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561B1 - 기류식 분급 장치 및 토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류식 분급 장치 및 토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561B1
KR0161561B1 KR1019950031173A KR19950031173A KR0161561B1 KR 0161561 B1 KR0161561 B1 KR 0161561B1 KR 1019950031173 A KR1019950031173 A KR 1019950031173A KR 19950031173 A KR19950031173 A KR 19950031173A KR 0161561 B1 KR0161561 B1 KR 016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cation
raw material
powder
edge
suppl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590A (ko
Inventor
사또시 미쓰무라
요시노리 쓰지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1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21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4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086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 B07B7/0865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using the coanda effect of the moving gas str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02Preparation methods
    • G03G9/0817Separation; Classify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분급실, 분급실의 분급 대역으로 원료 분체를 도입하기 위한 원료 공급 노즐, 및 코안다 효과에 의해 도입된 원료 분체를 분급시켜 분체를 적어도 미분체 및 조분체로 분리시키기 위한 코안다 블록을 포함하는 기류식 분급 장치에 있어서, 원료 공급 노즐이 원료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에 도입시키기 위한 원료 수용구를 구비하고 있고 원료 분체는 원료 공급 노즐내의 기류에 의해 가속된 고속류에 의해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를 통해 분급 대역으로 도입되며 코안다 블록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설치되는 기류식 분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류식 분급 장치 및 토너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류식 분급 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기류식 분급 장치의 입체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의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급법의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른 기류식 분급 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기류식 분급 장치중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및 그 인접부의 확대도.
제7도는 제5도의 요부의 예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른 기류식 분급 장치의 개략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 기류식 분급 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10도는 종래의 기류식 분급 장치의 사시도.
제11도는 종래의 분급법의 예시도.
제12도는 원료를 공급하고 있는 원료 공급 노즐 오리피스의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종래의 기류식 분급 장치 중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및 그 인접부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3분할 분급 장치 2 : 정량 공급기.
3 : 진동 공급기 4, 5, 6 : 포집 사이클론
11, 12, 13 : 배출구 14, 15 : 기체 유입관
16 : 원료 공급 노즐 17, 18 : 분급 엣지
17a, 18a, 19a : 축 19 : 기체 유입 엣지
20 : 제1 기체 공급 조절 수단 21 : 제2 기체 공급 조절 수단
22, 23 : 측벽 24, 25 : 분급 엣지 블록
26 : 코안다(Coanda) 블록 27 : 하부 블록
28, 29 : 정압계 31 : 분사 노즐
32 : 분급실 33, 34, 35, 36, 42 : 위치 설정 부재
40 : 원료 수용구 41 : 원료 분체
43, 44 :축 101 : 종래의 분급 장치
117, 188 : 분급 엣지
본 발명은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이용하여 분체를 분급시키기 위한 기류식 분급 장치(공기 분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입경이 20㎛ 이하인 입자를 50 갯수% 이상을 함유하는 분체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체가 기류에 편승하여 이동하는 동안 코안다 효과 및 분체의 개개 입자의 입도에 따른 관성력 및 원심력의 차를 이용하여 소정의 입도를 갖는 입자를 얻기 위해 입자를 분급시키기 위한 기류식 분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착색 수지 분체를 분급시키기 위한 기류식 분급 장치에 의해 토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입경이 20㎛ 이하인 입자를 50 개수% 이상을 함유하는 착색 수지 분체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체가 기류에 편승하여 이동하는 동안 코안다 효과 및 분체의 개개 입자의 입도에 따른 관성력 및 원심력의 차를 기초로 하여 소정의 입도를 갖는 입자를 포집하기 위해 착색 수지 입자를 분급시킴으로써 정전 화상 현상용 토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체를 분급시키기 위해 각종 기류식 분급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분급 장치에는 회전날을 갖춘 분급 장치 및 가동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분급 장치가 있다. 가동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분급 장치로는 고정벽 원심식 분급 장치 및 관성력 분급 장치를 들 수 있다. 관성력을 이용하는 분급 장치중에는 로피어 및 말리(Loffier, F. 및 K. Maly)의 문헌 (Symposium on Powder Technology D2 (1981) 참조)에 기재되어 있으며 니떼츄 고오교(Nittetsu Kogyo)에서 상품화한 엘보우 젯(Elbow Jet) 분급 장치 및 오꾸다 및 야수꾸니(Okuda, S. 및 Yasukuni, J.)의 문헌(Prod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Powder Technology '81, 771 (1981) 참조)에 기재되어 있는 분급 장치가 미분체 영역에서의 분급을 행할 수 있는 관성력 분급 장치로서 고안되었다.
제9도 및 제10도에 명시한 기류식 분급 장치에서 원료 분체는 오리피스를 갖는 원료 공급 노즐로부터 분급 대역으로 기류에 의해 고속에서 분급실(32)의 분급대역중으로 분출하게 된다. 기류가 원료 공급 노즐로부터 분출된 기류를 통과하도록 분급실에 도입되면 분급실에서 제공된 코안다 블록(26)을 따라 만곡 기류에 의해 형성된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분체는 3종류군, 이를 테면 조분체군, 증분체군 및 미분체군으로 분급되게 되며 각각 테이퍼드 선단(tapered tip)을 갖춘 분급 엣지(edge)(117 및 118)에 의해 분리된다.
그런데, 제12도에 명시한 종래의 분급 장치(101)에서, 원료 수용구(40)로부터 원료 공급 노즐로 공급된 원료 분체는 원료 공급 노즐(16)중으로 유동하는 데 이 분체는 노즐의 벽을 따라 유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원료 공급 노즐(16)에서, 하부로 공급된 원료 분체는 중력 분급하게 되며 따라서 광미분체는 도관의 상부류에 풍부하에 존재하게 되고 도관의 하부류에는 무거운 조분체가 풍부하게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3도에 명시한 바와 같이, 하부류에 존재하는 조립자는 상부류에 존재하는 미립자의 이동을 방해하게 되며 따라서 분급 정밀도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분체는 입경이 20㎛ 이상인 조립자를 함유하기 때문에 정밀도는 떨어지게 된다.
