편(38)을 둘러싸며, 이것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파지링(82)에 성형되는 합성수지는 용기뚜껑 본체(18)의 연결용 돌출편(38)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44)내에도 유동해서 경화되어지며 이같이 되어 파지링(82)은 충분히 견고하게 연결용 돌출편(38)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시된 압축 성형장치(2)에 있어서의 회전식 압축성형 수단(46) 및 용기뚜껑 본체 공급수단(48)의 구성은 특개소 63-302010호 공보에 개시되고 있는 것 혹은 본 출원인의 출원에 따른 특원소 63-279495호(출원인 : 소화 63년 11월 7일, 발명의 명칭 : 압축성형장치)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상기 문헌의 개시 내용에 맡기고,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제1도,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압축성형장치(2)에 있어서의 도시한 수지 소재 공급수단(52)은 압출기(90), 치차 펌프(92), 수지 유동제어수단(94) 및 압출 블록(96)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지의 회전 스크류형의 것으로도 되는 압출기(90)는 치차 펌프(92) 및 수지유동 제어수단(94)를 거쳐서 압출 블록(96)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그 자체는 주지의 형태로 되는 치차 펌프(92)는 압출기(90)에서 압출된 가열 용융상태의 합성수지를 그 압출량의 변동을 적절하게 보상하여 수지 유동제어수단(94) 및 압출 블록(96)에 송급한다. 압출 블록(96)은 수지 유동제어수단(94)에서 실질상 수평으로 상기 수지소재 공급영역(62)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압출 블록(96)에는 그 상류단에 위치하는 수입구(98)에서 그 하류단에 위치하는 배출구(100)까지 연장하는 수지유로(102)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00)는 상기 수지소재 공급영역(62)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개구되어지고 있다. 배출구(100)에서 아래쪽으로 배출되는 가열 변화상태의 합성수지 소재를 압축성형수단(46)에 있어서의 회전반(68)의 회전에 부수해서 수지소재 공급영역(62)을 지나 이동되어지는 성형틀(56)의 수지 수입부에 의해 압출 블록(96)의 수지유로(102)로부터 절단분리 되어지며, 이같이 해서 성형틀(56)에 공급된다(이점에 대해선 필요하다면 상기 특개소 63-302010호 공보 또는 상기 특원소 63-279495호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할 것).
제1도, 제5도 및 제6도와 더불어 제7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해서 설명을 계속하면 수지 유동 제어수단(94)은 4각부에 배열설치된 체결 볼트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본체(104)와 이 본체에 장착된 제어밸브(106)를 포함하고 있다. 제7도 및 제9도를 참조하므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듯이, 본체(104)의 중앙부에는 원형 단면으로 되는 상하방향 관통개구(10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개구(105)내에 통형상 삽입부재(107)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같은 삽입부재(107)의 내주면에 의해서 원추대 형상 공동(108)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4)에는 또한 원추대 형상 공동(108)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세 유로, 즉, 입구로(110), 공급로(112) 및 파기로(114)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로(110)와 공급로(112)는 서로 약 180도의 각고 간격을 두어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파기로(114)는 입구로(110)와 공급로(112)의 중간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입구로(110)는 상기 치차 펌프(92)의 토출구에 접속되며, 따라서 압출기(90)로부터 치차 펌프(92)를 통해 공급되는 합성수지 소재를 수지 유동제어 수단(94)의 본체(104)에 있어서의 상기 입구로(110)에 유입되어진다. 수지 유동제어수단(94)의 본체(104)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공급로(112)는 상기 압출블록(96)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유로(102)의 수입구(98)에 접속되어 있다. 파기로(114)에는 배출관(116)이 접속되어 있다. 제7도 및 제9도를 참조하므로써 이해되듯이 제어 밸브(106)는 본체(104)의 상기 원추대 형상 공동(108)에 대응한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로 구성되어 있다. 이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의 주부는 본체(104)의 원추대 형상 공동(108)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의 주부외주변에는 약 260도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통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원추대형상 밸브부재(118)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작은 지름의 돌출축부(121)를 갖는다. 