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763B1 - 밸런스 기구를 가진 스피닝릴 - Google Patents

밸런스 기구를 가진 스피닝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763B1
KR0157763B1 KR98014492A KR19980014492A KR0157763B1 KR 0157763 B1 KR0157763 B1 KR 0157763B1 KR 98014492 A KR98014492 A KR 98014492A KR 19980014492 A KR19980014492 A KR 19980014492A KR 0157763 B1 KR0157763 B1 KR 0157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alancer
center
rotor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801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끼 후로모도
오사무 요시까와
겡이찌 스가와라
히데오 노다
노보루 사까구찌
Original Assignee
시마노 게이조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103321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2716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1040086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738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84989A external-priority patent/JP30164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84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77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95670A external-priority patent/JP30544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29863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043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47249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9770Y2/ja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게이조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게이조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Abstract

본 발명은 로우터의 회전불균형을 억제하는 밸런스 기구를 갖는 스피닝릴에 관한 것으로, 릴본체(2), 상기 릴본체(2)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로우터(4), 상기 로우터(4)의 1쌍의 아암부(4A, 4A)의 한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갖추어져 있는 아암캠(8), 상기 로우터(4)의 1쌍의 아암부(4A, 4A)의 다른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갖추어져 있는 요동아암(9), 상기 아암캠(8)에 형성한 라인로울러(10)와, 상기 요동아암(9)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베일(3), 상기 요동아암(9)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동아암(9)의 요동축심(Y)에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보아 상기 베일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는 밸런서(11)로 구성되어 있어서 낚시꾼이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정도로 그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런스 기구를 가진 스피닝릴
(1) 발명분야
이 발명은 로우터의 회전 불균형을 억제하는 밸런스 기구를 갖는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2) 선행기술의 설명
종래, 이 종류의 밸런스 수단을 갖는 것으로서, 로우터의 밸런스 웨이트를 부착한 것이 있었다 (예를들면 일본 실개소 52-80087호 공보).
이와 같이 밸런스 웨이트를 사용하여 회전 불균형량을 해소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지만, 이 밸런스 웨이트로 완전히 회전 불균형량을 해소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밸런스만을 고려하여 로우터의 형상·부품의 배치를 행할 수도 없고 무엇인가의 대응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 종류의 밸런서는 회전축심에서 이간할 수록, 모우멘트의 값이 커지는 것으로 인하여, 소중량의 것으로 해결된다. 그러나 종래기술과 같이 로우터의 통상부에 밸런서를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이 통상부는 일반적으로, 스푸울의 스커트 부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부위인 것으로, 이 부위에 대하여는 외부에 돌출한 형상에 밸런서를 배치할 수는 없고, 비교적 큰 중량의 밸런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하여 스푸울의 스커트에게 방해되지 않고 밸런서를 배치하기 위하여, 로우터의 후단측(릴본체측)에 밸런서를 배치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 부위는 그다지 높은 강도로 제작되어 있지 않고, 밸런서를 설치함으로써 강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라는 문제가 있다. 더욱 로우터의 후단부에 밸런서를 배치함에 있어서, 이 밸런서를 로우터의 외주로부터 지나치게 돌출한 형태로 부착하면, 로우터의 회전시에 낚시꾼의 손가락 등에 접촉하는 것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닝 릴로서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릴을 조작하는 낚시꾼이 로우터의 회전진동을 허용할 수 있는 상태까지 억제할 수 있는 등, 로우터의 회전 밸런스를 취하고, 원활히 감기조작을 행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도 1은 로우터의 측면도,
도 2는 로우터의 정면도,
도 3은 로우터의 윗면도,
도 4는 전체의 사시도,
도 5는 밸런스 조정후의 하중 토오크 특성도,
도 6은 밸런스 조정전의 하중 토오크 특성도,
도 7은 일부 절결부 전체 측면도,
도 8은 밸런서의 설치 형태를 변경한 별도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한쌍의 아암부를 회전중심에 대하여 옆으로 변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앞부분측 회전평면의 밸런서를 회전중심을 끼고 반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밸런서의 설치형태를 변경한 그위에 별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별도 실시예의 전체 측면도,
도 13은 더욱 별도의 실시예의 릴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릴 정면도,
도 15는 더욱 별도의 실시예의 릴의 전체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릴의 클릭음발생기구의 단면도,
도 17은 더욱 별도 실시예의 릴의 밸런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은 도 17의 릴의 전체 측면도,
도 19는 도 17의 릴의 조작기구의 평면도,
도 20은 도 17의 릴의 해방 조작시의 조작기구의 평면도,
도 21은 더욱 별도 실시예의 릴의 밸런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2는 도 21의 릴의 밸런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3은 더욱 별도 실시예의 릴의 로우터의 밸런스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24는 도 23의 릴의 로우터의 정면도,
도 25는 도 23의 릴의 로우터의 측면도,
도 26은 도 23의 릴의 일부 절결부 측면도,
도 27은 도 23의 릴의 1 방향 클러치의 정면도,
도 28은 도 23의 릴의 클릭체의 지지구조의 단면도,
도 29는 더욱 별도의 실시예의 릴의 밸런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0은 도 29의 릴의 로우터의 측면도,
도 31은 도 29의 릴의 로우터의 정면도,
도 32는 도 29의 스피닝 릴의 전체 측면도,
도 33은 더욱 별도 실시예에 관한 릴의 로우터의 측면도,
도 34는 도 33의 릴의 로우터의 정면도,
도 35는 도 33의 릴의 스푸울의 종단면측면도,
도 36은 도 33의 릴의 전체 측면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구성은, 릴본체에 실을 감기 위하여 전후 축심둘레로 회전작동하는 로우터를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 불균형량을 대략 200g-mm 이하로 억제하는 밸런스 수단을, 상기 로우터에 설치하여 있는 점에 있다.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본 출원인에 있어서는 로우터의 직경이 대략 40mm∼대략 100mm에 걸치는 여러가지 스피닝릴에 대하여, 시판의 회전균형시험기를 사용하여 회전시험을 행한 결과, 회전 불균형량이 약 200g-mm 이하이면 회전진동은 완전히 소거할 수 없는 것이기는 하나 낚시꾼이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정도로 그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판명하였다. 따라서 회전진동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계산기를 구사하여 설계를 행하고, 밸런스 수단의 설치위치와 그 밸런스 수단의 중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용상 지장은 없고, 밸런스 수단의 설계도 간단히 행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을, 릴본체에 실을 감기 위하여 전후축심둘레로 회전작동하는 로우터를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 불균형량을 상기 로우터의 질량으로 나누어서 산출한 편중심량을 대략 3.5mm 이하로 억제하는 밸런스 수단을, 상기 로우터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이하의 작용효과가 생긴다.
