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760B1 - 디지탈 무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 무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760B1
KR0149760B1 KR1019950011426A KR19950011426A KR0149760B1 KR 0149760 B1 KR0149760 B1 KR 0149760B1 KR 1019950011426 A KR1019950011426 A KR 1019950011426A KR 19950011426 A KR19950011426 A KR 19950011426A KR 0149760 B1 KR0149760 B1 KR 0149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band
intermediate frequency
resona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654A (ko
Inventor
정용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760B1/ko
Publication of KR96004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1.청구범위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내의 기울기 보상하는 기술이다.
2.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에서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대 기울기와 높은 주파수대 기울기를 각각 분리하여 보상하게되므로 회로가 복잡해지고, 조정포인트를 여러개로 가져가야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에서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대 기울기와 높은 주파수대 기울기를 하나의 조정단자로 보상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에서 수신신호의 기울기를 보상하는데 적용한다.

Description

디지탈 무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상부의 등가저항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대별 기울기 보상 특성 곡선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폭부 20,30 : 제1-제2공진회로
40 : 기울기 조정부
본 발명은 디지탈 무선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내의 기울기를 보상하는 기울기 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무선통신장치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안테나(1)로부터 수신된 고주파신호는 W/G필터(2), 저잡음 증폭기(3), 주파수 하강기(4), IF필터(5), AGC 증폭기 (6), 기울기 보상기(7), AGC제어회로(8), 복조기(9)를 통해 복조된다. 이때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이득과 높은 주파수대 이득 기울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울기 보상기(7)에서 이 기울기를 보상하여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그런데 기울기 보상기(7)는 AGC증폭기(6)와 복조기(9)사이에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대 기울기와 높은 주파수대 기울기를 각각 분리하여 보상하게 되므로 회로가 복잡해지고, 조정포인트를 여러개로 가져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신호자체에 감쇄를 주어 기울기를 보상하여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는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정포인트를 간단하게 가질 수 있는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간주파수신호(IF신호)로 변환된 신호의 임피던스 정합을 시켜 증폭출력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에서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시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를 공진시키기 위한 제1공진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에서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시 상기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높은 주파수를 공진시키기 위한 제2공진수단과, 상기 제1-제2공진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 공진값과 높은 주파수 공진값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상기 증폭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기울기 조정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도로서,
트랜지스터(Q1), 저항(R4~R8), 캐패시터(C1-C2), 인덕터(L1)로 구성되어 중간주파수신호(IF신호)로 변환된 신호의 임피던스 정합을 시켜 증폭출력하는 중폭부(10)와, 인덕터(L2)및 캐패시터(C3)로 구성되어 상기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를 공진시키기 위한 제1공진회로(20)와, 인덕터(L3) 및 캐패시터(C4)로 구성되어 상기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높은 주파수를 공진시키기 위한 제2공진회로(30)와, 가변저항(VR1)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제2공진회로(20,3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 공진값과 높은 주파수 공진값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기울기 조정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상부의 등가저항을 나타낸 것으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대별 기울기 보상 특성 곡선도이다.
상술한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단자(12)를 통해 자동이득 조절된 중간주파수신호는 캐패시터(C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입력신호인 중간주파수신호에 대한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면서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때 트랜지스터(Q1)의 이득은 에미터 단자에 연결된 가변저항(VR1)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캐패시터(C3)및 인덕터(L2)로 이루어진 제1공진회로(20)는 상기 중간주파수신호의 낮은 주파수대에서 공징을 시킨다. 캐패시터(C4)및 인덕터(L3)로 이루어진 제2공진회로(30)는 상기 중간주파수신호의 높은 주파수대에서 공진을 시킨다. 따라서 가변저항(VR1)은 상기 제1~제2공진회로(20,3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저항값을 변화시켜 상기 중간주파수신호의 낮은 주파수대와 높은 주파수대의 이득과 Q값을 동시에 조정하여 상기 증폭부(10)의 출력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가 높은 주파수보다 이득이 낮은 기울기가 형성될 경우, 가변저항(VR1)의 저항값을 두 개의 고정저항(R1,R2)으로 분배하는 제4도와 같은 등가저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가변저항(VR1)을 조정하여 낮은 주파수 공진 저항값이 R1이 높은 주파수 공진 저항값 R2보다 작아지도록 하여 제4도와 A1과 같은 기울기 응답 특성 곡선을 갖도록 보상한다.
또한 가변저항(VR1)을 조정하여 낮은 주파수 공진 저항값 R1이 높은 주파수 공진 저항값 R2가 동일해지면 제4도 A2와 같은 기울기 응답 특성곡선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낮은 주파수 공진 저항값 R1이 높은 주파수 공진 저항값 R2보다 클경우에는 제5도 A3와 같은 기울기 응답 특성곡선으로 나타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디지탈 무선통신장치에서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대 기울기와 높은 주파수대 기울기를 하나의 조정단자로 보상함으로 회로를 간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디지탈 무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에 있어서, 중간주파수신호(IF신호)로 변환된 신호의 임피던스 정합을 시켜 증폭출력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에서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시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를 공진시키기 위한 제1공진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에서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시 상기 중간주파수 대역내의 높은 주파수를 공진시키기 위한 제2공진수단과, 상기 제1및 제2공진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주파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 공진값과 높은 주파수 공진값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상기 증폭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기울기 조정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은, 중간주파수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가 베이스로 연결된 트랜지스터(Q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상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정수단은, 가변저항(VR1)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상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진수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캐패시터(C3)와 인덕터(L2)가 직렬연결되어 상기 가변저항(VR1)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상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진수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캐패시터(C4)와 인덕터(L3)가 직렬연결되어 상기 가변저항(VR1)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상회로.
KR1019950011426A 1995-05-10 1995-05-10 디지탈 무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 KR0149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426A KR0149760B1 (ko) 1995-05-10 1995-05-10 디지탈 무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426A KR0149760B1 (ko) 1995-05-10 1995-05-10 디지탈 무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654A KR960043654A (ko) 1996-12-23
KR0149760B1 true KR0149760B1 (ko) 1998-11-02

