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751B1 -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751B1
KR0161751B1 KR1019950072337A KR19950072337A KR0161751B1 KR 0161751 B1 KR0161751 B1 KR 0161751B1 KR 1019950072337 A KR1019950072337 A KR 1019950072337A KR 19950072337 A KR19950072337 A KR 19950072337A KR 0161751 B1 KR0161751 B1 KR 016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chloride
phr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7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825A (ko
Inventor
공종수
공석우
왕기현
이재호
윤경준
Original Assignee
이종학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101995007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751B1/ko
Priority to CN96109936A priority patent/CN1070413C/zh
Priority to JP8192006A priority patent/JPH09174652A/ja
Publication of KR97003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6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s B32B27/32 and B32B27/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방법은 펠렛 또는 분말상태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후제 및 유적제를 첨가하여 각각의 압출기에 넣고 용융압출시킨 다음, 하나의 압출 다이를 통해 공압출 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농업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은 수지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30∼80PHR, Ba/Zn계 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0.4PHR 및 유적제 0.9∼3.0PHR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층; 내후제 0.3∼1.0PHR을 포함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층;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렐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것에 라디칼 중합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1종 이상 그라프트되어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층과 폴리올레핀 수지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폴리올레핀 수지층 2 : 접착성 수지층
3 : 폴리염화비닐 수지층
본 발명은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공압출(co-extrusion) 공정에 의해 접착시킴으로써 폴리염화비닐이 갖고 있는 투명성, 유적성, 보온성의 장점과,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가 갖고 있는 내오염성, 내구성의 장점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고 제조 공정을 1회로 줄여 제조 경비도 절감할 수 있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필름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이 있다.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보다 농업용 필름으로 가져야 할 특성인, 유적성, 투명성, 보온성의 장점이 있으나, 가소제의 침출현상이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필름의 표면이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보다 유적성 등이 열세한 특성을 갖고 있으나, 필름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고 저렴하며 또한 내오염성과 내한성이 극히 우수하다.
이에 따라, 각 수지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다양한 적층필름 제조방법이 제안되었다.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이용한 농업용 필름 제조 기술은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 62-220552호 및 소화 제 63-2026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그리고 펜타에리스톨 등을 첨가하여 무적성을 개량시켰으나, 이러한 제조 기술은 롤에 의한 것으로 평판 필름에 관한 단층 필름 기술에 국한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 61-1110349호에는 Al-Mg계 염기성 탄산염을 첨가하여 투명성, 무적성 등을 개선시켰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 또는 캘린더링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평판 단층 필름에 관한 기술이다. 그리고,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4-202254호에서는 하이드로 탈사이드 화합물 등의 첨가로 보온성, 플레이트-아웃(plate-out, 가공중 첨가제의 침출 등으로 인해 필름 표면이 불량해지거나 또는 가공 기계에 첨가제가 퇴적 되는 현상)을 개선시켰으나, 상기 공개 특허의 기술 또한 캘린더링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평판 단층 필름에 관한 기술로서 공압출 적층필름과는 거리가 멀다.
