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156B1 -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156B1
KR0160156B1 KR1019930001595A KR930001595A KR0160156B1 KR 0160156 B1 KR0160156 B1 KR 0160156B1 KR 1019930001595 A KR1019930001595 A KR 1019930001595A KR 930001595 A KR930001595 A KR 930001595A KR 0160156 B1 KR0160156 B1 KR 0160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aft
top cone
air dischar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438A (ko
Inventor
양광호
정종태
Original Assignee
윤양중
금호타이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양중, 금호타이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양중
Priority to KR101993000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156B1/ko
Publication of KR94001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래더 고무 주입전에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인젝션 프레스의 작동을 원할하게 하고 블래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몰드(20)의 중앙에 제품형성실(11)로 통하는 단이 진 관통공(21)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21)의 하부에는 중앙에 동축방향으로 관통공(31)이 형성된 탑콘(1)을 육각렌치볼트(5)로 장착하며, 상기 탑콘의 관통공(31)을 통한 상기 단이 진 관통공(21)에는 상단에 육간렌치볼트(6)에 의하여 캡(3)이 결합된 축(2)을 내삽하되, 상기 탑콘(1)의 상단 및 상기 캡(3)의 하단 사이의 상기 축(2)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2)이 상하이동자재토록 스프링(4)을 탄설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 배출 장치
제1도는 종래의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를 장착한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의 (a),(b)는 각각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탑콘의 정면도 및 일부단면을 나타낸 탑콘의 측면도.
제5도의 (a),(b)는 각각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축의 일부단면을 나타낸 측면도 및 축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탑콘 2 : 축
3 : 캡 4 : 스프링
5,6 : 육각렌치볼트 7 : 멈춤나사
8,9,10 : 0-링 11 : 제품형성실
12 : 공기배출라인 13,13',15,16 : 축의 공기배출공
14 : 탑콘의 공기배출공 20 : 상몰드
21 : 단이 진 관통공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제조시 블래더의 가류몰드 내의 공기를 자동적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와 같이, 블래더 고무가 인젝션 프레스 노즐로부터 블래더 몰드에 주입되는 동안에, 일반적으로 몰드내의 공기는 주입되는 블래더 고무에 의하여 제품형성실(11)의 끝부분의 공기배출라인(12)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몰드내의 공기는 공기배출라인(12)을 통해서만 배출되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 모두 빠져 나가지 못하고 일부 잔존하므로 제품형성실(11)내에 잔존공기에 의한 배압이 걸려서 블래더 고무가 주입되는데에 고압이 걸린다. 따라서 인젝션프레스에 무리가 오고 블래더 고무는 제품형성실 전 부위에 빠른 속도로 투입되지 않는다. 또한 몰드내의 공기의 이동이 작업사이클마다 틀리기 때문에 공기가 블래더 고무내에 잔존하게 되므로 가류부족 현상이나 미가류 상태를 유발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블래더 고무 주입전에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인젝션 프레스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블래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몰드의 중앙에 단이 진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단이 진 관통공의 하부에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탑콘(top cone)을 장착하며, 상기 탑콘의 관통공을 통한 상기 단이 진 관통공에는 상단에 육간 렌치 볼트에 의하여 캡이 결합된 축을 내삽하며, 상기 탑콘의 상단 및 상기 캡의 하단 사이의 상기 축의 외주면에는 스프링을 탄설하여 상기 축이 상하운동함으로써 제품형성실내의 공기를 블래더 고무주입전에 배출하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 장치를 상몰드(20)에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몰드(20)의 중앙에는 제품형성실(11)에 통하도록 단이 진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1)의 하부에는 동축방향으로 중앙에 관통공(31)이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중앙에 플랜지(32)가 형성된 탑콘(1)이 내삽되어 있다. 