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838B1 -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838B1
KR100399838B1 KR10-2000-0082879A KR20000082879A KR100399838B1 KR 100399838 B1 KR100399838 B1 KR 100399838B1 KR 20000082879 A KR20000082879 A KR 20000082879A KR 100399838 B1 KR100399838 B1 KR 10039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film
pesticid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329A (ko
Inventor
홍명선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8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농약성이 부가된 필름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수지 100중량부, 산화방지제 0.1∼0.2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0.2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의 내농약성 첨가제 0.01∼3중량부를 포함하는 필름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해 농약성분에 의한 산화분해가 억제되는 필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C1∼C20의 알킬기, 수산화기가 치환된 C1∼C20의 알킬기, C5∼C12의 시클로알킬기, C1∼C4의 알킬기가 치환된 C5∼C12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사슬 중간에 O 또는 S 원자를 포함하는 C2∼C20의 알킬기이다.

Description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RESIN COMPOSITION FOR FILM WITH EXCELLENT RESISTANCE AGAINST AGRICULTURAL CHEMICALS}
본 발명은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수지,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안정제로 이루어진 필름 조성물에 내농약성 첨가제를 부가하여 농약 성분에 의한 필름의 산화 분해를 억제 할수 있는 필름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필름용 수지는 단순히 기본수지에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를 첨가하여 이루어 졌으나 이들 필름은 실제 사용시, 특히 농업용 필름으로 사용시 병충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농약성분에 의해 필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농작물의 병충해 피해를 억제키 위해 농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농약, 특히 농약 성분에 기본적으로 첨가되어 있는 황 화합물과 클로린과 같은 할로겐 화합물에 의해 필름이 조기 산화되어 필름의 사용 수명이 농작물의 경작 기간보다도 빠른 문제점을 해결코자 내농약성이 향상된 필름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본수지 100중량부, 산화방지제 0.1~0.2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0.2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의 내농약성 첨가제 0.01~3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C1∼C20의 알킬기, 수산화기가 치환된 C1∼C20의 알킬기, C5∼C12의 시클로알킬기, C1∼C4의 알킬기가 치환된 C5∼C12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사슬 중간에 O 또는 S 원자를 포함하는 C2∼C20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필름용 수지조성물은 기본수지,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및 내농약성 첨가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름용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기본수지로는 용융지수 0.1~5.0 g/10분, 밀도 0.920~0.928 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이하, LDPE이라 함), 용융지수 0.1~5.0 g/10분,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0.1~25% 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이하, EVA이라 함),용융지수 0.1~3.0 g/10분, 밀도 0.920~0.936 g/㎤의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이하, LLDPE이라 함),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혼합물, 또는 용융지수 0.01~2.0 g/10분, 밀도 0.940~ 0.965 g/㎤의 고밀도폴리에틸렌(이하, HDPE이라 함)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산화방지제로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렌(3, 5-디터시어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터시어리-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안정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e)sebacate), 2,2,6,6-테트라피페리딘 유도체 등 통상의 할스(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화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징적으로 내농약성 첨가제로 하기 화학식 1의 N-O-R(Nitrogen-Oxygen-Alkyl) 할스(HALS: Hindered Amine Light Stablizer)계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식에서, R은 C1∼C20의 알킬기, 수산화기가 치환된 C1∼C20의 알킬기,C5∼C12의 시클로알킬기, C1∼C4의 알킬기가 치환된 C5∼C12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사슬 중간에 O 또는 S 원자를 포함하는 C2∼C20의 알킬기이다.
이들 첨가제의 함량은 수지조성물의 물성과 각 첨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되나 바람직하기로는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0.2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0.2중량부 및 내농약성 첨가제 0.01∼3중량부로 조성된다.