즉, 본 출원인에 있어서는 로우터의 직경이 대략 40mm∼대략 100mm에 걸치는 여러가지 스피닝릴에 대하여, 시판의 회전균형시험기를 사용하여 회전시험을 행한 결과, 회전 불균형량이 약 200g-mm 이하이면, 회전진동은 완전히 소거할 수 없다 하더라도, 낚시꾼이 불쾌감을 느끼지 않은 정도로 그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여기서, 이 회전 불균형량을 로우터의 질량으로 나눈 값으로서의 편중심량을 산출하면, 대략 3.5mm 이하로 얻어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편중심을 대략 3.5mm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로우터의 크기에 영향되지 않는 기준으로 되는 수치를 설정할 수 있어 보다 엄밀히 로우터의 밸런스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을 이하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릴본체에 실을 감기 위하여 회전작동하는 로우터를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를 릴본체에 전후축심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단부와 이 기단부로부터 상기 전후축심방향을 따라서 연출(延出)되는 한쌍의 아암부로 형성되고, 이 한쌍의 아암부에 걸쳐서 베일을 건너지르고, 상기 로우터 및 상기 베일로 이루어지는 회전계에 있어서, 상기 전후축심방향에서의 소정간격을 갖는 두 개의 기준위치를 설정하고 이 두 기준위치에서의 각각의 회전 불균형량을 대략 200g-mm 이하로 억제하는 밸런스 수단을 상기 로우터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생겨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인에 있어서는 로우터의 직경이 대략 40mm∼대략 100mm에 걸치는 여러가지의 스피닝릴에 대하여, 시판의 회전균형시험기를 사용하여 회전시험을 행한 결과, 회전 불균형량이 대략 200g-mm 이하이면, 회전진동은 완전히 소거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낚시꾼이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그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각 기준위치에서 회전 불균형량이 대략 200g-mm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각 기준위치에서의 전후축심둘레의 회전면에 있어서 원심력을 저감하여 정적균형을 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두 기준위치에 있어서 회전 불균형량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후축심에 직교하는 축심둘레에서의 우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로우터의 동적 균형을 취할 수가 있다.
따라서 회전 불균형량을 200g-mm로 억제하는 것만으로, 기단부와 아암부가 전후축심방향으로 병렬상태에서 배치하여 있는 로우터에 있어서도 정적균형뿐만 아니라 우력의 발생을 억제하여 동적균형을 취할 수 있고, 실용상 낚시꾼이 불쾌감을 느끼는 일 없이 감기조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관한 스피닝 릴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스피닝 릴은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핸들(1)을 구비한 릴본체(2)의 앞부분에 베일(3)을 구비한 로우터(4), 낚싯줄(도시하지 않음)을 감는 스푸울(5)이 각각 배치되어 있고, 릴본체(2)의 앞부분에 핸들(1)로부터의 동력을 로우터(4)에 전달하는 통상축(6), 및 스푸울(5)을 지지하는 스푸울축(7)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우터(4)는 통상의 기단부와 그 기단부로부터 전후축심(X) 방향을 따라 연출된 아암부(4A, 4A)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 아암부(4A, 4A)는, 전후 축심(X)을 끼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한쪽의 아암부(4A)에 부착된 아암캠(8)과 다른쪽의 아암부(4A)에 부착된 요동아암(9)과의 사이에 상기 베일(3)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일(3)은 해방자세와 감기자세로 전환이 자유로이 구성되어 있다.
아암캠(8)에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실안내부로서의 라인로울러(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일에서는 한쌍의 아암부(4A, 4A), 베일(3), 아암캠(8), 요동아암(9), 라인로울러(10) 등의 중량에 기인하는 중량 불균형을 상쇄하도록 전후축심방향의 전후위치의 2개소에 밸런스 수단(B, B)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릴에서는 로우터(4)의 앞부분측과 후부측과의 위치 각각에 전후축심방향에서의 기준위치로 되는 회전평면(S, T)을 상정하고, 한쌍의 아암부(4A, 4A), 베일(3), 아암캠(8), 요동아암(9), 라인로울러(10) 등의 중량과, 그 중량이 위치하는 전후축심(X)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향하여 연출된 팔길이를 곱해서 합한 모우멘트를 구한다. 이 모우멘트를 그 중량이 위치하는 위치로부터 회전평면(S, T)까지의 간격길이에 따른 길이로 분할한다. 즉, 회전평면(S, T)으로 분할된 분할 모우멘트가 우력이 생기지 않도록 분할된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평면(S, T)으로 분할된 모우멘트를 회전평면내에서합성한다. 이 합성 모우멘트가 각 회전평면에서의 불균형량으로 되고, 적당한 위치에 밸런스 수단(B)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합성 모우멘트를 상쇄하는 대향모우멘트를 밸런스 수단(B)이 발생시킨다.
여기서 한쌍의 아암부(4A, 4A)의 위치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축심(X)으로부터 소정량(D)만큼 변위함으로써, 밸런스 수단(B)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개의 밸런서(11, 11)를 기단부에 비치하여 밸런스 수단(B)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합성 모우멘트의 작용하는 점(PS)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심(X)으로부터 베일(3)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밸런스 수단(B)의 중심(QS)이 회전축심(X)을 끼고, 이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나타나도록 한쌍의 아암부(4A, 4A)의 변위량(D)을 설정하고 있다.