제4도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콘(1)의 플랜지(32) 상부에는 동심원상에 등간격으로 3개의 체결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상몰드의 관통공(24) 및 상기 체결공(33)을 통하여 탑콘(1)이 육간렌치볼트(5)에 의하여 상몰드(20)에 장착된다. 탑콘(1)의 상단부(34)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공(31)과 통하는 공기배출공(14)이 형성되어 있고, 탑콘(1)의 관통공(31)의 하단부(35)는 제품형성실(11)을 향하여 확개되도록 테이퍼져 있다. 또한 탑콘(1)의 상단부(34)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원주상의 홈(36a)(36b)(36c)이 각각 환설되어 있고, 상기 원주상의 홈(36a),(36b),(36c)에는 0-링(10)(9)(8)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탑콘(1)이 관통공(31)을 통하여 상몰드(20)의 관통공(21)에는 축(2)이 상하 이동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제5도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2)의 하단부(18)는 탑콘의 하단부(35)의 테이퍼진 관통홀(31)에 대응하여 테이퍼져 있으며, 상기 테이퍼진 부위의 하단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2)의 상단에서부터 축(2)의 테이퍼진 부위까지 공기배출공(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진 부위에는 공기배출공(15)과 연통하도록 직경방향으로 공기배출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축(2)의 중앙 일정위치에는 축(2)의 상하작동시 탑콘(1)의 공기배출공(14) 및 축(2)의 공기배출공(15)과 연통하도록 직경방향으로 서로 수직되게 공기배출공(13)(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축(2)의 공기배출공(15) 상단부에는 탭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축(2)의 상단에는 상기 탭부(17)의 상단부를 통하여 캡(3)이 육간렌치볼트(6)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탭부(17)의 하단부에는 멈춤나사(7)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캡(3)의 하단과 탑콘(1)의 상단 사이에는 스프링(4)이 탄설되어 본 발명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20' 는 하몰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젝션 프레스 노즐로부터 블래더 고무가 주입되기 전에 프레스의 상측 센터에서 실린더가 작동하여 캡(3)을 아래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캡(3)과 결합된 축(2)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탑콘(1)의 중앙하단부(35)에 대하여 축(2)의 하단부(18)가 테이퍼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축(2)이 하강함으로써 상기 하단부들(35)(18)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 틈을 통하여 제품형성실(11) 내의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축(2)이 공기배출공들(16)(15)(13,13')을 차례로 통과하게 되고, 이 통과된 공기는 탑콘(1)의 공기배출공(14)을 통과하여 탑콘(1)과 상몰드(20)사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23)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공기배출이 끝나면 캡(3)을 누르고 있던 실린더가 복귀하게 되고, 따라서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하여 축(2)이 원위치하게 된다. 축(2)이 원위치하게 되면 곧바로 인젝션 프레스 노즐로부터 블래더 고무가 제품형성실(11)안으로 원할하게 주입된다.
상기 공기 배출 과정에서, 0-링들(8)(9)(10)은 흡입된 공기 및 외부공기가 제품형성실(11)내로 다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작용을 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탭부(17)의 하단부에 체결된 멈춤나사(7)는 외부의 공기가 제품형성실(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는, 제품형성실(11)내에 배압이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인젝션 프레스의 작동을 원할하게 할 수 있고, 제품형성에 있어서는 가류부족 현상이나 미가류 부위가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품질의 향상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제품형성실(11)에 블래더 고무가 주입되기 때문에 블래더 고무의 밀도가 증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 하몰드(20)(20')로 구성된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에 있어서, 상기 상몰드(20)의 중앙에 제품형성실(11)로 통하는 단이 진 관통공(21)을 형성하고, 상단부(34), 중앙이 확개된 하단부(35) 및 플랜지(32)를 구비하고 중앙에 상기 관통공(21)과 동축방향으로 관통공(21)이 형성된 탑콘(1)을 상기 관통공(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육각렌치볼트(5)로 상몰드(20)에 장착하며, 상기 탑콘(1)의 관통공(31)을 통한 관통공(21)에는 상기 탑콘(1)의 하단부(35)와 대응되게 테이퍼진 하단부(18)를 구비하고 상단에 육각렌치볼트(6)에 의하여 캡(3)이 결합된 축(2)을 내삽하며, 상기 탑콘(1)의 상단 및 상기 캡(3)의 하단 사이의 상기 축(2)의 외주면에는 축(2)이 상하이동자재토록 스프링(4)을 탄설하며, 상기 축(2) 및 탑콘(1)에는 그 축(2)의 상하이동에 따라 제품형성실(11)로 연통하는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탑콘(1)은 제품형성실(11)을 향하여 확개되도록 테이퍼진 관통공(31)이 형성된 하단부(35)와, 동심원상에 등간격으로 3개의 체결공(33)이 형성된 플랜지(32)와, 그리고 상기 관통공(31)과 연통하도록 직경방향으로 공기배출공(14)이 형성되고 내. 