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515B1 -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515B1
KR0154515B1 KR1019900012129A KR900012129A KR0154515B1 KR 0154515 B1 KR0154515 B1 KR 0154515B1 KR 1019900012129 A KR1019900012129 A KR 1019900012129A KR 900012129 A KR900012129 A KR 900012129A KR 0154515 B1 KR0154515 B1 KR 015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weight
ethylene
polymer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733A (ko
Inventor
토미오 타카다
코이치 타지마
츠토무 수다
Original Assignee
무라다 하지메
소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 하지메, 소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 하지메
Publication of KR91000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강성 및 저온(예:-40℃)에서의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도 양호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성형하여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피복시킨 경우, 용제 또는 연료(특히, 가솔린과 알콜의 혼합액, 일명 가소홀)에 대하여 양호한 범퍼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성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특성, 내열성, 내용제성 및 내유성 등의 특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널리 생산되어 자동차, 전기 기기 및 전자 기기 등의 부품 및 일용품으로서 다방면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폭넓은 특성 때문에 각종 제2성분, 제3성분으로서 다른 합성 수지, 고무 또는 충전제를 배합(첨가)하여 기능성질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소위 중합체 블랜드 기술이 향상되어, 각종 중합체 블랜드품이 상기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용 범퍼와 같이 자동차 산업의 경량화, 저연비화 및 가격 저하를 위해, 또한 자동차의 디자인적 특수화 및 차별화하에서 범퍼 형상의 대형화, 복잡화 및 고급감을 부여하기 위해, 금속으로부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특히 프로필렌계 중합체(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무기 충전제 중의 하나 이상을 혼합한 중합체 블랜드 제품으로 이행되어 널리 사용되고, 또한 다수가 제안되어 있다[참조: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53-64256호, 제(소)53-64257호, 제(소)57-55952호, 제(소)57-159841호 및 제(소)58-111846호].
그러나, 자동차 산업 관련의 가솔린 업계(특히,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및 유럽 등의 여러 나라)에 있어서, 자원 절약 및 가격 저하를 위해, 자동차용 가솔린에 저급 알콜류(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등)를 혼합한 혼합액, 소위 가소홀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중합체 블랜드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성형한 범퍼에 폴리우레탄을 피복시킨 피복 범퍼(소위 칼라드 범퍼)에 가소홀을 장기간에 걸쳐 반복하여, 더우기 계속적으로 접촉되는 조건하에서는 우레탄 피막이 범퍼로부터 박리되는 문제가 있다.
범퍼 기재와 폴리우레탄 피막의 밀착에 기여하는 가소홀의 영향은 가솔린에 대한 알콜류의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박리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박리되는 정도는 가솔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다.
범퍼 기재에 밀착된 폴리우레탄 피막이 가소홀에 의해 젖어 박리되는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상세히 알 수는 없으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로부터 추정하면, 가솔린에 혼합된 알콜류에 의해 폴리우레탄 피막이 팽윤되어 가솔린의 폴리우레탄 피막의 통과를 조장하고, 폴리우레탄 피막의 바로 밑에 존재하는 프라이머(통상,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 범퍼 기재와 폴리우레탄 피막의 밀착을 가능하게 하는 표면처리제)가 가솔린 등의 성분에 대한 내용제성이 비교적 나쁘고, 더우기 범퍼중에 존재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계 공중합 고무도 내용제성이 나쁘기 때문에, 프라이머 및 에틸렌-프로필렌계 공중합 고무와 폴리우레탄의 물리적 결합을 약화시켜 박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폴리우레탄을 피복시킨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된 범퍼의 내용제성(주로, 내가소홀성)을 개선하고,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이 갖는 위의 여러 가지 특성(저온에서의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및 피복성능 등)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며, 또한 대형 칼라드 범퍼 성형성이 양호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과제는, 30℃의 온도에서 크실렌 가용성분이 5중량% 이하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10중량% 이하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 30℃의 온도에서 크실렌 불용성분이 5중량% 이하이고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의 지표인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이 10 이상 100 미만이고 또한 프로필렌 공중합 비율이 30 내지 75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 프로필렌의 공중합 비율이 15 내지 40중량%이고 또한 용융 유량(JIS K7210에 따라 조건 14에서 측정한다. 이하 MFR이라고 한다)이 0.1 내지 4.0g/10분이며 차동주사열량계로 측정한 융해 피크가 80℃ 이상이며 X선으로 측정한 결정화도가 1% 이상이고 추가로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의 지표인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이 4 내지 10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및 평균 입자 직경이 0.5 내지 20μm인 탈크(D)로 이루어진 조성물이고,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존재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조성 비율은 5.0 내지 40중량%이며, 이들 중합체 성분(A),(B),(C)의 총 합의 MFR(용융 유량), 즉 성분(A),(B),(C)만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조성물의 MFR은 2.0 내지 100g/10분이고, 조성물에 존재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조성 비율은 17 내지 40중량%이며, 또한 탈크의 조성 비율이 3.0 내지 15중량%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프로필렌을 단독중합시켜 수득한다. 또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10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의 에틸렌을 공중합시켜 수득한다.
