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310B1 - 부가 경화성 실리콘 감압 접착제 - Google Patents

부가 경화성 실리콘 감압 접착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310B1
KR0147310B1 KR1019900005493A KR900005493A KR0147310B1 KR 0147310 B1 KR0147310 B1 KR 0147310B1 KR 1019900005493 A KR1019900005493 A KR 1019900005493A KR 900005493 A KR900005493 A KR 900005493A KR 0147310 B1 KR0147310 B1 KR 0147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weight
groups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417A (ko
Inventor
프레드릭 메드포드 조지
스코트 존슨 도날드
Original Assignee
아더 엠. 킹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더 엠. 킹,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아더 엠. 킹
Publication of KR90001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부가 경화성 실리콘 감압 접착제
본 발명은 경화되어 감압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및 경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경화 조성물이 도포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감압 접착제란 용어는 표면에 접착시킬 수 있고, 또한 접착제가 표면에 미량 이상으로 전착(轉着)됨이 없이 상기 표면으로부터 벗겨낼 수 있으며, 접착제가 접착제의 점착성 및 접착제 강도를 다소 혹은 전부 유지함으로써 이를 동일 표면 또는 다른 표면에 재접착시킬 수 있는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폴리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이하, PSAs라 한다)는 신규하지 않다.
Figure kpo00001
단위와
Figure kpo00002
단위를 포함하는 벤젠 가용성 수지 공중합체(이하, MQ 수지라 하며, M단위와 Q단위는 각각
Figure kpo00003
단위와
Figure kpo00004
단위를 가리킴)와 비닐기로 말단 봉쇄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과의 혼합물이 미합중국 특허 제3,983,298호 및 동 제4,774,297호에 PSA 특성을 갖는 혼합물로서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3,983,298호는 MQ 수지 및 저점도 실리콘의 혼합물에 기초한 공지 기술의 조성물이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고, 20-100,000센티포이즈의 고분자량 선형 비닐 관능성 폴리실록산을 갖는 벤젠 가용성 수지들의 혼합물을 사용해서 PAS's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774,297호에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를 갖는 보다 고분자량의 비닐 관능성 폴리실록산의 제조 방법을 개조하고 있다. 만족한 제품들을 얻기 위해서는 본질적으로 비닐 관능성 폴리실록산이 적어도 5.000 센티포이즈 및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1,000,000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가져야 한다고 미합중국 특허 제4,774,297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983,298호 및 동 제4,774,297호의 조성물들은 모두 PSA의 점도를 사용가능한 수준까지 낮추기 위해서 용매를 필요로 한다.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4,774,297호의 조성물은 PSA 조성물 100부당 용매 약 25-400부를 필요로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983,298호의 조성물은 용매를 거의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조성물 95부를 용매 5부와 혼합하는 경우에 점도가 25℃에서 162,000센티포이즈를 유지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필요한 점도보다 다소 큰 점도이다. 바람직하기로는, 90-95%의 고형분에서, 점도가 100,000 센티포이즈 미만,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000 센티포이즈 미만인 조성물이 좋다.
현재까지도, PSA 기술 분야는 고점착성, 양호한 접착 강도 및 저용매 함량을 갖는 폴리오르가노폴리실록산 PSA를 필요로 한다. 전술한 기술에 비추어 상기 특성들이 부족한 배합물중에 저점도 비닐 관능성 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소정의 바람직한 특성들을 예기치 않게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고점착성 및 양호한 접착 강도를 갖는 폴리오르가노폴리실록산 PSA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성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용매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고성능 폴리오르가노폴리실록산 PSA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화 상태에서 200g/㎠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400g/㎠ 이상의 점착력 및 20 oz./in.(약 223.2g/cm), 바람직하기로는 40 oz./in.(446.4g/cm)의 접착제 박리 강도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경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한 용매를 약 5-10중량%이하의 양으로 필요로 하는 물질의 조성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a) 비닐 관능성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유체, b)
Figure kpo00005
단위 및
Figure kpo00006
단위를 갖는 벤젠 가용성 수지 공중합체, c) 조성물의 경화 및 PSA 특성들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규소 결합 수소 원자들을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d) 경화 처리를 위한 백금 촉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a)
Figure kpo00007
단위 및
Figure kpo00008
단위
[위 식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6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이고, 1개의
Figure kpo00009
단위 당 0.6 내지 0.9개의
Figure kpo00010
단위가 존재하고, (a)중의 전체 R기의 95% 이상이 메틸기이고, (a)중의 올레핀성 불포화를 갖는 R기의 총 수는 (a)중의 전체 R기의 0-0.5%임]를 반드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상의 벤젠 가용성 수지 공중합체 50 내지 70중량부,
(b) 평균식 : R1 2R2SiO (R1 2SiO)m(R1R2SiO)nSiR2R1 2
[위 식에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페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기이고, 전체 R1기의 95%이상이 메틸기이며,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비닐기이거나 또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R1중 어느 하나의 기이되, R2기 중 2개이상의 기는 비닐기이어야 하고, m+n은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b)의 점도가 25℃에서 약 500-10,000 센티포이즈의 값을 갖도록 하는 평균값을 가짐]으로 표시되는 고리가 실질적으로 없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30 내지 50중량부 [여기서, 상기(a)와 (b)의 총량은 100중량부임],
(c) 평균 단위식 :
Figure kpo00011
[위 식에서,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R1 중 어느 하나의 기이고, a는 1.00 내지 2.00 미만의 값을 가지며, b는 0.05 내지 1.00의 값을 갖고, a+b는 1.10 내지 3.00미만이고, (c) 한 분자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수는 평균 2개 이상이며,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개 이상 함유하는 규소 원자는 없음]을 갖고, 상기 (a)와 (b)의 혼합물과 상용성이며, 전체(a)+(b) 중의 올레핀성 불포화기 1개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0 내지 30.0개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d) 상기 (a), (b) 및 (c)의 총량의 100만 중량부당 0.1중량부이상의 백금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백금 함유 촉매를 포함하는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지고, 감압 접착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독립적인 성분들 전부와 이들의 배합은 일반적으로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나, 임계비(critical ratio)에서 이들의 배합 및 우수한 PSAs를 얻기 위한 이들의 경화는 공개되지 않았거나 불명료하다.
