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330B1 - 2축 연신 나일론계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축 연신 나일론계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330B1
KR0154330B1 KR1019900003201A KR900003201A KR0154330B1 KR 0154330 B1 KR0154330 B1 KR 0154330B1 KR 1019900003201 A KR1019900003201 A KR 1019900003201A KR 900003201 A KR900003201 A KR 900003201A KR 0154330 B1 KR0154330 B1 KR 015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nylon
layer
biaxially stretched
sig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479A (ko
Inventor
다가시게
오오끼
하야시
우쓰기
후지모도
Original Assignee
혼고오 무쓰시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5941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89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7564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70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9835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70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8396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89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86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73879B2/ja
Application filed by 혼고오 무쓰시,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혼고오 무쓰시
Publication of KR90001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2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blown tubular films, e.g. by inf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2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assembly of non-flat intermediate products which are flattened at a later step,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4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32B2310/0445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7/00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축 연신 나일론계 필름의 제조방법
제1도는 도면의 각 실험예에 관한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임.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2축 연신된 2축 연신 나일론계 단층 및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식품포장 분야, 공업재료 분야등에서 이용할 수가 있다.
튜불러(Tubular)법에 의하여 동시 2축 연신되어 제조된 나일론 필름은 강도, 투명성 등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이 양호하다는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나일론 필름의 수분에 대한 차단(barrier)성을 향상시킨 기재(基材)로서 나일론 6층/폴리염화 비닐리덴(PVDC)층을 가진 다층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층 필름을 소각하면 폴리염화 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유해한 염소가스가 발생하며, 이것이 결국은 산성비를 초래하여 환경파괴에 관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환경문제를 이르키는 일이 없이, 또한 산소 차단성도 우수한 기재로서 폴리염화 비닐리덴을 함유하지 않는 여러 가지 나일론계의 다층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일론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은 차단성과 함께 열수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정육 포장용 필름 등으로서의 수요가 기대되고 있고, 종전부터 2축 연신된 이러한 종류의 나일론계 다층 필름의 안정한 제조방법이 요망되어 왔다. 또한, 혹은 나일론 6층/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층/나일론 6층의 다층 필름이 제안되어 2축 연신된 이 다층 필름의 안정한 제조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튜불러법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조된 필름은 일반적으로 두께 정밀도가 낮기 때문에 감는 상태가 악화하거나, 인쇄, 라미네이트, 포대 만들기 등의 2차 가공시에 불량이 발생하거나하여 그 포장용, 공업용 필름으로서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었다. 이것은, 연신용 원단 필름의 제작시, 두께 정밀도를 압출 다이(die)로 조정하더라도 ±2∼6% 정도의 두께 불균형이 발생하는 외에 종래의 튜불러법에 의하면, 연신시에 그 두께 불균형이 더욱 2배이상 악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연신 변형시의 버블(bubble)이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버블이 횡요동을 이르키거나, 때로는 포대를 파열하는 염려도 있었다.
종래에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의 2축 연신시의 성형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2축 연신전에 예열을 하는 방법(일본국 특개소 57-41924호 공보), 연신 배율을 규정하는 방법(일본국 특공소 49-47269호 공보), 연신온도를 규정하는 방법(일본국 특공소 53-15914호 공보) 등도 제안되어 있으나, 어느 제조방법에 의하더라도 양호한 필름이 얻어지는 제조조건을 반드시 명확히 규정할 수가 없었다.
구체적으로는 2축 연신전에 예열을 하는 방법(일본국 특개소 57-41924호 공보에 의하면, 필름이 나일론 6층/EVOH층/나일론 6층과 같은 다층 필름인 경우, 연신 응력이 너무 높아져서 연속성형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일본국 특공소 49-47269호 공보에 의하면, 폴리-ε-카프라미드(Poly-ε-capramide)수지를 용융합출하여 얻어지는 관상(管狀) 필름을 급냉고화하여 실질적으로 무정형이고도 실질적으로 수소결합이 없는 폴리-ε-카프라미드 수지 관상 필름을 그 수분 함유량이 2% 미만인 상태로 유지하고, 연신전에 45∼70℃의 온도에서 튜우브 연신을 하며, 그때의 연신 배율을 가로, 세로 각각 2.0∼4.0배의 범위에서 2축 연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분자배향한 폴리-ε-카프라미드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더욱이 일본국 특공소 53-15914호 공보에 의하면 폴리아미드 미연신 튜우브 모양 필름을 50∼90℃의 온도로 가열한 후 연신 개시점과 연신 종료점 사이의 분위기 온도를 180∼250℃로 유지함으로써 연신 개시점을 고정하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최종 연신배율 차이를 0.2∼0.6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기체압력에 의하여 세로 방향으로 2.5∼3.7배, 가로 방향으로 3.0∼4.0배의 배율로 동시 2축 연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필름의 튜브모양 2축 연신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신배율 또는 연신온도의 제어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서 양호한 필름을 얻게 되는 제조조건을 반드시 정확하게 규정할 수가 없었다.
또한 나일론 6-66 공중합체는 수축특성과 강도가 우수한 수지이기 때문에, 이러한 수지를 사용한, 예컨대 축육(畜肉), 치이즈 등의 포장용 기재로서의 나일론계 단층 및 다층 필름의 안정한 제조방법이 요망되어 왔다.
또한, 폴리염화 비닐리던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 수축율은 양호하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특히 저온 유통과정에서 포대가 파열되는 위험성이 있다.