이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둘다 30℃의 온도에서 크실렌 가용성분을 5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3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중합체의 MFR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100g/1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g/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g/10분이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MFR이 하한 미만에서는 혼련성이 좋지 않으며, 또한 조성물의 성형성이 좋지 않다. 한편, 상한을 초과하면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좋지 않다.
(B)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의 프로필렌 공중합체 비율은 30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중량%이다. 프로필렌 공중합 비율이 30중량% 미만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좋지 않다. 한편, 프로필렌의 공중합 비율이 75중량%를 초과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제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강성에도 문제가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30℃의 온도에서 크실렌 불용성분을 5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4.5중량% 이하)를 초과하여 함유하지 않는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MFR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서, 통상적으로 0.01 내지 5.0g/10분,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3.0g/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0g/10분이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Figure kpo00001
)/수평균분자량(
Figure kpo00002
)은 통상 10 내지 100이 적당하고, 10 내지 70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3
이 10 이하 또는 100 이상인 경우에는 제조상의 제약이 발생한다.
이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각각 단독중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제조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할 때, 또는 미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과 다른 조성성분을 하기 조성 비율로 혼합할 수 있거나 미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들 중합체 및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촉매계의 존재하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동일 중합기 또는 별도의 중합기에서 공중합시키는 블록 공중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위의 어느 경우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의 MFR, 즉 성분(A),(B)만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조성물의 MFR은 5.0 내지 100g/10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g/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g/10분이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의 MFR이 5.0g/10분 미만이면, 혼련성과 조성물의 성형성이 좋지 않다. 한편, 100g/10분을 초과하면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 특히 내충격성이 좋지 않다.
또한, 성분(A) 및 성분(B)의 중합체중의 단량체 단위로서의 에틸렌 함량은 이들 중합체를 구성하는 총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1.0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중량%이다. 이들 중합체의 합계량 중의 에틸렌의 함량이 단량체 단위로서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내충격성에 문제가 있다. 한편, 25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강성에 문제가 있다.
(C)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의 프로필렌의 공중합 비율은 15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8중량%이다. 프로필렌의 공중합 비율이 15중량% 미만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수득되는 조성물의 내충격성의 개량효과가 부족하다. 한편, 40중량%를 초과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수득되는 조성물의 내충격성의 개량효과는 좋으나, 조성물의 강성이 불충분하며, 또한 가소홀 내성에도 좋지 않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MFR은 0.1 내지 4.0g/10분,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0g/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g/10분이다. MFR이 0.1g/10분 미만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수득되는 조성물을 제조할 때 혼련시의 분산이 곤란하여 조성물의 가공성이 좋지 않다. 또한, 균일한 조성물이 수득되어도 성형물의 표면에 플로마크 및 웰드 등이 심하게 눈에 띄게 되어, 외관이 양호한 조성물이 수득되지 않는다. 한편, 4.0g/10분을 초과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수득되는 조성물의 내충격성과 가소홀 내성의 개량효과가 불충분하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무니 점도(ML1+4,100℃)는 통상적으로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이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차동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로 측정한 융해 피크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5℃,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25℃이다. 융해 피크가 80℃ 미만인 경우, 수득되는 조성물의 강성 및 인장강도가 좋지 않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X선으로 측정한 결정화도가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이다. 결정화도가 1% 미만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강성 및 인장강도가 좋지 않다. 한편, 30%를 초과한 것을 사용하면 내충격성이 좋지 않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수평균분자량(Mn)은 4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이다. Mw/Mn가 4 미만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수득되는 조성물의 가공성이 좋지 않고, 10을 초과하면 피복성이 저하된다.