수지 공중합체 (a)는 M 단위들과 Q단위들로 구성된 고상의 수지성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공지의 방법들 가운데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공중합체이다. 예를 들면, 식 R3SiX 및 SiX4로 표시되는 실란을, X가 알콕시 등의 가수분해성기일 때, 수지 공중합체 (a) 중에서 M 단위들과 Q 단위들이 각각 소정의 M/Q비로 존재하도록 각각의 적당량을 동시 가수분해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수지 공중합체(a)는 제조 발법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참고로 기재하는 도우트(Daudt)와 타일러(Tyler)의 미합중국 특허 제2,676,182호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좋으며, 이에 따른 조성물들은 시판되고 있다. 개괄적으로 도우트와 타일러의 방법을 설명하자면, 이 방법은 실리카 히드로졸과, 유기 치환 실록산(예, 헥사메틸디실록산)이거나 또는 가수분해성 유기 치환 실란(예, 트리메틸클로로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산성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공정 및 방향족 용매에 가용성인 M과 Q단위를 갖는 수지 공중합체를 재생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조 방법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공중합체(a)의 중량 및 수지 공중합체 중의 M 단위대 Q단위의 비는 수지 공중합체의 비휘발 성분에 기초한다. 수지 공중합체 중의 비휘발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조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기로는 톨루엔이나 또는 크실렌과 같은 휘발성 용매중에 용해된 상태에서 칭량된 양의 수지 공중합체를 150℃에서 45분동안 가열하여 비휘발성 잔류물을 수득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수지 공중합체의 비휘발 성분의 양은 종종 수지 공중합체의 유기 용매 용액의 중량에 기초한 고형분 %로서 표시된다.
(a)중의 M 단위 중 R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메틸, 에틸 및 이소프로필과 같은 알킬기 ;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과 같은 지환족 유기기 ; 비닐 및 알릴과 같은 올레핀성 유기기 ; 및 페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6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이다. 대표적인 M 단위는 하기와 같다.
Figure kpo00012
[위 구조식에서, Ph는 페닐기이며, 상기 및 이하에서 Ph로 약칭함]
바람직하기로는, (a)중의 전체 R기의 적어도 95%가 메틸기이고, 본질적으로 유기기 전체가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a)중의 전체 R기의 최대 0.5%가 비닐기와 같이 올레핀성으로 불포화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a)중의 불포화 R기의 수가 (a)중의 전체 R기 중의 0-0.2% 범위일 수 있는 것이 좋다.
(a)중의 Q 단위 전부는 본질적으로 규소 결합 탄소 원자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실록산 단위이고, 도우트와 타일러의 바람직한 방법에 의해 실리카 히드로졸에서 직접 유도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 공중합체(a)는 Q 단위들 중 규소원자에 직접 결합된 히드록실기를 (a)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3-4중량% 정도 갖는 것으로 사료되며, 여기서 히드록실기의 실제 양은 수지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수지 공중합체 (a)는 벤젠, 톨로엔,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용매중에 가용성이고, M 단위대 Q단위의 비가 0.6:1.0 내지 0.9:1.0의 값인 수지 공중합체이다. (a)중의 M/Q 비는 원소 분석법, 적외선 분광법, 핵자기 공명 흡수법 등과 같은 한 가지 이상의 표준 분석 기술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록산 단위들 및 실리카 단위들만을 갖는 수지 공중합체에서, 수지 공중합체(a)중의 탄소의 함량은 그의 M/Q비를 밝힘으로써 충분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상의 PSAs는 공중합체(a)가 상기 비율에서 본질적으로
Figure kpo00013
단위들 및
Figure kpo00014
단위들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얻어진다. 디오르가노실록산 단위들과 모노오르가노실록산 단위들이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도 수지 공중합체(a) 중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 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비닐 관능성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는 하기 평균식;
R1 2R2SiO(R1 2SiO)m(R1R2SiO)nSiR2R1 2
[위 식에서, R1및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되, R2기중 적어도 2개의 유기기는 비닐기이고, m+n은 폴리실록산이 25℃에서 500 내지 10,000 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갖도록 하는 값을 가짐]의 임의의 선형 폴리실록산일 수 있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로서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하기 평균식 ;
Figure kpo00015
[위 식에서, R1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m은 폴리실록산이 25℃에서 500 내지 10,000 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갖도록 하는 값을 가짐]의 널리 공지된 비닐 말단 봉쇄 실록산이 좋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는 트리오르가노실록산 말단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맞은 가수분해성 실란류, 예컨대 비닐디메틸클로로실란 및 디메틸클로로실란을 적당한 비율로 동시 가수분해하고 축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별법으로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의 말단기를 제공하는 적당한 1,3-디비닐디메틸디페닐디실록산을 산성 또는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 적당한 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예컨대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과 평형시켜서 제조할 수도 있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의 제조법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휘발성의 시클릭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의 변화량이 함께 생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사용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의 양, 그의 평균식 및 점도는 본질적으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의 시클릭이 없는 부분과 관련된다. 시클릭이 없는 부분은 본질적으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150℃에서 3시간 동안 증류하여 잔류물을 수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잔류물은 본질적으로 150℃ 및 대기압에서 비휘발성인 마크로시클릭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이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클릭 물질이 없는 것일 것이다. 이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는 많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성분(b)는 단일중합체이거나 또는 상기 식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성분(b)의 바람직한 형태의 말단 단위는 유기기들중의 1개가 말단 단위의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비닐기인 트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이다. (b)의 각각의 말단 단위중에서 적어도 2개의 R2유기기로서 상기에서 정의한 R1유기기들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으나, 메틸 및 페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록산(b)의 말단 단위로서 비닐디메틸실록시 단위가 바람직하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단, 말단 단위들은 제외)의 바람직한 형태의 중합체 사슬은 R1기를 함유하는 디오르가노실록산 단위들로 구성되며, 이들 R1기는 모두가 동일하거나 또는 전부 R1기의 혼합물일 수 있다. (b)는
Figure kpo00016
단위,
Figure kpo00017
단위 및
Figure kpo00018
단위들을 미량 함유할 수 있다. R1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및 페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며, (b)에서 전체 R1기 중의 적어도 96%, 바람직하기로는 100%가 메틸기인 것이 좋다.
