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698B1 - 가교결합성 틱소트로픽 목재 접착 겔 - Google Patents

가교결합성 틱소트로픽 목재 접착 겔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698B1
KR0147698B1 KR1019950015124A KR19950015124A KR0147698B1 KR 0147698 B1 KR0147698 B1 KR 0147698B1 KR 1019950015124 A KR1019950015124 A KR 1019950015124A KR 19950015124 A KR19950015124 A KR 19950015124A KR 0147698 B1 KR0147698 B1 KR 014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gel
weight
water
thixotropic
r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075A (ko
Inventor
에스. 콜럼부스 피터
비.패텔 요게쉬바이
앤더슨 존
Original Assignee
코트 듀우티
보든 케미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트 듀우티, 보든 케미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트 듀우티
Publication of KR96000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D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6Fibres; Fibr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13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per (AREA)

Abstract

교차결합 가능한 목재를 기재로 한 수성 접착제는 히드록시에틸샐룰로스와 같은 수용성 고점도 농축제 중합체 0.01내지 0.75중량%, 제조과종에서 포말을 신속히 제거하기 위한 탈포제 0.05내지 0.40 중량%, 30.000내지 300,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물에 분산시킨 자체 교차결합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N-메틸올 아크릴아미드로 처리)25.00내지 45.00 중량%, 2,2,4-트리메틸-1,3 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틸산염과 같은 경화제/유합제 1.00내지 3.00중량%, 염화 알루미늄과 같은 산성 촉매, 0.50 내지 1.00 중량%, 미세 입자 목재 섬유 4.00 내지 12 중량% 및 보존제 0.10 중량%의 혼합물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착성 겔의 점성도는 예컨데 압착병 또는 가요성 튜브와 같은 컨테이너가 지압될 때 압착병 또는 가요성 튜브에 부착된 폭 1/16, 길이 5/16의 접착성 도포 팁과 같은 직각 슬릿 구멍 또는 0.10 인치 직경의 작은 구멍으로부터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낮은 점성도를 가질 때 압도적이다. 바람직한 량의 접착제가 컨테이너를 흘러 나온 후 압력이 해제될 때 접착제는 일반적인 목적의 목재 접착제로서 사용될 때 수직면으로 흐르거나 흘러나오지 않도록 원래 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접착제는 건조전에 목재조각을 다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두 개의 목재조각을 지탱시키기 위하여 습식 접착된다.

Description

가교 결합성 틱소트로픽 목재 접착 겔
본 발명은 미세한 입자 크기의 연질 또는 경질 목재 섬유 또는 그 혼합물과 같은 셀룰로스 섬유 충전제를 함유하는 틱소트로픽 접착겔에 관한 것이다. 섬유 충전제는 접착겔에 샌드성 및 염색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량으로 존재한다. 자체 가교결합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를 성분으로 사용하여 겔에 우수한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미 본 발명의 참고문헌인 미국 특허 제5,284,897호 및 제5,306,749호에서 가요성 튜브 또는 압착병내에 약 0.06내지 0.15인치의 직경을 가지는 구멍으로부터 용이하게 압출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가지는 틱소트로픽 접착겔을 기재한 바 있다. 이러한 겔은 우수한 내구성과 같은 바람직한 특성을가지기는 하나, 우수한 내구성 및 개선된 내수성을 지니는 틱소트로픽 점착 겔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목재용으로 여러 가지의 일반적인 접착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요성 튜브 또는 압착병과 같은 용기에서 쉽게 분산되고, 분산된 후에는 수직면으로 흐르지 않고, 샌드되고 흡수될 수 있는 건조 아교 라인을 형성하여 개선된 내수성을 가지는 틱소트로픽 접착겔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틱소트로픽 수성 자체 가교결합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접착겔을 제공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접착겔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증점제, 탈포제, 임의로 가소제/유합제, 산성 촉매, 방부제, 및 바람직하게는 목재 섬유 또는 그밖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틱소트로픽 접착겔을 함유하며 하나의 구멍이 있는 예컨데 가요성 튜브 또는 압착병과 같은 제조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틱소트로픽 접착겔의 점도는 중력하에 구멍을 통해 흐르지 않아서 용기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을 정도로 높다. 그러나, 틱소트로픽 특성 때문에, 접착겔의 점도는 용기에 지압이 가해질 때 급격히 낮아져, 대략 1/16 인치의 폭과 5/16 인치의 길이의 사각 슬릿 구멍 또는 0.10인치의 직경의 작은 구멍으로부터 쉽고 안정하며 연속적으로 압출된다.