특히, 복사기 및 전자사진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될 토너의 제조시에 원료 분체를 분급시킬 때, 분급된 입자 분획물은 그 입도 분포가 정확하여야 하며 또한 분급 단가가 저렴하고 분급 정밀도 및 효율이 높은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분체, 특히 토너와 같은 착색 수지 미분체를 정밀도가 우수하게 안정하고 효율적으로 분급시킬 수 있는 기류식 분급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이 해결된 기류식 분급 장치 및 토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체를 고정밀도로 분급시킬 수 있고 임도 분포가 정밀한 분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류식 분급 장치 및 이 장치를 사용한 토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급 대역에서 입자가 거의 융착되지 않고 분급 장치에서의 분급점의 변동이 없고 안정한 분급이 가능한 기류식 분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급점의 변동 폭을 크게 할 수 있는 기류식 분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시간내에 분급점을 변동시킬 수 있는 기류식 분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급점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분급이 가능하고 입도 분포가 정밀한 분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토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급 대역에서 입자가 거의 융착되지 않고 분급 장치중 분급점의 변동이 없고 안정한 분급이 가능한 토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급점의 변동 폭을 크게 할 수 있는 토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시간내에 분급점을 변동시킬 수 있는 토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분급실, 분급실의 분급 대역으로 원료 분체를 도입하기 위한 원료 공급 노즐, 및 코안다 효과에 의해 도입된 원료 분체를 적어도 미분체군 및 조분체군으로 분급시키기 위한 코안다 블록을 포함하는 기류식 분급 장치에 있어서, 원료 공급 노즐이 원료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에 도입시키기 위한 원료 수용구를 갖추고 있으며 이때 원료 분체는 원료 공급 노즐내로 유동하는 기류에 의해 가속된 고속류에 의해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를 통해 분급 대역으로 도입되며 코안다 블록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설치되는 기류식 분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착색 수지 분체를 기류식 분급 장치로 도입하여 착색 수지 분체를 적어도 3종류 분체군, 즉 미분체군, 중분체군 및 조분체군으로 분급시키는 단계; 및
분리시킨 중분체군을 사용하여 토너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류식 분급 장치가 분급실, 분급실의 분급 대역으로 착색 수지 분체를 도입하기 위한 원료 공급 노즐, 및 코안다 효과에 의해 도입된 착색 수지 분체를 적어도 미분체군 및 조분체군으로 분급시키기 위한 코안다 블록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원료 공급 노즐은 착색 수지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에 도입시키기 위한 원료 수용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착색 수지 분체는 원료 공급 노즐내의 기류에 의해 가속된 고속류로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를 통해 분급 대역으로 도입되며, 상기 코안다 블록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설치되는 것인 토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첨부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류식 장치의 일예로서, 제1도(단면도) 및 제2도(입체도)에 도시한 장치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기류식 분급 장치에서는, 원료 공급 노즐(16)보다 더 높은 위치에 제공된 원료 수용구(40)으로부터 원료 분체(41)가 공급된다. 이 때, 코안다 효과 때문에 원료 공급 노즐(16) 내에서 중력 분급이 일어난다. 미분체군이 상부류를 형성하고, 조분체군이 하부류를 형성한다. 분급실의 원료 공급 노즐(16)의 선단구 위에 코안다 블록(26)이 제공되기 때문에, 상부류와 하부류가 교란되지 않고, 코안다 효과에 의해 조분체 유동물(하류)에 외주부로, 미분체 유동물이 내주부로 분급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급 대역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류식 분급 장치보다 더 크고, 분급점을 광범위하게 변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분급 엣지의 선단 주위에서 기류의 교란 없이 분급점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자들이 분급 엣지의 선단에 융착하는 것을 만족스러울 정도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급 엣지의 선단에서 분급 기류의 섞임을 방지할 수 있고, 분체의 다양한 비중 및 분급 기류의 조건에 따라서 정확한 분급점을 얻을 수 있고, 분급 장치가 연속해서 작동하는 경우에도 분급점이 이탈되지 않아서 분급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입경이 10㎛ 이하인 미분체를 분급시키는 경우에 특히 효율적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2 및 23)은 분급실의 일부를 형성하며, 분급 엣지 블록(24 및 25)에는 분급 엣지(17 및 18)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분급 엣지(17 및 18)은 각각 축(17a 및 18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므로, 분급 엣지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분급 엣지의 선단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각 분급 엣지 블록(24 및 25)는 좌우로 활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들이 활강할 때, 나이프 엣지형(knife-edge type) 분급 엣지(17 및 18)도 또한 좌우로 슬라이딩된다. 분급 엣지(17 및 18)은 분급실(32)의 분급 대역을 3 부분으로 나눈다.
원료 분체(41)을 도입하기 위한 원료 분체 수용구(40)을 상부에 갖추고 있으며 또한 분급실(32)에 오리피스를 갖는 원료 공급 노즐(16)이 측벽(22)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료 공급 노즐(16)보다 높은 위치에 코안다 블록(26)이 설치되며, 이 코안다 블록(26)의 엣지의 일부는 원료 공급 노즐(16)의 상부 접선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위쪽으로 구부러진 원호로부터 합성된 굴곡부이다. 분급실(32)의 하부에는 나이프 엣지형 기체 유입 엣지(19), 및 분급실(32) 내부로 개방되어 있는 기체 유입관(14 및 15)가 제공된 하부 블록(27)이 제공된다. 기체 유입관(14 및 15)에는 각각 댐퍼(damper)와 같은 제1 기체 공급 조절 수단(20) 및 제2 기체 공급 조절 수단(21)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정압계(28 및 29)가 제공된다.
분급 엣지(17 및 18) 및 기체 유입 엣지(19)의 위치는 분급할 원료 분체의 종류 및 목적하는 입도에 따라서 조정된다.
분급실(32)의 상부에는 각각의 분급 대역에 대응해서, 분급실로 개방된 배출구(11, 12 및 13)이 제공된다. 배출구(11, 12 및 13)은 파이프와 같은 연통 수단과 접속되고, 각각에는 밸브 수단과 같은 개폐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원료 공급 노즐(16)은 직각통부(直角筒部; square pipe section) 및 각추통부(角錘筒部)로 구성되고, 직각통부의 내경 대 각추통부의 가장 좁은 부분의 내경의 비를 20: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2:1로 설정하면, 양호한 원료 공급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원료 공급 노즐(16)의 후단에는 원료 분체를 수송하기 위한 기체가 공급되는 주입 노즐(31)이 제공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다분할 분급 대역에서의 분급 조작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일어난다. 배출구(11, 12 및 13)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분급실의 내부를 감압한다. 분급실(32) 내부로 개방되어 있는 원료 공급 노즐(16)을 통해서, 원료 공급 노즐(16)에서 고속으로 유동하는 기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50 m/초 내지 300 m/초의 속도로 원료 분체를 분급실(32) 내부로 분출한다.
