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165B1 -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165B1
KR0156165B1 KR1019950020842A KR19950020842A KR0156165B1 KR 0156165 B1 KR0156165 B1 KR 0156165B1 KR 1019950020842 A KR1019950020842 A KR 1019950020842A KR 19950020842 A KR19950020842 A KR 19950020842A KR 0156165 B1 KR0156165 B1 KR 015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isplacement
vertical
rat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603A (ko
Inventor
박동철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50020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165B1/ko
Publication of KR97000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수평대 수직방향으로 포인터 이용에 적당하도록 제어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는 수평/수직 변위신호 생성부와 변위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변위신호 생성부와 변위신호 처리부 사이에서 정밀한 작업시 원하는 특정한 수평대 수직비로 변위방향을 설정하는 변위신호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정밀한 작업시 소프트웨어내에서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도 원하는 특정한 수평대 수직비로 방향이동이 가능하며 포인터의 속도조절이 간단하다.

Description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제1도는 종래의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변위신호 제어부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수평변위 신호생성부 22 : 수직변위 신호생성부
23 : 변위신호 제어부 24 : 변위신호 처리부
1A,1B,1C,1D,1E,1F : 트랜스미션 게이트
2A,2B,2C,2D : 인버터 3, 4 : 버튼
5 : 비교기 6A,6B : 제로검출기
7A,7B,7C,7D : 쓰리스테이트 인버터 8A,8B : 다운카운터
본 발명은 컴퓨터 및 여러 시스템의 입력장치인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한 수평대 수직방향으로 포인터 이용에 적당하도록 제어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도는 종래의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로써, 이동위치의 수평변위를 측정하여 수평변위량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수평변위 신호생성부(11)와, 이동위치의 수직변위를 측정하여 수직변위량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수직변위 신호생성부(12)와, 상기 수평,수직 변위신호 생성부(11)(12)에 생성된 수평,수직 변위신호를 목적시스템의 인터페이스와의 약속된 신호로 처리하여 전송하는 변위신호 처리부(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면 수평변위 신호생성부(11)는 이동위치의 수평변위를 측정하여 수평변위량을 가지고 있는 신호를 생성하고 수직변위 생성부(12)는 이동위치의 수직변위를 측정하여 수직변위량을 가지고 있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에서 수평,수직의 2차원적인 발향으로 포인팅 디바이스가 이동되면 각각 수평 및 수직방향의 변위량으로 분해된 위치는 수평 및 수직변위 신호로 변환되어 변위신호 처리부(13)에서 인터페이스와 약속된 신호로 처리된 후 목적시스템의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는 항상 2차원적인 이동을 입력받아서 처리한 후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2차원적인 이동에 대한 수평대 수직비의 변위량은 오직 사용자에게만 의존하고 있어 정확한 비를 가지고 포인터를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 하므로 목적시스템에서 이러한 수평대 수직비를 제어하도록 소프트웨어내에서 해결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프트웨어내에서의 지원없이도 특정한 수평대 수직비로 방향이동이 가능한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는 수평/수직 변위신호 생성부와 변위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변위신호 생성부와 변위신호 처리부 사이에서 정밀한 작업시 원하는 특정한 수평대 수직비로 변위방향을 설정하는 변위신호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로써, 이동위치의 수편변위를 측정하여 수평변위량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수평변위 신호생성부(21)와, 이동 위치의 수직변위를 측정하는 수직변위량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수직변위 신호생성부(22)와, 상기 수평,수직변위 신호생성부(21)(22)에서 생성된 수평,수직 변위신호를 수평대 수직변위비에 따라 처리 및 제어하는 변위신호 제어부(23)와, 상기 변위신호 제어부(23)에서 처리된 수평,수직 신호를 목적시스템의 인터페이스와의 약속신호로 처리하여 전송하는 변위신호 처리부(2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은 제3도의 변위신호 제어부의 상세회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준상태일때는 수평대 수직변위비가 1 : 1로 설정되며,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면 수평변위신호 생성부(21)는 이동위치의 수평변위를 측정하여 수평변위량을 가지고 있는 신호를 생성하고 수직변위 생성부(22)는 이동위치의 수직변위를 측정하여 수직변위량을 가지고 있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수평,수직 변위량들이 1 : 1비의 변위제어부(23)의 처리를 거쳐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예를들어 수평대 수직변위비가 1 : 0인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 외부의 설정용 버튼(3)(4)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평 및 수직변위비 1 : 0을 변위제어부(23)에서 기억되도록 입력한다.
포인팅 디바이스가 이동되면 수평변위량과 수직변위량으로 분해되어 변위신호 생성부(21)(22)에서 변위신호가 만들어 진다.
상기 버튼(3)(4)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변위비가 변하면 각각 다운 카운터(8A)(8B)는 초기값이 실리며 수평대 수직변위비 중 어느 한쪽이 0이면 제3,4 트랜스미션 게이트(1C)(1D)가 오프됨에 의해 0인 변위신호가 변위신호 처리부(24)로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수평 및 수직변위비가 1 : 0일 경우에는 제3 트랜스미션 게이트(1C)는 온, 제4 트랜스미션 게이트(1D)는 오프되어 수직변위 신호는 무시된다.
입력(IN)펄스를 카운트하여 정해진 리로드(REROAD) 값이 되면 오버플로우(O/F) 펄스를 출력시키고 변위비가 변하면 REROAD 값으로 카운트 값을 다시 설정하는 RELOAD 기능을 가진 제1,2 다운 카운트(8A)(8B)중 상기 변위비가 0인 쪽은 출력되지 못하므로 제1 다운 카운터에는 0을 REROAD 값으로 수평변위 신호는 변위신호 처리부(24)로 항상 전달된다.
또 다른 예를들어 수평대 수직변위비가 3 : 1인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 외부의 설정용 버튼(3)(4)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변위비 3 :1을 변위제어부(23)에 기억되도록 입력한다.
상기 버튼(3)(4)을 통해 변위비가 변하면 각각 다운 카운터(8A)(8B)는 초기값이 실린다.
상기 변위비에 따라 제3,4 트랜스미션 게이트(1C)(1D)는 모두 온되며 상기 수평비가 수직비 보다 크면 NE(Not Equal)는 1, E(Equal)는 0으로 하고 수평비가 수직비보다 작으면 NE는 0, E는 0으로 수평비와 수직비가 같으면 NE는 X(don't care), E는 1(don't care)로 출력하는 비교기(5)는 상기 변위비가 3 : 1이므로 E는 0, NE는 1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3 인버터(2C)를 거쳐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1A)는 온, 제2 트랜스미션 게이트(1B)는 오프되어 제1 쓰리스테이트 인버터(7A)는 오프, 제2 쓰리스테이트 인버터(7B)는 온 된다.
상기 비교기(5)와 제4 인버터(2D)를 거쳐 제3,4 쓰리스테이트 인버터(7C)(7D)는 온되고 제5,6 트랜스미션 게이트(1E)(1F)는 모두 오프된다.
또 제1 다운 카운터(8A)의 RELOAD 값으로 1이 실리며 제1 다운 카운터(8B)의 RELOAD 값으로 3이 실려 제1 트랜스미션 게이트(1A)를 통하여 수평신호가 입력되어 제1 다운 카운터(8A)는 RELOAD 값으로 카운트 다운하여 정해진 값(1)이 되면 O/F로 펄스를 출력 및 제3 트랜스미션 게이트를 통해 변위신호 처리부(24)로 출력한다.
상기 O/F의 출력으로 제2,3 쓰리스테이트 인버터(7B)(7C)를 통하여 제2 다운 카운터(8B)에 신호가 입력되어 RELOAD 값으로 카운트 다운하여 정해진 값(3)이 되면 오버플로우 되면서 수직변위 신호를 변위신호 처리부(24)로 출력한다.
따라서 수평신호가 3번 발생되면 수직신호는 1번 발생하여 수평대 수직변위비가 3 : 1로 제어 및 처리되어 변위신호 처리부(24)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는 정밀한 작업시 소프트웨어가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원하는 특정한 수평대 수직비로 방향이동이 가능하여 포인터는 고정시킨 상태로 버튼을 누르는 등의 작업 가능하며 포인터의 속도조절이 간단하다.

