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201B1 -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201B1
KR0161201B1 KR1019950036681A KR19950036681A KR0161201B1 KR 0161201 B1 KR0161201 B1 KR 0161201B1 KR 1019950036681 A KR1019950036681 A KR 1019950036681A KR 19950036681 A KR19950036681 A KR 19950036681A KR 0161201 B1 KR0161201 B1 KR 016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rain
channel region
gate electrod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284A (ko
Inventor
오응기
양전욱
박철순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3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201B1/ko
Priority to US08/566,709 priority patent/US5580803A/en
Priority to JP7316873A priority patent/JP2901905B2/ja
Publication of KR97002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848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Schottky gate, i.e. MESFET
    • H01L29/6685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Schottky gate, i.e. MESFET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 H01L29/66863Lateral single gate transistors
    • H01L29/66871Processes wherein the final gate is made after the formation of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in the active layer, e.g. dummy-gate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7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AIIIBV compounds
    • H01L21/28587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AIIIBV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sectional shape, e.g. T, inverted 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91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Schottky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2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29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5Ohmic electrodes
    • H01L29/452Ohmic electrodes on AIII-BV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848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Schottky gate, i.e. MESFET
    • H01L29/6685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Schottky gate, i.e. MESFET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 H01L29/66863Lateral single gate transistors
    • H01L29/66878Processes wherein the final gate is made before the formation, e.g. activation anneal, of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in the act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80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 H01L29/81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with a Schottky gate
    • H01L29/812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with a Schottky gate with recessed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We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MESFET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된 채널영역의 소정 부분에 캡층을 이용하여 역메사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역메사부분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채널영역 사이에 작은 에너지와 저농도로 이온주입하여 소오스 쪽 보다 드레인 쪽이 넓은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역메사부분의 표면이나 역메사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홈에 T형 게이트 전극을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되지 않게 형성한다. 따라서, 저농도 드레인 영역이 넓으므로 드레인 항복 전압이 향상되며, T형 게이트 전극에 의해 게이트저항이 감소되므로 소자의 고주파특성 및 잡음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이트 전극과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역메사부분 형성시 식각에 의한 채널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의 길이와 채널층의 두께의 비를 크게하여 숏채널 효과를 줄인다.

Description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제1도 (a) 내지 (e)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
제2도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
제3도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반도체 기판 23 : 채널영역
25 : 감광막 27,28 :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29 : 캡층, 게이트 전극 30 : 역메사부분
31,37 : 감광막 35 : 보호막
33,34 : 저농도 영역 38,39 :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
41 : 감광막 43 : 홈
45 : 게이트 전극
본 발명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etal Semicondoctor Field Effect Transistor : 이하, MESFET라 칭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온주입 및 자기정렬공정 T형 게이트 형성공정 등을 포함하는 MESFET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성 또는 이동통신과 같은 고성능 수신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동작하며 낮은 잡음지수와 큰 이득을 갖는 GaAs 또는 InP 등의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MESFET 등의 반도체 소자가 요구된다.
MESFET의 고주파특성 그리고 저잡음특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0.5㎛ 이하의 미세한 선폭의 게이트형성은 물론 기생저항, 기생용량등을 최소화하고 드레인 항복전압등을 극대화하는 등 소자 성능향상이 중요하다.
또한 높은 집적도와 높은 산출량을 얻기 위해서 간단하고 재현성이 우수한 제작방법이 필수적이다.
MESFET의 특성 향상을 위해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의 사이의 채널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의 불순물을 저농도로 도핑시킨 LDD 구조가 채택되었다.
LDD 구조를 채택한 MESFET의 제조방법이 미국 특허 제5,182,218호에 기술되어 있다.
제1도 (a) 내지 (e)는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LDD 구조를 채택한 MESFET의 제조공정도이다.