(D) 탈크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탈크의 평균 입자 직경은 0.5 내지 20μ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μm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 0.5μm 미만인 탈크를 사용하면, 혼련시의 분산성이 좋지 않으며, 분산 불량의 원인이 된다. 한편, 20μm를 초과하는 탈크를 사용하면, 강성 및 내충격성의 개량효과가 불충분하고, 또한 성형품의 외관 불량의 원인도 될 수가 있다.
(E) 조성 비율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 중에 존재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조성 비율은 5.0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5중량%이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 중에 존재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조성 비율이 5.0중량% 미만인 경우, 수득되는 조성물의 내충격성, 특히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좋지 않다. 한편, 4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강성이 좋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즉 성분(A),(B),(C) 및 (D)의 총량중에 존재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조성 비율은 17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3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중량%이다.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조성 비율이 17중량% 미만인 경우,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의 개량이 만족스럽지 않고, 또한 폴리우레탄과의 피막 밀착성에도 문제가 있으며 가소홀 내성도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40중량%를 초과하면, 저온에 있어서의 내충격성과 피막 밀착성 및 가소홀 내성은 좋아지지만,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고, 플로마크와 진공 공극 등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탈크의 조성 비율은 3.0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중량%이다.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탈크의 조성비율이 3.0중량% 미만인 경우, 수득되는 조성물의 강성이 만족스럽지가 않다. 한편, 15중량%를 초과하면, 성형물의 피막 밀착강도가 불충분하다.
(F)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탈크를 위의 조성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올레핀계 중합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산소, 빛 또는 열에 대한 안정화제, 난연화제, 가공성 개량제, 활제, 대전 방지제 및 안료와 같은 첨가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텀블러, 리본 블랜더 및 핸셀믹서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하여 건조 블랜드하거나, 배치식 혼련기(예:반바리 믹서) 또는 연속식 혼련기(예:압출기)를 사용하여 혼련할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식 혼련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혼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방법을 병용(예:건조 블랜드한 후, 연속적으로 혼련한다)하므로써 더욱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G) 성형방법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되는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펠렛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이 열가소성 수지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사출 성형법 등의 성형방법에 의해 목적하는 성형물(예:범퍼, 범퍼 코너)로 제조된다.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용융 혼련하는 경우와 성형하는 경우, 온도는 사용되는 중합체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이지만, 열분해되지는 않는 온도이다. 이런 점에서, 일반적으로 180 내지 280℃(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60℃)에서 실시된다.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
다음 실시예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있어서, 굴곡 탄성율은 ASTM D790에 따라 측정하고, 이조드 충격강도(노치된)는 ASTM D256에 따라 23℃ 및 -40℃에서 측정한다. 또한, 내열변형 온도는 ASTM D648에 따라 측정한다. 또한, 피막 밀착 강도는 두께가 2mm인 130×130mm의 평판을 성형하고, 1,1,1-트리클로로에탄의 증기로 30초 동안 2회 처리한 후, 프라이머(니혼비케미칼사제, 상품명 RB 291)를 피복 및 건조시키고, 프라이머면에 우레탄 도료 화이트(니혼비케미칼사제, 상품명 271)를 니혼비케미칼사의 지정 사용량에 준하여 피복시킨 것을 사용하여 10mm 간격으로 절단하고, 미리 일부를 강제적으로 박리시킨 후,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속도가 50mm/분인 조건하에서 피막의 180도 박리 강도를 측정하여 구한다. 또한, 가소홀 내성 시험에 있어서는 평판에 프라이머를 피복 및 건조시키고, 프라이머 면에 우레탄 도료 메탈릭(니혼비케미칼사제, 상품명 R255) 및 우레탄 도료 구리야(니혼비케미칼사제, 상품명 R266)를 상기와 동일하게 피복시킨 각각의 시료를 동등하게 단면이 나오도록 30×65mm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것을 가소홀(가솔린 90용량%, 에틸알콜 10용량%)에 실온에서 침지시키고, 침지시간과 박리시간의 상태를 관찰하여 측정한다. 또한, 사출 성형기(형체압 1,800톤)로 두께 4m, 폭 320mm, 길이 1,500mm의 시험용 범퍼를 성형하고, 범퍼로부터 150×150mm의 시험편을 절취한 후, 시험편을 가소홀내성 시험과 동일하게 피복시킨 후, 가소홀의 침지 시험을 실시한다. 또한, 제2표의 가소홀 내성 시험난에서 0는 시험에서 피막의 팽윤 및 박리가 전혀 없는 것을 표시하고, △는 약간의 팽윤 및 박리가 있는 것을, X는 팽윤 및 박리가 어느 정도 내지 거의 완전히 있는 것을 각각 표시한다.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탈크의 제조방법, 물성, 종류 등을 다음에 나타낸다.