이 밸런서(11, 11)는 회전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로우터(4)의 외주로부터 외방으로, 그리고 아암부(4A)의 외주부의 회전궤적(U)보다 안쪽에 설정되어 있고, 낚싯줄의 감기조작시에, 이 밸런서(11)의 배치부에 손가락 등의 접촉이 회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밸런서(11)의 한층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특별한 부재를 설정하지 않고 밸런서(11)의 부착부위와 손가락 등과의 접촉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이 회전 평면상에 있어서는 합성 모우멘트의 작용하는 점(PT)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두 밸런서(11, 11)를 합성한 중심(QT)이 회전축심(X)을 끼고 그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나타나도록 각각의 밸런서(11, 11)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릴에서는 핸들조작에 의하여 낚싯줄의 감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우터(4)의 전후위치에서 회전밸런스를 취하고 있으므로, 원활한 감기를 행할 수 있다. 또 캐스팅시에도 로우터(4)의 불균형에 기인하는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우터(4)의 후단측에 밸런서(11)를 설치하여 있으므로, 종래 이 종류의 릴구조와 비교하여, 축심(X)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밸런서(11)를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우터(4)와 아암부(4A)와의 연결부위와 같이 비교적 강도가 낮은 부위에 밸런서(11)를 설치할 필요가 있더라도, 이 부위에 합성중심이 나타나도록 복수의 밸런서(11...)를 배치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강도의 부위에 밸런서(11)를 분산하여 배치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로우터(4)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에서 밸런서(11)를 설치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꼭같이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축심(X)으로부터 한층 이간한 위치에 밸런서(11)를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낚시꾼의 손가락 등을 가까이 하더라도 아암부(4A)에 방해되는 결과 이 밸런서(11)의 부위에 손가락이 접촉하는 일은 없다.
결국 이 실시예에 관한 발명에서는 밸런서(11)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로우터의 축심(X)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밸런서(11)의 경량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로우터(4)의 강도 저하에 연계되는 일은 없다.
밸런스 수단(B)을 설비하고, 회전평면(S, T)에서의 회전불균형량을 200g-mm 이하로 억제하도록 하면, 로우터(4)의 정적 균형뿐만 아니라, 동적 균형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핸들조작에 의하여 낚싯줄의 감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원활한 감기가 행해진다. 또 캐스팅시에도 로우터(4)의 불균형에 기인하는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준위에서의 불균형량을 6g-mm(후기하는 편중심량을 1mm 이하)로 설정한 스피닝 릴의 진동특성과, 불균형량이 200g-mm 이상인 균형 조정전의 스피닝릴의 진동특성과의 차이를 도 4∼도 6로부터 설명한다. 결국,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닝릴의 낚싯대에 대한 각 부에서의 진동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a, b, c 방향에서의 진동특성을 측정하였다. 여기서는 스피닝릴의 좌우방향에 작용하는 a 방향에서의 진동특성을 도시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선이 하중으로, 실선이 a 방향 회전에서의 토오크이다. 하중변동 및 토오크 변동이 작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b, c 방향에서의 진동특성도 마찬가지로 하중변동 및 토오크 변동이 작아져 있지만, 도시는 생략한다.
더욱 이 캐스팅시에 로우터(4)의 회전을 한층 억제할 목적에서,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릴에서는 상기 핸들(1)의 아암부(1A)와 그립부(1B)의 중량을 상쇄하도록 그립부(1B)와 대향하는 측에 밸런서(1C)를 비치하도록 하면 핸들축을 기준으로 한 핸들(1)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캐스팅시에도 핸들(1)이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형편이 좋다.
별도의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① 밸런서(11)를 부착하는 위치로서는, 전후축심방향에서의 복수개소에 설치하여도 좋다.
② 로우터(4)가 축심장의 짧은 것이면, 불균형량을 검출하는 기준위치는 1개소로 족하다.
③ 기준으로 되는 불균형량(200g-mm)을 로우터(4)의 질량으로 나눈 값(일반적으로 편중심이라 부른다)를 채용하여 로우터(4)의 질량의 차이에 의한 적용오차를 배제하여, 기준치의 보편화를 도모하여도 좋다. 실용상, 불균형량으로서는 60g-mm, 편중심으로서 2mm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로우터(4)의 크기와 같이 로우터의 줄감기시의 회전속도를 고려함으로써 회전불균형 정도를 JIS 규격에 의하여 관리할 수 있다. 결국 편중심에 회전속도를 곱해 버림으로써 얻어지는 수치를 16∼40mm/S로 유지함으로써 로우터(4)의 회전성능을 JIS 6급 정도로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④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아암부(4A, 4A)의 부착위치의 변위(도 2에 도시하는 오프세트)를 행하지 않고 앞부분측의 회전평면(S)에 있어서 밸런서(11S)를 설치하여 밸런서 수단(B)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부측의 회전평면(T)에 있어서 단일의 밸런서(11T)를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⑤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 8의 상태로부터, 한쌍의 아암부(4A, 4A)의 부착위치를 회전중심에서 옆으로 D만큼 변위시켜, 앞부분측의 회전평면(S)에 있어서 도시하는 밸런서(11S)를 설치하여, 밸런스 수단(B)을 구성할 수도 있다. 