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624B1 -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624B1
KR0161624B1 KR1019950040541A KR19950040541A KR0161624B1 KR 0161624 B1 KR0161624 B1 KR 0161624B1 KR 1019950040541 A KR1019950040541 A KR 1019950040541A KR 19950040541 A KR19950040541 A KR 19950040541A KR 0161624 B1 KR0161624 B1 KR 016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elevator
base plate
waf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591A (ko
Inventor
신동진
주영병
차주찬
허장무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40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624B1/ko
Publication of KR97003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lifting arrangement, e.g. lift 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of wa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를 적재한 카세트가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가 소정거리 승,하강하도록 하는 리드 스크류로 구성된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웨이퍼의 일측면에 돌출된 H 바의 수평 바와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적어도 수평 바보다 큰 면적의 홈을 형성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양측의 수직 바만 접촉되어 카세트가 놓여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카세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기울어지거나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놓여지게 되므로 카세트내에 적재된 웨이퍼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시 카세트의 흔들림이 없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픽아암이 웨이퍼와 접촉되지 않고 정확하게 핸들링될 수 있어 웨이퍼와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제1도는 일반적인 카세트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카세트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카세트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카세트 5 : 웨이퍼
6 : 수직 바 7 : 수평 바
10 : 엘리베이터 11 : 베이스 플레이트
11a : 홈 12 : 리드 스크류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Elevato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세트에 적재되어 있는 웨이퍼를 한 장씩 꺼내어 공정 챔버내에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장치에서 상기 카세트가 놓여지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는 픽 아암(Pick Arm)이 엘리베이터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놓여진 카세트로부터 웨이퍼를 한 장씩 꺼내어 공정 챔버 내부로 로딩(Loading)시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공정이 끝난 웨이퍼를 공정 챔버로부터 꺼내어 다시 카세트에 언로딩(Unloading)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카세트가 놓여지는 턴테이블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와, 리드 스크류(Lead Screw)(2)로 구성되어 픽 아암(3)이 카세트(4)내에 적재된 웨이퍼(5)의 사이로 삽입되면, 소정거리 하강하여 웨이퍼(5)가 픽 아암(3)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웨이퍼 로딩이 이루어지게 하고, 웨이퍼(5)를 카세트(4)에 다시 적재시킬 때에는 소정거리 상승하여 픽 아암(3)으로부터 웨이퍼(5)가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언로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픽 아암(3)이 카세트(4)에 적재된 웨이퍼(5) 사이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적재된 웨이퍼(5)의 수평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의 베이스 플레이트(1)상에 놓여지는 카세트(4)가 불안정하게 놓여져 한 쪽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지는 것에 의해 웨이퍼(5)의 수평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베이스 플레이트(1)상에 놓여지는 카세트(4)의 일측면에 2개의 수직 바(6)와 1개의 수평 바(7)로 이루어진 H 형상의 바(Bar)가 돌출되어 있고, 이 H 형상의 바가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면에 접촉되었던 것으로, 양측의 수직 바(6)는 구조상 돌출길이가 일정하나 수평 바(7)는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변형되기가 쉽다.
이와 같이 수평 바(7)의 변형에 의해 양측의 수직 바(6)보다 더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4)의 놓여진 상태가 불안정하여 카세트가 소정각도(θ) 기울어지게 됨으로서 적재된 웨이퍼(5)가 수평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카세트(4)가 쉽게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픽 아암(3)이 웨이어 핸들링(Handling)시 웨이퍼(5)와 접촉되어 손상을 웨이퍼에 입히게 되고,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동작시 카세트(4)가 혼들리게 되어 웨이퍼(5)가 픽 아암(3)상에 정확하게 핸들링되지 않아 로딩동작중 떨어질 염려가 있으며, 다음 공정의 진행시 또 다른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놓이는 카세트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픽 아암의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시 웨이퍼와 접촉되어 웨이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동작시 흔들림이 없도록 하여 픽 아암이 웨이퍼를 정확하게 핸들링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웨이퍼를 적재한 카세트가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가 소정거리 승,하강하도록 하는 리드 스크류로 구성된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일측면에 돌출된 H 형상의 바중 수평 바와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적어도 수평 바보다 큰 면적을 갖는 장방형의 홈을 형성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양측의 수직 바만 접촉되어 카세트가 놓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방형의 홈은 0.3~0.5㎜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통상의 카세트가 놓여진 상태의 도면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엘리베이터(10)는 통상의 카세트(4)가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소정거리 승,하강시키는 리드 스크류(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는 장방형의 홈(11a)이 형성된 것으로, 이 홈(11a)은 카세트(4)의 일측면에 구비된 H 형상의 바중 수평 바(7)와 대응하는 위치에 약 0.3~0.5㎜의 깊이로 형성하고, 바람직하기로는 카세트(4)의 수평 바(7)보다 적어도 큰 면적을 갖도록 하여 카세트(4)가 베이스 플레이트(11)상에 놓여질 때 상기 장방형의 홈(11a)에 수평 바(7)가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양측의 수직 바(6)만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의 베이스 플레이트(11)상에 웨이퍼(5)가 적재된 카세트(4)를 올려 놓게 되면, 카세트(4)의 일측면에 형성된 H 바의 수직 바(6)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놓여지게 되고, 수평 바(7)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형성된 장방형의 홈(11a)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때 카세트(4)의 수평 바(7)의 변형으로 양측의 수직 바(6)보다 더 돌출되는 경우에 돌출부위가 홈(11a)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H 바의 양측 수직 바(6)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접촉되어 놓여지는 것에 의해 카세트(4)는 베이스 플레이트(11)상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로써 카세트(4)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카세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기울어지거나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놓여지게 되므로 카세트내에 적재된 웨이퍼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시 카세트의 흔들림이 없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픽 아암이 웨이퍼와 접촉하지 않고 정확하게 핸들링할 수 있어 웨이퍼와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2)