분급실 내부로 공급된 원료 분체 중의 입자는 코안다 블록(26)의 코안다 효과에 의한 작용과 이때 유입하는 기체(예: 공기)의 작용에 의해 곡선(30a, 30b 및 30c)를 그리면서 이동해서, 개개 입자의 입경 및 관성력의 대소에 따라서, 조분체(입자 크기가 큰 입자군)는 기류의 외측, 즉 분급 엣지(18)의 외측의 제 1 대역으로, 중간 분체(입자 크기가 중간인 입자군)는 분급 엣지(18과 17)의 사이로 한정된 제2 대역으로, 미분체(입자 크기가 작은 입자군)는 분급 엣지(17)의 내측의 제3 대역으로 분급된다. 입자 크기가 큰 입자, 중간 입자 및 작은 입자들이 분급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 배출구(11, 12 및 13)으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 따른 원료 분체의 분급에 있어서, 분급점은 분말이 분급실(32)내로 분출되는 위치에 있는 코안다 블록(26)의 좌단부에 대한 분급 엣지(17 및 18)의 선단 위치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또한, 분급점은 분급 기류의 유속 또는 원료 공급 노즐(16)으로부터 분출되는 분체의 분출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기류식 분급 장치에 있어서, 원료 분체(41)은 원료 공급 노즐(16)으로부터 분급실(41)로 즉각 도입되어 분급된 후, 분급 장치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된다. 분급실로 도입된 원료 분말은 그 분말이 원료 공급 노즐(16)으로부터 분급실 내부로 도입되는 오리피스로부터 도입된 개개 입자의 궤적이 교란되지 않고 추진력을 가지고 비상(飛翔)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료 공급 노즐(16) 내에서 유동하는 입자는 상부류와 하부류를 형성한다. 위로부터(제1도의 원료 수용구(40)으로부터) 원료 분체(41)이 도입될 때, 상부류는 가벼운 미분체를 다량 함유하고, 하부류는 무거운 조분체를 다량 함유한다. 따라서,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보다 위에 코안다 블록(26)이 제공된 분급실(32) 내부로 분체류를 도입하면, 입자의 비상 궤적의 교란이 없이 입도에 따라서 분체가 분산하여 입자류를 형성한다. 따라서, 그 유선(stream line)의 방향을 따라 분급 엣지가 이동되고, 이어서 분급 엣지의 선단 위치를 고정해서 소정의 분급점을 설정한다. 분급 엣지(17 및 18)이 이동될 때, 분급 엣지 블록(24 및 25)의 동시 이동에 의해 코안다 블록(26)을 따라서 비상하는 입자류의 방향을 따라 분급 엣지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제3도에 있어서,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16a) 위에 위치하는 코안다 블록(26)에서 위치 0을 중심으로 설정하여 분급 엣지(17)의 선단과 코안다 블록(26)의 벽면과의 거리 L4및 분급 엣지(17)의 측면과 코안다 블록(26)의 벽면과의 거리 L1은 분급 엣지 블록(24)를 위치 결정 부재(33)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시켜 위치 결정 부재(34)를 따라 분급 엣지(17)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또한 분급 엣지(17)의 선단을 축(17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가능하다. 위치 0은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의 최상부측과 평행한 코안다 블록(26)의 최상부 지점으로부터 그린 선과 원료 공급 노즐(16)의 단부로부터 그린 선에 수직인 선과의 교차점으로서 정의된다.
마찬가지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급 엣지(18)의 선단과 코안다 블록(26)의 벽면 사이의 거리 L5및 분급 엣지(17)의 측면과 분급 엣지(18)의 측면 사이의 거리 L2또는 분급 엣지(18)의 측면과 측벽(23) 사이의 거리 L3는 위치 결정 부재(36)을 따라서 분급 엣지 블록(25)를 좌우로 이동시켜 위치 결정 부재(36)을 따라 분급 엣지(18)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또한 분급 엣지(18)의 선단을 축(18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조정가능하다. 코안다 블록(26) 및 분급 엣지(17 및 18)은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16a) 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되고, 분급실내의 분급 대역의 모양은 분급 엣지 블록(24) 및(또는) 분급 엣지 블록(25)의 설정 위치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분급 엣지의 선단에 의해 입자류의 교란이 방지될 수 있고, 배출구 (11a, 12a 및 13a)를 통한 감압에 의해 생성된 흡인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입자의 비상 속도를 증가시켜 분급 대역에서 원료 분체 분산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료 분체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양호한 분급 정밀도를 얻을 수 있고, 목적하는 입자 분획을 얻을 수 있으며, 동일한 분체 농도에 비해 양호한 분급 정밀도 및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체 유입 엣지(19)의 선단과 코안다 블록(26)의 엣지 표면 사이의 거리 L6은 기체 유입 엣지(19)의 선단을 축(19a)를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분급점은 기체 유입관(14 및 15)로부터 나오는 공기 또는 기체의 유입량 및 유입 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설정 거리는 원료 분체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원료 분체의 진밀도(縝密度); true density) 가 0.3 내지 1.4 g/㎠일 때는,
(여기서, L0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16a)의 높이이고, n은 1 이상의 실수이다)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료 분말의 진밀도가 1.4 g/㎠보다 클 때는,
라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샤프(sharp)한 분포를 갖는 제품(중분체)을 양호한 효율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류식 분급 장치는 통상 상호 기기를 파이프와 같은 연통 수단을 통해 연결시킨 일체형의 장치 시스템에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예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3분할 분급 장치(1)(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분급 장치), 정량 공급기(2), 진동 공급기(3), 포집 사이클론(4, 5 및 6)은 모두 연통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 원료 본체는 적당한 수단에 의해 정량 공급기(2)내로 공급되며, 진동 공급기(3)을 거쳐 원료 공급 노즐(16)을 통해 3분할 분급 장치(1)내로 도입된다. 원료 분체를 도입할 때에는 50-300 m/초의 유속으로 분사 노즐(31)로부터 고속으로 분출되는 기체를 사용하여 3분할 분급 장치(1) 내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분할 분급 장치(1)의 분급실은 통상 그 크기가 [10-50㎝] x [10-50㎝]이어서 원료 분체가 0.1-0.01초 이내에 순간적으로 3종류의 이상의 입자군으로 분급된다. 원료 분체는 3분할 분급 장치(1)에 의해 입경이 큰 입자군(조립자), 중간 입경의 입자군(중간 입자), 입경이 작은 입자군(미립자)으로 분급된다. 그 후, 입경이 큰 입자군은 배출 도관(11a)를 통해 포집 사이클론(6)으로 보내어져 회수된다. 중간 입경의 입자군은 배출 도관(12a)를 통해 분급 장치로부터 배출되어 포집 사이클론(5)에서 회수된다. 입경이 작은 입자군은 배출 도관(13a)를 통해 분급 장치 밖으로 배출되어 포집 사이클론(4)에서 회수된다. 포집 사이클론(4, 5 및 6)은 원료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16)을 거쳐 분급실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흡인 감압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류식 분급 장치는 특히 전자사진법에 의한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토너 또는 토너용 착색 수지 분체를 분급시키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특히, 저융점, 저연화점 및 저 유리전이점을 갖는 결착 수지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을 분급시키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이러한 결착 수지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을 종래의 분급 장치에 공급하는 경우에, 입자들은 분급 장치 엣지 선단에 융착하기 쉬워 적절한 분급점으로부터의 이탈이 생긴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흡인 감압에 의해 유량을 조절하여도 요구되는 입도 분포를 얻기가 어려워, 분급 효율이 감소한다. 더욱이, 융착물이 분급된 분체를 오염시켜 품질이 좋은 제품을 얻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분급 장치에서, 분급 엣지(17 및 18)의 이동시에 분급 엣지 블록(24 및 25)도 동시에 이동하여 코안다 블록(26)을 따라 비상하는 입자류의 유동 방향으로 분급 엣지가 이동하게 되며, 여기서 흡인류의 유동은 흡인 감압 수단으로 작용하는 배출 도관(11a, 12a 및 13a)을 통해 조절된다. 따라서, 분급 수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입자들이 분급 엣지 선단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자들의 비상 속도를 증가시켜 분급 대역에서의 분체의 분산을 향상시켜, 고정밀 분급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급 장치는 분체의 입경이 작을수록 더 효과적이다. 특히 중량 평균 입경이 10㎛ 이하인 분체를 분급하는 경우에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갖는 분급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중량 평균 입경이 6㎛ 이하인 분체를 분급하는 경우에도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갖는 분급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분급 장치에서, 각 분급 엣지의 방향 및 엣지 선단 위치는 이동 수단으로서 스텝핑 모터(stepping mptor)를 사용하여 변화시킬 수 있으며, 엣지 선단의 위치는 검지 수단으로서 퍼텐시오메터(potentiometer)를 사용하여 검지할 수 있다. 이들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는 분급 엣지의 선단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유속의 조절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것은 목적하는 분급점을 단시간내에 더욱 정확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제5도는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16a)의 높이 방향 직경 L0가 조정 가능한 기류식 분급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기류식 분급 장치 일예의 전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기류식 분급 장치중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및 그 인접부의 확대도이다.