바람직한 양의 접착겔이 용기로부터 흘러나온 후 압력이 해제되면, 접착제는 신속하게 원래 겔상테로 가깝게 되돌아와 일반적으로 목재 접착제로서 사용될 때 수직으로 흐르거나 흘러나오지 않게된다. 접착제는 충분히 습식 접착되어 건조되기 전에 목재 단편을 다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두 목재를 접착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접착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본원으로부터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자체 가교결합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으로, 또한 에멀션으로도 일컬어진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중합체는 단일 중합체, 및 다른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와의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공증합체 또는 삼중합체를 포함한다.
겔은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의 수용성 고점도 증점제를 포함한다. 제조중 신속하게 포말을 제거하기 위한 탈포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저장을 위하여 살균제 및/또는 멸균제와 같은 방부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곰팡이 제거제도 포함될 수 있다. 가소제/유합제도 포함될 수 있다.
촉매 가교결합체로서, 산성촉매, 특히 염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물은 점도 및 성분비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초기에 가하거나, 모든 다른 성분들을 혼합한 후에 가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겔의 점도는 RVF 브룩필드 점도계(RVF Brookfield viscomerer)에서 2 RPM(분당 분해능)으로 제6번 스핀들(spindle)을 사용하여 측정한 바에 따르면 20℃에서 약 15,000 내지 350,000센티포이스(cps), 바람직하게는 30,500 내지 120,000센티포이스,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00 내지 47,000센티포이스이다. RVF 브룩필드 점도계에서 20 RPM 으로 25℃에서 제6번 스핀들을 사용하여 측정할 때의 점도는 약 10,000내지 50,000센티포이스(cps), 바람직하게는 14,000 내지 35,000센티포이스, 가장 바람직하게는 14,500 내지 25,500센티포이스의 점성도를 가지며, 이는 틱소트로픽 지수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틱소트로픽 지수는 약 1.5 내지 7,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이고, 제5번 스핀들을 사용하는 RVF 브룩필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2 RPM에서의 겔 점도를 25℃, 20 RPM에서의 겔 점도로 나누어 측정한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주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이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는 수성 분산액 또는 에멀션으로서 상업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참고문헌인 미국 특허 제4,085,074호 및 러시아 특허 제30,57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자유 라디칼 또는 산화환원촉매를 사용하면서 공지된 중합기술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는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과 같은 알파, 베타-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아미드의 N-알킬올유도체와 공증합된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약 25% 내지 45%의 가교결합성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를 함유한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30,000 내지 300,000,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200,000이다. 고체 함량 및 에멀션의 점도가 다양할 수 있지만, 전형적인 전체 고형물 함량은 약 40 내지 65중량%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 및 정보를 표 1에 기재한다.
Brookfield Viscometer Model RVF, 20 RPM, 25℃
P.B.Tensiometer LG-60/40 E/W 물로 희석
워닝 혼합기(Warning Blender)에서 고속으로 15분 혼합후에 분해되지 않음.
미분 열 분석기
표1의 에멀션은 폴리비닐 알콜을 포함한다. 그러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며, 폴리비닐 알콜(또는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안정화제가 에멀션을 안정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내로 혼입될 수 있다.