제1도 (a)를 참조하면, GaAs 등의 반절연성 반도체 기판(1)의 표면에 SiO2등을 증착하여 표면보호층(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표면보호층(3)의 상부에 감광막(5)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에 의해 상기 표면보호층(3)의 소정 부분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 표면보호층(3)의 노출된 부분의 반도체 기판(1)의 상부에 채널영역(7)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전 표면에 실리콘등의 N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한다.
제1도 (b)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보호층(3)의 노출된 부분과 감광막(5)의 상부에 감광막(9)을 도포한다. 그리고, 감광막(9)의 게이트 전극이 형성될 소정 부분을 노광 및 현상에 의해 상기 표면보호층(3)이 노출되도록 제거하고, 상기 감광막(9)을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표면보호층(3)을 제거하여 상기 채널영역(7)중에 게이트 전극이 형성될 부분만 노출시킨다.
그 다음, 상기 채널영역(7) 및 감광막(9)의 상부에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티타늄 등의 고융점금속이나, 또는, 상기 고융점금속의 실리사이드를 스퍼터링 방법으로 증착하여 채널영역(9)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11)을 형성한다. 이때, 제2감광막(9)의 상부에도 상기 게이트 전극(11)과 동일한 게이트 전극 물질층(11)이 상부에도 증착되나 측면에는 증착되지 않는다.
제1도 (c)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층(11)을 마스크로 하여 반응성 이온식각(Reactive Ion Etching : 이하, RIE라 칭함) 방법으로 상기 감광막(9)이 언더컷(undercut) 되도록 노출된 측면을 소정 폭만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층(11)을 마스크로 하여 Si3N4또는 SiO2등을 스퍼터링에 의하여 게이트 캡핑층(gate capping layer : 13)을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캡핑층(13)은 상기 게이트 전극(11)의 상부 뿐만 아니라 감광막(9)이 언더컷된 부분까지 퍼져 증착되어 상기 게이트 전극(11)의 측면에도 증착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캡핑층(13)은 게이트 전극물질층(11)의 상부에도 증착된다.
제1도 (d)를 참조하면, 상기 감광막(9)을 아세톤 등으로 제거한다. 이때, 상기 감광막(9)의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물질층(11)과 게이트캡핑층(13)은 감광막(9)이 제거되면서 함께 리프트-오프(lift-off) 되는 데, 상기 감광막(5)은 2번, 즉, 감광막(5) 형성시와 감광막(9) 형성시에 열처리되므로 감광막(9) 보다 더 경화되어 제거되지 않고 남게된다. 그리고, 별도의 마스크를 형성하지 않고 Si을 고농도로 이온주입하여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14)(15)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감광막(5)과 게이트캡핑층(13) 하부의 반도체 기판(1)에는 Si가 주입되지 않는다.
제1도 (e)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캡핑층(13)을 RIE 방법 등에 의해 제거한다. 그리고, 별도의 마스크를 형성하지 않고 Si을 저농도로 이온주입하고 주입된 이온들의 활성화를 위한 열처리하여 상기 채널영역(7)과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14)(15)의 사이에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16)(17)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감광막(5)과 게이트 전극(11)의 하부에는 Si이 주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감광막(5)을 제거하고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14)(15) 상부의 표면보호층(3)을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으로 제거한다. 상기에서, 감광막(5)은 2번의 열처리를 매우 단단하게 경화되었으므로 감광막(9)을 제거하는 아세톤 등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광막(5)을 애슁(ashing)하여 제거한다. 그 다음, 상기 노출된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14)(15)의 상부 표면에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18)(19)을 형성하여 MESFET를 완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MESFET의 제조방법은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후 게이트물질층 하부의 감광막을 언더컷 되게 식각하는 것에 의해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캡핑층의 폭을 한정하므로 게이트 전극의 양단과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LDD 구조를 이루는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의 폭을 조절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MESFET의 제조방법은 상기 감광막의 언더컷된 정도가 게이트 전극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이루므로 드레인의 항복전압을 향상시키기 위해 저농도 드레인 영역을 넓히게 되면 저농도 소오스영역도 넓어지며, 또한, 게이트 전극이 길고 단면적이 작아 소오스 및 게이트저항이 증가되어 소자의 고주파특성 및 잡음특성이 감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과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접촉되므로 주입된 불순물 이온의 활성화를 위하여 고온에서 열처리 할 때 게이트 전극이 수평 방향으로 팽창되고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확장되어 누설전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MESFET의 제조방법에서는 저농도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언더컷의 정도를 RIE에 의해 조절하므로 RIE에 의한 식각의 불균형에 의해서 저농도영역의 크기가 변하게되고 따라서 소자의 특성 특히, 기생저항과 드레인 항복전압등에 변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오스저항을 줄이며 동시에 드레인 항복전압 특성을 향상시키며 게이트저항을 줄여 고주파특성과 잡음 특성을 향상시키고, 집적도를 높이며 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T형 게이트와 LDD 구조를 