한편,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이용한 적층필름의 또 다른 제조 기술로서 유럽 특허 제 330272호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폴리염화비닐 수지 층에 코팅함으로써 가소제의 침출을 막는 점착성 필름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단 1회의 공정에 의해 공압출 필름을 제조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었다. 또한, 영국 특허 제 2024714호 에서도 4층의 필름을 합치하여 8층의 필름을 제조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열 융착성 수지를 점착성 기재 필름에 코팅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으므로 이 또한 공압출 공정으로 필름을 제조하지는 않고 있다. 그리고 일본 특허 공고 평성 제 5-63309호에서는 어떤 기재에 폴리염화비닐 수지시트 또는 필름을 접착시킬 때 접착제를 이용했으나, 가소제 침출로 인한 박리 현상이 있어 이를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모노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폴리염화비닐필름 면에 코팅함으로써 접착성을 개선시켰으나 역시 1회의 공정에 의한 공압출 필름을 제조하지 못하였고 농업용 필름으로의 적용은 더욱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염화비닐수지를 폴리올레핀 수지와 공압출하여 층을 이룬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조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가소제 등의 침출로 인한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은 펠렛 또는 분말상태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후제 및 유적제를 첨가하여 각각의 압출기에 넣고 용융압출시킨 다음, 하나의 압출 다이를 통해 공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은 a) 수지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30∼80PHR, Ba/Zn계 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0.4PHR 및 유적제 0.9∼3.0PHR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층; b) 내후제 0.3∼1.0PHR을 포함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층; 및 c)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렐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것에 라디칼 중합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1종 이상 그라프트되어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층과 폴리올레핀 수지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주로 단층 필름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코팅재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공압출이 아닌 방법으로 다른 수지와 접착시켜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한편,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이용한 적층필름을 1회의 공저인 공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하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현재까지 별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였다. 즉, 현재까지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이용한 적층필름 또는 시트가 공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와 같은 비극성 고분자나 다른 극성 고분자와는 잘 접착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공압출 적층필름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두개 이상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각각의 압출기에서 용융시킨후 캐스팅 또는 관형 형태의 하나의 다이를 통해서 순간적으로 접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안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적층될 수 있도록 적절한 접착성 수지를 선택하였고 농업용 필름으로 적합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내후제, 유적제 등을 선택하였으며, 이렇게 선택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와 각 첨가제를 동시에 용융, 공압출하여 하나의 관형 또는 T자형의 캐스팅 다이를 통해 적층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을 완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과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적층필름을 이루는 성분들, 즉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접착성 수지를 준비한다.
폴리염화비닐은 수지중합도와 가소제의 함량에 따라 용융특성이 크게 변한다. 즉, 수지 중합도가 증가할수록, 가소제 함량이 감소할수록 수지의 용융 흐름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압출가공 공정 상에는 적절한 수지 중합도와 가소제 함량이 필요한데, 수지 중합도가 약 800∼1700인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고 가소제 함량은 30∼80PHR, 좀 더 바람직하기로는 수지중합도가 1000∼1500이고 가소제 함량은 40∼70PHR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만약 수지 중합도가 800∼1200 정도로 비교적 작을 때는 가소제의 함량을 30∼60PHR로 조절하고, 수지 중합도가 약 1300∼1700 정도로 비교적 클 때는 가소제의 함량을 50∼80PHR로 조절해야 한다.
한편, 수지 중합도와 가소제 함량이 적절한 조건이 되었다 해도 압출기내에서 스크류의 회전, 및 다이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이 있고, 압출기 및 다이내에서 수지가 체류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열 안정성을 위한 적정량의 열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열 안정제로는 Ba/Zn계 액상 또는 분말의 열 안정제와 아인산(phosphite)계의 열 안정제가 있으며, 그 함량은 0.1∼4PHR정도이다. 부가적으로 , 주석(tin)계의 열 안정제를 아인산계의 열 안정제와 혼합 첨가하면 더욱 우수한 열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압출기 내부에서 수지의 용융 흐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제로서 스테아린산 아연 또는 스테아린산 칼슘을 0.4PHR 이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접착될 폴리올레핀 수지는 궁극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외부 환경으로 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예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가 있다. 이중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에는 0.1∼6.0g/10min.의 용융지수, 0.915∼0.925g/㏄의 밀도를 갖고,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에는 0.2∼4.0g/10min.의 용융지수, 0.900∼0.935g/㏄의 밀도를 가지며,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는 1∼20중량%의 초산 비닐 함량과 0.2∼6.0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져야 한다. 각 경우의 수지에 있어서, 밀도와 초산 비닐의 함량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으나 용융지수가 적정범위(예를들면, 6.0g/10min.) 이상이 되면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용융흐름성에서 차이가 생겨 공압출하기가 어려워진다. 상기 수지들 외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도 공압출 적층필름에 사용이 가능하지만, 사용시 적층체에 투명도가 손상되어 상품가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된다.
전술한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성 수지로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에 라디칼 중합 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1종 이상 그라프트(graft)된 수지이다. 여기서, 라디칼 중합 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에틸 아크릴산, 말레인산, 무수 말레인산 등의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들의 무수물이다. 이때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되는 율은 0.1∼10중량%이어야 하며 최종 수지의 용융지수는 0.3∼10g/10min. 정도가 되어야 한다. 만약 용융지수가 10g/10min. 이상이 되면 압출가공시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용융 특성이 차이가 있어 공압출하기가 어려워진다.