[증점제]
본 발명에 따른 접착겔은 바람직하게는 증점제를 함유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비이온성 수용성 고점도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한 증점제이며, 본 발명의 범위내의 다른 수용성 고점도 중합체도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예컨데, 크산탄 검은 염화 알루미늄이 촉매로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 증점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증점제는 셀룰로스의 히드록시 에틸 에테르(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이며, 이러한 증점제의 전형적인 점도(Brookfield, 1%농도, 25℃ 셀룰로오즈)가 3,400 내지 5,000센티포이스이고, 분자량(고유 점도로 측정)이 1.2×10 이다. 생성물, 즉,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EC)는 25℃에서 1%농도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하는 경우 점도가 1,500내지 5,000 센티포이스와 같이 여러 점도로 시판되고 있다. HEC의 분자량은 약 1.0×10 내지 1.3×10 의 범위내로 다양할 수 있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알긴산염은 본 발명에 적합하지 않다.
증점제는 약 0.10내지 0.75중량%, 바람직하게는 0.10내지 0.3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내수성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겔에 0.3이하의 증점제가 포함된다. 적합한HEC 생성물은 상품명 나트로졸 (NATROSO L)로 시판되고 있다.
[탈포제]
본 발명에 따른 접착겔의 제조방법은 비교적 많은 양의 포말을 발생시킨다. 탈포제는 이러한 포말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포함된다. 다양한 탈포제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적합한 예로 콜로이드사(Colloid, Inc., 394 Frelinghuysen Avenue, Newark, NJ)에서 시판되고 있는 콜로이드 581TM(Colloid 581TM)로 공지되어 있으며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인 비이온성 수분산성 무수 탈포제인 물질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겔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포말은 0.05내지 0.40 중량%의 이러한 탈포제로 제거할 수 있다.
[가교결합 촉매]
AlCl3, Al(NO3)3, CrCl3및 Cr(NO3)3와 같은 산성 촉매가 가교결합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에 대한 산성 촉매로 공지되어 있다(참조, 미국특허 제4,085,074호 및 러시아특허 제30,576호). 염화암모늄 또는 묽은 HCl과 같은 다른 촉매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 염화 알루미늄(AlCl3)이 바람직하다. 촉매로서의 염화 알루미늄은 빨리 경화되게 하며 우수한 수명을 제공한다. 반면,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5,306,749호에서와 같이 글리옥살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교결합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와 같이 건조 후 방수특성을 지니지 않는다(참조, 실시예1 및 비교 실시예1)
충분히 산성인 물질은 pH가 약 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5내지 3.5에 달하도록 첨가된다. 촉매로서 염화 알루미늄을 사용할 때, 조성중 0.30 내지 1.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1.00 중량%의 양이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소제/유합제]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람직한 가교결합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N-메틸올 아크릴아미드로 처리)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40℃이다. 이러한 유리 전이온도는 주위온도, 예컨대, 실온 보다 높기 때문에, 유합제의 유리전이온도를 주위온도(또는 실온)으로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유합제는 저분자량 중합체, 또는 미세한 입자가 사용될 경우 함께 분산될 수 있다.
적합한 유합제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및 글리콜 에테르 등이다. 에스테르 알콜, 즉 2,2,4-트리메틸-1,3-펜탄 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상표명 TEXANOLTM로 시판, Eastman Chemical Products, Inc., Kingsport, Tenessee)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및 디메틸프탈레이트와 같은 다른 유합제가 조성물내에 더 존재하고, 건조 필름의 강도에 역효과를 낸다. 그러나 이들은 바람직하지 않다. 글리콜 에테르는 상용가능하나, 나쁜 냄새가 나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사용할 때, 유합제는 일반적으로 약 0.5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섬유 충전제]
접착겔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필름에 샌드성 및 염색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셀룰로스 섬유 충전제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섬유 충전제는 목재로부터의 섬유 충전제이고, 경질 목재, 예를 들어, 단풍나무 또는 연질 목재, 예를 들어, 소나무, 또는 이들 경질목재와 연질 목재의 혼합물로부터의 섬유 충전제일 수 있다. 건조된 필름에 샌드성 및 염색성을 부여하는 것에 추가하여, 섬유 충전제는 조성에 있어 높은 점성도를 부여하며, 빠른 경화단계 중에 더 질긴 접착 필름이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접착필름은 섬유 충전제가 없는 동일한 조성물 보다 조기 경화동안에 더 질기다. 즉, 필름은 섬유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 보다 경화 동안에 더 부드럽다.
