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715B1 -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715B1
KR0147715B1 KR1019950045588A KR19950045588A KR0147715B1 KR 0147715 B1 KR0147715 B1 KR 0147715B1 KR 1019950045588 A KR1019950045588 A KR 1019950045588A KR 19950045588 A KR19950045588 A KR 19950045588A KR 0147715 B1 KR0147715 B1 KR 0147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pring
door
lev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599A (ko
Inventor
문정균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5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715B1/ko
Publication of KR97002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외측패널에 고정되며, 제 1 및 제 2 브라켓(4),(6)이 형성된 핸들 본체(2)와, 고정핀(12)에 의해 상기 제 1 브라켓(4)과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1 레버(8) 및 상기 제 2 브라켓(6)과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2 레버(10)와, 일단이 제 1 브라켓(4)에 고정되고 제 2 레버(10)에 의해 가압되어 도어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는 래치(14)와, 상기 고정핀(12)에 외삽되고 일단부(16a)가 상기 래치(14)를 원래의 위치롤 복귀시키는 스프링(1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브라켓(4)과 제 2 브라켓(6)은 상기 스프링(16)의 타단부(16b)가 삽입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된 지지부(2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브라켓(4)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20)의 개구부(22)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프링(16)의 타단부(16b)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턱(32)을 구비한 고정부(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걸림턱(32)은 상기 스프링(16)의 타단부(16b)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22)의 일측면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을 보인 배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을 보인 배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의 스프링의 타단부의 고정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확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4 : 제 1브라켓
6 : 제 2브라켓 8 : 제 1레버
10 : 제 2 레버 12 : 고정핀
14 : 래치 16 : 스프링
20 : 지지부 22 : 개구부
30 : 고정부 32 : 걸림턱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웃 도어핸들에 스프링의 조립시 스프링력 또는 장력에 따라 스프링의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중 스프링의 이완으로 인한 도어핸들의 작동불량을 방지함은 물론 스프링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사람들이 타고 내리거나 하물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로서 도어(door)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는 크게 외측패널과 내측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측패널에는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손으로 열고 닫기 위한 아웃 도어핸들이 설치되어 있고, 내측패널에는 실내에서 승객이 도어를 열수 있게 구성된 인너 도어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도난방지 등을 위한 잠금장치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차량의 아웃 도어핸들에 관해 개시하는 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제1도를 참고로 종래의 아웃 도어핸들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아웃 도어핸들의 사시도로, 이것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도어 외측패널(도시 생략)에 고정되며, 제 1 및 제 2 브라켓(4),(6)이 형성된 핸들 본체(2)와, 이들 2개의 브라켓(4),(6)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고정핀(12)과, 도어 외측에서 손으로 잡아 당기는 부분인 손잡이(도시 생략)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고정핀(12)상에서 제 1 브라켓(4)과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1 레버(8) 및 제 2 브라켓(6)과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2 레버(10)와, 일단이 제 1 브라켓(4)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레버(10)에 의해 가압되어 도어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래치(14)와, 일단은 제 1 브라켓(4)과 제 2 브라켓(6) 사이에 그것들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20)에 천공 형성된 개구부(22)에 걸려 있고 타단은 상기 래치(14)에 형성된 후크(15)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1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 외측에서 손잡이를 위로 들어 올리면, 제 2 레버(10)가 래치(14)를 눌러 회동시켜 도어의 잠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열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아웃 도어핸들은 그 도어핸들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상호 별개로 제조된 후 함께 조립되어 완성된 상태로 도어에 장착된다. 그러나 도어핸들의 조립시 각각의 구성부품은 제조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도어핸들의 작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스프링의 경우에는 제조당시 스프링력 또는 장력이 일정하지 않게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이 스프링력 또는 장력이 규정값을 벗어나게 되면 장착작업이 곤란할뿐 아니라 장착후 핸들의 사용중에도 불편함 및 작동불량이 초래될 수 있는바, 즉, 스프링력 또는 장력이 예컨대 규정값 이상이면 스프링의 장착이 힘들뿐 아니라 장착후에도 도어핸들의 사용에 과도한 힘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한편, 스프링력 또는 장력이 규정값 이하이면 손잡이가 이완 될 수 있고 또한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귀될 수 없어 작동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스프링을 교체하거나, 또는 스프링력 또는 장력을 정확히 조절해야 하나, 이는 여전히 전술된 문제점을 완전히 치유하지 못함은 물론 이에따른 과도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이 각각 다른 스프링력 또는 장력을 지님에 관계없이 그것의 스프링력 또는 장력에 따라 스프링의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장착후 스프링력 또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장착이 용이하며 최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외측패널에 고정되며, 제 1및 제 2 브라켓이 형성된 핸들 본체와, 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 1 브라켓과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1 레버 및 상기 제 2 브라켓과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2 레버와, 일단이 제 1 브라켓에 고정되고 제 2 레버에 의해 가압되어 도어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는 래치와, 상기 고정핀에 외삽되고 일단부가 상기 래치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브라켓과 제 2브라켓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개구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턱을 구비한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걸림턱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의 제2도 및 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제2도 및 3도에서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하기로 한다.
제2도 및 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도어 외측패널(도시 생략)에 장착되며, 또한 기본적으로 제 1 및 제 2 브라켓(4),(6)이 형성된 핸들 본체(2)와, 고정핀(12)에 의해 상기 2 개의 브라켓(4),(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레버(8) 및 제 2 레버(10)와, 일단이 제 1 브라켓(4)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 2 레버(10)에 의해 가압되어 도어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는 래치(14)와, 상기 래치(14)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일단부(16a)가 상기 랫치의 후크(15)에 고정되는 스프링(16)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 1 브라켓(4)과 제 2 브라켓(6) 사이에는, 그것들을 상호 연결하며 스프링(16)의 타단부(16b)가 삽입되는 개구부(22)가 천공 형성된 지지부(20)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아웃 도어핸들의 제 1 브라켓(4)에는, 보다 상세하게는 그것의 일측에 일체로 절곡형성된 지지부(20)의 개구부(22)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프링(16)의 타단부(16b)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개구부(22)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걸림턱(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걸림턱(32)은 상기 스프링(16)의 타단부(16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지님은 물론 그것이 안정적으로 재치되어 이탈되지 않게 하도록 일정 경사각(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아웃 도어핸들의 조립에 있어서, 작업자는 스프링(16)을 고정핀에 외삽시키고 그것의 일단부(16a)를 후크(15)에 고정한 후 해당 스프링력 또는 장력의 크기에 따라 그 스프링이 최적의 스프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30)의 각각의 걸림턱(32)들 중 하나의 걸림턱을 걸어맞춤으로서 스프링의 장착이 완료된다. 물론, 본체(2)의 제 1 브라켓(4)의 근처의 지지부(20)의 개구부(22)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턱(32)들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스프링(16)이 더 강한 탄성력을 지니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스프링의 타단부를 적정위치의 걸림턱(32)에 고정 시키면 된다.
따라서, 도어핸들에 장착되는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모두 일정하지 않거나, 도어핸들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스프링이 약해져 도어핸들이 이완되거나 역으로 도어핸들이 너무 강한 당김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스프링 자체를 제위치에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스프링의 타단부만을 적정 걸림턱에 변경 배치고정 시킴으로써, 항시 최적의 스프링력뿐 아니라 도어 핸들의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스프링력의 조절을 위한 방안으로 아웃 도어핸들의 본체(2)에 형성된 제 1 브라켓(4)의 근처의 지지부(20)의 개구부(22)의 일측면에 다수의 걸림턱(32)을 구비한 고정부(30)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프링(16)을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 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그 밖에 다른 형태로 걸림부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브라켓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 대신에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은 래치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 으로써 조립성 및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1)