후부측의 회전평면(T)에 있어서 단일의 밸런서(11T)를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⑥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9의 상태로부터 더욱, 한쌍의 아암부(4A, 4A)의 부착위치를 회전중심으로부터 옆으로 E만큼 크게 변위시켜 앞부분측의 회전평면(S)에 있어서 아암부(4A, 4A)의 변위위치와는 회전중심을 끼고 반대측에 밸런서(11S)를 설치하고, 밸런스 수단(B)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동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부측의 회전평면(T)에 있어서 단일의 밸런서(11T)를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⑦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우터(4)의 아암부(4A)의 내부와 로우터(4) 의 둘레부에, 각각의 배치각도(α)를 축심(X)에 따르는 방향시에서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되도록 밸런서(11, 11)를 구비하고, 그리고 로우터(4)의 주부측의 밸런서(11)의 중량을 큰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아암부(4A)의 내부의 밸런서(11)의 중량의 저감, 소형화를 도모하고, 그 아암부(4A)의 내부의 토글스프링 등의 배치를 편하게 행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별도의 태양으로서, 캐스팅시에 로우터(4)의 회전을 한층 억제하는 목적에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1)을 같은 길이의 1쌍의 아암부(1A, 1A)와 같은 중량의 한쌍의 그립부(1B, 1B)를 구비하여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핸들축을 기준으로한 핸들(1)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캐스팅시에도 핸들(1)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예를 들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심에 따르는 방향시로, 로우터(4)의 중심(WP)과 같은 측의 로우터(4)의 후단측에 밸런서(11, 11)를 배치하여, 회전축심(X)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로우터(4) 의 중심(WP)과 밸런서(11, 11)의 중심(W1)과의 합성된 중심(WX)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합성된 중심(WX)과 대향하는 위치에 합성된 중심(WX)의 중량을 상쇄하도록, 그 중심(W2)을 설정하여 밸런서(11')를 설치하는 구조의 로우터의 밸런스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동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우터(4)의 후단의 이면측에 밸런서(11) 배치용의 오목한 부분(4B)을 다수 형성하고, 밸런서(11)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흩어짐 등에 대응하여 밸런서(11)의 배치개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캐스팅시에 로우터(4)의 회전을 한층 억제하기 위하여,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결국 본 릴에서는, 상기 핸들(1)의 아암부(1A)와 그립부(1B)의 중량을 상쇄하도록 그립부(1B)와 대향하는 측에 밸런서(1C)를 구비함으로써, 핸들축을 기준으로한 핸들(1)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캐스팅시에도 핸들(1) 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6에 있어서 도면번호(12)에 도시하는 것은, 드래그기구의 마찰판(13)과 드래그 조작구(14)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크(15)에 출퇴가 자유로이 구성된 클릭음 발생기구이다. 이는 드래그 기구에 미끄럼이 생겼을 경우에, 스푸울(5)의 내부에 형성된 요철면(5A...)과 걸거나 벗김하여 클릭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별도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로우터의 아암부에 구비된 요동아암에 라인로울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라인로울러에 일단이 지지되는 베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라인로울러가 형성된 요동아암을 기준으로 하여 이 요동아암으로부터 릴본체측에 위치를 설정하여 제1 밸런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요동아암측의 부재의 중심과 제1 밸런서의 중심과를 합성한 합성중심에 대하여 상기 축심을 끼고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리고, 이 요동아암과 대향하는 측의 아암부에, 상기 합성중심을 상쇄하는 중량의 제2 밸런서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심(X)을 기준으로 하여 요동아암(9) 등의 중심(Wa)과 같은측에 제1 밸런서(20)가 배치되므로 이 중심(Wa)과 제1 밸런서(20)의 중심(W20)과의 합성된 합성중심(WY)이 각각의 사이의 위치에 현출한다. 또 그 합성중심(WY)을 상쇄하도록, 이 측의 요동아암(9')의 중심(Wa')과 그 중심(W21)과의 합성중심(WY')을 상기 합성중심(WY)의 회전궤적상에 위치를 설정하여 적절한 중량의 제2 밸런서(21)가 배치되므로, 축심(X)에 따르는 방향시에서의 중량을 균형한다. 그리고, 각각의 합성중심(WY, WY')이 동일의 회전궤적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므로, 로우터(4)의 회전시에 우력 등이 생기는 일은 없다. 더욱 이 밸런스 상태를 축심(X)을 기준으로 한 모우멘트로 나타내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아암(9) 등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의 값(UP)과, 제1 밸런서(20)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의 값(U1)과 제2 밸런서(21)의 값(U2)과, 요동아암(9')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의 값(UP')이 균형하는 것으로 된다.
결국, 단일의 밸런서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굳이 중량이 큰 측에 제1 밸런서(20)를 설치함으로써 합성된 중심(WY)이 릴본체(2)의 측에 변위하는 것으로 되는 결과, 제2 밸런서(21)를 로우터(4)에 구비하더라도 이 합성중심(WY)의 중량을 상쇄하는 위치에 이 제2 밸런서(21)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로우터(4)에는 축심(X)을 끼고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아암부(4A, 4A)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부(4A, 4A)에 부착된 요동아암(9, 9')에 대하여 상기 베일(3)이 부착되어 있어 이 베일(3)이 해방자세와 감기자세로 전환이 자유로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요동아암(9, 9')에 한쪽(9)에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라인로울러(10) 및 베일(3)을 원다치로 해방조작하는 조작기구(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릴에서는 이들 라인로울러(10), 조작기구(A) 등의 중량에 기인하는 중량밸런스를 상쇄하도록 밸런서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요동아암(9), 라인로울러(10), 조작기구(A) 각각의 중량의 기인하는 중심(Wa)을 기준으로 하여 릴본체(2) 측의 위치의 로우터(4)의 아암부(4A)에 제1 밸런서(20)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아암(9), 라인로울러(10), 조작기구(A) 각각의 중량의 기인하는 중심(Wa)과, 제1 밸런서(20)의 중심(W20)과를 합성한 합성중심(WY)에 대하여 상기 축심(X)을 끼고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리고 이 요동아암(9)과 대향하는 측의 아암부(4A)에 로우터(4)의 회전시에 상기 합성중심(WY)을 상쇄하도록, 이 측의 요동아암(9')의 중심(Wa')과 그 중심(W21)과의 합성중심(WY')을 상기 합성중심(WY)의 회전궤적상에 위치를 설정하여, 적절한 중량의 제2 밸런서(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의 밸런서(20, 21)를 배치한 까닭에, 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중량이 균형된다. 