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163B1 -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 감소시의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 감소시의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163B1
KR0159163B1 KR1019950054062A KR19950054062A KR0159163B1 KR 0159163 B1 KR0159163 B1 KR 0159163B1 KR 1019950054062 A KR1019950054062 A KR 1019950054062A KR 19950054062 A KR19950054062 A KR 19950054062A KR 0159163 B1 KR0159163 B1 KR 015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brake
brake oil
oi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672A (ko
Inventor
장정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163B1/ko
Publication of KR97003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감소시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중 배관파열 등의 사고로 인하여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이 감소하여 브레이크 작동이 어려울때 앞뒤 차량에게 신속히 이 상황을 인지시킴으로서 상대방이 안전운전을 하는데 도움이 되게한 것으로서 배터리전원(B+)이 앞, 뒤, 좌, 우 4개의 방향지시등(1), (2), (3), (4)을 조직하는 스위치(SW1)와 그 리레이(Ry1)에 연결된 회로에 있어서 이그니션(IG+)에서 계기판의 경보등(P)을 경유 브레이크 오일 감지스위치(SW2)를 연결한 후 리레이(Ry2)에 연결 접지하여 놓고 이 리레이(Ry2)의 접점(a)의 ON 지점에서 방향지시등 리레이(Ry1)의 접지점과 앞, 뒤 우측 방향지시등(3), (4)의 +입력단에 병열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 감소시의 경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4 : 지시등 SW1, SW2: 스위치
Ry1: 리레이 P : 경보등
IG+ : 이그니션 B+ : 배터리전원
본 발명은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감소시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행중 배관파열 등의 사고로 인하여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이 감소하여 브레이크 작동이 어려울때 앞뒤 차량에게 신속히 이 상황을 인지시킴으로서 상대방이 안전운전을 하는데 도움이 되게한 것이다.
자동차 운행중에는 잦은 브레이크 조작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주행차량이 브레이크 의사가 있을시는 앞뒤 차량이 이를 간파하고 자체 방어 운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의사의 소통이 잘맞지 않으면 앞차와의 충돌이나 뒷차와의 추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러가지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오일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으로 브레이크력을 가감하고 있다.
그러므로 오일탱크와 마스타 실린더 브레이크슈간에는 배관으로서 오일통로를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일배관을 자연히 4개의 바퀴가 있는 자동차 하부부위인 브레이크슈까지 연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특히 비포장도로를 달리게 되면 돌멩이들이 튀어 오르거나 지면과 장애물에 마찰되어 배관이 파열되어 오일의 압력이 감소되기도 하고 근처의 배선 스파크로 인하여 배관에 구멍이 뚤림으로서 오일의 압력이 감소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오일 압력이 감소되어 브레이크 작동이 상당히 어렵게 된다. 이렇게 불안정한 차량에 대하여 앞뒤에 주행하는 차량이 그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방어운전에 차질이 있어 충돌 또는 추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에 감안한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오일의 양을 감지하는 스위치와 이 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리레이와 이 리레이 접점을 방향지시등의 스위칭 회로로 연결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하 발명의 요지를 그 실시예인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한다.
배터리전원(B+)이 앞, 뒤, 좌, 우 4개의 방향지시등(1), (2), (3), (4)을 조작하는 스위치(SW1)와 그 리레이(Ry1)에 연결된 회로에 있어서, 이그니션(IG+)에서 계기판의 경보등(P)을 경유 브레이크 오일 감지스위치(SW2), 리레이(Ry2)가 연결 접지되여 있다. 이 리레이(Ry2)의 접점(a)의 ON 지점에서 방향지시등 리레이(Ry1)의 접지점과 앞, 뒤 우측 방향 지시등(3), (4)의 +입력단에 병열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a)의 OFF지점에서는 전원(B+)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는 핸드 브레이크 스위치, (6)은 경보스위치, (7)은 퓨즈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물론 브레이크 오일 계통에 아무런 이상이 없을 시는 본 발명이 작동하지 않으며 스위치(SW1)로서 방향지시등(1), (2), (3), (4)을 작동시키는 것은 종래와 똑같다.
그러나 브레이크 오일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여 오일이 급격히 감소되는 사고가 발생한다면 브레이크 기능이 상실되게 된다.
이 오일감소를 본 발명의 감지스위치(SW2)가 감지함과 동시 스위치 ON된다. 그러면 이그니션(IG+)의 전원이 경보등(P)를 켜서 운전자에게 이를 통보함과 동시 리레이(Ry2)가 여자된다.
그러면 접점(a)이 ON됨으로서 전원(B+)이 접점(a)을 경유 방향지시등 리레이(Ry1)의 앞, 뒤, 우, 측 방향지시등 (3) (4)의 +입력단과 접지단에 공급되어 방향지시등(3), (4)이 점등 점멸됨으로 앞, 뒤 차량이 사고차량의 상황을 인지, 방어운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작시는 제1도의 회로중 굵은선 부위 계통으로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오일 브레이크 시스템에 그 실시예가 국한된 것이 아니라 브레이크 액을 사용하는 브레이크 계통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회로의 수순이나 소자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

  1. 배터리전원(B+)이 앞, 뒤, 좌, 우 4개의 방향지시등(1), (2), (3), (4)을 조작하는 스위치(SW1)와 그 리레이(Ry1)에 연결된 회로에 있어서, 이그니션(IG+)에서 계기판의 경보등(P)을 경유 브레이크 오일 감지 스위치(SW2), 리레이(Ry2)에 연결 접지하여 놓고 이 리레이(Ry2)의 접점(a)의 ON 시 앞, 뒤 우측 방향지시등(3), (4)이 작동되게 회로연결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 감소시의 경보장치.
KR1019950054062A 1995-12-22 1995-12-22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 감소시의 경보장치 KR015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062A KR0159163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 감소시의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062A KR0159163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 감소시의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672A KR970037672A (ko) 1997-07-24
KR0159163B1 true KR0159163B1 (ko) 1998-12-01

Family

ID=1944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062A KR0159163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 감소시의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1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672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02557A (ja) 自動車のトレーラまたはセミトレーラの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0159163B1 (ko) 자동차 브레이크 오일 압력 감소시의 경보장치
JPH0986274A (ja) 灯火故障バックアップ装置
KR200271315Y1 (ko) 자동차용 비상등 스위치
KR100326708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오작동 첵크장치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US5969434A (en) Circuit for activating automobile brake lights
JP2709930B2 (ja) 車載用電子装置の故障表示方法
KR960010554Y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비상등 점등장치
KR100471800B1 (ko) 자동차용비상램프점멸장치
KR0125735Y1 (ko) 브레이크 작동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비상등
KR0112743Y1 (ko)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KR19980054719A (ko) 자동차의 등화장치 제어회로 및 방법
KR19990049021A (ko) 차량 방향지시등 자동 점멸장치
KR20040102781A (ko) 트레일러 차량의 후방램프 점등 장치
KR19980021900A (ko) 자동차용 자동 비상등
KR19980063040A (ko) 차량의 충돌시 후방 알림장치
RU93008365A (ru) Противоблокировочная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автопоезда
KR19980016675U (ko) 자동차용 브레이크를 이용한 비상등 점등장치
KR19980022099A (ko) 브레이크등 점멸장치
KR19980054523U (ko) 자동차용 비상등 동작 장치
KR19980056852A (ko) 자동차의 비상램프 점소등장치
JP2001171444A (ja) 牽引車の灯火器回路保護装置
KR20040088272A (ko)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KR20050093399A (ko) 자동차 제동등 오픈쇼트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