n의 값은 성분(b)의 점도가 25℃에서 500내지 10,000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갖는 값이다. (b)에서 R1기의 유형에 따라, n의 허용가능한 평균값도 변할 것이다.
성분(c)는 평균 단위식
Figure kpo00019
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며, 이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백금 촉매의 존재하에 규소 결합 비닐기와 방응성인 규소 결합 수소 원자들을 갖는다. R3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한 R1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R3이 메틸기이거나 또는 페닐기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성분(c)는 (a)와 (b)의 혼합물과 반드시 상용성이어야하며, 바람직하기로는 (a)와 (b)의 혼합물증에 가용성인 것이 좋다. 상용성이란 오르가노폴리실록산 (c)의 소정량이 (a)와 (b)의 혼합물중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되며, 경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때까지 경화 반응에 기여하는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성분(c)에서, a는 1.00이상 2.00미만의 값을 가지며, b는 0.05내지 1.00의 값을 갖되, a+b의 합은 1.10이상 3.00미만의 값을 갖는다. 또한, 성분(c)는 규소 결합 소소 원자를 분자당 평균 2이상, 예를 들어 2.1, 2.5, 3.5, 10 또는 그 이상으로 가져야 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3개의 규소 결합 소소 원자를 갖는 것이 좋고, 규소 원자는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개 이상으로 함유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성분(c)의 예로서는
Me3SiO(Me2SiO)3(MeHSiO)5SiMe3
Me3SiO(MeSiO)10SiMe3
(MeHSiO)3,4,5및 이들의 일련의 혼합물 [분자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수가 3개 미만인 다른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의 혼합물도 포함함]과 같은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유체를 들 수 있으며, 유체 실록산 공중합체 수지는
Figure kpo00020
단위,
Figure kpo00021
단위 및,
Figure kpo00022
,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등과 같은 단위로 이루어지고, 유체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과 유체 실록산 공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이 미합중국 특허 제3,627,85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후자의
Figure kpo00025
수지로서 공지된 조성물은 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 단위(
Figure kpo00026
단위들), 트리메틸실록시 단위(M 단위) 및 SiO2단위(Q 단위)로 구성되고, 여기서 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 단위(
Figure kpo00027
) 대 Q단위의 비는 0.4:1.0내지 1.2:1.0 이고, M 단위 대 Q단위의 비는 1.5:1.0 내지 2.2:1.0이며, (
Figure kpo00028
+M) 단위 대 Q 단위의 비는 2.4:1.0 내지 3.0:1.0이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c)는 반응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규소 원자에 결합된 적어도 1개의 R3기, 바람직하기로는 메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c)는 평균 단위식이 명시한 바와 같고, 명시한 상용성이 실현되는 한 단일 화합물이거나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Figure kpo00029
수지가 충분한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MQ수지와
Figure kpo00030
수지의 전체 양이 PSA조성물의 약 70%에 접근되거나 초과되는 경우에는 점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Figure kpo00031
수지가 성분(a) (MQ수지)의 점착성 및 박리 강도 특성을 증강시키는 선에서 성분(b)의 양과 관련하여 성분(a)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백금 촉매(d)는 규소 결합 수소 원자와 규소 결합 비닐기의 반응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백금의 널리 공지된 형태, 예를 들어 미세하게 분쇄된 금속성 백금, 미세하게 분쇄된 단체(예, 알루미나)상의 백금, 클로로백금산과 같은 백금의 화합물 및 백금 화합물의 착체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서 대표적인 것은 애쉬비(Ashby)의 미합중국 특허 제3,159,6.1호 및 동 제3,159,662호에 개시된 백금 탄화수소 착체, 레모렉스(Lamoreaux)의 미합중국 특허 제3,220,970호에 개된 백금 알코올레이트 촉매 및 카르스텟(Karstedt)의 미합중국 특허 제3,814,730호에 개시된 백금 촉매를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모딕(Modic)의 미합중국 특허 제3,516,946호에 개시된 염화 백금 착체도 또한 본 발명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촉매들은 전부 열적으로 활성화된다. 또한, 드로우넉(Drahnak)의 미합중국 특허 제4,510,09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광활성 백금 촉매도 유용하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들 전부를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기재한다.