더구나, 합성중심(WY)의 중량을 상쇄하는 위치에 제2 밸런서(21)가 위치하게 되므로, 로우터(4)의 지지계에 덜그럭거림이 생겨도 로우터(4)의 회전시에 진동이 생기지 않고, 원활한 감기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기구(A)는 로우터(4)의 아암부(4A)에 요동축심(Y) 둘레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한 레버(22)와, 이 레버(22)의 윗쪽으로의 당겨올리는 조작시에 이 레버(22)와의 맞닿음으로 요동아암(9)을 해방자세에 조작하는 캠체(23)로 이루어진다. 이쪽의 아암부(4A)의 내부에는 요동아암(9)을 해방, 감기의 각각의 자세에 설정유지하는 토글스프링(24)이 내장되어 있어서, 이 스프링(24)은 덮개체(25)로 그 외부가 폐쇄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의 릴은 로우터의 아암부에 갖춘 요동아암에 라인로울러를 형성하고, 이 라인로울러에 한끝이 지지되는 베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심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감는 자세의 상기 베일이 위치하는 쪽의 로우터에 제1 밸런서를 갖춤과 동시에, 이 베일 및 상기 1쌍의 아암부에 형성된 부재의 각각에 기인하는 중심과, 제1 밸런서를 합성한 합성중심에 대하여, 상기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합성중심을 상쇄하는 중량의 제2 밸런서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X)을 기준으로 하여 베일(3)과 같은 쪽에 제1 밸런서(20)가 배치되므로, 이 베일(3) 및 1쌍의 아암부(4A, 4A)에 형성된 부재의 각각에 기인하는 중심(Wa)이 비교적 릴의 앞부분에 위치하지만, 이 중심(Wa)과 제1 밸런서(20)의 중심(W20)을 합성한 합성중심(WY)이 릴본체쪽으로 변위하게 되어, 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중량이 균형된다. 더욱이, 합성중심(WY)의 회전궤적상에 제2 밸런서(21)가 위치하게 되므로, 로우터(4) 의 회전시에 우력 등이 생기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단일한 밸런서를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굳이 중량이 무거운 쪽에 제1 밸런서(20)를 설치함으로써, 합성된 중심(WY)이 릴본체(2) 의 쪽으로 변위하게 되는 결과, 제2 밸런서(21)를 로우터(4)에 갖추어도 이 합성중심(WY)의 중량을 상쇄하는 위치에 이 제2 밸런서(21)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합리적인 밸런서의 배치에 의하여 장기에 걸친 사용에 의하여 덜그럭거림이 생긴 상황하에서 고속으로 감는 조작을 하여도, 낚싯대를 진동시키는 등의 결함이 생기지 않고, 원활히 감는 조작을 할 수 있는 스피닝릴이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터(4)의 부위에 있어서 밸런서의 배치에 차이가 있다.
즉, 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 감는 자세의 베일(3)이 위치하는 쪽의 로우터(4)의 릴본체(2)로 변위한 위치에 제1 밸런서(2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일(3), 요동아암(9), 라인로울러(10) 등, 각각의 중량에 기인하는 중심(Wa)과, 제1 밸런서(20)의 중심(W20)을 합성한 합성중심(WY)에 대하여, 상기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로우터(4)의 회전시에 상기 합성중심(WY)을 상쇄하는 중량의 제2 밸런서(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의 밸런서(20, 21)를 배치한 까닭에, 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중량이 균형된다. 더욱이, 합성중심(WY)의 중량을 상쇄하는 위치에 제2 밸런서(21)가 위치하게 되므로, 로우터(4)의 지지계에 덜그럭거림이 생겨도 로우터(4)의 회전시에 진동이 생기지 않고 원활한 감기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예컨대 밸런서를 로우터(4)에 매설하는 구조라도 좋다. 또, 상기 덮개체(25)를 중량물로 구성하여 제1 밸런서에 겸용하여도 좋다. 또, 밸런서를 위치조절이 자유롭게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상기 요동아암의 요동축심에 따르는 방향에서 반베일쪽이고, 또 이 요동아암의 외부에 돌출하는 형상의 밸런서를 그 요동아암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다음의 작용, 효과가 생긴다.
즉, 도 23∼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아암(9)과 밸런서(11)를 총합한 중심(WQ)과, 아암캠(8)의 중심(Wb)이 거의 동일한 궤적상에 위치한다. 더욱이, 각각의 중심(WQ, Wb)이 대향하기 때문에, 각각의 중심(WQ, Wb)의 모우멘트가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에 도달한다. 또, 요동아암(9)과 밸런서(11)를 총합한 중심(WQ)이 회전축심(X)을 사이에 두고 베일(3)과 대향하는 쪽에 위치하므로(이 중심(WQ)의 중량이 베일(3)의 중량을 다소라도 상쇄하는 것이 되므로), 로우터(4)의 회전시에는 아암캠(8)의 중량에 기인하는 우력등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이 밸런스 상태를 축심(X)을 기준으로 한 모우멘트를 나타내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캠(8) 등의 중심(Wb)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의 값(UP)과, 요동아암(9)의 총합된 중심(WQ)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의 값(UQ)이 균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요동아암(9)에 대하여 밸런서(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로우터(4)에 대하여 밸런서를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밸런서가 로우터(4)로부터 너무 돌출한 형태가 되지 않고, 더욱이 우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합리적인 밸런서의 배치에 의하여 고속으로 감는 조작을 하여도, 낚싯대까지 진동시키는 등의 결점이 생기지 않고, 원활히 감는 조작을 할 수 있는 스피닝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피닝릴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을 갖춘 릴본체(2)의 앞부분에 베일(3) 을 갖춘 로우터(4), 낚싯줄을 감는 스푸울(5)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릴본체(2)의 앞부분에 핸들(1)로부터의 동력을 로우터(4)에 전하는 통형상의 축(6), 및 스푸울(5)을 지지하는 스푸울축(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릴에서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우터(4)의 내부에 그 로우터(4)의 역전(낚싯줄 풀어내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1방향 클러치(C)가 갖추어져 있다. 이 1방향 클러치(C)는 로우터(4)의 내주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부(4T)와, 이 톱니부(4T)와 걸렸다 떨어졌다하는 클릭체(18)와, 이 클릭체(18)의 자세를 제어하도록 상기 통형상의 축(6)과 일체 회전하는 슬리브(29)에 밖으로 끼우는 스프링재(30)로 조작되는 캠체(31)를 갖추어 구성되고 있다. 클릭체(18)의 선단의 축부(18A)에는 톱니부(4T)와의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O-링(32)이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릭체(18)는 릴본체(2)에 세워설치된 축부(2A)에 수지제의 부시(33)를 통하여 지지되고 있다.