한편, 농업용 필름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필름을 1년 정도 노지에 노출시켜도 광 산화되지 않도록 내후제를 첨가해야 하는데, 내후제로는 통상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또는 벤조페논(benzophenone)계의 자외선 안정제가 사용되며 그 첨가량은 0.3∼1.0PHR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자외선 안정제는 폴리올레핀 수지에만 첨가되거나,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성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모두에 첨가하되 최종 첨가량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첨가한 총 자외선 안정제 함량과 동일한 양이지만 3층에 골고루 첨가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필름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도록 유적제를 첨가해야 하는데, 이때 유적제로는 지방산 에스테르계의 유적제가 바람직하며, 그 첨가량은 0.9∼3.0PHR 정도이다. 한편, 유적제는 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성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모두 첨가하여도 좋으나 유적성에는 크게 상승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필름만 불투명해지는 단점만 생기므로 폴리염화비닐 수지에만 첨가하는 것이 유적성에 더욱 효과적이다.
한편, 폴리염화비닐로 적층필름을 제조시 관형 필름으로 제조하면 결국 2겹의 필름이 함께 권취롤에 감기게 된다. 이때 필름의 개구성이 나쁘면 필름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블로킹 방지제를 첨가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블로킹 방지제로는 그 종류가 많으나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등의 무기물을 0.4PHR 이상 첨가하면 필름 표면에 젤 발생의 기회가 있으므로 슬립성과 블로킹 방지성이 동시에 있는 아미드 계통의 스테아린산 아미드, 에틸렌 비스 스테아미드 등을 0.2∼1.0PHR 첨가하거나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등과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블로킹 방지제는 접착성 수지에는 첨가할 필요가 없으며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첨가해야 한다.
이렇게 선택되어진 각종 수지와 첨가제는 3개 이상의 압출기를 갖는 공압출기를 통해 관형 또는 T자형의 캐스팅 다이를 통해 농업용 공압출 적층필름으로 제조된다.
상기 수지 조성과 첨가제 조성을 갖는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은 일반 캘린더링 등의 방법에 의한 평판필름 제조 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 방법에 의한 관형 필름제조가 가능하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개략도로서, 도면중 부호 1은 폴리올레핀 수지층, 2는 접착성 수지층, 3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층이다.
제1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은 a) 수지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30∼80PHR, Ba/Zn계 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0.4PHR 및 유적제 0.9∼3.0PHR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층(3); b) 내후제 0.3∼1.0PHR을 포함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층(1); 및 c)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렐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것에 라디칼 중합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1종 이상 그라프트되어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층(3)과 폴리올레핀 수지층(1) 사이에 형성된 접착성 수지층(2)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은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지중합도가 1300인 한화종합화학의 P-1300를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사용하였고, 함량이 60PHR인 한화종합화학의 DOP를 가소제로 사용하였다. 열안정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로는 송원산업의 Ba/Zn계 열안정제인 BZ-150T, BP-251S를 각각 0.3PHR 첨가하였다. 그리고 주석계 열안정제인 TM-700N 1.0PHR과 아인산계 열안정제인 PI-318 2.0PHR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활제로는 송원산업의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을 각각 0.1PHR씩 첨가하였다.
내후제로는 사이텍(Cytec)사의 UV531을 0.5PHR 첨가하였으며 유적제로는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2.0PHR 첨가하였다. 또한 블로킹 방지제로는 헨켈(Henkel)사의 에틸렌 비스 스테아미드를 0.5PHR 사용하였다.
접착성 수지로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에 아크릴산이 2.0 중량% 정도 그라프트된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용융지수는 6.0g/10min.이었다. 내후제로는 폴리염화비닐 층과 같이 UV531을 0.5PHR 첨가하였다.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용융지수가 0.8g/10min.이며 0.920g/㏄의 밀도를 갖는 한화종합화학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다. 내후제로는 UV531을 0.5PHR 첨가하였으며 블로킹 방지제로는 탄산칼슘을 0.2PHR 첨가하였다.
선택된 수지 및 첨가제는 표 1에 나타내었으며 3층 관형 필름용 공압출기를 통해서 3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각 압출기의 크기는 30㎜, 40㎜, 30㎜이며 관형 다이의 직경은 75㎜였다.