갖는 MESFET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게이트 전극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누설전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MESFET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숏채널 효과(short channel effect)를 방지할 수 있는 MESFET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 선폭 게이트 및 LDD 구조와 T형 게이트를 같은 공정방법으로 한번에 구현하여 집적도와 산출량을 높이는 MESFET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ESFET의 제조방법은 반절연성 화합물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에 소정 도전형의 채널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채널영역의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양측에 상기 채널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의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된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채널영역 상의 소정 부분에 캡층을 형성하고 이 캡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노출된 부분을 습식식각하여 상기 채널영역 상에 상기 소오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는 역메사부분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캡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채널영역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의 사이에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의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캡층을 제거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역메사부분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노출되도록 보호막을 제거하고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역메사부분을 제거하여 채널영역의 소정 부분에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여 T자형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ESFET의 제조방법은 반절연성 화합물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에 소정 도전형의 채널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채널영역의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양측에 상기 채널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의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된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채널영역 상의 소정 부분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이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노출된 부분을 습식 식각하여 상기 채널영역 상에 상기 소오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는 역메사부분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채널영역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의 사이에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의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노출되도록 보호막을 제거하고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여 T자형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ESFET의 제조 공정도이다.
제2도 (a)를 참조하면, (100)의 방향을 갖는 GaAs 등의 반절연성 반도체 기판(21) 상에 감광막(도시되지 않음)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21)의 소정 부분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21)의 노출된 부분에 Si 등을 저농도로 이온 주입하여 N형의 채널영역(2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감광막이 도포되어 있는 부분의 반도체 기판(21)에는 상기 감광막에 의해 Si 이온이 주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감광막을 애슁 방법으로 제거한다. 그 다음, 상기 반도체 기판(21) 상에 감광막(25)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에 의해 상기 채널영역(23)의 중앙 부분을 제외한 양측 부분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채널영역(23)의 노출된 부분에 Si 등의 불순물을 상기 채널영역(23) 보다 높은 에너지와 고농도로 이온 주입하고 열처리하여 N형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채널영역(23)을 이온 주입하여 형성하였으나 결정 성장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채널영역(23)과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을 Si 등의 N형 불순물로 형성하였으나 Be 또는 Mg 등의 P형 불순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채널영역(23)과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을 Si 등의 N형 불순물로 형성하였으나 Be 또는 Mg 등의 P형 불순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도 (b)를 참조하면, 상기 감광막(25)을 애슁 방법으로 제거한다. 그 다음, 상기 반도체 기판(21)의 표면에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티타늄 등의 고융점금속, 질화텅스텐 등의 상기 고융점금속의 화합물, 또는, 상기 고융점금속의 실리사이드를 스퍼터링 방법으로 전체기판상에 증착하여 캡층(29)을 형성한다. 그리고,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해 게이트 전극이 형성될 채널영역(23)의 소정 부분만 덮인 레지스트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 후, 상기의 레지스트패턴을 마스크로하여 채널영역(23)의 소정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캡층(29)을 제거한다.