[(A) 프로필렌계 중합체]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 다음의 중합체를 사용한다. 중합기 기속에서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필렌만을 중합시킨다. 계속하여, 중합기에 에틸렌을 공급하여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수득된 프로필렌계 중합체[이하, 「PP(A)」라고 한다]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MFR 60g/10분, 30℃의 온도에서 크실렌에 완전히 불용성임)를 75중량% 함유하고, 또한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50중량% 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MFR 0.1g/10분, 30℃의 온도에서 크실렌에 완전히 가용성이고,
Figure kpo00004
은 33이다)와의 조성물이다. PP(A)의 MFR은 13g/10분이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프로필렌계 중합체[이하, 「PP(B)」라고 한다]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MFR 40g/10분, 30℃의 온도에서 크실렌에 완전히 불용성임)를 78중량% 함유하고, 또한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55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MFR은 0.08g/10분이고, 30℃의 온도에서 크실렌에 완전히 가용성이며,
Figure kpo00005
은 16이다)와의 조성물이다. PP(B)의 MFR은 32g/10분이다. 비교를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MFR 20g/10분, 이하 「PP(C)」라고 한다]를 사용한다.
[(B)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서, 프로필렌의 공중합 비율이 38중량%이고 무니 점도(ML1+4,100℃)는 42이며 또한 MFR이 1.0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융점 115℃, 결정화도 4%,
Figure kpo00006
5.0 이하, 「EP(1)」이라고 한다], 프로필렌의 공중합 비율이 37중량%이고 무니 점도(ML1+4,100℃)가 41이며 또한 MFR이 1.0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융점 105℃, 결정화도 2.0%,
Figure kpo00007
4.8 이하 「EP(2)」라고 한다], 프로필렌의 공중합 비율이 24중량%이고 무니 점도(ML1+4,100℃)가 12이며 또한 MFR이 4.5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융점 110℃, 결정화도 0.7%,
Figure kpo00008
5.8 이하, 「EP(3)」이라고 한다] 및 프로필렌의 공중합 비율이 27중량%이고 무니 점도(ML1+4,100℃)가 42이며 또한 MFR이 2.0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결정화도 0%,
Figure kpo00009
4.1, 이하, 「EP(4)」라고 한다]를 사용한다.
[(C) 탈크]
또한, 탈크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2.0μm인 탈크를 사용한다.
[실시예 1 내지 7, 비교실시예 1 내지 7]
다음 제1표에 배합량이 표시된 프로필렌계 중합체(이하, 「PP」라고 한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이하, 「EP」라고 한다) 및 탈크를 미리 5분 동안 핸셀 믹서를 사용하여 건조 블랜드한다. 수득된 각 혼합물을 2축 압출기(직경 30mm)를 사용하여 200℃의 수지 온도에서 혼련하면서 펠렛상 조성물(MFR을 제2표에 표시한다)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수득된 각 펠렛을 수지온도 210℃에서 사출성형하고, 이조드 충격강도, 굴곡 탄성율, 열변형온도, 피막밀도 강도 및 가소홀 내성을 측정 또는 관찰하기 위한 시험편을 제조한다. 계속하여 이들을 측정 및 관찰하여 그 결과를 다음 제2표에 나타냈다.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이의 성형물 및 제조방법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1) 상온에서 내충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저온(예:-40℃)에서 내충격성도 양호하다.
(2) 성형성이 우수하다.
(3) 내열성이 양호하다.
(4) 우레탄 도료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5) 가소홀 내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다방면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용도로서 범퍼, 범퍼 코너 등의 자동차 외장품 등을 들 수 있다.