팽창비는 2.0으로 조절하였고 필름 두께는 0.08㎜로 하였다. 가공온도는 각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를 160∼180℃, 다이온도를 190∼210℃로 조절하였다. 층별 두께비는 내층인 폴리염화비닐 층이 0.05㎜, 중층인 아크릴산 그라프트 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층이 0.015㎜, 외층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층이 0.015㎜가 되도록 각 압출기의 스크류 회전수를 조절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염화비닐 3층필름과, 폴리염화비닐 수지로만 이루어진 한화종합화학의 단층 평판 필름과, 그리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만 이루어진 일신화학의 단층 필름의 여러 물성을 표 2에 비교하였다.
한편, 필름의 기계적 물성은 인장강도, 연신율, 인열강도를 인스트론(Instron)사의 Universal Tester 1122을 이용하여 ASTM D 88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광학성은 퍼시픽 사이언티픽(Pacific Scientific)사의 Hazegard XL-211을 사용하여 ASTM D1003에 의거하여 흐림도(Haze)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 필름을 노지에 방치한 후, 시간경과 별로 측정하였다. 필름의 내후성 평가는 아틀라스(Atlas)사의 UV 응축기에서 FS40 UV램프를 사용하여 UV를 조사할 때의 온도 및 시간은 60℃, 8시간 냉각시의 온도 및 시간은 40℃, 4시간의 사이클을 두고 잔류 연신율이 필름 제조 당시의 연신율 값에 50%가 되는 날짜를 측정하였다.
또한, 필름의 유적성은 자체 제조한 냉동 및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필름 외부의 온도 및 내부온도를 -4℃, 20℃에서 4시간, 5℃, 40℃에서 8시간씩 사이클을 두며 필름 표면적의 10% 이상 물방울이 맺힐 때까지 날짜를 측정하였다.
접착강도는 폴리염화비닐층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층에 접착성이 우수한 테이프로 길이 10㎝, 폭 25㎜가 되게 붙인 후 인스트론(Instron)사의 Universal Tester 1122를 이용하여 테이프를 붙인 양면을 각 크립으로 고정시켜 200㎜/min.의 속도로 내리면서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접착강도 측정을 위한 조건은 필름을 50℃, 오븐에서 방치한 후 시간 경과 별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 2로 부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이 다른 단층 필름보다 투명도, 유적성, 내후성이 우수하거나 동등하고 각 사용수지의 장점을 극대화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가 갖고 있는 각각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고 1회의 압출공정으로 적층필름을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코팅방법 등에 의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보다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8)

  1. 펠렛 또는 분말상태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후제 및 유적제를 첨가하여 각각의 압출기에 넣고 용융 압출시킨 다음, 하나의 압출 다이를 통해 공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후제는 HALS 또는 벤조페논계의 자외선 안정제이며, 그 첨가량은 0.3∼1.0PH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후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만 첨가되거나, 또는 상기 3종의 수지 모두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적제는 지방산 에스테르계 유적제이며, 그 첨가량은 0.9∼3.0PH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적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에만 첨가되거나, 또는 상기 3종의 수지 모두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종의 수지에 블로킹 방지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스테아린산 아미드 및 에틸렌 비스 스테아미드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아미드계 성분과, 탄산칼슘 또는 이산화규소가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되고, 그 사용량은 0.2∼1.0PH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800∼1700의 수지중합도를 가지며, 가소제 30∼80PHR과 Ba/Zn계 열안정제 및/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0.4PH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활제로서 스테아린산 아연 또는 스테아린산 칼슘을 0.4PHR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렐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것에 라디칼 중합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1종 이상 그라프트된 것이고, 상기 극성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에틸 아크릴산, 말레인산, 무수 말레인산 및 이들의 무수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시산이며, 상기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되는 율은 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0.1∼6.0g/10min.의 용융지수 및 0.915∼0.925g/㏄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0.2∼4.0g/10min.의 용융지수 및 0.900∼0.935g/㏄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로서 초산 비닐 함량이 1∼20 중량%이며 0.2∼6.0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필름의 제조시 관형 다이 또는 캐스팅 다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7. a) 수지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30∼80PHR, Ba/Zn계 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0.4PHR 및 유적제 0.9∼3.0PHR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층; b) 내후제 0.3∼1.0PHR을 포함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층; 및 c)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렐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것에 라디칼 중합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1종 이상 그라프트되어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층과 폴리올레핀 수지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층은 내후제 및 블로킹 방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층은 유적제 및 블로킹 방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성 수지층은 내후제 및 유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름.