  1. 도어 외측패널에 고정되며, 제 1 및 제 2 브라켓(4),(6)이 형성된 핸들 본체(2)와, 고정핀(12)에 의해 상기 제 1 브라켓(4)과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1 레버(8) 및 상기 제 2 브라켓(6)과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2 레버(10)와, 일단이 제 1 브라켓(4)에 고정되고 제 2 레버(10)에 의해 가압되어 도어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는 래치(14)와, 상기 고정핀(12)에 외삽되고 일단부(16a)가 상기 래치(1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1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브라켓(4)과 제 2 브라켓(6)은 상기 스프링(16)의 타단부(16b)가 삽입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된 지지부(20)에 의해 일체로 영결되는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4)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20)의 개구부(22)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프링(16)의 타단부(16b)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턱(32)을 구비한 고정부(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걸림턱(32)은 상기 스프링(16)의 타단부(16b)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22)의 일측면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KR1019950045588A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KR0147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588A KR0147715B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588A KR0147715B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599A KR970027599A (ko) 1997-06-24
KR0147715B1 true KR0147715B1 (ko) 1998-12-01

Family

ID=1943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588A KR0147715B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16B1 (ko) * 2008-03-25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599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7450A (en) Adjustable door handle assembly
CA2296504C (en) Removable vehicle seat assembly
US6161890A (en) Seat riser cinch mechanism
US4981320A (en) Pickup truck tailgate lock
KR0147715B1 (ko) 자동차의 아웃 도어핸들
JP3304610B2 (ja) ティルトキャブのステーロック装置
JPH06193330A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ベゼル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ベー スへの取付構造
JPS6149128B2 (ko)
JP3998943B2 (ja) 車両の乗降補助シート
KR200198878Y1 (ko) 자동차용 시트의 탈부착 구조
US6253522B1 (en) Anchor device
JP2727427B2 (ja) スライドヒンジ
KR0137507Y1 (ko) 차량용 콘솔박스 개폐용 래치구조
JPH09272463A (ja) 可撓性シート外側壁を備えたルーフ跳上げ式自動車
KR013295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안전 노브 결합구조
KR0111799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로커
JPH0782949A (ja) 開閉リッド用のヒンジ構造
KR0115801Y1 (ko) 차량트렁크 잠금장치의 도난방지구조
KR200173623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매트 고정구
JPS60135337A (ja) 車両用シ−ト固定装置
JPH08142721A (ja) シートスライドのロック装置
KR0138809Y1 (ko) 리어 시트의 래치장치
KR19990041271A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래치 릴리스장치
KR970009379B1 (ko) 차량용 콘솔박스개폐용 래치구조
KR100380396B1 (ko) 화물차량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