더욱이 나일론 66은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수지이기 때문에, 이러한 수지를 사용한, 예컨대 레토르트(Retort) 및 하이레토르트 식품용 포장기재로서의 나일론계 단층 및 다층 필름의 안정한 제조방법이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튜불러법에 의하여 2축 연신된 나일론계 단층 필름(나일론 6 필름, 나일론 66 필름, 나일론 6-66 필름)과 나일론계 다층 필름에 대하여 2축 연신시의 성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얻어지는 필름의 두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목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튜불러법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중에서, 특히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에 대하여 연신시의 성형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얻어지는 필름의 두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튜불러법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의 제조실험을 통하여 연신에 관하여는 각종 변수를 확인한 결과, 필름의 이동 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MD에 근거하여 제조조건을 설정하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태양은, σMD및 σTD를 각각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σMD와 σTD가 1300 kg/㎠ 보다 초과하는 경우는 연신 도중의 버블의 파열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연속생산을 할 수 없게 되며 σMD와 σTD가 600 kg/㎠ 보다 하회하는 경우는 연신 도중의 버블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σMD와 σTD는 모두 상한을 1200 kg/㎠으로 하고, 하한을 700 kg/㎠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
본 발명은 제2의 목적은 튜불러법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중, 특히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에 대하여 연신시의 성형상태를 안정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얻어지는 필름의 두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튜불러법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의 제조실험을 통하여 연신에 관여하는 각종 변수를 확인한 결과, 필름의 이동 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TD에 근거하여 제조조건을 설정하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한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태양은, σMD및 σTD를 각각
Figure kpo00004
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σMD와 σTD가 1500 k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 도중의 버블의 파열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연속생산을 할 수 없게 되고, σMD와 σTD가 700 kg/㎠ 미만의 경우에는 연신 도중의 버블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σMD와 σTD는 모두 상한을 1400 kg/㎠ 로 하고, 하한을 800 kg/㎠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튜불러법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중, 특히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에 대하여 연신시의 성형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얻어지는 필름의 두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튜불러법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의 제조실험을 통하여, 연신에 관여하는 각종 변수를 확인한 결과,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을 σTD에 근거하여 제조조건을 설정하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한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태양은 σMD및 σTD를 각각
Figure kpo00005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σMD와 σTD가 1100 k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 도중의 버블의 파열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연속생산을 할 수 없게 되고 σMD와 σTD가 500 kg/㎠ 미만의 경우에는 연신 도중의 버블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σMD와 σTD는 모두 상한을 1000 kg/㎠ 으로 하고, 하한을 600 kg/㎠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
본 발명이 제4의 목적은 산소에 대한 차단(barrier)성이 양호하고, 또한 강도가 높은 나일론 6층과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층을 가진 다층 필름에 대하여 2축 연신시의 성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얻어지는 필름의 두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제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튜불러법에 의한 2축 연신된 나일론 6층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층을 가진 다층 필름의 제조 실험을 통하여 연신에 관여하는 각종 변수를 확인한 결과,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TD에 근거하여 제조조건을 설정하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한 제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태양은,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06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σMD와 σTD가 1250 k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 도중의 버블의 파열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연속생산이 불가능하게 되고, σMD와 σTD가 600 kg/㎠ 미만의 경우에는 연신 도중의 버블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σMD와 σTD는 모두 상한을 1100 kg/㎠ 으로 하고, 하한을 700 kg/㎠ 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한 나일론 6층 및 EVOH층을 가진 다층 필름이라 함은, 예를 들어 나일론 6층/EVOH층의 2층 구조, 나일론 6층/EVOH층/나일론 6층의 3층 구조등으로 된 다층 필름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목적]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나일론 6층, 접착제 수지층,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2축 연신 다층 필름에서의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TD에 착안하여, 이들 σMD와 σTD에 근거하여 제조조건을 설정하는데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ⅰ) 나일론 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와 같은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ⅱ) 폴리올레핀층, 접착제 수지층, 나일론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 층이 이와 같은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등이 있다.
즉, 상기한 제5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태양은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07
또한, σTD와 σMD는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한을 650 kg/㎠ 로 하고, 하한을 450 kg/㎠ 으로 한다.
상기한 폴리올레핀층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아이오노머(ionomer) 수지(IR),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폴리부텐(PB),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등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히이트 시일(heat seal) 적성(適性)의 점에서 PE중에서도 L-LDPE(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IR, EVA, EAA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접착제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으나, 예를 들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EVA의 아세트산 함량이 많은 것들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악취발생이 적다는 점에서 변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의 목적]
본 발명의 제6의 목적은 나일론 6층,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에서의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연신응력 σTD에 착안하여 이들의 σMD와 σTD에 근거하여 제조조건을 설정하는데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ⅰ) 나일론 6층, EVOH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ⅱ) 나일론 6층, EVOH층, 나일론 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ⅲ) EVOH층, 나일론 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ⅳ) 폴리올레핀층, 접착제 수지층, 나일론 6층, EVOH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ⅴ) 폴리올레핀층, 접착제 수지층, 나일론 6층, EVOH층, 나일론 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등이 있다.
즉, 상기한 제6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태양은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08
또한, σTD와 σMD는 어는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한을 750 kg/㎠ 로 하고, 하한을 550 kg/㎠ 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목적]
본 발명의 제7의 목적은 나일론 6-66층 및 EVOH층을 가진 다층 필름에서의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TD에 착안하여 이들 σMD와 σTD에 근거한 제조조건을 설정하는데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의 구체적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ⅰ) 나일론 6-66층 및 EVOH층이 적층 형성된 것,
(ⅱ) 나일론 6-66층, EVOH층 및 나일론 6-66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ⅲ) EVOH층, 나일론 6-66층 및 EVOH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등이 있다.
즉, 상기한 제7의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태양은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09
또한, σTD와 σMD는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한을 1000 kg/㎠ 로 하고, 하한을 600 kg/㎠ 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의 목적]
본 발명의 제8의 목적은, 나일론 6-66층, EVOH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에서의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TD에 착안하여 이들 σMD와 σTD에 근거한 제조조건을 설정하는데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ⅰ) 나일론 6-66층 및 EVOH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ⅱ) 나일론 6-66층, EVOH층, 나일론 6-6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ⅲ) EVON층, 나일론 6-6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ⅳ) 폴리올레핀층, 접착제 수지층, 나일론 6-66층, EVOH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ⅴ) 폴리올레핀층, 접착제 수지층, 나일론 6-66층, EVOH층, 나일론 6-6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등이 있다.
즉, 상기한 제8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태양은,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10
또한, σTD와 σMD는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게 상한을 650 kg/㎠ 로 하고, 하한을 450 kg/㎠ 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의 목적]
본 발명의 제9의 목적은 나일론 6-6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에서의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TD에 착안하여, 이들 σMD와 σTD에 근거한 제조조건을 설정하는데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ⅰ) 나일론 6-66층, 접착제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으로 적층 형성된 것,
(ⅱ) 폴리올레핀층, 접착제 수지층, 나일론 6-6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 형성된 것 등이 있다.
즉, 상기한 제9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태양은, σMD와 σTD를 각각
또한, σMTD와 σTMD는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한을 550 kg/㎠ 로 하고, 하한을 350 kg/㎠ 으로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 σMD와 σTD는 각각 다음 (1) 및 (2)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σMD= (F×BMD)/A, F = T/r ‥‥ (1)
여기서, F는 연신력(kg), BMD는 MD 방향의 연신배율.
A는 원단 필름의 단면적(㎠),
T는 닙 로울러(nip roller) 회전 토오크(torque) (kg·cm)
r은 닙 로울러의 반경(cm)이다.
또한 상기한 연신력(F)은 닙 로울러의 구동에 필요한 모우터의 부하를 읽어내어 이것으로부터 회전 토오크 T를 산출하여 구한 값이다.
σTD= (△P×R)/t ‥‥ (2)
여기서 △P는 버블내 압력(kg/㎠), R은 버블반경(cm), t는 필름의 두께(cm)이다.
또한 상기한 버블내 압력 △P는 디지틀 마노메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상기한 필름의 두께(t)는 원단 필름의 두께/(MD 연신배율×TD 연신배율)로부터 산출한 값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의 실험예를 제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험예 1]
상대점도 ηr= 3.7의 나일론 6, 구체적으로는 UBE 나일론 1024FO 〔상품명 우베고오상(주)제, ηr(상대점도) 3.7〕를 사용하고 환상(環狀) 다이 (직경 75 mm)로부터 압출한후, 냉각조(수온 15℃)에서 냉각하여 두께 120μm 의 관상(管狀) 원단 필름(1)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제1도에 나온 바와 같이 이 원단 필름(1)을 한쌍의 닙 로울러(2) 사이에 끼워 통과시킨 후, 속으로 기체를 압입하면서 히이터(3) (설정온도 310℃)로 가열함과 동시에 연신 개시점에서 에어 링(4)으로부터 공기(5) (풍량 15㎥/분)를 불어 넣어 버블(6)로 팽창시키고, 하류쪽의 한쌍의 닙 로울러(7)로 잡아당김으로써 동시 2축 연신을 하였다. 이 연신배율은 필름의 이동방향(MD)으로 3.0배 및 필름의 폭방향(TD)으로 3.2배이었다.