바람직한 목재 섬유 충전제는 일반적으로 입자크기(미합중국 표준 Sieve services)가 10메쉬(2000 마이크론) 미만, 바람직하게는 20메쉬(850 마리크론)미만이다. 단풍나무과 같은 경질 목재 및 소나무와 같은 연질 목재가 모두 적합하나, 바람직하게는 소나무와 같은 연질 목재가 적합하다.
[물]
전체 물의 양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가 수성 에멀션으로서 접착제에 혼합되는 경우, 접착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으로부터의 물을 포함한다. 전체 물의 양은 또한 성분에 의해 수반되는 물의 양고 접착제 제조에 가해지는 추가의 물의 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접착제 중량%의 약 40내지 8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이다.
[방부제]
본 발명에 따른 접착겔이 포장되는 경우, 방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테리아 및 진균류를 박멸할 수 있는 미생물 박멸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물질로 시판되고 있는 방부제로서는 롬 앤드 하스 캄파니(Rohm and Haas Company)에서 시판되고 있는 KATHONLX 및 LX 1.5%가 있다. 이러한 방부제의 활성성분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이다.
곰팡이 제거제로서 롬 앤드 하스 캄파니에서 상표명 SKANEM-8로 시판되고 있는 2-n-옥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같은 그밖의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방부제(또는 방부제 혼합물)의 양은 조성물의 0.10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본 발명에 따른 틱소트로픽 접착겔의 포장은 종래의 가요성 압착병 또는 접을 수 있는 튜브일 수 있다.
이러한 포장은 일반적으로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플라스틱,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튜브는 유연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 포장 성분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포장성분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물질로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4 온스 용량의 병과 같은 압착병으로서 플라스틱 압착병(ELMER'S SCHOOL GLUE, Borden, Inc.)이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disfenser)는 상기된 미국특허 제5,284,897호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본원에서는 상기 특허를 참조로 인용한다.
디스펜서 캡 구멍은 용기 벽에 단지 지압이 가해지는 경우에 압출되는 용기내의 함유물이 안정하게 흐르도록 하는 크기를 지닌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내에 포장된 비교적 높은 점도의 접착겔은 지압이 가해지는 경우에 이의 틱소트로픽 특성으로 인해 점도가 낮아져서 겔이 구멍을 통해 안정하게 흐른다. 적합한 구멍은 직경이 약 0.06 내지 0.15, 바람직하게는 0.10인치이다. 또한, 1/16인치의 폭과 5/16인치의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 슬릿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를 기재한다. 모든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함량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로 나타낸다. 점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6번 스핀들이 장착된 RVF 브룩필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한 값이다. 용어 저전단은 2 RPM에서의 점도 측정을 의미하며, 고전단은 20 RPM에서의 점도 측정을 의미한다.
내수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다.
시험되는 각 샘플을 유리판위에 2인치 접착성 필름 밴드로 No.34와이어 랩 로드로 압출시킨다. 방출된 접착겔을 75℉ 및 50% 상대 습도에서 5일동안 방치하여 건조시킨다. 직경이 약1/2인치인 탈이온수 한방울을 각 필름에 놓고 2시간 경과후 내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물방울 면적을 측정한다. 샘플을 엄지손톱으로 긁을 때 필름의 분산 및 부서짐에 대한 내성을 비교하여 내수성을 비교한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실시예 1]
조성물 B는 하기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2.8 내지 3.0의 범위내로 pH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H3PO4 *6방울을 가하였다.
셍성 점도(RVF Brookfield NO. 6 spindle)는 다음과 같다;
2 RPM45,000센티포이스
20 RPM20,250센티포이스
*AlCl3는 크산탄 검(KELZAN)과 반응하여 이를 분해(응집)시키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내수성이 개선된다 할지라도 실시예 5의 바람직한 제형과 같이 우수하지는 않았다.
