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037B1 -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3037B1 KR0173037B1 KR1019950015436A KR19950015436A KR0173037B1 KR 0173037 B1 KR0173037 B1 KR 0173037B1 KR 1019950015436 A KR1019950015436 A KR 1019950015436A KR 19950015436 A KR19950015436 A KR 19950015436A KR 0173037 B1 KR0173037 B1 KR 01730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vinyl chloride
- ethylene
- density polyethylene
- low density
- res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6—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s B32B27/32 and B32B27/30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기는 상기 방법은 펠렛 또는 분말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각각의 압출기에 넣고 압출시킨 다음, 하나의 압출다이를 통해 공압출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코팅방법 등에 의해 폴리염화비닐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보다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가소제 등의 침출로 인한 오염 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는 수지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 기소제 30~80PHR 및 Ba/Zn계 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4PHR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층;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층;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 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라디칼 중합 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한종이상 그라프트되어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층과 폴리올레핀 수지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성 수지층의 3층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폴리올레핀 수지층 2 : 접착성 수지층
3 : 폴리염화비닐 수지층
본 발명은 공압출(co-extrusion)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폴리염화비닐 쉬트(sheet) 또는 필름의 제조시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공압출공정에 의해 접착시킴으로써 가소제 등의 침출로 인한 표면오염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을 한번으로 줄이고 제조경비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제조한 쉬트 또는 필름의 강도, 투명도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사용분야가 넓은 장점이 있으나, 가소제가 침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이 오염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필름형태로 제조한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더 극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다양한 적층체 제조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유럽특허 제 330272호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폴리염화비닐 수지층에 코팅함으로써 가소제 침출을 방지할 수 있는 점착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한번의 공정에 의해 공압출 필름을 제조한 것은 아니었다.
영국특허 제 2024714호에서는 4층의 필름을 합지하여 8층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열융착성 수지를 점착성 기재필름에 코팅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있으므로 이 또한 공압출 공정에 의해 필름을 제조한 것은 아니었다.
일본 특허공고 평성 제 5-63309호에서는 특정의 기재에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된 쉬트 또는 필름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킬 경우 발생되는 가소제 침출로 인한 박리현상의 문제점을 아크릴산 에스테르모노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폴리염화비닐 필름면에 코팅시킴으로써 접착성을 개선시켰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한번의 공정에 의해 공압출 필름을 제조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폴리올레핀 수지와 공압출하여 층을 이룬 필름 또는 쉬트를 제조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가소제 등의 침출로 인한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펠렛 또는 분말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각각의 압출기에 넣고 용융압출시킨 다음, 하나의 압출다이를 통해 공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는 a) 수지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 가소제 30~80PHR 및 Ba/Zn계 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4PHR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층;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몰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층; 및 c)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 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라디칼 중합 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한종이상 그리프트되어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층과 폴리올레핀 수지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종래의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주로 단층필름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코팅제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공압출이 아닌 방법으로 다른 수지와 접착시켜 필름 또는 쉬트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이용한 적층체 필름 또는 쉬트를 한번의 공정에 의한 공압출 적층체로 제조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와 같은 비극성 고분자나 다른 극성 고분자와는 잘 접착이 되지 않으며, 만일 접착이 되었다 해도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함유된 가소제가 침출되어 박리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공압출 적층체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롤이나 캘린더링과 같은 평팡형태의 쉬트나 필름을 제조한 후 다른 고분자 필름이나 쉬트를 코팅하는 것이 아니라, 두개 이상의 압출기를 통해서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각각의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후 캐스팅이나 관 형태의 하나의 다이를 통해서 순간적으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더욱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출공정에서도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유동성이 좋도록 첨가제 배합식을 선정하고 폴리올레핀 수지와 적층될 수 있는 적절한 접착성 수지를 선택한 다음, 폴리염화비닐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동시에 용융압출하여 하나의 관형 또는 T자형 캐스팅 다이를 통해 적층체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완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적층체를 이루는 성분들, 즉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접착성 수지를 준비한다.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와 가소제의 함량에 따라 용융특성이 크게 변한다. 즉, 수지중합도가 증가할수록, 가소제의 한량이 감소할수록 수지의 용융 흐름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압출가공 공정상에는 적절한 수지 중합도와 가소제 함량의 조절이 필요한데, 약 800~1700의 수지 중합도와 약 30~80PHR의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만약 수지중합도가 약 800~1200정도로 비교적 작을때는 가소제의 함량을 약 30~60PHR로 조절하고, 수지 중합도가 약 1300~1700정도로 비교적 클때는 가소제의 함량을 약 50~80PHR로 조절해야 한다.