이러한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경, 닙 로울러(1),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의 부하, 토오크 등을 특정값으로 설정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TD를 조정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는 950 kg/㎠, 그리고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TD는 960 kg/㎠ 이였다.
또한 이들 σMD와 σTD는 T =〔97,450×(I-Io)×0.22〕/N로하여 상기한 (1) 및 (2) 식에 의하여 산출한 것이다. 여기서, I는 운전시의 모우터 전류(A), Io는 공운전시의 모우터 전류(A), N는 닙 로울러 회전수(rpm)로 한다. 또한 상기한 토오크(T)의 구체적 수치는 실험예에 의한 특정의 닙 로울러에 관한 것이다.
σMD및 σTD를 이와 같이 조건 설정한 본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 한 결과,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은 가로요동등이 없고 안정하며,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8)의 두께의 불균일은 ±4%로서 두께 정밀도가 극히 양호하였다.
[실험예 2∼10]
상기한 실험예 1과 같이하여 실험예 2∼10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8)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MD 연신배율과 TD 연신배율, 에어 링(4)의 풍량, 히이터(3)의 설정온도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이 조건을 상이하게 하였다.
MD 연신배율에 대하여는 실험예 2∼8, 10을 3.0. 실험예 9를 3.4로 하였다.
TD 연신배율에 대하여는 실험예 2∼6, 9, 10을 3.2. 실험예 7을 3.0, 실험예 8을 3.4로 하였다.
에어 링(4)의 풍량에 대하여는 실험예 2, 3, 7∼10을 15 ㎥/분, 실험예 4를 5 ㎥/분, 그리고 실험예 6을 45 ㎥/분으로 하였다.
히이터(3)이 설정온도에 대하여는 실험예 2를 330℃, 실험예 3을 280℃, 실험예 4∼9를 310℃, 실험예 10을 370℃로 하였다.
냉각조의 냉각수에 대하여는 모두 15℃로 하였다.
또한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각 실험예마다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MD와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TD가 대략 동등한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의 내의 압력, 버블(6)의 반경, 닙 로울러(1),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와 부하, 토오크 등을 특정의 값으로 설정하였다.
σMD및 σTD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8)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8)의 두께의 불균일, 즉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종합하여 나타낸다.
[비교예 1∼8]
상기한 실험예와 같이하여, 비교예 1∼8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MD 연신배율과, TD 연신배율, 에어 링(4)이 풍량, 히이터(3)의 설정온도, 냉각수의 수온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이 조건을 상이하게 하였다.
MD 연신배율에 대하여는 비교예 1∼4, 8을 3.0, 비교예 5를 3.6, 비교예 6을 2.4, 비교예 7을 3.4로 하였다.
TD 연신배율에 대하여는 비교예 1∼6, 8을 3.2, 비교예 7을 3.4로 하였다.
에어 링(4)의 풍량에 대하여는 비교예 1, 2, 5∼8을 15 ㎥/분 비교예 3을 0 ㎥/분, 비교예 4를 55 ㎥/분으로 하였다.
히이터(3)의 온도에 대하여는 비교예 1을 400℃, 비교예 2를 260℃, 비교예 3∼8을 310℃로 하였다.
냉각수의 수온에 대하여는, 비교예 1∼7을 15℃, 비교예 8을 45℃로 하였다.
또한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상기한 실험예와 같이 각 비교예마다 σMD와 σTD가 대략 동등한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경 등을 특정의 값으로 설정하였다.
σMD및 σTD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비교예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 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의 안전성을 관찰,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의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종합하여 나타낸다.
다음표에서 성형 안정성의 란의 ◎표는 버블의 절경변동(折經變動)(flat width variation)이 ±1%이고, 버블의 파열, 불안정 현상 (상하 이동, 가로요동)이 발생하지 않음, ○표는 버블의 절경변동이 ±3%이고, 버블의 파열, 불안정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 ×표는 버블의 파열 또는 불안정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연속성형이 곤란함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두께 정림도의 란의 ○, △ 및 ×표는 각각 편육(偏肉: local thickness)이 ±6% 이하, ±7∼10% 및 ±11% 이상을 나타낸다. 종합평가의 란의 ◎표는 공업생산에 최적, ○표는 공업생산에 적합, ×표는 공업생산 불가능을 각각 나타낸다.
Figure kpo00012
위의 표의 실험예 및 비교예에서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초대 연신응력 σ가 어느 것이나 600 kg/㎠ 이상, 1300 kg/㎠ 이하의 경우에, 버블(6)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과 함께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8)의 양호한 두께 정밀도가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σ와 σ는 모두 상한을 1200 kg/㎠ 으로 하고, 하한을 700 kg/㎠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험예에 의하면,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의 연신 변형시에서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연속생산을 지장없이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얻어지는 2축 연신 나일론 6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품질이 양호한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실험예에 대하여 제1도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실험예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하게 한다.
[실험예 11]
상대점도 η3.6의 나일론 66 (우베고오산(주)제)을 사용하여 압출기중에서 290℃의 용융수지로하여 이것을 직경 40 mm 의 스크류를 가진 압출기로부터 압출한후, 수온 15℃의 수냉 링으로 냉각하여 직경 90 mm, 두께 125 μm의 튜우브상 원단 필름(1)을 제작하였다.
다음에, 제1도에 나온 바와 같이 이 원단 필름(1)을 한쌍의 닙 로울러(2)사이에 통과시킨후, 속으로 기체를 압입하면서 290℃의 히이터(3)로 가열함과 동시에 연신 개시점에서 에어 링(4)으로부터 풍량 15 ㎥/분의 공기(5)를 불어 넣어 버블(6)을 팽창시키고, 하류측의 한쌍의 닙 로울러(7)로 당겨냄으로서 동시 2축 연신을 하였다. 이 연신배율은 필름의 이동방향(MD)으로 2.8배 및 필름의 폭방향(TD)으로 3.2배이었다.
이러한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경 닙 로울러 (2),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의 부하, 회전 토오크 등을 특정의 값으로 설정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σ를 조정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는 880 kg/㎠, 그리고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는 960 kg/㎠ 이었다.
또한, 이들의 σ와 σ는 F = 110 kg, B= 2.8, A = 0.35 ㎠, T = 550 kg·cm, r = 5 cm, △P = 934×10 kg/㎠, R = 14.4 cm, t = 14.0×10 cm 로하여 상기한 (1) 및 (2) 식에서 산출한 것이다.
σ및 σ를 이와 같이 조건 설정한 본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 제조를 하였는데,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은 가로요동 없이 안정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8)의 두께의 불균일은 ±3%로서 두께 정밀도가 극히 양호하였다.
[실험예 12∼17]
상기한 실험예 11과 같이하여 실험예 12∼17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8)의 제조를 하였다. 여기서 MD와 TD의 연신배율, 에어 링(4)의 풍량, 히이터(3)의 설정온도에 대하여는 다음 표 2에 나온 바와 같이 조건을 상이하게 하였다.
또한,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각 실험예마다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와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대략 동등한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경, 닙 로울러(2),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의 부하, 회전 토오크 등을 특정의 값으로 설정하였다.
σ와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8)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 제조를 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8)의 두께의 불균일, 즉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종합하여 나타낸다.