촉매(d)로서는 (a)+(b)+(c)의 혼합물 중에 가용성인 촉매가 좋으며, 이는 특히 광학적 투명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수지 공중합체(a)는 50내지 7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55내지 65중량부로 존재하는 것이 좋고,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는 30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35 내지 45중량부로 존재하며, (a)+(b)의 총량이 100부인 것이 좋다. 수지 공중합체(a)가 (a)+(b)총량의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PSAs를 얻을 수 없는데, 그 이유로는 경화된 조성물이 낮은 박리 강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수지 공중합체(a)가 (a)+(b)총량의 70중량%에 근접함에 따라서, 경화되지 않은 조성물에서 점도는 본질적으로 상승하며, 점착력은 경화된 PSA에서 관찰된 점착력보다 상당히 저하하게 된다.
유기폴리실록산 (c)는 결합 수소 원자를 (a)+(b)의 전체에서 올레핀성 불포화 유기기마다 1 내지 30,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5로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a)+(b)중의 올레핀성 불포화기의 수 및 임의의 주어진 양의 (c)중의 규소 결합 수소 원자의 수는 오르가노실리콘 업계에서 표준적으로 사용하는 분석 기술로 측정할 수 있다.
백금 촉매(d)는 (a), (b), 및 (c)를 합친 양 100만 중량부당 적어도 0.1 중량부의 백금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종종, 이와 같은 소량의 촉매는 조성물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불순물 그 효과가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어도 1.0ppm의 백금을 제공하는 양으로 백금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백금 촉매의 양의 상한선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유효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백금을 최대 200ppm의 양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바람직하기로는 (a)+(b) 100만 중량부마다 백금을 1 내지 35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의 성분들은 벌크(bulk)상태로 또는 유기용매에서와 같은 임의의 방법으로 혼합할 수 있다. 수지 공중합체(a)가 고체이고, 통상적으로 유기 용매중에서 제조되고 처리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의 제조는 적어도 (a)와 (b)의 혼합을 위해서도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로서는 오르가노실록산과 함께 통상 사용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용매는 약 250℃이하의 비점을 갖는 것이 좋다. 유기 용매의 예로서는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헥산, 헵탄 및 시클로헥산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트리클로로에탄 및 클로로포름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석유 에테르, VM 및 PNaphtha와 같은 나프타; Naphthalite 66/3과 같은 정제 나프타;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에틸렌 글리콜의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탄화수소 에테르의 산소 포화 용매; 메틸 이소부틸 케톤과 같은 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들의 혼합물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의 혼합은 고분자 업계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 예를 들면 배치식으로 또는 연속공정으로 분쇄, 혼합, 교반 등의 기술을 사용해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분(a), (b), (c) 및 (d)가 명시된 비율로 서로 혼합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얻어진다. 성분들의 혼합 순서는 중요하지 않으나, 백금 촉매(d)를 마지막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불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최선의 제조 방법은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동량의 유기 용매 중에 용해될 수 있는 수지공중합체를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과 혼합시키는 것이다. 이 최선의 방법에서는 비휘발성 성분의 함량을 알고 있는 수지 공중합체 용액의 충분한 양을 비휘발성 수지 공중합체(a)를 위해서 사용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본질적으로 시클릭이 없는 부분의 함량이 결정되어 있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의 충분한 양이 본질적으로 시클릭이 없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b)를 소정량으로 함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물론, 비휘발성 수지 공중합체(a) 및(또는) 본질적으로 시클릭이 없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를 용매의 도움을 받거나 또는 받지 않고서 각기 제조한 다음 혼합할 수도 있다. PSA특성을 최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수지 공중합체와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150℃, 대기압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에 해당하는 조건하에서 비휘발화시켜서 고형분 함량을 조성물 중에 적어도 90%, 및 바람직하기로는 약 95%를 갖는 조성물을 얻어야 한다. 분명히, 성분(a)와 (b)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비휘발화시키는 경우, 과도한 고온은 피해야 한다. 가열 온도가 200℃, 바람직하기로는 150℃의 온도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a), (b) 및 용매의 혼합물은 통상적으로 약 8mmHg, 150℃에서 박막으로 비휘발화시킨다. (a)와 (b)의 냉각되고 비휘발화된 혼합물에 추가의 용매를 첨가하여 소정의 점도를 얻을 수 있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c) 및 촉매(d)가 (a)와 (b)의 비휘발화 혼합물의 조성을 완성시킴으로써, 이하에 기재된 백금 촉매 억제제가 첨가되지 않는 한 조성물의 경화가 시작될 것이다. 백금 촉매 억제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a)와 (b)의 냉각되고 비휘발화된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보조 성분들 소량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안료, 안정제, 충전제 등이 불성적으로 이들 조성물의 PSA특성을 감소시키지 않는 한, 첨가될 수 있다. 휘발성 첨가제들은 임의의 용매 제거 작업이 완료된 다음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 (b), (c) 및 (d)가 혼합된 경우, 조성물은 조성물의 온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속도로 경화를 시작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온에서 경화시킬 수 있거나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다. 가열 경화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 70℃ 내지 200℃, 바람직하기로는 100℃내지 150℃의 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약 1시간 또는 그 이하의 시간 내에서 경화가 일어난다. 경화가 너무 고온에서 수행되는 경우, 또는 너무 장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첨착력 및 박리 강도가 손상될 수 있다. 특정의 배합물에 대한 최적의 경화 시간/온도는 간단한 실험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감광성 백금 촉매가 사용되는 경우, 경화는 적당한 파장의 광조사에 노출될 때 일어난다. 이들 조성물의 예외적인 PSA특성은 조성물이 경화되고, 경화된 조성물이 본질적으로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을 때 발생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에서 사용까지 걸리는 시간, 소위, 가사 시간은 혼합물을 -20℃이하까지 냉각시킴으로써 수 일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미경화된 조성물은 제조된 후 수 시간 이내에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 가사 시간 이상의 가사 시간이 백금 촉매 억제제와 경화성 혼합물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화 시간을 다양하게 하는 백금 촉매 억제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3,188,299호, 동제 3,188,300호, 동제 3,192,181호, 동제 3,344,111호, 동제3,383,356호, 동제 3,445,420호, 동제 3,453,233호, 동제3,453,234호, 동제 3,532,649호 및 동제 4,340,71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에 공개되어 있는 백금 촉매 억제제 외에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백금 촉매 억제제의 효과는 그의 화학적 조성물, 그의 물리적 특성, 그의 농도 등과 같은 많은 요인들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임의의 특수한 백금 촉매의 유효량은 무작위의 시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대부분의 백금 촉매 억제제가 휘발성이기 때문에 제조 공정상의 임의의 가열 및(또는) 진공 처리가 완료된 후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백금 촉매 억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대의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성분(c)와 (d)의 혼합과 동시에, 바람직하기로는혼합 이전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해야 한다.