제5도 및 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22 및 23)은 분급실(23)의 저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있는 분급 엣지 블록(24 및 25)는 분급 엣지(17 및 18)을 각각 갖추고 있다. 이 분급 엣지(17 및 18)은 각각 축(17a 및 18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여 분급 엣지(17 및 18)을 회전시킴으로써 각 분급 엣지의 선단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급 엣지(17 또는 18)은 분급실(32)의 분급 대역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3 부분으로 분할한다.
측벽(22) 위에 분급실(32)로의 오리피스를 갖는 원료 공급 노즐(16)이 설치되며, 이 원료 공급 노즐(16)의 상부에 이 원료 공급 노즐의 최상부벽의 연장선으로부터 상부로 만곡되어 있는 코안다 블록(26)이 배치되어 있다. 분급실(32)에는 그 저부에 상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나이프 엣지형 기체 흡입 엣지(19)가 설치되어 있는 저부 블록(27)을 갖추고 있다. 나이프 엣지형 기체 흡입 엣지(19)는 분급 엣지(17 및 18)과 마찬가지로 축(19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따라서 기체 흡입 엣지(19)의 선단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급실(32)의 최상부에는 각 분급 대역에 대응하여 분급실로의 개구를 갖는 배출구(11, 12 및 13)이 설치된다.
측벽(22)는 위치 설정 부재(42)를 따라 상하로 활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22)가 활강함에 따라 축(43 및 44)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료 공급 노즐(16)의 저부벽은 평탄하게 상하로 이동하여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의 높이 방향 직경 L0(제5도 및 6도에서 h가 약칭)가 변화될 수 있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16a)의 수직 연장선상에 있는 코안다 블록(26)에서 0위치를 그 중심점으로 가정하면, 분급 엣지(17)의 선단과 코안다 블록(26)의 벽면간의 거리 L4는 분급 엣지(17)의 선단을 축(17a)를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분급 엣지(18)의 선단과 코안다 블록(26)의 엣지 면간의 거리 L5는 분급 엣지(18)의 선단을 축(18a)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코안다 블록(26) 및 분급 엣지(17 및 18)은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16a) 위에 설치하고 높이 방향 직경 L0를 원료 분체의 특성에 따라 변화시켜 분급실 중의 분급 대역을 확대시키고 분급점을 넓은 범위에 걸쳐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류식 분급 장치는 전자사진법에 의한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토너 입자를 분급시키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특히, 저융점, 저연화점 및 저 유리 전이점을 갖는 결착 수지를 함유하는 토너 입자에 대해 유효하다.
이러한 결착 수지를 함유하는 토너 입자를 종래의 분급 장치에 도입하는 경우에, 입자들은 특히 분급 엣지 선단에 융착하기 쉽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른 기류식 분급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제8도에 나타낸 기류식 분급 장치에서, 분급 엣지 블록(24 및 25) 및 측벽(22)는 고정되어 있다.
하기 제조예에서, 토너 제조용의 분쇄한 조원료를 미분화하고 분급하였다. 이하에서, 부(들)는 특히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부이다.
[제조예 1]
스티렌/부틸 아크릴레이트/디비닐벤젠 공중합체
(결착 수지; 단량체 중합비(중량 기준) : 80.0/19.0/1.0
중량평균 분자량(MW) : 350,000) 100 부
자성 산화철(착색제 및 자성 물질; 평균 입경: 0.18㎛) 100 부
니그로신 (대전 제어제) 2 부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오프셋(offset) 방지제) 4 부
상기 물질을 헨쉘 믹서[FM-75형, 미쯔이 미이께 엔지니어링 코포레이션사(Mitsui Miike Engineering Corporation) 제품]를 사용하여 철저하게 혼합한 후, 150℃의 설정 온도에서 설정한 2축 혼련기[PCM-30형, 이께가이 코포레이션사(Ikegai copr.) 제품]를 사용하여 혼련시켰다. 얻어진 혼련 생성물을 냉각한 후, 해머 밀로 1㎜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토너 제조용 분쇄물을 얻었다. 이 분쇄물을 충돌식 기류 분쇄기를 사용하여 미분쇄시켜 중량 평균 약 6.7㎛, 진밀도 1.73g/㎤의 분쇄 원료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분쇄원료를 공급기(2), 진동 공급기(3) 및 원료 공급 도관(16)를 통하여 35.0㎏/시간의 유속으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분할 분급 장치(1) 내로 도입시켜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조분체, 중분체 및 미분체의 3종류로 분급하였다.
또한, 원료 분체를 배출구(11, 12 및 13)을 통해 포집 사이클론(4, 5 및 6)에 의한 흡인 감압에 의해 시스템내의 감압으로부터 발생되는 흡인력과, 원료 공급도관(16)에 장착된 분사 노즐(31)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주입시켰다.