[비교예 9∼14]
상기한 실험예와 같이 하여, 비교예 9∼14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의 제조를 하였다. 여기서 MD와 TD의 연신배율, 에어 링(4)의 풍량, 히이터(3)의 설정온도, 냉각수의 수온에 대하여는 다음 표 2에 나온 바와 같이 조건을 상이하게 하였다.
또한,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상기한 실험예와 같이 각 비교예마다 σ와 σ가 대략 동등한 적당한 값이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경 등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σ및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설정한 각 비교예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의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의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아울러 나타낸다.
또한, 다음 표에서 사용되고 있는 ◎, ○, △ 및 ×의 기호는 표 1의 경우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Figure kpo00013
이 표로부터 실험예 11∼17에 의하면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어느 것이나 700∼1500 kg/㎠ 의 범위내에 있기 때문에 2축 연신시의 버블(6)이 양호한 성형 안정성과 더불어 필름(8)의 양호한 두께의 정밀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σ와 σ를 각각 800∼1400 kg/㎠ 의 범위내로 설정한 실험예 11, 13, 15, 16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9, 12, 13에 의하면 σ와 σ가 700 kg/㎠ 미만이고, 비교예 10, 11, 14에 의하면 σ와 σ가 1500 kg/㎠를 초과하기 때문에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중 적어도 하나는 불량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예에 의하면 나일론 66 필름의 2축 연신시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연속생산을 지장없이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얻어지는 2축 연신 나일론 66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품질이 양호한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실험예에 대하여 상기한 제1, 제2실험예와 같이 제1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각 실험예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하게 한다.
[실험예 18]
나일론 6이 85 몰 %, 나일론 66이 15 몰%의 비율로 함유된 나일론 6-66 필름으로서, UBE 나일론 5023FE (상품명, 우베고오상(주)제, η(상대점도) 3.6)를 사용하여 직경 40 mm의 스크류우를 가진 압출기로부터 압출한후, 수온 15℃의 수냉 링으로 냉각하여 직경 90 mm 두께 140μm의 튜우브형 원단 필름(1)을 제작하였다.
다음에 이 원단 필름(1)을 한쌍의 닙 로울러(2)사이에 보내 통과한후, 속에 기체를 압입하면서 290℃의 히이터(3)로 가열함과 동시에 연신개시점에서 에어 링(4)으로부터 풍량 15 ㎥/min 의 공기(5)를 불어 넣어 버블(6)로 팽창시키고, 하류쪽의 한쌍의 닙 로울러(7)에서 당겨냄으로써 동시 2축 연신을 하였다. 이 연신배율은 필름의 이동방향(MD)으로 3.1배 및 필름의 폭방향(TD)으로 3.2배였다. 그런후 150℃에서 열고정을 하였다.
이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닙 로울러 (2),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의 부하, 회전 토오크 등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를 조정하였다.
본 실험예에 있어서는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는 780 kg/㎠, 그리고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는 810 kg/㎠ 이었다.
그리고, 이들 σ와 σ는 상기한 (1) 및 (2)식에서 산출한 것이다.
σ와 σ를 이와 같이 조건 설정한 본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24시간의 연속 제조를 한 결과,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은 옆 흔들림 등이 없고 안정하였다. 또 얻어진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8)은 두께의 불균일성이 ±3.5%로서 두께의 정밀도가 매우 양호하고, 또한 수축율이 95℃의 열수중에서 30% 이어서 양자의 밸런스도 양호하였다.
[실험예 19∼24]
상기한 실험예 18과 같이하여 실험예 19∼24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8)의 제조를 하였다. 단, MD 연신배율과 TD 연신배율, 에어 링(4)의 풍량, 히이터(3)의 설정온도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3에 나온 바와 같이 조건을 상이하게 하였다.
또한 동시 2축 연시의 경우 각 실험예마다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와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거의 같은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닙 로울러(2),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의 부하, 토오크 등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σ및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8)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 제조를 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또 얻어진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8)의 두께의 불균일성, 즉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종합하여 나타낸다.
[비교예 15∼19]
상기 실험예와 같이하여 비교예 15∼19에 의한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의 제조를 하였다. 단, MD 연신배율과 TD 연신배율, 에어 링(4)의 풍량, 히이터(3)의 설정온도, 냉각수의 수온에 대하여서는 다음과 같이 조건을 상이하게 하였다.
또한,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상기 실험예와 같이 각 비교예마다, σ와 σ가 거의 같은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등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σ및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비교예에 의한 2축 연신나일론 6-66 필름이 제조에 있어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 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또 얻어진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의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그리고, 아래의 표에서 사용되고 있는 ◎, ○, △ 및 ×의 기호는 위에 나온 표 1의 경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Figure kpo00014
이 표로부터 실험예 18∼24에 이하면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어느 것이나 500∼1100 kg/㎠ 의 범위내에 있기 때문에 버블(6)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과 아울러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8)의 양호한 두께 정밀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σ와 σ를 각각 600∼1000 kg/㎠ 의 범위내로 설정한 실험예 18, 19, 21, 23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과 두께 정밀도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5, 17에 의하면 σ와 σ가 500 kg/㎠ 미만이고, 비교예 16, 18, 19에 의하면 σ와 σ가 1100 kg/㎠를 초과하기 때문에 성형 안전성과 두께 정밀도의 적어도 하나가 불량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예에 의하면 나일론 6-66 필름의 2축 연신시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연속생산을 지정없이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얻어지는 2축 연신 나일론 6-66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품질이 양호한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4실험예에 대하여 상기한 각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제1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각 실험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하게 한다.
[실험예 25]
압출기에서 나일론 6층 (두께 49 μm)/EVOH 층 (두께 49μm)/나일론 6 (두께 49μm)층의 3층 구조를 가진 다층 원단 필름을 공압출(共押出) 성형한후, 이 다층 원단 필름을 수온 15℃의 수냉 링으로 냉각하여 두께 147 μm의 튜우브형 원단 필름(1)을 제작하였다. 이 나일론 6은 실험예 1과 같은 나일론 6을 사용하고, 또 EVOH는 에틸렌 함유율이 38몰 %의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에, 이 원단 필름(1)을 한쌍의 집 로울러(2)사이를 통과한후 속에 기체를 압입하면서 310℃의 히이터(3)로 가열함과 동시에 연신 개시점에서 에어 링(4)으로부터 풍량 15㎥/min 의 공기(5)를 불어 넣어 버블(6)로 팽창시키고, 하류쪽의 한쌍의 닙 로울러(7)에서 잡아 끌어냄으로써 동시 2축 연신을하여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얻었다. 이 연신배율은 필름의 이동방향(MD)으로 3.0배 및 필름의 폭방향(TD)으로 3.2배이었다.
이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닙 로울러(2),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의 부하, 회전 토오크 등을 특정의 값으로 설정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를 조정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는 710 kg/㎠, 그리고 필름의 T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는 750 kg/㎠ 이었다.
그리고, 이들 σ와 σ는 F = 97 kg, B= 3.0, A = 0.41 ㎠, T = 486 kg·cm, r = 5cm, △P = 800×10 kg/㎠, R = 14.4 cm, t = 15.3×10 cm 로하여 위에 나온 (1) 및 (2) 식으로 산출한 값이다.
σ및 σ를 이와 같이 조건 설정한 본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제로를 한 결과,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은 옆흔들림 등이 없었고 성형 안정성이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얻어진 다층 필름(8)은 두께의 불균일성이 ±0.5% 으로서 두께 정밀도가 양호하였다.