백금 촉매 억제제를 함유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실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휘발시킴으로써 억제제를 제거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경화는 대부분의 경우에 70℃내지 200℃, 바람직하기로는 100℃재니 150℃의 온도로 조성물을 가열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으며, 백금 촉매 억제제를 배금 함유 촉매의 촉매 작용을 약 70℃이하의 온도에서 억제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갖는 (a), (b), (c) 및 (d)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미경화된 조성물은 앞서 정의한 1종 이상의 용매 중의 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조성물은 용매를 전혀 함유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종 이상의 유기 용매를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50%이상의 다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더라도, 상기 조성물의 도포를 원할하게 하기 위한 충분한 양으로서, 일반적으로 10%이하, 바람직하기로는 종종 약 5%정도의 소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단순히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용매를 전부 제거하지 않음으로써 가장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중에 사용된 용매를 전부 제거한 다음, 다시 이와 동일하거나 다른 용매를 소정량으로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도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용매가 이들의 제조 중에 사용된 용매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경우, 당 업계의 숙련된 사람은 필요한 용매의 변화를 전술한 바의 2단계 공정이나 또는 저비점 용매의 제거 중에 고 비점 용매가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1단계 공정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중, 용매 중의 임의의 부분이 제거되는 경우, 특히 열 및 (또는) 진공이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데에 사용되는 경우, 다른 휘발성 성분이나 또는 성분(c)의 첨가에 앞서서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의 제거는 불활성 가스의 유출, 증발, 증류, 박막 박리등과 같은 공지된 기술 및 온도(약200℃, 바람직하기로는 약 15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와 압력을 조화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감압 접착제로서 유용하며, 가용성이거나 또는 강성의 고체 지지체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조성물은 압연법(rolling), 전착법(展着法), 분무법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간단히 도포되고,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경화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가 단지 상기 표면상에 미경화된 완성 조성물의 도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a), (b), 및 (d)의 혼합물의 층을 고체 지지체에 도포하고, 이어서 오르가노폴리실록산(c)를 첨가하는 것[부족한 혼합이 (a), (b) 및 (c)의 층 중에 (c)를 분산시킴으로써 달성됨]도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c)가 지지체상의 층중에 균일하게 분산될때까지 경화 반응을 지연시키는 것이 좋다. 경화된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임의의 용매는, 비록 이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하더라도, 조성물을 함유하는 표면이 지지체에 접착되기 이전에 증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표면 및 지지체가 접착되는 기질은 알루미나, 은, 구리, 철 및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 종이, 목재, 피혁 및 직물과 같은 다공성 물질; 폴리올레핀(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플루오로카본 중합체(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플루오르화비닐), 시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수지, 폴리스티렌과 같은 유기 고분자 물질;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계 중합체와 같은 폴리아미드; 페이트칠이 된 표면(painted surfaces); 콘크리이트, 벽돌, 신더블록(cinderblocks)과 같은 실리카 재료; 및 유리포와 같은 유리 등의 공지된 고체 물질일 수 있다. 유리포와 같은 다공성 물질은 종종 지지체의 한 표면에서 다른 표면으로의 PSA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로 함침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체에 대한 PSA의 접착력을 증강시키기 위해서,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지지체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도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화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고체 지지체는 임의의 고체 기질에 용이하게 접착되는데, 그 이유로는 상기 조성물이 고 점착성 및 양호한 접착 강도의 소정의 조합을 갖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PSAs로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물품으로서는 감압 접착제 테이프, 라벨, 상징물 및 기타 장식용이거나 또는 안내용의 표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유용한 물품은 고온 및(또는) 냉온의 극단적인 온도에 견딜 수 있는 가요성이거나 강성의 지지체와 적어도 그의 한 표면에 본 발명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PSAs을 함유하는 물품이다. 이와 같은 물품은 본 발명의 PSAs가 갖는 특성인 고온에서의 안정성 및 저온에서의 가요성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바람직한 물품은 함침된 유리포,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또는 본 발명의 경화된 조성물을 적어도 한 표면상에 함유하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플루오로카본 중합체 지지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테이프이다.
이하, 당 업계의 숙련된 사람이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자세히 설명된 본 발명을 실시예로 제한함이 없이 예시한다.
전 실시예에서 사용된 재료는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다음과 같다.