분급 대역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각 설정 거리를 다음과 같이 하여 분급을 행하였다:
L0: 6㎜ (원료 공급 노즐 배출구 (16a)의 높이)
L1: 34㎜ (분급 엣지 (17)의 측면과 코안다 블럭 (26)의 측면간의 거리)
L2: 33㎜ (분급 엣지 (17)의 측면과 분급 엣지 (18)의 측면간의 거리)
L3: 37㎜ (분급 엣지 (18)의 측면과 측벽 (23)의 표면간의 거리)
L4: 15㎜ (분급 엣지 (17)의 선단과 코안다 블럭 (26)의 측면간의 거리)
L5: 35㎜ (분급 엣지 (18)의 측면과 코안다 블럭 (26)의 측면간의 거리)
L6: 25㎜ (기체 흡입 엣지 (19)의 선단과 코안다 블럭 (26)의 측면간의 거리)
R : 14㎜ (R은 0위치를 연결시키는 선 상의 코안다 블록 (26)의 엣지에 대한 0위치와 기체 흡입 엣지 (19)의 선단과의 거리)
이렇게 도입된 분쇄물은 0.1초 이내에 순간적으로 분급되었다. 분급에 의해 얻은 중분체는 중량 평균 입경이 약 6.9㎛이고, 입경 4.0㎛이하의 입자를 22갯수% 포함하고, 또한 입경 10.08㎛ 이상의 입자를 1.0체적% 포함하는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가지며, 토너용 재료로 사용하기에 양호한 성능을 갖는 92%의 분급 수율(공급된 분쇄물의 총 중량에 대한 최종적으로 얻어진 중분체의 백분율)을 얻을 수 있다. 분급에 의해 얻어진 조분체는 다시 분쇄 단계로 반송하였다.
본 발명에서, 토너용 분쇄물의 진밀도는 측정 장치로서 마이크로메트릭스아쿠픽(Micrometrix Acupic) 1330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 측정을 위해 착색 수지분체 5g을 칭량하였다.
토너의 입도 분포는 각종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것을 다음의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로서는 코울터 카운터(Coulter counter) TA-II형 또는 코올터 멀티사이저(Coulter Multisizer) II[코울터 일렉트로닉사(Coulter Electronics) 제품]를 사용하였다. 전해액으로서는, 1급 염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제조한 1% NaCl 공급액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ISOTON-II[상표명 : 코울터 사이언티픽 저팬사(Coulter Scientific Japan Co.)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측정은 분산제로서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알킬벤젠 술포네이트 0.1-5ml를 상기 전해질 공급액 100-150ml에 첨가하고, 측정할 시료 2-20mg을 추가로 첨가하여 행하였다. 시료가 현탁되어 있는 전해액을 약 1분 내지 약 3분간 초음파 분산기에서 분산시켰다. 상기 장치를 사용하고 토너 입자의 체적 분포 및 갯수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 100㎛ 크기의 천공을 사용하여 토너 입자의 체적 및 갯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토너 입자의 체적 분포로부터 얻은 중량 평균 입경(중량 기준)을 계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4]
충돌식 기류 분쇄기를 사용하여 토너용 제조예 1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파쇄물을 분쇄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이들은 설정 거리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계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용으로 사용되기에 양호한 특성을 갖고 모두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갖는 중분체를 양호한 수율로 얻었다.
(1) : 중량 평균 입경
(2) : 진밀도
(3) : 분급 장치로의 공급 속도
[제조예 5 및 6]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결착 수지) 100 부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착색제; C. I. 피그먼트 블루(Pigment Blue) 15] 4.5 부
대전 제어제 4.0 부
상기 재료들을 제조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헨쉘 혼합기를 사용하여 철저히 혼합시킨 후, 제조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2축 혼련기를 사용하여 100℃의 설정 온도에서 혼련시켰다. 얻어진 혼련 생성물을 냉각시킨 후 햄머 밀을 사용하여 1㎜ 이하의 크기로 파쇄시켜 토너 제조용 파쇄물을 얻었다. 이 파쇄물을 충돌식 공기 분쇄기로 분쇄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6.5㎛이고 진밀도가 1.08 g/㎤인 분쇄 원료를 얻었다(제조예 5).
얻어진 분쇄 원료를 제조예 1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급하되, 단 분급은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한편, 상기 파쇄물을 충동식 공기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5.5㎛인 분쇄 원료를 얻었고(제조예 6), 이어서 이것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 하에서 분급시켰다.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갖는 중분체들이 양호한 효율로 수득되었고, 이들은 토너를 위한 양호한 특성을 가졌다
(1) : 중량 평균 입경
(2) : 진밀도
(3) : 분급 장치로의 공급 속도
[비교 제조예 1 내지 3]
제조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토너 원료를 사용하여, 파쇄 원료를 충돌식 공기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6.9㎛인 분쇄 원료(비교 제조예 1), 및 중량 평균 입경이 5.5㎛인 분쇄 원료(비교 제조예 2)를 얻었다.
토너 원료를 제조예 5에서 사용된 것으로 대체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6.5㎛인 분쇄 원료를 얻었다(비교 제조예 3).
얻어진 분쇄 원료들을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분할 분급 장치를 사용하여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도에 따라 각각 분급시켰다.
각 분체의 분급은 하기 표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고, 분급에 의해 얻어진 중분체의 입도 분포 등을 하기 표 8 내지 10에 나타내었다.
(1) : 중량 평균 입경
(2) : 진밀도
(3) : 분급 장치로의 공급 속도
[제조예 7]
스티렌/부틸 아크릴레이트/디비닐벤젠 공중합체
(결착수지; 단량체 중합비(중량 기준): 80.0/19.0/1.0;
중량 평균 분자량(MW) : 350,000) 100 부
자성 산화철(착색제 및 자성 물질; 평균 입경: 0.18㎛) 100 부
니그로신 (대전 제어제) 2 부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오프셋 방지제] 4 부
먼저, 상기 재료들을 헨쉘 혼합기[FM-75형, 미쓰이 미이께 엔지니어링 코포레이션사 제품]를 사용하여 완전히 혼합시킨 후, 2축 혼련기[PCM-30형, 이께가이 코포레이션사 제품]를 상용하여 150℃의 설정 온도에서 혼련시켰다. 얻어진 혼련 생성물을 냉각시킨 후, 햄머 밀을 사용하여 크기 1㎜ 이하로 파쇄시켜서 토너 제조를 위한 파쇄 원료를 얻었다. 파쇄 원료를 충돌식 공기 분쇄기로 분쇄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7.0㎛이고 진밀도가 1.5g/㎤인 분쇄 원료를 얻었다.
다음, 이렇게 하여 얻은 분쇄 원료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 공급기(2), 진동 공급기(3) 및 원료 공급 노즐(16)을 통하여 35.0 ㎏/시간의 속도로 다분할 분급 장치 내로 도입시켜,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3종류군, 즉 조분체군, 중분체군 및 미분체군으로 분급시켰다.
원료 분체를 배출구(11, 12 및 13)에 연결된 포집 사이클론(4, 5 및 6)에 의한 흡인 감압에 의해 시스템 내부의 흡인-감압으로부터 얻은 흡인력, 및 원료 공급 노즐(16)에 고정된 주입 노즐(31)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의 작용으로 도입시켰다.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의 높이 L는 8㎜ 로 고정하였다. 그 결과, 노즐(16)으로부터 도입된 분쇄 원료가 0.1초 내에 즉시 분급되었다.