  1. 웨이퍼를 적재한 카세트가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가 소정거리 승,하강하도록 하는 리드 스크류로 구성된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일측면에 돌출된 H 형상의 바중 수평 바와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적어도 수평 바보다 큰 면적의 홈을 형성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양측의 수직 바만 접촉되어 카세트가 놓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는 0.3~0.5㎜ 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KR1019950040541A 1995-11-09 1995-11-09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KR016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541A KR0161624B1 (ko) 1995-11-09 1995-11-09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541A KR0161624B1 (ko) 1995-11-09 1995-11-09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591A KR970030591A (ko) 1997-06-26
KR0161624B1 true KR0161624B1 (ko) 1999-02-01

Family

ID=1943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541A KR0161624B1 (ko) 1995-11-09 1995-11-09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817B1 (ko) * 2004-05-07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로딩/언로딩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591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456A (en) Transfer device
EP1501748A1 (en) Carrier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s
KR0161624B1 (ko) 반도체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장치용 엘리베이터
CN100405569C (zh) 半导体制造装置
KR101135355B1 (ko) 기판 리프트장치
JP2001326267A (ja) 半導体加工装置
KR100490053B1 (ko) 액정표시장치용글래스스테이지
KR101507736B1 (ko) 기판정렬장치 및 기판정렬방법
WO2020049671A1 (ja) キャリアの位置決め部材及びキャリア載置台
KR100539969B1 (ko) 수납장치
US6244422B1 (en) Apparatus for sensing and controlling tipping movement of a semiconductor boat
KR20010081967A (ko) 기판 센터링장치
JPH0211489B2 (ko)
KR19980014338A (ko) 반도체 웨이퍼 안착용 스테이지(Stage)
JP2001044271A (ja) キャリア及び基板の収納状態検出方法
JPH087637Y2 (ja) 薄板用支持容器
JPH0648858Y2 (ja) ウエハ収納容器
JPS63285948A (ja) ウエハカセットの載置台
JP2505476Y2 (ja) 基板収納カセット載置台
JP2001024048A (ja) エッチング装置
JP3659724B2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搬送方法
KR20090070666A (ko)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의 기판 처리 방법, 그리고 상기지지유닛을 구비하는 베이크 장치
JP2555728Y2 (ja) ウエハの移し替え装置
KR20010026351A (ko) 요홈이 구비된 히트 플레이트
JPH0930606A (ja) ガラス基板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