MQ 수지는 톨루엔 또는 크실렌 중에서 트리메틸실릴클로라이드와 수용성 실리카 졸을 미합중국 특허 제2,676,182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된, 60중량% 수지 용액이다.
Figure kpo00032
수지는 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와 수용성 실리카 졸을 비합중국 특허 제3,627,851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된, 1몰%의 수소를 함유하는 액체 수지이다.
메틸하이드로젠 유체는 0.25몰%의 수소를 갖는 저점도 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유체임.
비닐 유체는, 실질적으로 약 0.02몰%의 비닐기를 함유하고, 25℃에서 약 4000 센티포이즈의 공칭 점도를 갖는 시클릭 부재 비닐디메틸 실록시 말단 정지된 폴리디메틸실록산임.
촉매는 비합중국 특허 제3,220,970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백금 약 3.5중량%를 함유하는 백금 촉매임.
실시예 1-7에서 실험용 PSAs는 상기 재료를 명시된 양으로 간단히 혼합하고, 이들을 권선 로드(捲線 rod)를 사용하여 1-2밀두께의 밀러 필름(Mylar film)상에 약 2밀의 공칭 두께로 도포한 다음, 이들 샘플을 지시된 대로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했다.
박리 강도 시험음 스코트 시험기(Scott Tester)를 사용하여 12in/분 (약 30.5cm/분)의 속도로 도막을 180°로 잡아당김에 따른 접착력을 측정하여 시험했다.
점착력은 1-2밀 두께의 밀러 필름에 2 내지 3밀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시킨 다음, 접착되지 않은 PSA에 대해서 측정했다. 데트팅머신즈사(Testing Machines Incorporated)가 제조한 폴리켄 프로브태크 시험기(Polyken Probe Tack Tester)에 0.5cm의 프로브(prove)를 부착한 다음, 1cm/초의 속도로 작동시켰다.
[실시예1]
Figure kpo00033
수지 1.0g, MQ수지 67g, 메틸하이드로젠 유체 13.6g 및 0.11몰%의 비닐기를 함유하고 800 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갖는 디메틸비닐 말단 정지 폴리디메틸실록산 25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조제했다. 이 혼합물 중 10g분을 10 마이크로리터의 촉매로 촉매화시키고, 드로우다운(drawndown)을 제조했다. 이를 90℃에서 1분간 건조시키고, 추가로 160℃에서 2분간 건조시킨 다음, 박리 시험을 실시한 결과, 박리 강도 및 점착력이 각각 4oz./in. (약 44.6g/cm) 및 275g/㎠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2]
Figure kpo00034
수지 0.81g, MQ수지 55g, 비닐 유체 25g 및 메틸하이드로젠 유체 1.0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조제했다. 이중 10g 분을 10마이크로리터의 촉매로 촉매화시킨 다음, 드로우다운을 제조했다. 이를 90℃에서 1분간 건조시키고 추가로 160℃에서 2분간 건조시킨 다음 박리 시험한 결과, 37oz./in. (약 412.9g/cm)의 박리 강도 및 600g/㎠의 점착력이 측정되었다.
[실시예3]
Figure kpo00035
수지 1.0g, MQ 수지 10.22g, 비닐 유체 7g 및 메틸하이드로젠 유체 0.4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조제하고, 10 마이크로리터의 촉매로 촉매화시킨 다음 드로우다운을 제조했다. 이들을 앞서와 같이 경화시킨 다음 박리시험한 결과, 약 500g/㎠의 점착력 및 10-12 oz./in. (약 111.6-133.9g/cm)의 박리 강도가 측정되었다. 조성물중에서, MQ 수지분은 MQ수지와 비닐 유체의 총량의 47%이었다. 점착력은 소정치 이상이었지만, 박리 강도는 소정치보다 낮았다.
Figure kpo00036
수지 2.0g, MQ 수지 12.0g, 비닐 유체 7g 및 메틸하이드로젠 유체 0.4g 및 촉매 10 마이크로리터를 사용해서 제2샘플을 제조했다. 상기와 같이 경화시킨 다음 박리시험한 결과, 23-33 oz./in. (약 256.7-368.3g/cm)의 박리 강도 및 약 500g/㎠의 점착력이 측정되었다. 상기 조성물에서, MQ 수지분은 MQ수지 및 비닐 유체 전체의 51%이었다. 이 시험 결과에서, MQ 수지의 수준이 상승됨에 따라서 박리 강도가 소정 수준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4]
Figure kpo00037
수지 1.66g, MQ 수지 12.12g, 비닐 유체 3.0g 및 메틸하이드로젠 유체 0.14g 및 촉매 10 마이크로리터를 사용해서 샘플을 제조했다. 상기와 같이 드로우다운을 경화시킨 결과, 박리 강도가 측정되지 않은 정도의 경미한 점착력이 관찰되었다. 이 배합물에서, MQ수지분은 MQ수지 및 비닐 유체 전체의 71%이었다.
Figure kpo00038
수지 0.66g, MQ 수지 10.3g, 비닐 유체 3.0g 및 메틸하이드로젠 유체 0.14g 및 촉매 10 마이크로리터를 사용해서 제2샘플을 제조했다. 상기와 같이 드로우다운을 경화시키고, 박리시험한 결과, 박리 강도가 92 oz./in. (약 1026.8g/cm)로 관찰되었다. 상기 조성물에서, MQ 수지분은 MQ수지 및 비닐 유체 전체의 67%이었다. 이 시험 결과에서, MQ 수지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면 결과들이 상당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5]
Figure kpo00039
수지 0.66g, MQ 수지 11.5g, 비닐 유체 4.34g, 메틸하이드로젠 유체 0.21g 및 촉매 10 마이크로리터를 사용해서 PSA를 제조했다. 이 조성물 중에서 MQ수지의 함량은 약 61%이었다. 앞서와 같이 드로우다운을 경화시키고 박리 시험한 결과, 약 750g/㎠의 점착력 및 65-68 oz./in. (약 725.5-736.6g/cm)의 박리강도가 측정되었다.