이 릴에서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본체(2)의 후부에 스테인레스제의 가드재(34)가 그 전단부(34A)를 릴본체(2)에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후면을 비스(35)가 죄는 상태로 설치되며, 이 부위의 마멸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로우터(4)에는 회전축심(X)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1쌍의 아암부(4A, 4A)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아암부(4A)에 축심(Y) 둘레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아암캠(8)이 부착되어 있어서, 다른쪽의 아암부(4A)에 축심(Y) 둘레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요동아암(9)을 부착하고, 아암캠(8)의 쪽에 갖춘 실안내부로서의 라인로울러(10)와 요동아암(9) 사이에 상기 베일(3)을 부착하여, 이 베일(3)을 해방자세와 감는 자세로 전환이 자유롭게 구성한다.
또한, 이 릴에서는 아암캠(8), 라인로울러(10) 등의 중량에 기인하는 중량밸런스를 상쇄하도록 밸런서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3∼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동아암(9)은 아연 다이캐스트에 의하여 중량물에 형성됨과 동시에, 이 요동아암(9)과 일체적으로 밸런서(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밸런서(11)의 위치를 상기 축심(Y)에 따르는 방향에서 반베일쪽에서, 더구나 요동아암(9)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밸런서(11)를 축심(Y)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변위하도록 갭(G)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갭(G)을 형성함으로써 베일(3)의 조작시에 이 밸런서(11)와 로우터(4)의 아암부(4A)와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우터(4)의 회전시에는 아암캠(8) 등의 중심(Wb)이 그리는 회전궤적상이고, 또한 아암캠(8)의 중심(Wb)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 밸런서(11)와 요동아암(9)과의 총합된 중심(WQ)이 설정위치되어 있다. 또, 아암캠(8)의 중심(Wb)의 중량을 상쇄하도록, 이 총합된 중심(WQ)의 중량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중심(Wv, WQ)의 모우멘트가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에 도달한다. 더구나, 각각의 중심(Wb, WQ)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를 상쇄하게 되어, 로우터(4)의 고속회전시에도 진동이 생기지 않고 원활한 감기조작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릴에서는 상기 밸런서(11)에서 베일(3)의 중량을 다소는 상쇄할 수 있지만, 완전히 상쇄할 수 없으므로, 이 밸런서(11) 이외에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불균형을 해소하는 다른 밸런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밸런서 계는 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 감는 자세의 베일(3)이 위치하는 쪽의 로우터(4)의 릴본체(2)에 변위한 위치의 보조밸런서(40)의 중심(WS)과, 이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중심(WR)을 합성한 합성중심(WZ)에 대하여, 상기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로우터(4)의 회전시에 상기 합성중심(WZ)을 상쇄하는 중량의 주밸런서(41)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예컨대 밸런서(11)를 요동아암(9)과는 다른 부재로 구성하고, 이 요동아암(9)의 외부에 부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밸런서를 위치조절이 자유롭게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일의 중량에 기인하는 불균형을 해소할 목적으로 밸런서(40, 41)를 설치하였으나, 이에 대신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즉, 로우터(4)에 형성되는 1쌍의 아암부(4A, 4A)를 각각 반베일쪽에 오프세트시켜 로우터(4)에 배치함으로써, 밸런서를 사용하지 않고 이 1쌍의 아암부(4A, 4A)의 중량과 본 발명의 밸런서(11)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와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가 균형을 유지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요동아암에 밸런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의 회전시에 있어서, 아암캠의 중심이 그리는 회전궤적상, 또는 이 궤적의 근방위치에서, 그리고 아암캠의 중심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 밸런서와 요동아암과의 총합된 중심을 설정하고, 또, 아암캠의 중심의 중량이 상쇄되도록, 이 총합된 중심의 중량을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생긴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아암(9)과 밸런서(11)를 총합한 중심(WQ)과, 아암캠(8)의 중심(Wb)이 동일한 궤적상에 위치하고, 더욱이 각각의 중심(WQ,Wb)이 대향하는 까닭에, 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중량이 균형되고, 또한 각각의 중심(WQ, Wb)이 동일한 회전궤적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로우터(4)의 회전시에 우력 등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이 균형상태를 축심(X)을 기준으로 한 모우멘트를 나타내면, 동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캠(8) 등의 중심(Wb)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의 값(UP)과, 요동아암(9)의 총합된 중심(WQ)의 중량에 기인하는 모우멘트의 값(UQ)이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요동아암(9)에 대하여 밸런서(11)를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하므로, 예컨대 로우터(4)에 대하여 밸런서를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밸런서(11)가 로우터(4)로부터 돌출한 형태가 되지 않고, 더욱이 우력이 생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합리적인 밸런서의 배치에 의하여, 장기에 걸친 사용에 의하여 덜그럭거림이 생긴 상황하에서 고속으로 감는 조작을 하여도 낚싯대를 진동시키는 등의 결함이 생기지 않고, 원활히 감는 조작을 할 수 있는 스피닝릴이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릴에서는 도 29∼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동아암(9)에 밸런서(11)를 내장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4)의 회전시에 있어서, 아암캠(8)의 중심(Wb)이 그리는 회전궤적상에서, 그리고 아암캠(8)의 중심(Wb)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 밸런서(11)와 요동아암(9)과의 총합된 중심(WQ)이 설정되고 있다. 또, 아암캠(8)의 중심(Wb)의 중량을 상쇄하도록, 이 총합된 중심(WQ)의 중량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밸런서(11)를 배치한 까닭에, 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중량이 균형되고, 더욱이 각각의 중심(Wb, WQ)의 중량이 상쇄되므로, 로우터(4)의 지지계에 덜그럭거림이 생겨도 로우터(4)의 회전시에 진동이 생기지 않고 원활한 감기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릴에서는 이 밸런서(11) 이외에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도 다른 밸런서도 설치하고 있다. 이 밸런서계는 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 감는 자세의 베일(3)이 위치하는 쪽의 로우터(4)의 릴본체(2)에 변위한 위치의 보조밸런서(40)의 중심(WS)과, 이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중심(WR)을 합성한 합성중심(WZ)에 대하여, 상기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로우터(4)의 회전시에 상기 합성중심(WZ)을 상쇄하는 중량의 주밸런서(41)를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 이외에, 예컨대 요동아암(9)의 소재에 중량물을 사용함으로써, 밸런서(11)를 요동아암(9)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밸런서(11)를 요동아암(9)의 외부에 부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밸런서(11)를 위치조절이 자유롭게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축심(X)과 직교하는 자세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요동축심(Y)을 아암캠의 쪽이 릴본체의 쪽으로 변위하는 경사자세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렇게 하면, 다음의 작용 및 효과가 생기므로 장점이 있다.