분급에 의해 얻어진 중분체는 중량 평균 입경이 6.8㎛이고 입경 4.0㎛ 이하의 입자를 24 갯수%로 함유하여 입경 10.08㎛ 이상의 입자를 1.0 체적%로 함유하는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가졌고, 분급 수율은 80%로서 높았다. 얻어진 중분체는 토너 재료로서 양호한 특성을 가졌다. 조작 후, 재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를 관찰한 바 융착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제조예 8]
제조예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토너 원료를 충돌식 공기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6.4㎛인 분쇄 원료를 얻었다. 분쇄 원료를 제조예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분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급시켰다.
분쇄 원료를 31.0 ㎏/시간의 속도로 다분할 분급 장치에 도입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5.9㎛이고 입경 4.0㎛ 이하의 입자를 30 갯수%로 함유하며 입경 10.08㎛이상의 입자를 0.2 체적%로 함유하는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갖는 중간 분말을 80%의 높은 분급 수율로 얻었다. 얻어진 중분체는 토너 원료로서 양호한 특성을 가졌다. 조작 후,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를 관찰한 바 융착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분급에 의해 얻어진 조분체를 분쇄 단계, 즉 분급 단계 이전의 단계로 반송시키고 재순환시켰다.
[제조예 9]
제조예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파쇄 토너 원료를 충돌식 공기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5.5㎛인 분쇄 원료를 얻었다. 분쇄 원료를 제조예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분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급시켰다.
분쇄 원료를 25.0 ㎏/시간의 속도로 다분할 분급 장치에 도입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5.2㎛이고 입경 3.17㎛ 이하의 입자를 30 갯수%로 함유하며 입경 8.00㎛이상의 입자를 2.6 체적%로 함유하는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갖는 중분체를 72%의 높은 분급 수율로 얻었다. 얻어진 중분체는 토너 원료로서 양호한 특성을 가졌다. 조작 후, 재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를 관찰한 바 융착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분급에 의해 얻어진 조분체를 분쇄 단계, 즉 분급 단계 이전의 단계로 반송시키고 재순환시켰다.
[제조예 10]
제조예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파쇄 토너 원료를 충돌식 공기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5.5㎛인 분쇄 원료를 얻었다. 분쇄 원료를 제조예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분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급시켰다.
분쇄 원료를 25.0 ㎏/시간의 속도로 다분할 분급 장치에 도입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5.4㎛이고 입경 3.17㎛ 이하의 입자를 20 갯수%로 함유하며 입경 8.00㎛이상의 입자를 1.9 체적%로 함유하는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갖는 중분체를 70%의 높은 분급 수율로 얻었다. 얻어진 중분체는 토너 원료로서 양호한 특성을 가졌다. 조작 후, 재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를 관찰한 바 융착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분급에 의해 얻어진 조분체를 분쇄 단계, 즉 분급 단계 이전의 단계로 반송시키고 재순환시켰다.
[제조예 1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결착 수지) 100 부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착색제; C. I. 피그먼트 블루 15) 4.5 부
대전 제어제 4.0 부
상기 원료들을 제조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헨쉘 혼합기(FM-75형, 미쓰이미이께 엔지니어링 코포레이션사 제품)를 사용하여 완전히 혼합시킨 후, 2축 혼련기(PCM-30형, 이께가이 코포레이션사 제품)를 사용하여 100℃의 설정 온도에서 혼련시켰다. 얻어진 혼련 생성물을 냉각시킨 후, 햄머 밀을 사용하여 크기 1㎜ 이하로 파쇄시켜 토너 제조를 위한 파쇄 원료를 얻었다. 파쇄 원료를 충돌식 공기 분쇄기로 분쇄시켜 중량 평균 입경이 6.5㎛이고 진밀도가 1.1 g/㎤인 분쇄 원료를 얻었다.
다음, 이렇게 하여 얻은 분쇄 원료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 공급기(2), 진동 공급기(3) 및 원료 공급 노즐(16)을 통하여 31.0 ㎏/시간의 속도로 다분할 분급 장치 내로 도입시켜,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3종류 분체군, 즉 조분체군, 중분체군 및 미분체군으로 분급시켰다.
원료 분체를 배출구(11, 12 및 13)에 연결된 포집 사이클론(4, 5 및 6)을 이용한 시스템 내부의 감압으로 인한 흡인력 및 원료 공급 노즐(16)에 고정된 주입 노즐(31)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의 작용으로 도입시켰다. 이렇게 하여 노즐(16)으로부터 도입된 분쇄 원료는 0.1초 내에 즉시 분급되었다.
분급에 의해 얻어진 중분체는 중량 평균 입경이 5.9㎛이고 입경 4.0㎛ 이하의 입자를 24 갯수%로 함유하며 입경 10.08㎛ 이상의 입자를 1.0 체적%로 함유하며 샤프한 입도 분포를 가졌고, 80%의 높은 분급 수율로 얻어졌다. 얻어진 중분체는 토너 원료로서 양호한 특성을 가졌다. 조작 후, 원료 공급 노즐(16)의 오리피스를 관찰한 바 융착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분급에 의해 얻어진 조분체를 분쇄 단계, 즉 분급 단계 이전의 단계로 반송시키고 재순환시켰다.

Claims (54)

  1. 분급실, 분급실의 분급 대역으로 원료 분체를 도입하기 위한 원료 공급 노즐, 및 코안다(Coanda) 효과에 의해 도입된 원료 분체를 미분체군 및 조분체군으로 분급시키기 위한 코안다 블록을 포함하는 기류식 분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 노즐이 원료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에 도입시키기 위한 원료 수용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원료 분체는 원료 공급 노즐내의 기류에 의해 가속된 고속류로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로부터 분급 대역으로 도입되며, 상기 코안다 블록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기류식 분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수용구는 원료 공급 노즐내의 원료 분체 중 미립자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원료 공급 노즐의 상부 위치로 도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 기류식 분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코안다 효과에 의해 분급된 미분체군을 분급실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기류식 분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대역이 적어도 코안다 블록 및 분급 엣지에 의해 한정되는 기류식 분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기류식 분급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상기 분급실내에 복수개 설치되는 기류식 분급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분급 엣지 블록에 의해 지지되고, 분급 엣지 블록은 그 위치가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분급 대역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된 기류식 분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의 위치가 상기 분급 엣지 블록의 위치 변화에 따라 변경가능한 기류식 분급 장치.
  9.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상기 분급 엣지 블록에 의해 분급 엣지의 선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지지된 기류식 분급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 블록의 위치가 수평 방향 내지는 거의 수평 방향으로 변경가능한 기류식 분급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의 부위가 수평 방향 내지는 거의 수평 방향으로 변경가능한 기류식 분급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원료 수용구는 원료 분체가 이 원료 수용구를 통해 원료 공급 노즐내로 공급될 때, 원료 분체 중 미립자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원료 공급 노즐의 상부 위치로 도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 기류식 분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코안다 효과에 의해 분급된 미분체군을 분급실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기류식 분급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기류식 분급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복수개 설치되어 원료 분체가 적어도 미분체군, 중분체군 및 조분체군으로 분급되도록 하는 기류식 분급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 노즐은 그의 오리피스의 높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것인 기류식 분급 장치.