이 돌출축부(121)의 상단부는 본체(104)의 상면을 넘어서 위쪽으로 돌출되어지고 있으며, 이같은 상단부에는 제어밸브 위치 부착수단(122)이 연결되어 있다. 본체(104)의 윗면에는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의 상기 돌출축부(121)을 에워싸는 폐색부재(123)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폐색부재(123)는 상기 삽입부재(107)의 상단부에 나사부착되어 있다. 제어 밸브위치 부착수단(122)은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를 제9도에 도시하는 공급위치와 제10도에 도시하는 파기위치에 선택적으로 된다.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가 제9도에 도시하는 공급위치에 부착되면 본체(104)의 입구로(110)와 공급로(112)가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의 연통홈(120)을 거쳐 연통되어진다. 따라서, 압출기(90)로부터 치차 펌프(92)를 거쳐서 공급되는 가열용융상태의 합성수지는 입구로(110), 연통홈(120) 및 공급로(112)를 통해서 압출 블록(96)의 수지유로(102)로 송급되며, 압출 블록(96)의 배출구(100)에서 배출되어 압출성형수단(46)의 성형틀(56)에 공급된다. 다른 한편,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가 제10도에 도시하는 파기위치에 위치부착되면, 본체(104)의 입구로(110)의 파기로(114)가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의 연통홈(120)을 거쳐서 연통된다. 따라서, 압출기(90)로부터 치차 펌프(92)를 거쳐서 공급되는 가열용융상태의 합성수지는 입구로(110), 연통홈(120) 및 파기로(114)를 지나서 유동하여 배출관(116)으로부터 배출된다. 배출관(116)에서 배출되는 수지소재를 수집상자(124)(제1도)내에 수집된다. 수집상자(124)내에 수집된 수지 소재를 필요에 따라서 다시 압출기(90)에 공급할 수 있다. 제9도와 제10도를 비교참조하므로서 이해 되듯이,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가 제9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공급위치에서 파기위치로 이동되어질때에는 연통홈(120)을 거쳐 입구로(110)가 파기로(114)에 부분적으로 연통되어진 후에 공급로(112)가 연통홈(120)으로부터 따라서 입구로(110)에서 차단된다. 또,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가 제10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져서 파기위치로부터 공급위치로 되어졌을 때에는 연통홈(120)을 거쳐서 입구로(110)가 공급로(112)에 부분적으로 연통되어진 후에 파기로(114)가 연통홈(120)으로부터, 따라서 입구로(110)로부터 차단되어진다. 이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치차펌프(92)의 토출구로부터 입구로(110)로 진입한 수지소재의 진로가 일시적으로나마 폐색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수지유동제어수단(94)의 상류측 혹은 치차 펌프(92)의 하류측에 일시적이나마 상당한 고압이 생성되는 것이 확실하게 회피된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을 계속하면, 상기 압출기(90)의 케이싱에는 장착 브래킷(126)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밸브 위치부착수단(122)의 케이싱(128)이 상기 브래킷(126)에 연결핀(130)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케이싱(128)의 일단(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오른쪽 단부)에는 가역 전동 모터(13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전동 모터(132)의 출력축은 상기 케이싱(128)내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전동 워엄 치차기구(도시생략)를 거쳐서 출력축(134)에 구동연결되어지고 있다. 케이싱(128)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출력축(134)의 선단부는 연결핀(136)에 의해 밸브 구동부재(138)의 일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밸브 구동부재(138)의 타단은 상기 원추대 형상 밸브 부재(118)에 고정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전동 모터(132)가 소정량 정회전되면 출력축(134)이 신장되어져서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가 제5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지며, 이같이 해서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가 제10도에 도시하는 파기 위치에 위치부착된다. 원추대 형상밸브부재(118)가 제10도에 도시하는 파기위치에 위치되어지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전동 모터(132)가 소정량 역회전 되어지면 출력축이 제5도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수축되어져서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가 회전반(10)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지며 이같이 해서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가 제5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공급위치에 위치부착된다.