Family

ID=1941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426A KR0149760B1 (ko) 1995-05-10 1995-05-10 디지탈 무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7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654A (ko) 199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32609A1 (en) Switchable gain amplifier
US5144264A (en) Wide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open loop gain compensation
JP3228740B2 (ja) 電力増幅器
JPH10190382A (ja) アンプ・システム
US5262741A (en) Attenuator for high-frequency signal
US6734745B2 (en) Oscilla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3317883B2 (ja) 増幅システム
KR0149760B1 (ko) 디지탈 무선장치의 기울기 보상회로
JP3335079B2 (ja) Agc回路
US6133965A (en) Digital AGC control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tuner
US5994964A (en) Gain-control-type transistor power amplifier
JP3734642B2 (ja) 入力トラップ回路及びイメージトラップ回路
US4540956A (en) High frequency band-pass amplifier with adjustable impedance and oscillator including it
US3823379A (en) Televisio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ry providing for compatible control of vhf tuner and uhf tuner
JP2001111369A (ja) 利得制御増幅回路、ミクサ回路及びそれらを用いた受信機、送信機
JP3955460B2 (ja) 2バンド発振器
JPH01212925A (ja) 広帯域無線送信機のオートパワーコントロール回路
KR100244256B1 (ko) 씨디엠에이(cdma) 방식 단말기의 전압 제어 발진회로
JP3042230B2 (ja) 電子チューナ
KR19990030596U (ko) 튜너의 고주파 증폭회로
JP2000022573A (ja) 低雑音増幅器
JP2000183675A (ja) 利得制御増幅回路
JPH0556683B2 (ko)
JPH04237219A (ja) If回路
JPH10163815A (ja) チューナー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