  17. 착색 수지 분체를 기류식 분급 장치로 도입하여 착색 수지 분체를 분급시켜 이 분체를 적어도 미분체군, 중분체군 및 조분체군으로 분리시키는 단계; 및 분리시킨 중분체군을 사용하여 토너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류식 분급 장치가 분급실, 분급실의 분급 대역으로 원료 분체를 도입하기 위한 원료 공급 노즐, 및 코안다 효과에 의해 도입된 원료 분체를 적어도 미분체군 및 조분체군으로 분급시키기 위한 코안다 블록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원료 공급 노즐은 원료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에 도입시키기 위한 원료 수용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원료 분체는 원료 공급 노즐내의 기류에 의해 가속된 고속류로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를 통해 분급 대역으로 도입되며, 상기 코안다 블록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설치되는 것인 토너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원료 공급 노즐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된 원료 수용구로부터 0.3 내지 1.4 g/㎤의 진밀도(true density)를 갖는 착색 수지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에 공급하는 단계 : 착색 수지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내로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수송하는 단계 : 착색 수지 분체를 코안다 블록 및 분급 장치 측벽 사이로 한정된 분급실로 도입하는 단계 :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착색 수지 분체를 분급시켜 분체를 복수개의 분급 엣지에 의해 적어도 조분체군, 중분체군 및 미분체군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급 엣지들은 분급 엣지 블록에 의해 개별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분급 엣지 블록은 그 위치가 변경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되며, 상기 분급 엣지 블록은 하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위치에서 설정되는 토너 제조 방법.
    여기서, L0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의 높이(㎜)이고, L1은 분체를 중분체군 및 미분체군로 분리시키기 위한 제1분급 엣지 및 이에 대향하여 설치된 코안다 블록의 서로 인접하고 있는 면간의 거리(㎜)이고, L2는 제1분급 엣지 및 분체를 조분체군 및 중분체군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제2분급 엣지의 서로 인접하고 있는 면간의 거리(㎜)이고, L3는 제2분급 엣지의 측면과 이에 대향하여 설치된 측벽간의 거리(㎜)이고, n은 1 이상의 실수이다.
  19. 제18항에 있어서, 미분체군은 제1분급 엣지와 코안다 블록 사이에 형성된 분급 대역으로 분리되고, 중분체군은 제1분급 엣지와 제2분급 엣지 사이에 형성된 분급 대역으로 분리되고, 조분체군은 제2분급 엣지와 이에 대향하여 설치된 측벽 사이에 형성된 분급 대역으로 분리되는 토너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급 엣지가 제1축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제2분급 엣지는 제2축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미분체군의 입경은 제1축과 코안다 블록간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 토너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중분체군의 입경이 제1축과 제2축간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 토너 제조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조분체군의 입경이 제2축과 측벽간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 토너 제조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L0는 2 내지 10㎜이고, L1은 10 내지 150㎜이고, L2는 10 내지 150㎜이고, L3는 10 내지 150㎜이고, L4는 5 내지 70㎜이고, L5는 15 내지 160㎜이고, L6은 10 내지 100㎜이고, n은 0.5 내지 3인 토너 제조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수지 분체가 비자성 착색제 및 결착 수지를 함유하는 착색 수지 입자인 토너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가 결착 수지 100 중량부당 0.5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토너 제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가 45 내지 80℃의 유리 전이점을 갖는 것인 토너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가 스티렌-아크릴계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계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된 것인 토너 제조 방법.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수지 분체가 입경이 20㎛ 이하인 입자를 50 갯수% 이상 함유하는 것인 토너 제조 방법.
  29. 제18항에 있어서, 원료 공급 노즐위에 설치된 원료 수용구로부터 1.4 g/㎤ 초과의 진밀도를 갖는 착색 수지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에 공급하는 단계 : 착색 수지 분체를 원료 공급 노즐내로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수송하는 단계 : 착색 수지 분체를 코안다 블록과 분급 장치 측벽 사이로 한정된 분급실로 도입하는 단계 :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착색 수지 분체를 분급시켜 분체를 복수개의 분급 엣지에 의해 적어도 조분체군, 중분체군 및 미분체군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급 엣지들은 분급 엣지 블록에 의해 개별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분급 엣지 블록은 그 위치가 변경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되며, 상기 분급 엣지 블록은 하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위치에서 설정되는 토너 제조 방법.
    여기서, L0은 원료 공급 노즐의 배출 오리피스의 높이(㎜)이고, L1은 분체를 중분체군 및 미분체군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제1분급 엣지와 이에 대향하여 설치된 코안다 블록의 서로 인접하고 있는 면간의 거리(㎜)이고, L2는 제1분급 엣지와 분체를 조분체군 및 중분체군로 분리시키기 위한 제2분급 엣지의 서로 인접하고 있는 면간의 거리(㎜)이고, L3은 제2분급 엣지의 측면과 이에 대항하여 설치된 측벽간의 거리(㎜)이다.
  30. 제29항에 있어서, 미분체군은 제1분급 엣지와 코안다 블록 사이에 형성된 분급 대역으로 분리되고, 중분체군은 제1분급 엣지와 제2분급 엣지 사이에 형성된 분급 대역으로 분리되며, 조분체군은 제2분급 엣지와 이에 대향하여 설치된 측벽 사이에 형성된 분급 대역으로 분리되는 토너 제조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급 엣지가 제1축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제2분급 엣지는 제2축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미분체군의 입경은 제1축과 코안다 블록간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 토너 제조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중분체군의 입경이 제1축과 제2축간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 토너 제조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조분체군의 입경이 제2축과 측벽간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 토너 제조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L0는 2 내지 10㎜이고, L1은 10 내지 150㎜이고, L2는 10 내지 150㎜이고, L3는 10 내지 150㎜이고, L4는 5 내지 70㎜이고, L5는 15 내지 160㎜이고, L6은 10 내지 100㎜인 토너 제조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수지 분체가 자성 물질 및 결착 수지를 함유하는 자성 수지 입자인 토너 제조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질이 결착 수지 100 중량부당 20 내지 20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토너 제조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가 45 내지 80℃의 유리 전이점을 갖는 것인 토너 제조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 수지가 스티렌-아크릴계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계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된 것인 토너 제조 방법.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수지 분체가 입경이 20㎛ 이하인 입자를 50 갯수% 이상 함유하는 것인 토너 제조 방법.
  4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수용구는, 원료 공급 노즐에 도입되는 원료 분체중 미립자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원료 공급 노즐의 상부 위치로 도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 토너 제조 방법.
  41. 제17항에 있어서, 코안다 효과에 의해 분급된 미분체군을 분급실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토너 제조 방법.