한편, 수지중합도와 가소제의 함량이 적절히 조절되었다 하더라도 압출기내에서 스크류의 회전 및 다이내부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이 존재하고, 압출기 및 다이내에서 수지가 체류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적정량의 열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열안정제로는 Ba/Zn계 펠렛 또는 분말의 열안정제 또는 아인산계(Posphite)계 열안정제가 있으며 그 함량은 약 0.1~4PHR정도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아인산계 열안정제에 주석(Tin)계 열안정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더욱 우수한 열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출기 내부에서 수지의 용융 흐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제로서 스테아린산 아연 또는 스테아린산 칼슘을 0.4 PHR 이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접착될 폴리올레핀 수지는 궁극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외부 환경으로 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예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가 있다. 이중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에는 0.2~10.0g/10min정도의 용융지수를 갖고 0.905~0.930g/cc의 밀도를 갖는 수지이어야 하고,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초산비닐 함량이 1~25중량%정도이며 용융지수는 0.2~6.0g/min정도이어야 한다. 여기서, 초산비닐의 함량과 밀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나 용융지수가 6.0g/10min를 초과하게 되면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용융 흐름성이 차이가 나서 공압출하기가 어려워진다. 상기 수지들 외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도 공압출 적층체에 사용이 가능하지만, 사용시 적층체의 투명도가 손상되어 상품가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된다.
전술한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성 수지로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있으나, 바람직한 것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 레이트 공중합체 등에 라디칼 중합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한종이상 그라프트(graft)된 수지이다. 여기서 라디칼 중합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에틸 아크릴산, 말레인산, 무수 말레인산 등의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이다. 이때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되는 율은 0.1~10중량%이어야 하며, 최종수지의 용융지수는 0.3~10g/10min정도 되어야 한다. 만약 용융지수가 10g/10min를 초과하게 되면 압출가공시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용융특성이 차이가 있어 공압출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접착성 수지외에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함량 30~50중량%인 경우, 제품에 접착성을 나타내나 불투명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아이오노머,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메타 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처음에는 접착성을 나타내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들을 사용해 제조한 적층체는 상품가치를 상실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착성 수지로는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폴리염화비닐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3층 또는 그 이상의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시킨 다음, 접착성 수지를 사이에 두고 공압출시키면 폴리염화비닐 수지/접착성 수지/폴리올레핀 수지로 된 구조의 평판 또는 관형형태의 적층체 필름 또는 쉬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압출다이로는 관형 다이 또는 캐스팅 다이가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필름 또는 쉬트의 제조시 가공온도는 각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를 160~180℃, 다이온도를 190~210℃로 조절하고 층별 두께비는 각 압출기의 스크류 회전수를 조절하여 폴리올레핀 수지층 : 접착성 수지층 : 폴리염화비닐 수지층이 1 : 1 : 3~4의 비율이 되도록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구성도로서 도면중 부호 1은 폴리올레핀 수지층, 2는 접착성 수지층, 3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층이다.
제1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는 수지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 가소제 30~80PHR 및 Ba/Zn계 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4PHR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층(3)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층(1)과, 그리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 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라디칼 중합 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한종이상 그라프트되어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층과 폴리올레핀 수지층 사이에서 상하 수지층을 단단히 접착시키는 접착성 수지층(2)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지중합도가 1300인 폴리염화비닐에 한화 종합화학의 DOP 60PHR을 가소제로서 사용하였고, 열안정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로는 Ba/Zn계 열안정제인 송원산업의 BZ-150T와 BP-251S를 각각 0.3PHR 첨가하였다. 그리고, Tin계 열안정제인 송원산업의 TM-700N과 아인산계 열안정제인 송원산업의 PI-318을 각각 1.0PHR, 2.0PHR을 첨가하였다.
접착성 수지로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에 아크릴 산이 2.0중량% 그라프트된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용융지수는 6.0g/10min이었다.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용융지수가 0.8g/10min이며 0.920g/cc의 밀도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다.