예컨대,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부터의 릴과 비교하여 아암캠(8)이 릴본체(2)의 쪽으로 접근하므로(종래아암(9)이 릴본체로부터 멀어지므로), 이 아암캠(8)과 대향하는 쪽에 위치하는 아암부(4A), 요동아암(9) 등의 중심과, 아암캠(8)의 중심을 각각의 중량이 서로 상쇄하는 대향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더구나, 베일(3)의 요동조작은 종래와 똑같이 단일한 축심(요동축심 Y) 둘레에서의 조작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중량으로 구성되는 아암캠(8)을 릴본체쪽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또는 요동아암(9)을 릴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무거운 중량의 밸런서를 설치하지 않고(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가벼운 중량의 장착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로우터(4)의 동적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일조작에 불편이 생기지 않고, 또 대중량의 밸런서를 설치하지 않고 로우터의 회전균형을 유지하여, 고속으로 감는 조작을 하여도 원활히 감는 조작이 될 수 있는 스피닝릴을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무거운 중량의 밸런서를 갖추지 않아도 되므로, 릴 전체의 중량을 증대시키지 않는 효과도 있다.
본 실시예의 스피닝릴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을 갖춘 릴본체(2)의 앞부분에 베일(3) 을 갖춘 로우터(4), 낚싯줄(도시하지 않음)을 감는 스푸울(5)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릴본체(2)의 앞부분에 핸들(1)로부터의 동력을 로우터(4)에 전달하는 통형상축(6) 및 스푸울(5)을 지지하는 스푸울축(7)이 배치되어 있다.
도 33∼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우터(4)에는 회전축심(X)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1쌍의 아암부(4A, 4A)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아암부(4A)에 부착된 아암캠(8)과, 다른쪽의 아암부(4A)에 부착된 요동아암(9)과의 사이에 상기 베일(3)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아암캠(8), 요동아암(9)이 각각 요동축심(Y) 둘레에서의 요동에 의하여 베일(3)이 해방자세와 감는 자세로 전환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아암캠(8)에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실안내부로서의 라인로울러(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릴에서는 아암캠(8), 요동아암(9), 라인로울러(10) 등의 중량에 기인하는 중량균형을 상쇄하도록 요동아암(9)을 금속 등의 중량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회전축심(X)과 직교하는 자세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요동축심(Y)이 경사자세로 설정되어, 아암캠(8)의 쪽이 릴본체(2)의 쪽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아암캠(8)의 중심(Wb)과 요동암(9)의 중심(Wa)이 상기 회전축심(X)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가 되도록 상대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릴에서는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불균형을 1쌍의 아암부(4A, 4A) 각각 및 아암캠(8), 요동아암(9)의 중량에 의하여 억제하도록,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심(X)을 기준으로 1쌍의 아암부(4A, 4A)의 각각을 D량만큼 반베일쪽으로 변위시키고 있다.
이 릴에서는 릴본체(2)의 후부에 드러그기구(51)가 갖추어져 있음과 동시에, 스푸울(5)의 전단부에 스푸울(5)을 스푸울축(7)에서 제거하기 위한 푸쉬버튼(52)이 갖추어져 있다. 스푸울축(7)과 스푸울(5)과의 사이에는 각각의 상대회전을 저지하는 핀(53) 및 스푸울(5)의 덜그럭거림을 흡수하는 스프링(54)이 개장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예컨대 베일의 중량에 기인하는 불균형을 억제하도록 로우터의 앞면에 밸런서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 요동아암을 갖추지 않은 구조의 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본국 실개소 62-80570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아암캠을 베일 개방의 쪽으로 조작하기 위한 레버형상의 조작구를 갖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구를 갖춤으로써 로우터의 중심이 로우터의 앞부분쪽으로 변위하는 것에 있어서도 회전균형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본원발명은 균형수단이나 밸런스를 스피닝릴에 적절히 배열함으로써, 스피닝릴로서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릴을 조작하는 낚시꾼이 로우터의 회전진동을 허용할 수 있는 상태까지 억제할 수 있는 등, 로우터의 회전밸런스를 취하고, 원활히 감기조작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4)

  1. 릴본체(2) 상기 릴본체(2)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로우터(4), 상기 로우터(4)의 1쌍의 아암부(4A, 4A)의 한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갖추어져 있는 아암캠(8), 상기 로우터(4)의 1쌍의 아암부(4A, 4A)의 다른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갖추어져 있는 요동아암(9), 상기 아암캠(8)에 형성한 라인로울러(10)와, 상기 요동아암(9)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베일(3), 상기 요동아암(9)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동아암(9)의 요동축심(Y)에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보아 상기 베일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는 밸런서(11),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11)는 상기 요동아암(9)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아암(9)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밸런서(11)와는 별도로, 상기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불균형을 해소하는 보조밸런서(40) 및 주밸런서(4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밸런서(41)는 상기 로우터(4)의 회전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 감는 자세의 베일(3)이 위치하는 쪽의 로우터(4)의 릴본체(2)로 변위한 위치의 보조밸런서(40)의 중심(WS)과, 이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중심(WR)을 합성한 합성중심(WZ)에 대하여, 상기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로우터(4)의 회전시에 상기 합성중심(WZ)을 상쇄하는 중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5. 릴본체(2) 상기 릴본체(2)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로우터(4), 상기 로우터(4)의 1쌍의 아암부(4A, 4A)의 한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갖추어져 있는 아암캠(8), 상기 로우터(4)의 1쌍의 아암부(4A, 4A)의 다른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갖추어져 있는 요동아암(9), 상기 아암캠(8)에 형성한 라인로울러(10)와, 상기 요동아암(9)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베일(3), 상기 요동아암(9)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로우터(4)의 회전시에 상기 아암캠(8)의 중심(Wb)이 그리는 회전궤적상 또는 이 궤적의 근방위치에서, 그리고 아암캠(8) 의 중심(Wb)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 밸런서(11)와 요동아암(9)과의 총합된 중심(WQ)을 설정하고, 또 아암캠(8) 의 중심(Wb)의 중량을 상쇄하도록, 이 총합된 중심(WQ)의 중량을 설정하여 이루어진 밸런서(11),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11)는 상기 요동아암(9)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아암(9)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밸런서(11)와는 별도로, 상기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불균형을 해소하는 보조밸런서(40) 및 주밸런서(4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밸런서(41)는 상기 로우터(4)의 회전축심(X)에 따르는 방향에서 감는 자세의 베일(3)이 위치하는 쪽의 로우터(4)의 릴본체(2)로 변위한 위치의 보조밸런서(40)의 중심(WS)과, 이 베일의 중량에 기인하는 중심(WR)을 합성한 합성중심(WZ)에 대하여 상기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로우터(4)의 회전시에 상기 합성중심(WZ)을 상쇄하는 중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9. 