Claims (9)

  1. 30℃의 온도에서 크실렌 가용성분이 5중량% 이하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10중량% 이하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 30℃의 온도에서 크실렌 불용성분이 5중량% 이하이고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한 분자량의 지표인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이 10 내지 100이고 또한 프로필렌 공중합 비율이 30 내지 75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 프로필렌의 공중합 비율이 15 내지 40중량%이고 또한 용융 유량이 0.1 내지 4.0g/10분이며 차동주사열량계로 측정한 융해 피크가 80℃ 이상이고 X선으로 측정한 결정화도가 1% 이상이며 또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의 지표인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이 4 내지 10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및 평균 입자 직경이 0.5 내지 20μm인 탈크(D)로 이루어진 조성물이고,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존재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조성 비율은 5.0 내지 40중량%이며, 이들 중합체 성분(A),(B),(C)의 총 합의 MFR(용융 유량)은 2.0 내지 100g/10분이고,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조성 비율은 17 내지 40중량%이며, 또한 탈크의 조성 비율이 3.0 내지 15중량%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A)의 MFR이 20 내지 100g/10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B)의 MFR이 0.01 내지 5.0g/10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A)와 중합체(B)의 합계량이 MFR이 5.0 내지 100g/10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A)와 중합체(B)중의 단량체 단위로서의 에틸렌 함량이 이들 중합체를 구성하는 총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5중량%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C)의 무니 점도가 10 내지 10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C)의 융해 피크가 80 내지 125℃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C)의 결정화도가 2 내지 3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C)의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이 4 내지 8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KR1019900012129A 1989-08-08 1990-08-08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KR0154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3,898/89 1989-08-08
JP1-203898 1989-08-08
JP20389889 1989-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733A KR910004733A (ko) 1991-03-29
KR0154515B1 true KR0154515B1 (ko) 1998-12-01

Family

ID=1648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129A KR0154515B1 (ko) 1989-08-08 1990-08-08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12534B1 (ko)
JP (1) JP2831821B2 (ko)
KR (1) KR0154515B1 (ko)
CA (1) CA2022927C (ko)
DE (1) DE690137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131B2 (ja) * 1991-01-25 1996-03-27 三菱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DE4117843A1 (de) * 1991-05-31 1992-12-03 Basf Ag Polypropylenmischungen mit zwei verschiedenen propylen-ethylen-copolymerisaten
JPH04372637A (ja) * 1991-06-21 1992-12-2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DK0564636T3 (da) * 1991-10-29 2000-06-13 Huntsman Corp Ekstruderingsbelægningsharpikser af polypropylen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deraf
IT1271420B (it) * 1993-08-30 1997-05-28 Himont Inc Composizioni poliolefiniche aventi un elevato bilancio di rigidita' e resilienza
US6743864B2 (en) 2002-03-12 2004-06-01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high tenacity
JP4170229B2 (ja) * 2002-03-12 2008-10-22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高流動性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4953659B2 (ja) * 2006-02-28 2012-06-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ウレタン系塗膜の保護シート
WO2020206229A1 (en) * 2019-04-05 2020-10-08 W.R. Grace & Co.-Conn. Poly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having high stiffness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249A (ja) * 1982-07-09 1984-01-20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蒸着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イルム
JPS62112644A (ja) * 1985-11-11 1987-05-23 Nippon Petrochem Co Ltd 軟質ポリオレフイン系組成物
JPH0745601B2 (ja) * 1986-08-04 1995-05-17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2534B1 (en) 1994-11-02
JPH03163143A (ja) 1991-07-15
EP0412534A2 (en) 1991-02-13
DE69013796D1 (de) 1994-12-08
JP2831821B2 (ja) 1998-12-02
KR910004733A (ko) 1991-03-29
CA2022927A1 (en) 1991-02-09
EP0412534A3 (en) 1992-03-18
CA2022927C (en) 2001-05-29
DE69013796T2 (de) 199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770B1 (ko)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CA1271865A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US4439573A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JPH01150A (ja) 自動車バンパ−用樹脂組成物
JPH0733460B2 (ja) 自動車バンパ−用樹脂組成物
US3478128A (en) Blend of crystalline block copolymer and ethylene-propylene rubber
KR0154515B1 (ko)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JPS6228174B2 (ko)
KR20000029586A (ko)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및자동차내부트림부품
EP0537368B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coating molded article thereof, and molded article thus coated
EP3786229B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H10276888A (ja) 自動車フロアカーペット用裏打ち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フロアカーペットマット
CA2087417A1 (en) Impact-resistant polyolefin molding composition
JP2594544B2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1004481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092960B2 (ja) 成形物
JP4258043B2 (ja) ポリプロピレン用着色剤組成物
KR20100118664A (ko) 플로우마크 억제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9980067272A (ko) 자동차 외장재용 복합 탄성수지 조성물
JPH0133497B2 (ko)
JPH08157656A (ja) 塗装不要な射出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7876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表面上への塗膜形成方法
JP2882939B2 (ja) 塗装性に優れた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902716B2 (ja) 樹脂組成物
JP333100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