Claims (2)

  1. 수평/수직 변위신호 생성부와 변위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변위신호 생성부와 변위신호 처리부 사이에서 정밀한 작업시 원하는 특정한 수평대 수직비로 변위방향을 설정하는 변위신호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변위신호 제어부는 입력변위비의 수평비가 수직비보다 크면 NE는 1, E는 0으로 출력하고 수평비가 수직비 보다 작으면 NE는 0, E는 1로 출력하고 수평비와 수직비가 같으면 NE는 0 또는 1, E는 1로 출력하는 비교기와(NE : Not Equal , E : Equal), 상기 수평대 수직변위는 각각 리로드 값으로 하고 수평,수직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정해진 리로드 값만큼 카운트한 다음 출력하는 제1,2 다운 카운터와, 상기 입력변위비중 제로인쪽은 출력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출력제어부와, 상기 제2 다운 카운터의 출력신호 및 제1 다운 카운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제1 카운터 제어부와, 상기 제1 다운 카운터의 출력신호 및 제2 다운 카운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제2 카운트 제어부와, 상기 제1,2 다운 카운터부의 수평,수직 신호입력을 제어하는 입력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KR1019950020842A 1995-07-14 1995-07-14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KR015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842A KR0156165B1 (ko) 1995-07-14 1995-07-14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842A KR0156165B1 (ko) 1995-07-14 1995-07-14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03A KR970007603A (ko) 1997-02-21
KR0156165B1 true KR0156165B1 (ko) 1998-11-16

Family

ID=1942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842A KR0156165B1 (ko) 1995-07-14 1995-07-14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1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03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0865A (en) Control system for positioning an object using switching from a speed control mode to a position control mode with adjustable brain
US3886459A (en) Digital pulse rate ramping circuits
US3720814A (en) Direct numerical control system
US20190028047A1 (en) Stepper Trajectory Driver With Numerical Controlled Oscillators Operated at Frequency Provided by a Synchronized Clock Signal
KR0156165B1 (ko) 포인팅 디바이스 장치
JPS63148881A (ja) サ−ボモ−タの速度制御装置
US3980938A (en) Scale control device for use in profiling machine tool
US4020331A (en) Feed rate control system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US6812861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everal electrical pulses using numeric default values, in particular for stimulating an incremental encoder
US3623072A (en) Digital measuring system
JP3063562B2 (ja) 移動体の速度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S63157209A (ja) 数値制御工作機械の送り制御方法および送り制御装置
JPH0441388Y2 (ko)
JPS5919936A (ja) 複写機用光学系制御装置
JPH02212921A (ja) マウス入力装置
JPH082746Y2 (ja) トラックボール信号入力装置
JPS62120513A (ja) 手動パルスのてい倍制御方式
JPS60205607A (ja) 電子ビ−ム加工機
SU60395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стройки след щих систем
JPH0312141A (ja) 超音波診断装置
JPS61250717A (ja) 座標入力装置
SU10011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читывани граф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JPS5981040A (ja) 高速位置決め方式
JPH03295495A (ja) タイマー装置
JPH0210422A (ja) 座標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