[실험예 26∼36]
상기 실험예 25와 같이하여 실험예 26∼36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제조하였다. 단, EVOH의 에틸렌 함유율, 제1∼제3층의 두께의 비율, MD 연신배율과 TD 연신배율, 에어 링(4)의 풍량, 히이터(3)의 설정온도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4에 나타낸 것 같이 조건을 달리하였다. 더욱이, 실험예 36만은 나일론 6층/EVOH층의 2층 구조를 가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인데, 각 층의 두께의 비율은 2 : 1 이다.
그리고,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각 실험예마다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와 필름의 T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거의 같은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닙 로울러(2),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의 부하, 회전 토오크 등을 특정의 값으로 설정하였다.
σ및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 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또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의 불균일성, 즉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종합하여 나타낸다.
[비교예 20∼27]
상기 실험예와 같이하여 비교예 20∼27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의 제조를 하였다. 단, EVOH의 에틸렌 함유율, 제1∼제3층의 두께의 비율, MD 연신배율과 TD 연신배율, 에어 링(4)의 풍량, 히이터(3)의 설정온도, 냉각수의 수온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4에 나온 바와 같이 조건을 달리 하였다. 더욱이, 비교예 26과 27에 대해서는 2축 연신전에 다층 필름에 80℃의 예비가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상기한 실험예와 같이 각 비교예마다 σ와 σ가 거의 같은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등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σ및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비교예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 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의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함께 나탄낸다. 그리고, 이 표에서 사용되고 있는 ◎, ○, △ 및 ×의 기호는 표 1의 경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Figure kpo00015
이 표로부터 실험에 25∼36에 의하면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및 필름의 T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어느 것이나 600∼1250 kg/㎠ 의 범위내에 있기 때문에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과 함께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양호한 두께 정밀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σ와 σ를 각각 700∼1100 kg/㎠ 의 범위내로 설정한 실험예 25, 27, 28, 30∼33, 36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과 두께 정밀도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20, 21, 23, 25∼27에 의하면 σ와 σ가 1250 kg/㎠를 초과하고, 또 비교예 22, 24에 의하면 σ와 σ가 600 kg/㎠ 미만이기 때문에 성형 안정성과 두께 정밀도의 적어도 하나가 불량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예에 의하면 나일론 6층 및 EVOH 층을 가진 다층 필름의 2축 연신시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연속생산을 지장없이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얻어지는 2축 연신 다층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품질이 양호한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5실험예에 대하여 상기한 각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제1도를 사용함과 아울러 아래에 기술하는 실험예 37∼54 및 비교예 28∼34를 통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각 실험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하게 한다.
[실험예 37]
압출기로부터 나일론 6층 (두께 90 μm)/ 접착제 수지층 (두께 30μm)/L-LDPE층 (두께 30μm)의 3층 구조를 가진 다층 원단 필름을 공압출 성형한후, 이 다층 원단 필름을 수온 15℃의 수냉 링으로 냉각하여 두께 150 μm의 튜우브형 원단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다층 원단 필름에서 나일론 6은 실험예 1과 같은 나일론 6이며, 접착제 수지는 UBE Bond F 1100 (상품명, 우베고오상(주), 변성 폴리에틸렌계 수지), L-LDPE는 모아랙 0238CL 〔상품명, 이데 미츠 세끼유 가가구(주)제, MI (melt index) 2.0, d(밀도) 0.925〕를 각각 사용하였다.
이어서 제1도에 나타낸 것 같이 이 원단 필름(1)을 한쌍의 닙 로울러(2) 사이를 통과시킨후 속에 기체를 압입하면서 350℃의 히이터(3)로 가열함과 동시에 연신 개시점에서 에어 링(4)으로부터 풍량 15 ㎥/min 의 공기(5)를 불어 넣어 버블(6)로 팽창시키고, 하류쪽의 한쌍의 닙 로울러(7)에서 잡아 끌어냄으로써 동시 2축 연신을 하여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얻었다. 이 연신배율은 필름의 이동방향(MD)으로 3.0배 및 폭방향(TD)으로 3.2배이었다.
이러한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닙 로울러(2),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의 부하, 회전 토오크 등을 특정의 값으로 설정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 σ및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 σ를 조정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는 560 kg/㎠, 그리고 필름의 TD 방향이 최대 연신응력 σ는 550 kg/㎠ 이었다. 그리고, 이들 σ와 σ는 F = 76.5 kg, BND = 3.0, A = 0.41 ㎠, T = 383 kg·cm, r = 5cm, △P = 596×10 kg/㎠, R = 14.4 cm, t = 15.6×10 cm 로 하여 상기한 (1) 및 (2)식으로 산출한 것이다.
σ및 σ를 이와 같이 조건 설정한 본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 한 결과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은 흔들림 등이 없고 성형 안정성이 매우 양호하였다. 또 얻어지는 다층 필름(8)은 두께의 불균일성이 ±4.5% 로서 두께 정밀도가 양호하였다.
[실험예 38∼54]
상기 실험예 37과 같이하여 실험예 38∼54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제조하였다. 단, 다층 필름(8)의 층의 구성, 각층의 두께의 비율, MD 연신배율과 TD 연신배율, 에어 링(4)의 풍량, 히이터(3)의 온도, 냉각수의 온도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5에 나타낸 것 같이 조건을 각각 상이하게 하였다. 그리고, 표중의 층의 구성에서 Ny 6은 나일론 6층, AD는 접착제 수지층, PE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층, EVA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층, IR는 아이오노머(ionomer)수지층, EAA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층, EEA는 에틸렌-에틸아크릴에이트 공증합체층, PB-1은 폴리부텐-1층, PP는 폴리프로필렌층, L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의 약자이다.
그리고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각 실험예마다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와 필름의 T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거의 같은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닙 로울러(2), (7)의 회전수, 구동 모우터의 부하, 회전 토오크 등을 특정의 값으로 설정하였다.
σ및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실험예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 제조를 하였다. 이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의 불균일성, 즉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아래의 표 5에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험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층의 구체적인 수지는 아래와 같다.
EVE ‥‥ 울트라센 UE540F (상품명, 도오소오(주) 제 M1 3.0, d 0.927, Tm (융점) 96℃)
IR ‥‥ 하이미란 1650 (상품명, 미쓰이·듀우폰 폴리케미칼(주)제, Zn계, M15.0)
EAA ‥‥ 푸리마콜 1410 (상품명, 다우케미칼 日本(주)제)
EEA ‥‥ 에바렉스-EEA A70 (상품명 미쓰이·듀우폰 폴리케미칼(주)제, M1 5.0)
PB-1 ‥‥ 폴리부틸렌 0200 (상품명, 세에루(주)제, M1 2.0)
PP ‥‥ 이데미쓰 폴리푸로 F740-N (상품명,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주)제, M1 7.0, d 0.9)
LDPE ‥‥ UBE 폴리에틸렌 F222 (상품명, 우베고오상(주)제, M1 2.0, d 0.922)
그리고, 아래의 표 5∼표 13에서 사용되고 있는 ◎, ○, △ 및 ×의 기호는 상기한 표 1의 경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Figure kpo00016
[비교예 28∼34]
상기 실험예와 같이하여 비교예 28∼34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 다층 필름(8)의 층의 구성, 각층의 두께의 비율, MD 연신배율 TD 연신배율, 에어 링(4)의 풍량, 히이터(3)의 온도, 냉각수의 온도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6에 나타낸 것 같이 조건을 각각 상이하게 하였다.