제어 밸브 위치부착수단(122)의 전동 모터(132)는 압출기(90) 작용의 안정 등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정호전 또는 역회전된다. 압출기(90)의 작동이 개시되고부터 소정시간 경과할 때까지, 바꿔말하면, 압출기(90)의 안정한 작동으로 압출되는 합성수지가 압축성형에 적합한 상태로 되기까지의 동안을 원추대 형상 밸브 부재(118)는 제10도에 도시하는 파기 위치에 위치 부착된다. 따라서, 압축 성형수단(46)의 성형틀(56)에 수지소재가 공급되는 일은 없다. 이 동안에 압축성형수단(46)에 공급된 용기 뚜껑본체(18)는 합성수지제 파지링(82)을 갖지 않는 불량품으로서 압축성형수단(46)에서 배출되며, 제1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작용위치에 위치된 절환레버(78)의 작용에 의해 회수상자(80) 안으로 도입된다(제1도와 더불어 제4a도 및 제4b도도 참조요망). 압출기(90)의 작동이 안정되면 전동 모터(132)가 역전되어서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가 제9도에 도시하는 공급위치에 위치부착된다. 이같이 하면, 압축 성형수단(46)의 성형틀(56)로의 수지소재의 공급이 개시되며, 따라서 압축성형수단(46)으로부터는 합성수지제 파지링(82)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성형되어서 연결된 용기뚜껑 본체(18)가 배출된다. 제1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천공수단(8)의 회전지지체(26)에 관련하여 용기뚜껑 본체 검출수단(140)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광전식 검출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용기 뚜껑 본체 검출수단(140)은 천공수단(8)에 있어서의 회전지지체(26)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용기뚜껑 본체 수용대(28) 각각에 용기뚜껑 본체(18)가 존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용기뚜껑 본체 수용대(28)상에 용기뚜껑 본체(18)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절한 시간지연을 수반하여 수지소재 공급수단(52)에 있어서의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118)를 제10도에 도시하는 파기위치에 있게하고, 압축성형수단(46)의 성형틀(56)로의 수지소재가 중단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압축성형장치에 있어서는 압출기의 운전을 정지시킬 필요는 없고, 수지유동제어 수단을 적절하게 작동케 하므로써 압출기에서 압출된 가열용융 상태의 수지 소재를 선택적으로 압축성형수단의 성형틀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불량품의 예기치 않은 발생 또는 성형틀내로의 수지 소재의 허용할 수 없는 잔류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지지체 및,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상기 회전 지지체에 장착된 복수개의 성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성형틀 각각이 수지소재 공급영역, 압축성형 영역 및 배출영역을 차례로 거쳐 반송되는 회전식 압축성형 수단과, 상기 수지소재 공급영역에서 성형틀 각각에 가열연화상태의 합성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소재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압축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소재 공급수단은 압출기, 수입구로부터 상기 수지 소재공급영역에 위치하는 배출구까지 연장되는 수지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압출블록 및, 상기 압출기와 압출블록 사이에 개재된 수지 유동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지 유동 제어수단은 상기 압출기의 압출구에 연통되어지는 입구로, 상기 압출블록의 수입구에 연통되어진 공급로 및, 파기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입구로를 파기로로부터 차단시켜 공급시키는 공급위치와 입구로를 공급로로부터 차단시켜 파기로에 연통시키는 파기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부착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가 공급위치로부터 파기위치로 이동되어질 때에는 상기 입구로가 상기 파기로에 연통되어진 후에 입구로가 공급로로부터 차단되어지며, 상기 제어 밸브가 파기위치로부터 공급위치로 이동되어질 때에는 상기 입구로가 상기 공급로에 연통되어진 후에 입구로가 파기로로부터 차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동제어수단의 본체가 원추대 형상 공동을 가지며, 상기 입구로, 공급로 및 파기로는 소정 각도 간격을 두어 상기 원추대 형상 공동에 연통되어지고, 상기 제어밸브는 원추대 형상공동에 삽입되는 원추대 형상 밸브부재를 가지며, 밸브부재의 외주면에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어 밸브가 공급위치에 위치되면 입구로가 연통홈을 거쳐서 공급로에 연통되어지며, 제어밸브가 파기위치에 위치되면 입구로가 그 연통홈을 거쳐서 파기로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밸브를 공급위치와 파기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어 밸브 위치부착수단을 수지유동제어수단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 위치 부착수단은 전동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형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출기와 수지유동 제어수단 사이에 개재되는 치차펌프를 수지소재 공급수단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형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체의 회전방향에서 보아 배출영역 보다 하류측에서 압축영역보다 상류측에는 용기 뚜껑 본체 공급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용기뚜껑 본체 공급영역에서는 성형틀 각각에 원형 천면벽, 상기 천면벽의 주위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스커트벽 및 상기 스커트 벽의 자유단 일부로부터 돌출하는 연결용 돌출편을 갖는 용기뚜껑 본체를 공급하기 위한 용기뚜껑 본체 공급수단이 배열설치되고 있으며, 성형영역에 있어서는 합성수지제 파지링이 압축 성형됨과 동시에 상기 용기 뚜껑 본체의 연결용 돌출편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성형 장치.