제2도 (c)를 참조하면, 상기 캡층(29)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21)의 표면을 습식식각하여 상기 채널영역(23) 상에 역메사부분(30)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반도체 기판(21)으로 이용되는 GaAs는 결정 방향에 따라 습식식각되는 형태가 다른데, 주평면(majer flat)방향인방향으로는 역메사의 식각형태를 나타내고, 보조평면(minor flat)인방향으로는 메사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채널영역(23) 상의 캡층(29)은 반도체 기판(21)의 주평면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역메사부분(30) 식각시 식각 용액(etchant)으로 H3PO4: H2O2: H2O가 4 :1 : 50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이 사용되어 ∼900Å/분 정도의 식각율을 가지며 ∼60°정도의 각도로 식각된다. 상기 역메사부분(30)의 식각 각도에 따라 이후에 형성될 게이트 전극(도시되지 않음)과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도시되지 않음)의 이격 거리가 결정된다.
그 다음, 상기 반도체 기판(21)의 채널영역(23)과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을 제외한 부분에 감광막(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캡층(29)과 감광막(31)을 마스크로 하여 Si을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 보다 작은 에너지와 저농도로 이온주입하고 열처리하여 상기 채널영역(23)과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의 사이에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33)(34)을 형성하여 LDD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감광막(31)과 캡층(29)의 하부에는 Si이 주입되지 않는데, 캡층(29)과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 각각의 이격 거리에 의해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의 크기가 조절된다. 상기에서 캡층(29)이 드레인 영역(28)이 소오스 영역(27) 보다 이격 거리가 크므로 저농도 드레인 영역(34)이 저농도 소오스 영역(33)보다 넓게 형성된다.
제2도 (d)를 참조하면, 상기 감광막(31)을 애슁 방법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21)의 표면에 Si3N4또는 SiO2등을 증착하여 패드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 후 급속열처리(rapid thermal annealing) 등에 의해 주입된 불순물 이온을 활성화시킨다. 그 다음, 상기 캡층(29)과 패드층을 RIE 방법에 의해 제거하고, 다시 반도체 기판(21)의 표면에 Si3N4또는 SiO2등을 증착한 후 역메사부분(30)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하여 표면이 평탄한 보호막(3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역메사부분(30)과 보호막(35)의 상부에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 상부의 보호막(35)이 노출되도록 감광막(37)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감광막(37)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보호막(35)을 제거하여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을 노출시킨다.
제2도 (e)를 참조하면, 상기 노출된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의 표면에 AuGe/Li/Au 등의 오믹 금속을 증착하여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감광막(37)의 상부에도 상기 오믹금속이 증착된다. 그리고, 감광막(37)을 제거하는데, 이때, 감광막(37)의 상부에 증착된 오믹금속도 리프트오프되어 제거되고,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 금속의 신터링(singtering)을 위해 열처리한다. 그 다음, 상기 보호막(35)과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의 상부에 감광막(41)을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감광막(41)을 노광 및 현상하여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과 상기 채널영역(23) 상부의 역메사부분(30)을 노출시킨다.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과 감광막(41)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노출된 역메사부분(30)을 상기 채널영역(23)도 소정 깊이 제거되도록 리세스식각(recess etching)하여 홈(groove : 43)을 형성한다.
제2도 (f)를 참조하면, 상기 홈(43)의 내부에 금(Au) 등의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여 T자형의 게이트 전극(4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감광막(41)과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의 상부에도 상기 도전성 금속이 증착된다. 그리고, 감광막(41)을 제거하여 MESFET를 완성하는 데, 이때, 감광막(41)의 상부에 증착된 오믹금속도 리프트오프되어 제거된다.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의 상부에 증착된 도전성금속은 제거되지 않고 함께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으로 이용된다.
제3도 (a) 및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ESFET의 제조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는 이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층(29)이 게이트 전극이 된다.