그리고,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상기한 실험예와 같이 각 비교예마다 σ와 σ가 거의 같은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등을 특정의 값으로 설정하였다.
σ및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비교예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 하였다. 이 연신 변형시의 버블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그리고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의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아래의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17
표 5의 실험예 37∼54에 의하면 튜불러법에 의하여 2축 연신된 나일론 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8)의 제조방법에서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및 필름의 T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어느 것이나 400∼700 kg/㎠ 의 범위내에 있기 때문에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과 더불어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양호한 두께 정밀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σ와 σ를 각각 450∼650 kg/㎠ 의 범위내로 설정한 실험예 37, 38, 41, 42, 45, 46, 48∼51, 54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과 두께 정밀도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표 6에서 비교예 29, 30, 33, 34에 의하면 σ와 σ가 700 kg/㎠를 초과하고, 또 비교예 28, 31, 32에 의하면 σ와 σ가 400 kg/㎠ 미만이기 때문에 성형 안정성과 두께 정밀도의 적어도 하나가 불량인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6실험예에 대하여 상기한 각 실험예와 같이 제1도를 사용하면서 아래에 기술하는 실험예 55∼74 및 비교예 35∼42를 통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각 실험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하게 한다.
[실험예 55∼74]
상기한 실험예와 같이하여 실험예 55∼74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제조하였다. 단, 다층 필름(8)의 층의 구성, 각층의 두께의 비율 등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건을 각각 상이하게 하였다. 또, 표중의 층의 구성에서 EVOH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층의 약자이며, 다음의 괄호는 EVOH의 에틸렌 함유율(몰%)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들 실험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EVOH는 아래와 같다.
EVOH(27 몰 %) ‥‥ 에발 EP-L(구라레(주)제, 이하 같다)
EVOH(32 몰 %) ‥‥ 에발 EP-F
EVOH(38 몰 %) ‥‥ 에발 EP-H
EVOH(44 몰 %) ‥‥ 에발 EP-E
EVOH(48 몰 %) ‥‥ 에발 EP-G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상기한 실험예와 같이 각 비교예마다 σ와 σ가 거의 같은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등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σ및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비교예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제조에서 24시간의 연속제조를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그리고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표 7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kpo00018
[비교예 35∼42]
상술한 실험에 55∼74와 같이하여 비교예 35∼42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제조하였다. 단, 다층 필름(8)의 층의 구성, 각층의 두께의 비율 등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건을 각각 상이하게 하였다.
또, 동시 2축 연신의 경우, 상술한 실험예와 같이 σ및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하여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연속제조를 하였다. 이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 평가하고, 그리고 얻어지는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아래의 표 8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kpo00019
표 7의 실험에 55∼74에 의하면 튜불러법에 의하여 2축 연신된 나일론 6층, EVOH층, 접착제 수지층과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8)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와 필름의 T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모두 450∼850 kg/㎠ 범위내에 있기 때문에,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과 함께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양호한 두께 정밀도를 얻을 수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σ와 σ를 각각 550∼750 kg/㎠ 범위내로 설정한 실험예 55, 57, 59, 60, 63, 64, 66∼71, 74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가 보다 양호해진다.
이에 반해서, 비교예 36, 38, 39, 41에 의하면 σ와 σ가 850 kg/㎠를 초과하고, 또한 비교예 37, 40, 42에 의하면 σ와 σ가 450 kg/㎠ 미만이므로,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불량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7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7실험예에 관해서 상기한 각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제1도를 사용하면서 이하에 설명하는 실험예 75∼86과 비교예 43∼50을 통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각 실험예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혹은 간략하게 한다.
[실험예 75∼86]
상기한 제6실험예와 동일하게하여 실험예 75∼86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제조하였다. 이들 다층 필름(8)은 나일론 6∼66층, EVOH층과 나일론 6∼66층의 3층 구조를 갖는다.
다만, 각층의 두께의 비등에 대해서는, 다음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조건을 다르게 하였다. 그러나, 실험예 86만은, 나일론 6∼66층/EVOH층의 2층 구조를 가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이고, 각층의 두께의 비율은 2 : 1이다. 그리고, 이들 실험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나일론 6∼66은 실험예 18과 같은 것이다. 동시 2축 연신에 있어서, 상기한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각 비교예마다, σ와 σ가 거의 비슷한 적당한 값이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이나 버블(6)의 반지름 등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σ와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비교예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제조에 있어서, 24시간 연속제조를 실시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하여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의 정밀도 측정과 평가, 그리고 종합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9에 아울러 표시한다.
[비교예 43∼50]
상기한 실험예 75∼86과 동일하게하여 비교예 43∼50에 의한 2축 연신 다층필름(8)을 제조하였다. 다층 필름(8)의 층의 구성은 상기한 실험예 74∼86과 동일하다. 다만, 각층의 두께의 비등에 대해서는 다음 표 9에 나온 바와 같이 각각 조건을 다르게 하였다.
또한, 동시 2축 연신에 있어서, 상기한 실험예와 같이 σ와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하여 2축 연신 다층 필름을 연속 제조하였다. 이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 및 평가하고, 또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의 정밀도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다음 표 9에 아울러 표시한다.
Figure kpo00020
표 9의 실험예 75∼86에 의하면 튜블리법으로 2축 연신된 나일론 6∼66층과 EVOH층을 가진 다층 필름(8)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와 필름의 σ방향의 초대 연신응력 σ가 모두 500∼1150 kg/㎠ 범위안에 있기 때문에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과 아울러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양호한 두께의 정밀도를 얻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σ와 σ를 각각 600∼1000 kg/㎠ 범위내로 설정한 실험예 75, 77, 78, 80∼83, 86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가 보다 양호해진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43, 44, 46, 48∼50에 의하면, σ와 σ가 1150 kg/㎠ 를 초과하고, 또한 비교예 45, 47에 의하면 σ와 σ가 500 kg/㎠ 미만이므로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불량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8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8실험예에 관해서 상기한 각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제1도를 사용하면서 아래에 기술하는 실험예 87∼106과 비교예 51∼58을 통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각 실험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혹은 간략하게 한다.
[실험예 87∼106]
상기 제7실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하여 실험예 87∼106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제조하였다. 다만, 다층 필름(8)의 층의 구성과 각층의 두께의 비 등에 대해서는 다음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조건을 다르게 하였다.
동시 2축 연신에 있어서, 상기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각 비교예마다 σ와 σ가 거의 동등한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이 압력과 버블(6)의 반지름 등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σ와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비교예에 의한 2축 연신다층 필름(8)의 제조에 있어서, 24시간 연속제조를하여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하여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의 정밀도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다음 표 10에 아울러 표시한다.
Figure kpo00021
[비교예 51∼58]
상기 실험예 87∼10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비교예 51∼58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제조하였다. 다만, 다층 필름(8)의 층의 구성과 각층의 두께의 비등에 대해서는 다음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조건을 다르게 하였다.
그리고 동시 2축 연신에 있어서, 상기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MD와 TD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해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연속 제조를 실시하였다. 이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하여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다음 표 11에 아울러 표시하였다.