[비교 실시예 1]
조성물 A는 산성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 따라 제조하였다. 가교결합되지 않았으며, 건조 후 물에 의해 쉽게 재분산었다.
[비교 실시예 1-A]
조성물 C는 100그램의 성분 B과 동일량의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5,306,749호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 C에 H3PO48방울을 가하여 pH를 저하시켰다. 조성물 C는 가교결합되기는 하나 성분B만큼 양호하지는 않았다.
[실시예 2]
조성물 D를 하기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2.7%의 AlCl3는 크산탄 검과 반응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그 대신에, 2.8 내지 3.0의 범위내로 pH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H3PO46방울을 가하였다.
조성물 D는 가교결합되고 양호한 내수성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AlCl3및 실시예 5의 HEC를 사용하는 제형의 내수성 만큼 양호하지는 않았다.
비교 실시예 2
조성물 E는 촉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조성물 D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조성물은 가교결합되지 않았으며 내수성이 불량하다.
[비교 실시예 2-A]
조성물 F는 100그램의 성분 D와 동일량으 본출원인의 미국특허 제5,306,749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2.8내지 3.0으로 pH를 낮추기 위하여 H3PO48방울을 가한다. 결과는 비교 실시예 1-A의 조성물 C와 유사하였다.
[실시예 3]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콜(VINOL-840)의 하기 제형의 접착겔에 대한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콜을 포함하는 조성물 G를 제조하였다.
2.7% AlCL는 크산탄 검(KELZAN)과 반응하여 분해(응집)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에, 2.8 내지 3.0의 범위내로 pH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HPO6방울을 가하였다.
가교 결합된 접착겔이 얻어지며, 내수성이 우수하지만, AlCl및 실시예 5에 나타낸 HEC를 사용한 바람직한 제형의 내수성 만큼 양호하지는 않았다.
[비교 실시예 3 및 3-A]
조성물 H 및 I는 조성물 D 대신에 조성물G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 실시예 2 및 2-A의 조성물 E 및 F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결과는 각각 조성물 E 및 F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4]
조성물 I를 하기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2.76으로 pH를 하기 위하여 938.15그램의 조성물 I에 H3PO430 방울을 가하였다. 생성된 가교 결합된 겔의 점도(RVF Broofield, No. 6 spindle)는 다음과 같다;
2 RPM62,500센티포이스
20 RPM27,750 센티포이스
틱소트포픽 지수는 2.25이다. 2일 경과 후, 점성도는 다음과 같다;
2 RPM70,000센티포이스
20 RPM24,500 센티포이스
틱소트로픽 지수는 2.9이다.
조성물 I는 증점제로서 글록살 및 크탄산 검을 함유하며, 내수성이 있기는 하나, 실시예 5의 조성물 만큼 우수하지는 않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인 조성물 J 및 조성물 JA는 하기의 조성으로 제조된다.
점도(Brookfield RVF, No. 6 spindle, 25℃)
[초기] J JA
2 RPM 45,000 32,500
20 RPM 23,500 16,500
틱소트로픽 지수 1.9 1.9
밤새
2 RPM 45,000 30,000
20 RPM 22,500 16,000
틱소트로픽 지수 2.0 1.87
[1주 후]
2 RPM 60,000 30,000
20 RPM 20,500 14,500
틱소트로픽 지수 2.9 2.0
[한달후]
2 RPM 85,000 60,000
20 RPM 21,00 15,000
틱소트로픽 지수 4.0 4.0
pH 2.8 2.9
고체% 49 47
중량/켈론(Ibs) 9.2 9.1
내수성 우수 우수
[조성물 J 및 JA는 2시간 후]
물방울에 대해 높은 필름 파괴내성을 나타내면서 높은 내수성을 나타냈다.
조성물 J 및 JA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깨끗한 건조 탱크안에 성분(1)을 가하고, 저속으로 혼합기를 작동시키고 성분(2) 및 (3)을 가한다. 안전 장갑 및 안전 안경을 착용하고 튐을 방지한다. 성분(4), (5) 및 (6)을 각각 가한 후 완전히 혼합한다.