상기에서 내농약성 첨가제의 첨가량이 하한치 이하이면 내농약성 효과가 미미하고 상한치 이상이면 그 효과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아 무의미하게 된다. 또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는 상술한 범위로 투입하는 것이 효과가 안정적이고 내농약성 첨가제와의 상용성에 문제가 없게 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24
표 1에서 나타낸 조성에 따라 기본수지에 첨가제로 메틸렌(3,5-디터시어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이하, “산화방지제 1”이라 함), 디터시어리-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이하, “산화방지제 2”이라 함),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상품명: TINUVIN 770(Ciba-Geigy社), 이하, “자외선안정제”이라 함), 상기 화학식 1에서 R이 시클로헥실인 구조를 가지는 NOR 할스계 화합물(상품명: CIMASSORB 944-LD(Ciba-Geigy社), 이하, “내농약제”이라 함)을 건식혼합기에 넣고 30분 혼합한 후 다시 압출 혼합기에 넣고 용융 혼합시켰다. 이 용융 혼합체를 펠렛형태로 만든 후 필름 성형기에 넣고 필름 성형 후 내농약성 성능평가 시험을 하였다.
내농약성 성능평가 결과는 성형된 필름을 주 1회 0.1N H2SO3처리후 Atlas Weother-OMeter에 넣고 1000시간 경과후의 필름 인장강도를 ASTM D638방법에 의거 측정 비교하였다.
성능 평가의 상대 비교는 필름 성형 후 농약 처리전 각각의 필름 (LDPE, EVA, LLDPE, HDPE) 강도를 100%로 보고 이를 기준으로 필름의 산화에 의한 인장강도의 감소율 즉 인장강도 보지율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낸 조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와는 달리 내농약제가 첨가되지 않았으며 똑같은 방법에 따라 필름을 성형한 후 물성을 평가하여 표 1에 정리하였다.
(단위:중량부)
기본수지 산화방지제 1 산화방지제 2 자외선안정제 내농약제 1000시간경과후필름인장강도보지율
LDPE EVA
비교예 1 100 0.05 0.05 0.2 0 45
비교예 2 100 0.05 0.05 0.2 0 42
실시예 1 100 0.05 0.05 0.2 0.05 70
실시예 2 100 0.05 0.05 0.2 0.1 88
실시예 3 100 0.05 0.05 0.2 0.5 90
실시예 4 100 0.05 0.05 0.2 1.0 95
실시예 5 100 0.05 0.05 0.2 2.0 96
실시예 6 100 0.05 0.05 0.2 3.0 98
실시예 7 100 0.05 0.05 0.2 0.05 70
실시예 8 100 0.05 0.05 0.2 0.1 85
실시예 9 100 0.05 0.05 0.2 0.5 90
실시예 10 100 0.05 0.05 0.2 1.0 94
실시예 11 100 0.05 0.05 0.2 2.0 95
실시예 12 100 0.05 0.05 0.2 3.0 97
LLDPE HDPE
비교예 3 100 0.05 0.05 0.2 0 46
비교예 4 100 0.05 0.05 0.2 0 48
실시예 13 100 0.05 0.05 0.2 0.05 74
실시예 14 100 0.05 0.05 0.2 0.1 87
실시예 15 100 0.05 0.05 0.2 0.5 90
실시예 16 100 0.05 0.05 0.2 1.0 94
실시예 17 100 0.05 0.05 0.2 2.0 97
실시예 18 100 0.05 0.05 0.2 3.0 98
실시예 19 100 0.05 0.05 0.2 0.05 75
실시예 20 100 0.05 0.05 0.2 0.1 88
실시예 21 100 0.05 0.05 0.2 0.5 92
실시예 22 100 0.05 0.05 0.2 1.0 95
실시예 23 100 0.05 0.05 0.2 2.0 97
실시예 24 100 0.05 0.05 0.2 3.0 98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기본수지,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내농약제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사용하므로써 필름의 수명 척도를 가늠할수 있는 필름 인장강도의 보지율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지조성물은 일반 필름에 첨가되는 첨가제 이외에 내농약성 첨가제를 첨가하여 농약에 의한 필름의 수명단축을 억제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기본수지 100중량부, 산화방지제 0.1~0.2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0.2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의 내농약성 첨가제 0.01~3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C1∼C20의 알킬기, 수산화기가 치환된 C1∼C20의 알킬기, C5∼C12의 시클로알킬기, C1∼C4의 알킬기가 치환된 C5∼C12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사슬 중간에 O 또는 S 원자를 포함하는 C2∼C20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또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가 메틸렌(3, 5-디터시어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터시어리-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가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 또는 2,2,6,6-테트라피페리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KR10-2000-0082879A 2000-12-27 2000-12-27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KR10039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79A KR100399838B1 (ko) 2000-12-27 2000-12-27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79A KR100399838B1 (ko) 2000-12-27 2000-12-27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329A KR20020053329A (ko) 2002-07-05