Figure kpo00022
표 10의 실험에 87∼106에 의하면 튜불러법에 의해 2축 연신된 나일론 6-66층, EVOH층, 접착제 수지층과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8)의 제조방법에서,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와 필름의 T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가 모두 350∼750 kg/㎠ 범위내에 있으므로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과 함께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양호한 두께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σ와 σ를 각각 450∼650 kg/㎠ 범위내로 설정한 실험예 87, 89, 91, 95, 96, 98∼103, 106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가 보다 양호해 진다.
이에 반하여, 표 11로부터 비교예 51, 54, 55, 57에 의하면, σ와 σ가 750 kg/㎠를 초과하고 또한 비교예 53, 54, 56, 58에 의하면, σ와 σ가 350 kg/㎠ 미만이므로,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중의 적어도 하나가 불량인 것을 알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9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9실험예에 대해서, 상기한 각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제1도를 사용하면서 다음에 설명하는 실험예 107∼125와 비교예 59∼65를 통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각 실험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혹은 간략하게 한다.
[실험예 107∼125]
상기 제8실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하여 실험예 107∼125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제조하였다. 다만, 다층 필름(8)의 층의 구성, 각층의 두께의 비판 등에 관하여는 다음 표 12에 나온 바와 같이 각각 조건을 다르게 하였다
동시에 2축 연신에 있어서 상기한 실험예와 동일하게 각 비교예마다 σ와 σ가 거의 동등한 적당한 값이 되도록 버블(6)내의 압력, 버블(6)의 반지름 등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σ와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조건 설정한 각 비교예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제조에 있어서, 24시간 연속제조를 실시하고,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하여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한 결과를 아래의 표 12에 아울러 나타낸다.
Figure kpo00023
[비교예 59∼65]
상기 실험예 107∼125와 동일한 방법으로하여 비교예 59∼65에 의한 2축 연신 다층 필름(8)을 제조하였다. 다만, 다층 필름(8)의 층의 구성, 각층의 두께의 비등에 관하여는 다음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조건을 다르게 하였다.
그리고, 동시 2축 연신에 있어서 상기한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σ와 σ를 각각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여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연속제조를 하였다. 이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성형 안정성을 관찰하여 평가하고, 또한 얻어진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두께의 정밀도의 측정과 평가 및 종합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다음 표 13에 아울러 표시한다.
Figure kpo00024
표 12의 실험예 107∼125에 의하면, 튜불러법에 의해 2축 연신된 나일론 6-66층, 접착제 수지층과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8)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필름의 MD 방향의 최대 연신응력 σ와 필름의 TD 방향의 초대 연신응력 σ가 모두 300∼600 kg/㎠ 범위내에 있으므로 연신 변형시의 버블(6)의 양호한 성형 안정성과 함께 2축 연신 다층 필름(8)의 양호한 두께의 정밀도를 얻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σ와 σ를 각각 350∼550 kg/㎠ 범위내로 설정한 실험예 107, 108, 110∼113, 117∼122, 125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가 보다 양호해진다.
이에 반하여 표 13으로부터 비교예 61, 62, 64, 65에 의하면, σ와 σ가 600 kg/㎠를 초과하고, 또한 비교예 59, 62, 63에 의하면 σ와 σ가 300 kg/㎠ 미만이므로, 성형 안정성과 두께의 정밀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불량인 것을 알수 있다.

Claims (11)

  1. 튜불러법으로 2축 연신된 나일론계 단층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층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을 σMD, 필름의 폭방향(TD)의 최대 연신응력을 σTD로 하였을 때,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25
    으로 설정하고, 상기 필름을 2축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단층 필름의 제조방법,
    단, 상기한 σMD와 σTD는 각각 아래의 식으로 나타내어 진다.
    σMD= (F×BMD)/A
    F = T/r
    여기서, F는 연신력(kg), BMD는 MD 방향의 연신배율, A는 원단 필름의 단면적(㎠), T는 닙 로울러의 회전 토오크(kg·cm), r는 닙 로울러의 반지름(cm)이다.
    σTD= (△P×R)/t
    여기서, △P는 버블내 압력(kg/㎠), R는 버블 반지름(cm), t는 필름의 두께(cm)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일론계 단층 필름을 나일론 6 필름으로 하고, 상기한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단층 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일론계 단층 필름을 나일론 66 필름으로 하고, 상기한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28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단층 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일론계 단층 필름을 나일론 6-66 필름으로 하고, 상기한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29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단층 필름의 제조방법.
  5. 튜불러법으로 2축 연신된 나일론계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다층 필름의 이동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을 σMD, 필름의 폭방향(MD)의 최대 연신응력을 σTD로 하였을 때,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으로 설정하고, 상기한 필름을 2축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단, 상기한 σMD와 σTD는 각각 아래식으로 나타내어 진다.
    σMD= (F×BMD)/A
    F = T/r
    여기서, F는 연신력(kg), BMD는 MD의 연신배율, A는 원단 필름의 단면적(㎠), T는 닙 로울러의 회전 토오크(kg·cm), r는 닙 로울러의 반지름(cm)이다.
    σTD= (△P×R)/t
    여기서, △P는 버블내 압력(kg/㎠), R는 버블 반지름(cm), t는 필름의 두께(cm)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일론계 다층 필름을 나일론 6층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EVOH)층을 가진 다층 필름으로 하고, 상기한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32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일론계 다층 필름을 나일론 6층과, 접착제 수지층과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으로 하고, 상기한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33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일론계 다층 필름을 나일론 6층,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으로 하고, 상기한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34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일론계 다층 필름을 나일론 6-66층, EVOH층을 가진 다층 필름으로 하고, 상기한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35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일론계 다층 필름을 나일론 6-66층, EVOH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으로 하고, 상기한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36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일론계 다층 필름을 나일론 6-66층, 접착제 수지층 및 폴리올레핀층을 가진 다층 필름으로 하고, 상기한 σMD와 σTD를 각각
    Figure kpo00037
    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나일론계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00003201A 1989-03-10 1990-03-10 2축 연신 나일론계 필름의 제조방법 KR0154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9414A JPH0628903B2 (ja) 1989-03-10 1989-03-10 二軸延伸ナイロン6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1-59414 1989-03-10
JP1-267564 1989-10-13
JP26756489A JPH0637078B2 (ja) 1989-10-13 1989-10-13 二軸延伸ナイロン66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1-269835 1989-10-16
JP26983589A JPH0637081B2 (ja) 1989-10-16 1989-10-16 二軸延伸ナイロン6―66共重合体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1-298396 1989-11-15
JP29839689A JPH0628902B2 (ja) 1989-11-15 1989-11-15 二軸延伸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586190A JPH0773879B2 (ja) 1990-02-16 1990-02-16 二軸延伸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35861 1990-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479A KR900014479A (ko) 1990-10-24
KR0154330B1 true KR0154330B1 (ko) 1998-12-01

Family

ID=2752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201A KR0154330B1 (ko) 1989-03-10 1990-03-10 2축 연신 나일론계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94799A (ko)
EP (1) EP0386759B1 (ko)
KR (1) KR0154330B1 (ko)
AU (1) AU622777B2 (ko)
DE (1) DE6902160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70B1 (ko) * 2006-11-06 2008-04-14 조병구 압축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0488B1 (en) 1989-09-25 1993-07-21 Schneider (Usa) Inc. Multilayer extrusion as process for making angioplasty balloons