외주면상에는 0-링(10)(9)(8)이 각각 장착되도록 원주상의 홈(36a)(36b)(36c)이 형성된 상단부(3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축(2)은 그 하단부(18)가 탑콘의 하단부(35)의 테이퍼진 관통공(31)에 대응하여 테이퍼지고 상기 테이퍼진 부위의 하단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축(2)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테이퍼진 부위까지 공기배출공(15)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진 부위에는 상기 공기배출공(15)과 연통하는 공기배출공(16)이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며, 축(2)의 중앙일정 위치에는 축(2)의 상하작동시 탑콘(1)의 공기배출공(14)과 연통하도록 직경방향으로 서로 수직되게 공기배출공(13)(13')이 각각 형성되며, 공기배출공(15) 상단부에는 탭부(17)가 형성되어, 상기 탭부(17)의 하단부에는 멈춤나사(7)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배출장치.
KR1019930001595A 1993-02-05 1993-02-05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 배출 장치 KR016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595A KR0160156B1 (ko) 1993-02-05 1993-02-05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595A KR0160156B1 (ko) 1993-02-05 1993-02-05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438A KR940019438A (ko) 1994-09-14
KR0160156B1 true KR0160156B1 (ko) 1999-01-15

Family

ID=1935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595A KR0160156B1 (ko) 1993-02-05 1993-02-05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85B1 (ko) * 2021-10-19 2023-04-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블래더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85B1 (ko) * 2021-10-19 2023-04-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블래더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438A (ko) 1994-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31595A (ja) タイヤ製造用未加硫ゴム部材、及びタイヤ製造用未加硫ゴム部材の製造装置
AU1754099A (en) A tyre air tube and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
US5152951A (en) Vented tire mold and method for vacuum molding
KR0160156B1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가류몰드의 공기 배출 장치
US4655699A (en) Reduced flash molding apparatus
KR960015285B1 (ko) 타이어 가황 주형으로 부터의 공기배출 시스템
KR970006948Y1 (ko) 타이어 가루용 블래더 가류몰드의 공기 배출장치
US3278990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
KR20030029739A (ko) 벤트 플러그 및 그 벤트 플러그를 구비한 타이어 가류 몰드
GB2050931A (en) Tyre vulcanisation mould
KR200182189Y1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몰드의 구조
KR200141864Y1 (ko) 타이어성형용 금형의 공기배출구조
CN110774491A (zh) 轮胎硫化模具排气防堵结构及其工作方法
CN217318987U (zh) 一种带有防泄漏机构的注塑机用注塑头
CN218749449U (zh) 柔性轮胎模具
KR100219179B1 (ko) 벤트라인이 형성되는 인너라이너와 인너라이너의성형방법
KR200203445Y1 (ko) 타이어 가류기의 비드링구조
CN214447769U (zh) 一种两开轮毂轴承油封硫化模具
CN211440762U (zh) 轮胎硫化模具排气防堵结构
JPH05177644A (ja) 空気入りタイヤ用金型
JP4501421B2 (ja) タイヤ成形用金型
CN206796450U (zh) 一种复杂断面结构的橡胶产品模具排气结构
KR910007779Y1 (ko) 타이어 가류금형내의 문자변경 및 공기 누출장치
JPH05309657A (ja) 二つ割り型タイヤ成形用金型
KR200177092Y1 (ko) 돌기부가 있는 스톤리젝터(stone rejector)부를 구비한 중하중용 공기입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