KR100399838B1 true KR100399838B1 (ko) 2003-10-10

Family

ID=2768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879A KR100399838B1 (ko) 2000-12-27 2000-12-27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9210B (zh) * 2015-11-11 2017-07-28 哈尔滨盛洋塑胶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蜂巢约束系统的聚乙烯改性材料制备方法
CN105199209B (zh) * 2015-11-11 2017-07-28 哈尔滨盛洋塑胶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蜂巢约束系统的聚乙烯改性材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5072A (ja) * 1987-01-16 1988-07-19 Mikado Kako Kk 農業用フイルム
JPH01197543A (ja) * 1988-02-01 1989-08-09 C I Kasei Co Ltd 農業用オレフイン系樹脂フイルム
US5385962A (en) * 1991-07-26 1995-01-31 Ppg Industries, Inc. Photodegradation-resistant electrodepositable primer compositions containing hindering aminoether light stabilizers
JPH10147719A (ja) * 1996-11-15 1998-06-02 Chisso Corp 耐農薬性の改良された農業用被覆材
KR0161751B1 (ko) * 1995-12-22 1999-01-15 이종학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5072A (ja) * 1987-01-16 1988-07-19 Mikado Kako Kk 農業用フイルム
JPH01197543A (ja) * 1988-02-01 1989-08-09 C I Kasei Co Ltd 農業用オレフイン系樹脂フイルム
US5385962A (en) * 1991-07-26 1995-01-31 Ppg Industries, Inc. Photodegradation-resistant electrodepositable primer compositions containing hindering aminoether light stabilizers
KR0161751B1 (ko) * 1995-12-22 1999-01-15 이종학 농업용 폴리염화비닐 적층필림 및 그 제조방법
JPH10147719A (ja) * 1996-11-15 1998-06-02 Chisso Corp 耐農薬性の改良された農業用被覆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329A (ko) 200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5069A1 (en) Thermoplastic resins stabilized by blends of sterically hindered phenols,secondary amines, and lactones
US20050288403A1 (en) Stabilised polypropylene
US9822251B2 (en) Anti yellowing composition
US4797511A (en) Polyethylene stabilized by mixture of hindered phenol and amine antioxidants
JP2002529562A (ja) 立体障害フェノール、第二級アミン、及びチオエーテルの混合物により安定化された熱可塑性樹脂
KR100399838B1 (ko) 내농약성 필름용 수지조성물
AU726326B2 (en) Composition for electric cables
US5401797A (en) Highly antioxidant olefinic resin composition
US4035323A (en) Stabilization of olefin polymers
RU2000112527A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EP0845013B1 (de) Verwendung von piperidinverbindungen
KR960015632B1 (ko) 디아릴아민 유도체와 입체장해 페놀의 혼합물로 산화붕궤에 대하여 안정화된 폴리프로필렌
US4076689A (en) Ultraviolet light stabilizer combination for polymers
KR100792113B1 (ko) 무적성, 적색분광성 및 내농약성이 향상된 필름용 수지조성물
US5006587A (en) Polypropylene formulations containing small amounts of fluoborates to improve color and water carry-over
US6790888B2 (en) Thermoplastic resins in contact with metals or metal salts stabilized by blends of dithiocarbamates and metal deactivators
EP0165005B1 (en) Process for protecting flora using stabilised polymer films
JPH10195258A (ja) 農業用フィルム組成物
KR100796121B1 (ko) 내염소성 파이프용 수지조성물
JP3960650B2 (ja) 抗菌性シーリング材組成物
JP3524227B2 (ja) 農業用フィルム組成物
US4039508A (en) Polymeric composition containing mercaptoquinazolone antioxidant
KR100187313B1 (ko) 항산화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
US4066619A (en) 4-hydroxydiphenyl sulfoxide compositions
JPH10147719A (ja) 耐農薬性の改良された農業用被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