제3도 (a)를 참조하면, 제2도 (a) 내지 (c)의 공정을 수행한 후 감광막(31)을 애슁 방법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21)의 표면에 Si3N4또는 SiO2등을 증착하고 급속열처리(rapid thermal annealing) 등에 의해 주입된 불순물 이온을 활성화시킨 후, 캡층(29)이 표면에 노출되도록 평탄화하여 표면이 평탄한 보호막(35)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역메사부분(30)과 보호막(35)의 상부에 감광막(37)을 도포한 후 통상의 포토리소그라피 방법에 의해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제3도 (b)를 참조하면, 상기 노출된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27)(28)의 표면에 AuGe/Li/Au 등의 오믹 금속을 증착하여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감광막(37)의 상부에도 상기 오믹금속이 증착된다. 그리고, 감광막(37)을 제거하는 데, 이때, 감광막(37)의 상부에 증착된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27)(28)을 형성할 때 감광막(37)의 상부에 증착된 오믹금속도 리프트오프되어 제거된다. 이때, 역메사부분(29)의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29)도 노출된다. 그 다음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 금속의 신터링(sintering)을 위해 열처리한다.
제3도 (c)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29), 보호막(35)과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의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감광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과 상기 게이트 전극(29)을 노출시킨다. 상술한 구조의 전 표면에 금(Au) 등의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여 T자형의 게이트 전극(4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감광막(41)과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의 상부에도 상기 도전성 금속이 증착된다. 그리고, 감광막을 제거하여 MESFET를 완성하는 데, 이때, 감광막의 상부에 증착된 오믹금속도 리프트오프되어 제거된다.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의 상부에 증착된 도전성금속은 제거되지 않고 함께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38)(39)으로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ESFET의 제조방법은 양측에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된 채널영역의 소정 부분에 캡층을 이용하여 역메사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역메사부분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여과 채널영역 사이에 작은 에너지와 저농도로 이온주입하여 소오스 쪽 보다 드레인 쪽이 넓은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역메사부분의 표면이나 역메사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홈에 T형 게이트 전극을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되지 않게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농도 드레인 영역이 넓으므로 드레인 항복 전압이 향상되며, 또한, T형 게이트 전극에 의해 게이트저항이 감소되므로 소자의 고주파특성 및 잡음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과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역메사 부분 형성시 식각 정도에 따라 채널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의 길이와 채널층의 두께의 비를 크게하여 숏채널 효과(short channel effect)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5)

  1. 반절연성 화합물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에 소정 도전형의 채널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채널영역의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양측에 상기 채널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의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된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채널영역 상의 소정 부분에 캡층을 형성하고 이 캡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노출된 부분을 습식식각하여 상기 채널영역 상에 상기 소오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는 역메사부분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캡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채널영역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의 사이에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의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캡층을 제거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역메사부분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노출되도록 보호막을 제거하고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역메사부분을 제거하여 채널영역의 소정 부분에 T형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영역을 이온주입 방법 또는 에피택셜방법으로 형성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영역을 N형 또는 P형 도전형을 도핑하여 형성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형 불순물이 Si인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불순물이 Be 또는 Mg인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층을 고융점금속, 상기 고융점금속의 화합물, 또는, 상기 고융점금속의 실리사이드로 형성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가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층을 스퍼터링 또는 진공증착 방법으로 형성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메사부분을 소오스영역보다 드레인 영역의 이격 거리가 크도록 형성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메사부분을 H3PO4: H2O2: H2O가 4 : 1 : 50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으로 습식식각하여 형성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메사 부분을 ∼60°의 각도로 형성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메사 형태의 반절연성 화합물 반도체 기판을 이용하여 보호막 이 역메사 형태의 열린 부분을 갖도록 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메사 형태의 열린 부분을 갖는 보호막을 이용하여 미세선폭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3. 