  4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대역이 적어도 코안다 블록과 분급 엣지에 의해 한정되는 것인 토너 제조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토너 제조 방법.
  44. 제42항 또는 4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상기 분급실에 복수개 설치되는 토너 제조 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분급 엣지 블록에 의해 지지되고, 분급 엣지 블록은 그의 위치가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분급 대역의 형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된 토너 제조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의 위치가 상기 분급 엣지 블록의 위치 변화에 따라 변경가능한 것인 토너 제조 방법.
  47. 제45항 또는 46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상기 분급 엣지 블록에 의해 분급 엣지의 선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토너 제조 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 블록 위치가 수평 방향 내지는 거의 수평 방향으로 변화가능한 토너 제조 방법.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 위치가 수평 방향 내지는 거의 수평 방향으로 변화가능한 토너 제조 방법.
  50. 제45항에 있어서, 원료 수용구는 이 원료 수용구를 통해 공급된 원료 분체가 원료 공급 노즐에 도입될 때, 원료 분체 중 미립자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원료 공급 노즐의 상부 위치로 도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 토너 제조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코안다 효과에 의해 분급된 미분체군을 분급실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토너 제조 방법.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원료 공급 노즐의 오리피스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토너 제조 방법.
  53.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엣지가 복수개 설치되어 원료 분체가 적어도 분체군, 중분체군 및 조분체군로 분급되도록 하는 토너 제조 방법.
  5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 노즐은 그의 오리피스의 높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것인 토너 제조 방법.
KR1019950031173A 1994-09-21 1995-09-21 기류식 분급 장치 및 토너 제조 방법 KR0161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57594 1994-09-21
JP94-251575 1994-09-21
JP33758194 1994-12-28
JP94-337620 1994-12-28
JP33762094 1994-12-28
JP94-337581 199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590A KR960011590A (ko) 1996-04-20
KR0161561B1 true KR0161561B1 (ko) 1999-03-20

Family

ID=2733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173A KR0161561B1 (ko) 1994-09-21 1995-09-21 기류식 분급 장치 및 토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15048A (ko)
EP (1) EP0703011B1 (ko)
KR (1) KR0161561B1 (ko)
CN (1) CN1054553C (ko)
DE (1) DE6951847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929B1 (ko) * 1998-01-20 2001-01-15 정문술 모듈아이씨(ic) 핸들러에서 소켓으로의 모듈아이씨 로딩 및 언로딩 장치
EP3640227B1 (en) * 2018-10-15 2021-12-22 Vecor IP Holdings Limited Process for making a ceramic particulate mixture
CN112044776A (zh) * 2020-09-01 2020-12-08 许婷婷 一种工业原料分级除尘循环装置
CN112044764A (zh) * 2020-09-01 2020-12-08 许婷婷 一种工业原料分级除尘装置
CN113333288A (zh) * 2021-06-07 2021-09-03 湘潭大学 一种多粒径粉体分级机
US11389833B1 (en) * 2021-09-09 2022-07-19 Tate & Lyle Solutions Usa Llc Curvilinear surface classification of feed stock
CN114849868A (zh) * 2022-03-22 2022-08-05 湘潭大学 一种粉体动态射流分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0682A (en) * 1926-01-08 1928-02-28 Albert H Stebbins Air-blast classifier
US2026910A (en) * 1934-09-14 1936-01-07 Olsen Wilfred Separator for seeds or the like
CH482471A (de) * 1963-12-20 1969-12-15 Rumpf Hans Prof Ing D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ichten von körnigem Gut im Querstrom für Trenngrenzen unterhalb 1 mm
US4132634A (en) * 1974-09-17 1979-01-02 Hans Rumpf Method of an apparatus for sifting particulate material in a cross-current
DE2538190C3 (de) * 1975-08-27 1985-04-04 Rumpf, geb. Strupp, Lieselotte Clara, 7500 Karlsruh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Fliehkraftsichtung eines stetigen Mengenstroms von körnigem Gut
NL8202809A (nl) * 1982-07-12 1984-02-01 Johannes Petrus Marie Kooyman Inrichting voor het scheiden van stoffen, meer in het bijzonder voor het van kaf zuiveren van vogelvoerzaad.
US4657667A (en) * 1984-04-05 1987-04-14 The University Of Toronto Innovations Foundation Particle classifier
GB2174621B (en) * 1985-04-18 1988-11-16 Canon Kk Process for producing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nd apparatus therefor
JPH0619586B2 (ja) * 1986-05-12 1994-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の製造方法
JP2791013B2 (ja) * 1986-10-17 1998-08-27 キヤノン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摩擦帯電性トナー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2288451A (ja) * 1989-04-27 1990-11-28 Nec Corp 通話アダプタ
CA1332160C (en) * 1989-05-23 1994-09-27 Gary Francis Quig Particle separator
CN1024169C (zh) * 1990-01-15 1994-04-13 合肥工业大学 微粉粒度分级装置
US5111998A (en) * 1990-03-30 1992-05-1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apparatus system therefor
US5447275A (en) * 1993-01-29 1995-09-05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production process
AT398915B (de) * 1993-02-01 1995-02-27 Jetzlsberger Montage Gmbh Verfahren zum auftrennen eines gemisches aus festen teilchen in einzelne fraktionen, sowie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5712075A (en) * 1994-01-25 1998-01-27 Canon Kabushiki Kaisha Gas current classifi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03011A1 (en) 1996-03-27
US6015048A (en) 2000-01-18
EP0703011B1 (en) 2000-08-23
DE69518479T2 (de) 2001-05-23
CN1129151A (zh) 1996-08-21
DE69518479D1 (de) 2000-09-28
KR960011590A (ko) 1996-04-20
CN1054553C (zh) 200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823A (en) Air current classifier, process for preparing toner, and apparatus for preparing toner
KR940007338B1 (ko)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0135061B1 (ko) 낮가스 흐름 분급기, 가스 흐름 분급 방법, 토너 생산방법 및 장치
KR950006885B1 (ko) 충돌식 기류분쇄기, 미분체제조장치 및 토너의 제조방법
KR100254668B1 (ko) 기류식 분급기 및 토너 제조 방법
KR0161561B1 (ko) 기류식 분급 장치 및 토너 제조 방법
KR100186817B1 (ko) 기류식 분급기 및 토너 제조방법
JP3297553B2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JP3278326B2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JP2001201890A (ja) トナーの製造方法
JP3327773B2 (ja) 静電荷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JP3347551B2 (ja) 気流式分級機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JP3278325B2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JP3327763B2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トナー製造方法
KR930004694B1 (ko) 기류분급기, 토너의 제조방법 및 토너의 제조장치
JPH09187733A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トナー製造方法
JP3295794B2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JP3295793B2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JPH1110090A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JPH09314060A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JPH09299885A (ja) トナー製造用気流式分級装置
JPH1099784A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JPH07109523B2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JP2000237688A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トナー製造方法
JPH08182967A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トナー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