[실시예6]
Figure kpo00040
수지 0.77g, MQ 수지 11.23g, 비닐 유체 4.35g, 메틸하이드로젠 유체 0.23g 및 촉매 10 마이크로리터를 사용해서 PSA를 제조했다. 이 조성물 중에서 MQ수지의 함량은 약 61중량%이었다. 앞서와 같이 드로우다운을 경화시키고 박리 시험한 결과, 약 800g/㎠의 점착력 및 60-63 oz./in. (약 669.7-703.1g/cm)의 박리강도가 측정되었다.
[실시예7]
실시예5에서 규소 수소화물원(源)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배합비에 따라서 일련의 PSAs를 제조했다. 규소 수소화물 대 비닐의 비율(8.1:1) 및 전체 수지/전체 유체의 백분률(62.5%)은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그 결과를 하기에 도표로 나타낸다.(성분들은 모두 g 단위임.)
Figure kpo00041
이 특정의 배합비에서 적어도 다소의 규소 수소화물이 메틸하이드로젠 수지와 비교하여 메틸하이드로젠 유체에서 유도되는 경우보다 나은 결과가 얻어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실시예8]
메틸하이드로젠 유체 10.5g, 비닐 유체 217g,
Figure kpo00042
수지 33g, 및 MQ 수지 578g을 혼합하여 샘플을 제조했다. 이 혼합물을 약 20mmHg의 압력에서 용기의 온도가 50℃에 달할 때까지 증류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은 25℃에서 62,000 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가졌으며, 고형분 94.3%를 함유하였다. 이 혼합물의 일부에 톨루엔을 첨가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93.1%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은 25℃에서 19.500 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가졌다.
고형분 93.1%의 혼합물 중 10g분을 10마이크로리터의 촉매로 촉매화시켰다. 95℃에서 90초동안 드로우다운을 경화시키고, 이어서 120℃에서 120초동안 경화시켰다. 박리 시험한 결과, 점착력은 약 1100g/㎠으로 측정되었고, 박리 강도는 65-70 oz./in. (약 725.5-781.3g/cm)로 측정되었다. 상기와는 별도로, 드로우다운을 165℃에서 30분동안 경화시키고, 박리시험한 결과, 50g/㎠의 점착력 및 17-22 oz./in. (약 189.7-245.5g/cm)의 박리 강도를 나타냈다. 이 시험에 의하면, 후자의 샘플이 과도하게 경화됨으로써, PSA 특성이 심각하게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당 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 및 정신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별법이 가능함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예시한 실시태양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20)

  1. (a)
    Figure kpo00043
    단위 및
    Figure kpo00044
    단위
    [위 식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6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이고, 1개의
    Figure kpo00045
    단위 당 0.6 내지 0.9개의
    Figure kpo00046
    단위가 존재하고, (a)중의 전체 R기의 95% 이상이 메틸기이고, (a)중의 올레핀성 불포화를 갖는 R기의 총 수는 (a)중의 전체 R기의 0-0.5%임]를 반드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상의 벤젠 가용성 수지 공중합체 50 내지 70중량부,
    (b) 평균식 ; R1 2R2iO(R1 2SiO)m(R1R2iO)nSiR2R1 2
    [위 식에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페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기이고, 전체 R1기의 95%이상이 메틸기이며,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비닐기이거나 또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R1중 어느 하나의 기이되, R2기 중 2개이상의 기는 비닐기이어야 하고, m+n은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b)의 점도가 25℃에서 약 500-10,000 센티포이즈의 값을 갖도록 하는 평균값을 가짐]으로 표시되는 고리가 실질적으로 없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30 내지 50중량부 [여기서, 상기(a)와 (b)의 총량은 100중량부임],
    (c) 평균단위식 ;
    Figure kpo00047
    [위 식에서,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R1중 어느 하나의 기이고, a는 1.00 내지 2.00 미만의 값을 가지며, b는 0.05 내지 1.00의 값을 갖고, a+b는 1.10 내지 3.00미만이고, (c) 한 분자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수는 평균 2개 이상이며,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개 이상 함유하는 규소 원자는 없음]을 갖고, 상기 (a)와 (b)의 혼합물과 상용성이며, 전체(a)+(b) 중의 올레핀성 불포화기 1개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0 내지 30.0개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d) 상기 (a), (b) 및 (c)의 총량의 100만 중량부당 0.1중량부이상의 백금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백금 함유 촉매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중의 거의 모든 R기가 메틸기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b)가 비닐디메틸오르가노실록시 말단 폴리디메틸 실록산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오르가노폴리실록산(c)가 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를 2개 이상 함유하는 액상의 선형 폴리실록산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백금 함유 촉매(d)가 열적으로 활성화된 촉매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최대 10중량%의 용매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추가로 촉매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8. (a)
    Figure kpo00048
    단위 및
    Figure kpo00049
    단위
    [위 식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6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이고, 1개의
    Figure kpo00050
    단위 당 0.6 내지 0.9개의
    Figure kpo00051
    단위가 존재하고, (a)중의 전체 R기의 95% 이상이 메틸기이고, (a)중의 올레핀성 불포화를 갖는 R기의 총 수는 (a)중의 전체 R기의 0-0.5%임]를 반드시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상의 벤젠 가용성 수지 공중합체 50 내지 70중량부,
    (b) 평균식 ; CH2=CH(R1 2SiO)mR1 2SiCH=CH2
    [위 식에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페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기이고, 전체 R1기의 95%이상이 메틸기이며, 각각의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R1중 어느 하나의 기이고, m은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b)의 점도가 25℃에서 약 500-10,000 센티포이즈의 값을 갖도록 하는 평균값을 가짐]의 실질적으로 고리가 없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30 내지 50중량부 [여기서, 상기(a)와 (b)의 총량은 100중량부임],