반절연성 화합물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에 소정 도전형의 채널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채널영역의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양측에 상기 채널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의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된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채널영역 상의 소정 부분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이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노출된 부분을 습식식각하여 상기 채널영역 상에 상기 소오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는 역메사부분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채널영역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의 사이에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의 저농도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노출되도록 보호막을 제거하고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여 T자형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고융점금속, 상기 고융점금속의 화합물 또는 상기 고융점금속의 실리사이드로 형성하는 T형 게이트와 자기 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T형 게이트 전극 형성시 도전성금속이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에도 증착되는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19950036681A 1995-10-23 1995-10-23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016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681A KR0161201B1 (ko) 1995-10-23 1995-10-23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08/566,709 US5580803A (en) 1995-10-23 1995-12-04 Production method for ion-implanted MESFET having self-aligned lightly doped drain structure and T-type gate
JP7316873A JP2901905B2 (ja) 1995-10-23 1995-12-05 T型ゲートと自己整列ldd構造をもつ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681A KR0161201B1 (ko) 1995-10-23 1995-10-23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284A KR970024284A (ko) 1997-05-30
KR0161201B1 true KR0161201B1 (ko) 1998-12-01

Family

ID=1943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681A KR0161201B1 (ko) 1995-10-23 1995-10-23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80803A (ko)
JP (1) JP2901905B2 (ko)
KR (1) KR0161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47561B (en) * 1997-06-20 1998-12-11 Ti Acer Co Ltd Method of forming a T-gate Lightly-Doped Drain semiconductor device
US6246096B1 (en) * 1998-06-24 2001-06-12 Advanced Micro Devices Totally self-aligned transistor with tungsten gate
US6458640B1 (en) * 2001-06-04 2002-10-01 Anadigics, Inc. GaAs MESFET having LDD and non-uniform P-well doping profiles
JP2003037264A (ja) * 2001-07-24 2003-02-0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36981B2 (en) * 2008-05-01 2010-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al high dielectric constant transistor with reverse-T gate
US20090275182A1 (en) * 2008-05-01 2009-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a metal high dielectric constant transistor with reverse-t gate
FR2980913B1 (fr) * 2011-09-30 2014-04-1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structuration d'une couche active organique deposee sur un substra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6866A (ja) * 1983-10-19 1985-05-16 Matsushita Electronics Corp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12836B2 (ja) * 1987-09-23 1997-05-21 シーメン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自己整合ゲートを備えるmesfetの製造方法
JP2786307B2 (ja) * 1990-04-19 1998-08-1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185278A (en) * 1990-10-22 1993-02-09 Motorola, Inc. Method of making self-aligned gate providing improved breakdown voltage
US5182218A (en) * 1991-02-25 1993-01-2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roduction methods for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ightly doped drain structure
KR0135024B1 (en) * 1994-11-15 1998-04-20 Korea Electronics Telecomm Fabrication method of self-aligned t-gare gaas metal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284A (ko) 1997-05-30
JP2901905B2 (ja) 1999-06-07
US5580803A (en) 1996-12-03
JPH09129653A (ja) 199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6812A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lf-aligned metal- semiconductor fet
US5510280A (en) Method of making an asymmetrical MESFET having a single sidewall spacer
US5036017A (en) Method of making asymmetrical field effect transistor
US4956308A (en) Method of making self-aligned field-effect transistor
JPH0826456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4997779A (en) Method of making asymmetrical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US5182218A (en) Production methods for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ightly doped drain structure
US511276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ield effect transistors
KR0161201B1 (ko) T형 게이트와 자기정렬 ldd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4523368A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GB2230899A (en) Method of producing a gate
US4193182A (en) Passivated V-gate GaAs field-effect transistor and fabrication process therefor
KR0179116B1 (ko) 자가정렬형 티형 게이트 제조방법
US5640029A (en) Field-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0304974B1 (ko) 모스트랜지스터제조방법
KR0142782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940006705B1 (ko) 모스패트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0170513B1 (ko)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940002778B1 (ko) Ldd 구조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3035969B2 (ja) 化合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GB2140617A (en) Methods of form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KR100235980B1 (ko) 모스패트 제조방법
KR100232152B1 (ko) 메스펫트의 제조방법
KR0136456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950003945B1 (ko) 화합물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