2.적당히 혼합속도를 증가시키고, 성분(7)을 가하여 증액시키며 목재 섬유가 완전히 혼합되게 한다.
3. 성분(8)을 가하여 증액시키고 배치가 균일하게 될 때까지 계속 혼합한다. 품질 체크를 위하여 샘플을 취한다.
4.품질을 체크한 후 필요한 경우 성분(9)로 점도를 조정한다.
조성물 J 및 JA는 폴리에틸렌 압착병에 포장될 수 있다.
[비교 실시예 5]
조성물 K를 하기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J 및 JA의 HEC 및 목재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다. 조성물은 충분히 농조화되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5-A]
조성물 L을 하기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목재 섬유를 포함하지만, 조성물 J 및 JA의 HEC는 포함하지 않는다. 조성물은 충분히 농조화되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5-B]
조성물 M을 하기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M은 조성물 JA의 성분비율과 동일하나, 목재 섬유가 포함되지 않는다. 목재섬유 겔을 형성하고 샌딩 및 염색을 더 용이하게 하고 있으므로, 섬유 충전제가 없으면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기재하였으나, 본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13)

  1.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의 자체자교결합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셀룰로스 섬유 충전제를 포함하는 틱소트로픽 접착겔.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점도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틱소트로픽 접착겔.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가 산성 금속가교 결합 촉매의 작용에 의해 가교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틱소트로픽 접착겔.
  4.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유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틱소트로픽 접착겔.
  5. 제1항에 있어서, 탈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틱소트로픽 접착겔.
  6. 제1항에 있어서, 방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틱소트로픽 접착겔.
  7. (A)0.10 내지 0.75중량%의 수용성 고점도 증점제, B)0.05 내지 0.40중량%의 탈포제, (C)물에 분산되며 N-메틸올아크릴아미드와 공중합된 25.00 내지 45.00 중량%(고체)의 비닐 아세테이트, (D)1.00 내지 3.00 중량%의 가소제/유합제, (E)약 0.50 내지 1.00 중량%의 산성 촉매, (F)4.00 내지 12.00 중량%의 미세한 입자 크기의 셀룰로스 섬유 충전제, 및 (G)0.10 중량%의 방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성자체가교결합 접착겔을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수용성 고점도 증점제가 히트록시에틸셀룰로스이며,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약 30,000 내지 300,000이고, 가소제/유합제가 2,2,4-트리메틸-1,3 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틸산염이며, 산성 촉매가 염화알루미늄이고, 셀룰로스 섬유가 연질 목재 섬유, 경질 목재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점도(Brookfield RVF, No. 6 spindle, 25℃)가 2 RPM에서 30,500 내지 47,000 센티포이스이고 20 RPM에서 14,500 내지 25,500 센티포이스인 접착겔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2 RPM 에서의 점도(Brookfield RVF, No. 6 spindle, 25℃)가 제조 1개월 후에 90,000 센티포이스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겔.
  10. 제1항에 있어서, 가교결합성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셀룰로스 섬유 충전제 및 추가의 증점제를 포함하며, 틱소트로픽 지수가 약 1.5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겔.
  11. 제10항에 있어서, 셀룰로스 섬유가 2000 마이크론 미만의 입자크기의 목재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겔.
  1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25.00 내지 45.0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셀룰로스 섬유 충전제가 4.00 내지 12.0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며, 0.10 내지 0.75 중량%의 수용성 고점도 증점제, 0.05 내지 0.40 중량%의 탈포제, 1.00 내지 3.00 중량%의 가소제/유합제, 약 0.50 내지 1.00 중량%의 산성 촉매, 및 0.10 중량%의 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틱소트로픽 접착겔.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점도 증점제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이며,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약 30,000 내지 300,000이고, 가소제/유합제가 2,2,4-트리메틸-1,3 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틸산염이며, 산성 촉매가 염화일루미늄이고, 셀룰로스 섬유가 연질 목재 섬유, 경질 목재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점도(Brookfield RVF, No. 6 spindle, 25℃)가 2 RPM에서 30,500 내지 47,000 센티포이스이고 20 RPM에서 14,500 내지 25,500 센티포이스인 틱소트록픽 접착겔.