CA2040064C (en) * 1990-11-16 2000-06-13 Gloria G. Toney Barrier film with improved extensibility for cheese packaging
US5195969A (en) * 1991-04-26 1993-03-23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Co-extruded medical balloons and catheter using such balloons
EP0540293B1 (en) * 1991-10-28 1996-07-24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Oriented film easy to spl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NZ247739A (en) * 1992-06-05 1996-02-27 Grace W R & Co Biaxially oriented, oil resistant, heat shrinkable packaging film comprising a blend of nylon 6 and a copolyamide
US6203750B1 (en) 1992-06-05 2001-03-20 Cryovac, Inc Method for making a heat-shrinkable film containing a layer of crystalline polyamides
US5549943A (en) * 1992-09-23 1996-08-27 Viskase Corporation Heat shrinkable nylon food casing with a polyolefin core layer
US5698279A (en) * 1992-09-23 1997-12-16 Viskase Corporation Heat shrinkable nylon food casing having a functionalized ethylenic polymer core layer
US6896842B1 (en) * 1993-10-01 2005-05-24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Medical device balloons containing thermoplastic elastomers
WO1995009667A1 (en) 1993-10-01 1995-04-13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Medical device balloons containing thermoplastic elastomers
US5534277A (en) * 1994-12-09 1996-07-09 W. R. Grace & Co.-Conn. Film for cook-in applications with plural layers of nylon blends
DE69717634T2 (de) 1996-08-16 2003-09-25 Cryovac Inc Artikel mit einem film,der eine siegelschicht aus polyamid, eine kernschicht aus polyamid und eine sauerstoffsperrschicht enthält, und verpackte produkte unter verwendung dieses filmes
US7947059B2 (en) 2000-03-02 2011-05-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layer medical device
US7488339B2 (en) * 2002-10-21 2009-02-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layer medical device
US6949296B2 (en) * 2002-12-31 2005-09-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imide substrates having enhanced flatness, isotropy and thermal dimensional stability,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hereto
US6951675B2 (en) * 2003-01-27 2005-10-04 Scimed Life Systems, Inc. Multilayer balloon catheter
WO2004075952A2 (en) * 2003-02-26 2004-09-10 Boston Scientific Limited Balloon catheter
US7166099B2 (en) * 2003-08-21 2007-01-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layer medical devices
DE102005020913B3 (de) * 2005-05-04 2006-08-03 Brückner Maschinenbau GmbH Hochfeste Barrierefolie für Verpackungszwecke auf Polypropylenbasi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502006003189D1 (de) * 2006-07-06 2009-04-30 Alcan Tech & Man Ltd Verfahren zum Thermoformen einer biaxialgereckten Kunststofffolie
US8518321B2 (en) * 2006-08-14 2013-08-27 Idemitsu Unitech Co., Ltd. Biaxially oriented nylon film, laminate wrapp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biaxially oriented nylon film
US8440090B2 (en) 2010-04-29 2013-05-14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variable stiffness multilayer catheter tubing
ES2909474T3 (es) 2014-08-25 2022-05-06 Furanix Technologies Bv Proceso para producir una película orientada que comprende poli(etileno-2,5-furandicarboxilato)
EP3235859B1 (en) * 2014-12-17 2020-11-18 Unitika, Ltd. Polyamid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9065161A1 (ja) 2017-09-28 2019-04-04 東洋紡株式会社 積層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7463961B2 (ja) 2019-03-28 2024-04-09 東洋紡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ポリアミドフィルム
EP3950347A4 (en) 2019-03-28 2022-12-07 Toyobo Co., Ltd. LAMINATED STRETCHED POLYAMIDE FILM
CN109968646A (zh) * 2019-04-30 2019-07-05 秦皇岛恒起包装新材料有限公司 一种间距可调的pvdc吹膜机冷水槽夹辊
KR20220075331A (ko) 2019-10-04 2022-06-0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8503A (en) * 1969-12-30 1974-01-29 Kohjin Co Method for producing biaxially molecule-oriented poly-{68 -caproamide resin film
JPS5120394B2 (ko) * 1972-08-31 1976-06-24
JPS5148676B2 (ko) * 1973-05-17 1976-12-22
JPS5315914A (en) * 1976-07-27 1978-02-14 Canon Kk Abnormal transference detector
JPS5741924A (en) * 1980-08-25 1982-03-09 Okura Ind Co Ltd Manufacture of laminated and stretched film
US4728478A (en) * 1982-08-05 1988-03-01 Allied-Signal Inc. Polymer films containing platelet particles
JPS5929128A (ja) * 1982-08-09 1984-02-16 Kohjin Co Ltd 12ナイロンの二軸延伸フイルムの製造法
JPS59106964A (ja) * 1982-12-10 1984-06-20 三菱樹脂株式会社 熱収縮性複合延伸フイルム
JPS59123662A (ja) * 1982-12-28 1984-07-17 三菱樹脂株式会社 熱収縮性積層フイルム
JPS60174629A (ja) * 1984-02-20 1985-09-07 Mitsubishi Monsanto Chem Co 二軸延伸されたポリアミド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S6122613A (ja) * 1984-07-10 1986-01-31 昭和電工株式会社 固体電解コンデンサ
US4734245A (en) * 1985-01-30 1988-03-29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Method of producing biaxially oriented film of thermoplastic resin
DE3618775A1 (de) * 1986-06-04 1987-12-10 Auch Folien Gmbh Mehrschichtige verbundfolie und verfahren der herstellung dieser folie nach dem system der co-extrusion
US4911963A (en) * 1987-08-31 1990-03-27 Viskase Corporation Multilayer film containing amorphous nyl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70B1 (ko) * 2006-11-06 2008-04-14 조병구 압축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121490A (en) 1990-09-13
EP0386759A2 (en) 1990-09-12
DE69021607T2 (de) 1996-01-18
KR900014479A (ko) 1990-10-24
US5094799A (en) 1992-03-10
EP0386759A3 (en) 1991-05-08
EP0386759B1 (en) 1995-08-16
DE69021607D1 (de) 1995-09-21
AU622777B2 (en) 199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330B1 (ko) 2축 연신 나일론계 필름의 제조방법
EP0974452B1 (en) Streched multilayer film casing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4095012A (en) Oriented nylon and laminates thereof
EP0305959B1 (en) Multilayer film containing amorphous nylon
EP0457598A2 (en) Breathable abuse resistant film for packaging cheese
JP2552946B2 (ja) 2軸延伸積層フィルム
JPS6412226B2 (ko)
EP0207719A2 (en) Oxygen barrier oriented film
US5077109A (en) Oriented multilayer fil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EP2521651B1 (en) Heat-shrinkable multi-layer film for deep-draw forming,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GB1600250A (en) Multilayer shrink-wrapping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S633900B2 (ko)
US4431705A (en) Shrinkable polyamide film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S6410182B2 (ko)
JP4861673B2 (ja) 直線カット性ポリアミド系熱収縮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088152A1 (ja)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
JP4076034B2 (ja) ガスバリア性多層ヒートシール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袋体
JP5166688B2 (ja) 直線カット性ポリアミド系熱収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50598B2 (ko)
AU1983899A (en) Heat-shrinkable multilayered film
JP4043599B2 (ja) ガスバリア性多層ヒートシール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H03239529A (ja) 二軸延伸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S6122613B2 (ko)
WO2002085619A1 (en) Nylon 6-based multilayer casing film
WO2023077500A1 (en) Mdo barrier film, package laminate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