KR1019950072337A 1995-12-22 1995-12-22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KR016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2337A KR0161751B1 (ko) 1995-12-22 1995-12-22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CN96109936A CN1070413C (zh) 1995-12-22 1996-07-22 农业用聚氯乙烯层压薄膜的制造方法
JP8192006A JPH09174652A (ja) 1995-12-22 1996-07-22 農業用ポリ塩化ビニル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2337A KR0161751B1 (ko) 1995-12-22 1995-12-22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825A KR970033825A (ko) 1997-07-22
KR0161751B1 true KR0161751B1 (ko) 1999-01-15

Family

ID=1944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72337A KR0161751B1 (ko) 1995-12-22 1995-12-22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9174652A (ko)
KR (1) KR0161751B1 (ko)
CN (1) CN1070413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838B1 (ko) * 2000-12-27 2003-10-10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KR101308689B1 (ko) * 2011-02-28 2013-09-13 광주원예농업협동조합 내부식별이 용이한 중포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9661A (ko) * 2020-12-21 2022-06-28 (주)엘엑스하우시스 데코시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39374A1 (ko) * 2020-12-21 2022-06-30 (주)엘엑스하우시스 데코시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2914B (zh) * 2012-11-25 2016-05-04 安徽六方重联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邻苯二甲酸聚酯的包装用塑料薄膜的制备方法
CN103044743B (zh) * 2012-11-25 2016-05-11 合肥宏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衣康酸酯的包装用塑料基材薄膜
CN103923413A (zh) * 2014-04-11 2014-07-16 浙江铭龙塑胶有限公司 一种pvc膜及其生产工艺
CN103951910B (zh) * 2014-04-23 2016-03-16 苏州羽帆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氯乙烯复合塑料及其制备方法
CN113861592B (zh) * 2021-11-08 2023-03-21 江苏金材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高韧网状结构增强复合基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5573B2 (ja) * 1980-06-28 1984-08-29 シ−アイ化成株式会社 農業用被覆材
JPS6219453A (ja) * 1985-07-19 1987-01-28 三菱化成ビニル株式会社 農業用積層フイル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838B1 (ko) * 2000-12-27 2003-10-10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KR101308689B1 (ko) * 2011-02-28 2013-09-13 광주원예농업협동조합 내부식별이 용이한 중포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9661A (ko) * 2020-12-21 2022-06-28 (주)엘엑스하우시스 데코시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39374A1 (ko) * 2020-12-21 2022-06-30 (주)엘엑스하우시스 데코시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662A (zh) 1997-08-13
JPH09174652A (ja) 1997-07-08
KR970033825A (ko) 1997-07-22
CN1070413C (zh) 200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842B1 (ko) 적층필름
JP2644265B2 (ja) 低収縮エネルギーのフイルム
US6372359B1 (en) Multilayered film
JP3268813B2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3539846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積層体
JP2915324B2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系共重合体ケン化物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多層構造体
US6387529B1 (en) Biaxially oriented HDPE multilayer film
US5529834A (en) Heat sealable muliilayer film comprising evoh skin and acrylic coating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KR0161751B1 (ko)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US4214034A (en) Agricultural covering multilayer film or sheet structure and method for thermal insulation
US4717618A (en) Film and blends of polyetheramide block copolymer and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US4250661A (en) Agricultural covering multilayer film or sheet structure and method for thermal insulation
JPH0680794A (ja) フッ化ビニリデン樹脂フィルム、その用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77371A (ja) 積層フイルム
JPH10180867A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ケン化物延伸フィルムの製造法
JP3262364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法
KR0173037B1 (ko)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36690B1 (ko) 아스팔트 방수 시트용 다층 공압출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3629096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AU604788B2 (en) Very high barrier film
GB1593920A (en) Multilayer film or sheet
KR960010450B1 (ko) 가스 및 수분 차단성이 향상된 포장용 다층필름
JP2651374B2 (ja) フッ化ビニリデン樹脂系複合フィルム
JPH07195633A (ja) フッ化ビニリデン樹脂系複合フィルム
JPH038042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