한편, 하기 표 1은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시 사용된 수지들과 그 조건들을 기재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폴리염화비닐, 접착성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3층관형 필름용 공압출기를 통해서 3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압출기의 크기는 30mm, 40mm, 30mm이며 관형 다이의 직경은 75mm였다. 팽창비는 2.0으로 조절하였고 필름 두께는 0.8mm로 하였다. 가공온도는 각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를 160~180℃, 다이온도를 190~210℃로 조절하였다. 층별 두께비는 내층인 폴리염화비닐층이 0.5mm, 중층인 아크릴산 그라프트 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층이 0.15mm, 외층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이 0.15mm가 되도록 각 압출기의 스크류 회전수를 조절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3층 필름의 접착강도 및 투명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6]
접착성 수지만을 하기 표 2와 같이 다르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염화비닐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공압출에 의해 3층 필름을 제조한 후 접착강도 및 투명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폴리염화비닐 수지로만 되어있는 단층필름을 제조하여 이의 투명도를 측정한 후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한편, 하기 표 2에서 필름의 투명도는 퍼시픽 사이언티픽(Pacific Scientific)사의 헤이즈그라드 엑스엘-211(Hazegrad XL-211)을 사용하여 ASTM D1003에 의거하여 흐림도(Haze)를 측정하였고 접착강도는 폴리염화비닐층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층에 접착성이 우수한 테이프로 길이 10cm, 폭 25mm되게 붙인 후 인스트론(Instron)사의 유니버셜 테스터 1122(Universal Tester 1122)를 이용하여 테이프를 붙인 양면을 각 클립으로 고정시켜 20mm/min의 속도로 내리면서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 : 3층필름 구성도; 폴리염화비닐/접착성 수지/저밀도 폴리에틸렌
a : 제조직후 투명도
b : 노지방치후 30일 경과
c : 노지방치후 60일 경과
d : 제조직후 접착강도
e : 50℃ 오븐에서 7일 경과후 접착강도
f : 50℃ 오븐에서 15일 경과후 접착강도
g : 50℃ 오븐에서 30일 경과후 접착강도
** : 완전접착으로 측정불가
상기 표 2에 따르면, 아크릴산 그라프드 초산비닐 접착성 수지를 사용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실시예 1)가 투명도 및 접착강도면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이며, 그외 다른 접착성 수지(염소화 폴리에틸렌, 아이오노머,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 메타 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사용한 적층체(실시예 2~6)도 폴리염화비닐 단층필름(비교예 1)에 비해 투명도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이며 접착강도면에서는 어느 정도 만족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공압출공정에 의해 적층체를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코팅방법 등에 의해 폴리염화비닐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보다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가소제 등의 침출로 인한 오염 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0)
-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지중합도가 800~1700인 펠렛 또는 분말의 폴리염화비닐, 가소제 30~80PHR 및 Ba/Zn계 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4PHR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 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에 라디칼 중합 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한종이상 그라프트된 접착성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를 각각의 압출기에 넣고 압출시킨 다음, 하나의 압출다이를 통해 공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인산계 열안정제가 주석계 열안정제와 혼합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활제로서 스테아린산 아연 또는 스테아린산 칼슘을 0.4PHR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에틸 아크릴산, 말레인산, 무수 말레인산 및 이들의 무수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시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되는 율은 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의 용융지수는 0.3~1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0.2~10.0g/10min의 용융지수 및 0.905~0.930g/cc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로서 초산비닐 함량이 1~25중량%이고 용융지수가 0.2~6.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제조시 관형 다이 또는 캐스팅 다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 a) 수지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 가소제 30~80PHR 및 Ba/Zn계 또는 아인산계 열안정제 0.1~4PHR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층;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층; 및 c)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 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라디칼 중합 가능 불포화 극성 단량체가 적어도 한종 이상 그라프트되어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층과 폴리올레핀 수지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5436A KR0173037B1 (ko) | 1995-06-12 | 1995-06-12 |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5436A KR0173037B1 (ko) | 1995-06-12 | 1995-06-12 |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0558A KR970000558A (ko) | 1997-01-21 |
KR0173037B1 true KR0173037B1 (ko) | 1999-03-20 |
Family
ID=1941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15436A KR0173037B1 (ko) | 1995-06-12 | 1995-06-12 |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73037B1 (ko) |
-
1995
- 1995-06-12 KR KR1019950015436A patent/KR01730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0558A (ko) | 1997-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39846B2 (ja) |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積層体 | |
US4647483A (en) | Nylon copolymer and nylon blends and films made therefrom | |
US4683170A (en) | Nylon copolymer and nylon blends and films made therefrom | |
JPH0572261B2 (ko) | ||
US4665135A (en) | Nylon blends and films made therefrom | |
JPH0220417B2 (ko) | ||
US5529834A (en) | Heat sealable muliilayer film comprising evoh skin and acrylic coating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 |
JPH10511616A (ja) | 熱シール可能な包装用二軸延伸多層フイルム | |
JPH0611536B2 (ja) | フッ化ビニリデン樹脂系複合フィルム | |
AU681877B2 (en) | Barrier blend and food packaging film containing the blend | |
KR0161751B1 (ko) |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 |
JP4529100B2 (ja) | 表面保護フィルム | |
KR102148271B1 (ko) | 데코시트용 폴리올레핀계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접착성 데코시트 | |
KR0173037B1 (ko) | 공압출 폴리염화비닐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
JP3345896B2 (ja) | 積層フィルム | |
JP3037797B2 (ja) | ガスバリヤー性積層フィルム | |
US6555242B2 (en) | Longitudinally stretched, vacuum vapor coated packaging films | |
JPH0139341B2 (ko) | ||
US5843581A (en) | Barrier blend and food packaging film containing the blend | |
US5035851A (en) | Method of making very high barrier film | |
AU604788B2 (en) | Very high barrier film | |
JPH0380424B2 (ko) | ||
KR960010450B1 (ko) | 가스 및 수분 차단성이 향상된 포장용 다층필름 | |
JP2530830B2 (ja) | 積層体の延伸成形物とその製造方法 | |
JP2564879B2 (ja) | 金属蒸着したフィルムの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00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