릴본체(2) 핸들(1) 상기 릴본체(2) 앞부분위치에 상기 핸들(1)로부터의 동력으로 축심(X) 둘레에서 회전조작되는 로우터(4), 상기 로우터(4)에 형성된 1쌍의 아암부(4A, 4A)의 한쪽의 아암캠(8)에 형성되어 있는 라인로울러(10), 상기 라인로울러(10)와, 다른쪽의 아암부(4A), 또는 이 아암부(4A)에 갖춘 요동아암(9)과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서, 요동축심(Y) 둘레에서의 상기 아암캠(8) 과의 요동에 의하여 해방자세와 감는 자세로 전환조작되도록 되어 있는 베일(3), 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요동축심(Y)은 상기 회전축심(X)과 직교하는 자세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아암캠(8)쪽이 상기 릴본체(2)의 쪽으로 변위하는 경사자세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캠(8)의 중심(Wb)과, 상기 요동아암(9)의 중심(W2)이 상기 회전축심(X)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가 되도록 상대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아암부(4A, 4A)가 상기 회전축심(X)을 기준으로 D량만큼 반베일쪽으로 변위되어 있어서, 상기 베일(3)의 중량에 기인하는 불균형을 상기 1쌍의 아암부(4A, 4A)의 각각 및 상기 아암캠(8), 상기 요동아암(9)의 중량에 의하여 억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본체(2)의 후부에 갖추어져 있는 드러그 기구(51), 낚싯줄을 감는 스푸울(5)의 전단부에, 이 스푸울(5)을 지지하는 스푸울축(7) 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갖추어져 있는 푸쉬버튼(5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축(7)과 상기 스푸울(5)과의 사이에, 각각의 상대회전을 저지하는 핀(53) 및 상기 스푸울(5)의 덜그럭거림을 흡수하는 스프링(54)이 사이에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11)는 상기 요동아암(9)의 외부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KR98014492A 1991-05-14 1998-04-23 밸런스 기구를 가진 스피닝릴 KR0157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33214U JPH04127167U (ja) 1991-05-14 1991-05-14 スピニングリール
JP91-33214 1991-05-14
JP91-40086 1991-05-31
JP1991040086U JP2577386Y2 (ja) 1991-05-31 1991-05-31 スピニングリール
JP91-184989 1991-07-25
JP3184989A JP3016405B2 (ja) 1991-07-25 1991-07-25 スピニングリール
JP91-184988 1991-07-25
JP3184988A JP2607776B2 (ja) 1991-07-25 1991-07-25 スピニングリール
JP3195670A JP3054470B2 (ja) 1991-08-06 1991-08-06 スピニングリール
JP91-195670 1991-08-06
JP91-298634 1991-11-14
JP03298634A JP3104337B2 (ja) 1991-11-14 1991-11-14 スピニングリール
JP9472491U JP2559770Y2 (ja) 1991-11-19 1991-11-19 スピニングリール
JP91-94724 1991-11-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140A Division KR0161697B1 (ko) 1991-05-14 1992-05-14 밸런스 기구를 가진 스피닝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7763B1 true KR0157763B1 (ko) 1998-10-01

Family

ID=275643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140A KR0161697B1 (ko) 1991-05-14 1992-05-14 밸런스 기구를 가진 스피닝릴
KR98014492A KR0157763B1 (ko) 1991-05-14 1998-04-23 밸런스 기구를 가진 스피닝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140A KR0161697B1 (ko) 1991-05-14 1992-05-14 밸런스 기구를 가진 스피닝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0161697B1 (ko)
AU (2) AU657324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78548B3 (en) * 1996-08-23 1997-05-29 Jarvis Walker Pty Ltd A spinning reel for fish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830A (en) * 1985-09-23 1988-03-29 Hollander William J Fishing reel
DE3604700A1 (de) * 1986-02-14 1987-08-20 Kuntze Angelgeraete Dam Schnurfangbue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159095A (en) 1995-04-13
KR920021017A (ko) 1992-12-18
AU1625592A (en) 1992-11-19
KR0161697B1 (ko) 1998-11-16
AU657324B2 (en) 1995-03-09
AU673969B2 (en) 199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3007A (en) Spinning wheel having improved balance during reverse rotation
US5350129A (en) Spinning reel having balancing means
US5332175A (en) Spinning reel having rotational balance mechanism for rotor
KR19980069705A (ko) 스피닝 릴의 프레임 구조
KR0157763B1 (ko) 밸런스 기구를 가진 스피닝릴
US5558289A (en) Spinning reel
USRE38099E1 (en) Spinning reel having balancer
JP338062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10433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59770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71130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ライダ取付構造
JP392604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60777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77386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5772138A (en) Spinning reel having balancing means
JPH0619767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52683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54229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364587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88003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GB2318492A (en) Spinning reels
JP2532066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80572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2609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601618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