KR1019950015124A 1994-06-10 1995-06-09 가교결합성 틱소트로픽 목재 접착 겔 KR0147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58,224 US5416140A (en) 1994-06-10 1994-06-10 Cross-linkable thixotropic wood adhesive gel
US08/258,224 1994-06-10
US8/258,224 1994-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075A KR960001075A (ko) 1996-01-25
KR0147698B1 true KR0147698B1 (ko) 1998-08-01

Family

ID=2297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124A KR0147698B1 (ko) 1994-06-10 1995-06-09 가교결합성 틱소트로픽 목재 접착 겔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416140A (ko)
EP (1) EP0686683B1 (ko)
JP (1) JPH07331203A (ko)
KR (1) KR0147698B1 (ko)
CN (1) CN1114338A (ko)
AT (1) ATE173288T1 (ko)
AU (1) AU678318B2 (ko)
CA (1) CA2142579C (ko)
DE (1) DE69505889T2 (ko)
NZ (1) NZ272107A (ko)
PH (1) PH31653A (ko)
TW (1) TW3049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0311B1 (en) 2000-07-07 2012-12-26 Wacker Chemical Corporation Vinyl acetate based polymer latex composition, especially for adhesives
DE10157485A1 (de) * 2000-12-07 2002-06-13 Henkel Kgaa Teilchenförmige Bindemittelzusammensetzungen mit geringer Staubneigung,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6794466B2 (en) 2001-10-19 2004-09-21 Air Products Polymers, L.P. Shear thinning vinyl acetate based polymer latex composition, especially for adhesives
DE10313939A1 (de) * 2003-03-27 2004-10-14 Wacker Polymer Systems Gmbh & Co. Kg Verwendung von Polymerisaten zur Stärkemodifizierung
US20050025926A1 (en) * 2003-03-28 2005-02-03 Risi Peter B. Power glue strips
US6814886B1 (en) * 2003-04-28 2004-11-09 Elmer's Product, Inc. Craft and amuse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0362048C (zh) * 2003-07-30 2008-01-16 宜通工程有限公司 一种高分子溶胶组合物、其水溶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7348378B2 (en) 2003-12-18 2008-03-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DE102005010446A1 (de) 2005-03-08 2006-09-14 Henkel Kgaa Gummierklebstoff auf Basis einer füllstoffhaltigen Polymerdispersion
US20060252849A1 (en) * 2005-04-11 2006-11-09 Gregory Rose Antifung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mold resistant materials
US7569157B2 (en) * 2005-06-22 2009-08-04 Hunt Holdings, Inc. Rotted wood stabilizer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7635731B2 (en) * 2005-07-28 2009-12-22 Chemtura Corporation Cellulosic-thermoplastic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SE530420C2 (sv) * 2006-09-18 2008-06-03 Perstorp Specialty Chem Ab En vattenburen bindemedelskomposition och dess användning
CN101077968B (zh) * 2007-07-05 2014-04-16 郁菲 一种充气轮胎防漏组合物
CA2710273A1 (en) * 2007-12-20 2009-07-09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Wood adhesives containing reinforced additives for structural engineering products
US8691340B2 (en) 2008-12-31 2014-04-08 Apinee, Inc. Preservation of woo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JP5541517B2 (ja) * 2010-10-01 2014-07-09 株式会社山忠 経木積層体製造用接着剤並びに経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878464B1 (en) 2011-06-30 2018-01-30 Apinee, Inc. Preservation of cellulosic material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FR3030557B1 (fr) * 2014-12-17 2016-12-23 Bostik Sa Composition adhesive de fixation a base aqueuse presentant une tenue au fluage amelioree
ES2630731B1 (es) * 2016-02-18 2018-02-28 Cementos Capa, S.L. Adhesivo con textura de tipo gel