KR1019910700812A 1989-12-07 1990-12-05 압축 성형 장치 KR0162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16508A JP2929018B2 (ja) 1989-12-07 1989-12-07 圧縮成形装置
JP1-316508 1989-12-07
PCT/JP1990/001582 WO1991008888A1 (en) 1989-12-07 1990-12-05 Compression mol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867A KR920700867A (ko) 1992-08-10
KR0162235B1 true KR0162235B1 (ko) 1999-01-15

Family

ID=1807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812A KR0162235B1 (ko) 1989-12-07 1990-12-05 압축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18273A (ko)
JP (1) JP2929018B2 (ko)
KR (1) KR0162235B1 (ko)
DE (1) DE4092222T (ko)
GB (1) GB2244952B (ko)
WO (1) WO1991008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5320B1 (en) * 1998-10-21 2002-03-12 Nomacorc, Llc Synthetic clos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US6714834B1 (en) * 2002-09-18 2004-03-3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Flats bundle processing system
ITRE20030012A1 (it) * 2003-01-31 2004-08-01 Sacmi "dispositivo di separazione e trasporto della dose
US7399174B2 (en) * 2004-04-08 2008-07-15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molding plastic articles
US7407376B2 (en) * 2005-07-21 2008-08-05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DE102020122968A1 (de) 2020-09-02 2022-03-03 Mht Mold & Hotrunner Technology Ag Spritzgießwerkzeu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9644A (en) * 1970-11-25 1973-01-09 J Farrell Time saver plastic draw-back valve assembly
JPS57178730A (en) * 1981-04-28 1982-11-04 Japan Crown Cork Co Ltd Manufacture of readily openable container cover
US4784819A (en) * 1982-03-19 1988-11-15 Fedders Machine & Tool Co., Inc. Method of injection molding of plastic parts utilizing an accumlator chamber and valve chamber between the plasticizer and mold
JPH0722936B2 (ja) * 1987-06-03 1995-03-1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圧縮成形装置
US4867665A (en) * 1988-07-07 1989-09-19 Nakatani Kikai Kabushiki Kaisha Plastic material molding apparatus
JP2724602B2 (ja) * 1988-11-07 1998-03-09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圧縮成形装置
US5035594A (en) * 1989-08-11 1991-07-30 Toyo Seikan Kaisha, Ltd.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29018B2 (ja) 1999-08-03
GB9115427D0 (en) 1991-09-04
DE4092222T (ko) 1992-01-30
WO1991008888A1 (en) 1991-06-27
JPH03178411A (ja) 1991-08-02
US5118273A (en) 1992-06-02
GB2244952A (en) 1991-12-18
GB2244952B (en) 1993-09-22
KR920700867A (ko) 199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20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recyclable thermoplastic plastic material
US4755125A (en)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KR0162235B1 (ko) 압축 성형 장치
JP4754625B2 (ja) 所定量を移送する装置
KR101872499B1 (ko) 캡슐제 생산용 장치
US4412797A (en) Apparatus for forming a liner in a container closure
KR0151721B1 (ko) 압축 성형장치
US7566215B2 (en) Apparatus for placing mold charges into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JP2021070189A (ja) 射出装置
ATE168927T1 (de) Kunststoffschweissgerät
NZ192221A (en) Forming sealing liner in container closure
EP0166163B1 (en) Parts feeder
EP0474125B1 (en) System for forming plastic grip member of container closure and container closure
US5286104A (en) Quick release feeding apparatus for an extruder
US5316460A (en) Synthetic resin material feeding apparatus and sealing liner forming system
JP3089431B2 (ja) 容器蓋本体離隔機構を備えた成形装置
US4990300A (en) Process for mixing and conveying polyurethane into a shoe sole mold cavity
KR200307733Y1 (ko) 분말형상의 재료 공급장치
KR100371242B1 (ko) 합성 수지 소재 공급장치
JP2808354B2 (ja) 回転式容器蓋本体搬送装置
JP3076994B2 (ja) 圧縮成形装置
JPH0751457Y2 (ja) 開袋機のハンドリングシステム
KR19990058603A (ko) 사출성형기의 호퍼 이송장치
KR200319034Y1 (ko)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JPH04239609A (ja) 圧縮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