JP6846887B2 (ja) * 2016-08-04 2021-03-24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摩擦材及び熱硬化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09563314A (zh) * 2016-08-10 2019-04-02 王子控股株式会社 含纤维状纤维素的组合物及片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4324A (en) * 1936-08-14 1940-06-11 Las Stik Mfg Company Wood putty
US3442845A (en) * 1966-11-04 1969-05-06 Borden Co Hot and cold water redispersible polyvinyl acetate adhesives
US4251400A (en) * 1971-11-03 1981-02-17 Borden, Inc. Hot and cold water redispersible polyvinyl acetate adhesives
US3826825A (en) * 1972-03-13 1974-07-30 Napko Corp Fungus resistant composition
US4085074A (en) * 1976-03-29 1978-04-18 National Casein Of New Jersey Pre-mixed catalyzed vinyl acetate polymer adhesive composition
USRE30576E (en) * 1978-05-05 1981-04-14 National Casein Of New Jersey Pre-mixed catalyzed vinyl acetate polymer adhesive composition
JPS57108175A (en) * 1980-12-25 1982-07-0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Adhesive
DE3222416A1 (de) * 1982-06-15 1983-12-15 Erlacher, Franz-Xaver, 8000 München Masse zum beschichten von gegenstaenden
SU1479486A1 (ru) * 1986-10-02 1989-05-15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лимерклей" Водно-дисперсионный клей
DE4142460A1 (de) * 1991-12-20 1993-06-24 Wacker Chemie Gmbh Waessrige bindemittelzusammensetzung zur verwendung bei der laminierung von tissuegeweben
US5284897A (en) * 1992-11-16 1994-02-08 Borden, Inc. Thixotropic adhesive gel
JPH06234962A (ja) * 1992-11-16 1994-08-23 Borden Inc チキソトロピックな木材接着ゲル
US5306749A (en) * 1992-11-16 1994-04-26 Borden, Inc. Thixotropic wood adhesive 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86683B1 (en) 1998-11-11
ATE173288T1 (de) 1998-11-15
KR960001075A (ko) 1996-01-25
NZ272107A (en) 1996-06-25
CA2142579A1 (en) 1995-12-11
PH31653A (en) 1999-01-12
TW304979B (ko) 1997-05-11
CN1114338A (zh) 1996-01-03
DE69505889D1 (de) 1998-12-17
US5416140A (en) 1995-05-16
AU2050695A (en) 1995-12-21
AU678318B2 (en) 1997-05-22
DE69505889T2 (de) 1999-06-24
EP0686683A1 (en) 1995-12-13
JPH07331203A (ja) 1995-12-19
CA2142579C (en) 1998-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698B1 (ko) 가교결합성 틱소트로픽 목재 접착 겔
DE60100835T2 (de) Wasserlösliche Harzmischung und wasserlöslicher Film
US5322880A (en) Thixotropic adhesive gel
US6066689A (en) Adhesive applicator crayon
EP1458774B1 (de) Lebensmittelbeschichtungsmasse enthaltend eine weichmacherfreie wässrige copolymere poly(vinylester)-dispersio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5306749A (en) Thixotropic wood adhesive gel
US3361587A (e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applying same to polyolefin films
JP2003064319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US3252826A (en) Coated thermoplastic transparent article
US5473005A (en) Thixotropic adhesive gel
JP7223994B2 (ja) 固形状接着剤
JPS645078B2 (ko)
JPH07119044A (ja) 衣料用仕上剤組成物
AU664654B2 (en) Thixotropic wood adhesive gel
JPS6119678A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樹脂水性分散物
DE3134334C2 (de) Wäßriger Klebstoff
JP7412985B2 (ja) 水溶性シート状色材、水溶性シート状色材セット、および絵の具セット
WO1998047953A1 (en) Adhesive applicator crayon
JPH0742452B2 (ja) 防曇剤組成物
JPH0350288A (ja) 防曇剤組成物
JP3096631B2 (ja) 消臭用フィルム
JPH11116756A (ja) 抗菌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
JP2001226553A (ja) 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CH398087A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bilen wässrigen Dispersionen von Polymerisaten von Vinylestern
JPH0615638B2 (ja) 防滴性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