    (c) 평균단위식 ;
    Figure kpo00052
    [위 식에서,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R1중 어느 하나의 기이고, a는 1.00 내지 2.00 미만의 값을 가지며, b는 0.05 내지 1.00의 값을 갖고, a+b는 1.10 내지 3.00미만이고, (c) 한 분자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수는 평균 2개 이상이며,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개 이상 함유하는 규소 원자는 없음]으로 표시되고, 상기 (a)와 (b)의 혼합물과 상용성이며, 전체(a)+(b) 중의 올레핀성 불포화기 1개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0 내지 30.0개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d) 상기 (a), (b) 및 (c)의 총량의 100만 중량부당 0.1중량부이상의 백금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백금 함유 촉매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a)중의 거의 모든 R기가 메틸기인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벤젠 가용성 수지 공중합체(a) 55 내지 65중량부와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b) 35 내지 4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오르가노실록산(c)가 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를 2개 이상 함유하는 액상의 선형 폴리실록산의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백금 함유 촉매(d)가 열적으로 활성화된 촉매인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추가로 최대 10중량부의 용매를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추가로 촉매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15. (1)(a)
    Figure kpo00053
    단위 및
    Figure kpo00054
    단위
    [위 식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6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이고, 1개의
    Figure kpo00055
    단위 당 0.6 내지 0.9개의
    Figure kpo00056
    단위가 존재하고, (a)중의 전체 R기의 95% 이상이 메틸기이고, (a)중의 올레핀성 불포화를 갖는 R기의 총 수는 (a)중의 전체 R기의 0-0.5%임]를 반드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상의 벤젠 가용성 수지 공중합체 50 내지 70중량부, 및
    (b) 평균식 ; CH2=CH(R1 2SiO)mR1 2SiCH=CH2
    [위 식에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페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기이고, 전체 R1기의 95%이상이 메틸기이며, m은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b)의 점도가 25℃에서 약 500 내지 10,000 센티포이즈의 값을 갖도록 하는 평균값을 가짐]의 실질적으로 고리가 없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30 내지 50중량부 [여기서, 상기(a)와 (b)의 총량은 100중량부임]의 유기 용매 용액을 제조하는 제1공정, (2)상기 용액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비휘발 혼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10중량% 이하의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비휘발 혼합물을 얻는 제2공정,
    (3)(c) 평균단위식 ;
    Figure kpo00057
    [위 식에서,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R1중 어느 하나의 기이고, a는 1.00 내지 2.00 미만의 값을 가지며, b는 0.05 내지 1.00의 값을 갖고, a+b는 1.10 내지 3.00미만이며, (c) 한 분자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수는 평균 2개 이상이며,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개 이상 함유하는 규소 원자는 없음]으로 표시되고, 상기 (a)와 (b)의 혼합물과 상용성이며, 전체(a)+(b) 중의 올레핀성 불포화기 1개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0 내지 30.0개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d) 상기 (a), (b) 및 (c)의 총량의 100만 중량부당 0.1중량부이상의 백금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백금 함유 촉매를 상기 비휘발성 혼합물과 혼합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0중량% 이하의 유기 용매를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제1유기 용매 용액이 55 내지 65중량부의 벤젠 가용성 수지 공중합체(a)와 35 내지 45중량부의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고상 지지체의 1개 이상의 표면에 제1항 기재의 경화된 조성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9. 가요성 지지체의 1개 이상의 표면에 제1항 기재의 경화된 조성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 테이프.
  20. (1)(a)
    Figure kpo00058
    단위 및
    Figure kpo00059
    단위
    [위 식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6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이고, 1개의
    Figure kpo00060
    단위 당 0.6 내지 0.9개의
    Figure kpo00061
    단위가 존재하고, (a)중의 전체 R기의 95% 이상이 메틸기이고, (a)중의 올레핀성 불포화를 갖는 R기의 총 수는 (a)중의 전체 R기의 0-0.5%임]를 반드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상의 벤젠 가용성 수지 공중합체 50 내지 70중량부, 및
    (b) 평균식 ; CH2=CH(R1 2SiO)mR1 2SiCH=CH2
    [위 식에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페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기이고, 전체 R1기의 95%이상이 메틸기이며, m은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b)의 점도가 25℃에서 약 500 내지 10,000 센티포이즈의 값을 갖도록 하는 평균값을 가짐]의 실질적으로 고리가 없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30 내지 50중량부 [여기서, 상기(a)와 (b)의 총량은 100중량부임] 및
    (c) 평균단위식 ;
    Figure kpo00062
    [위 식에서,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R1중 어느 하나의 기이고, a는 1.00 내지 2.00 미만의 값을 가지며, b는 0.05 내지 1.00의 값을 갖고, a+b는 1.10 내지 3.00미만이며, (c) 한 분자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수는 평균 2개 이상이며,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개 이상 함유하는 규소 원자는 없음]으로 표시되고, 상기 (a)와 (b)의 혼합물과 상용성이며, 전체(a)+(b) 중의 올레핀성 불포화기 1개당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1.0 내지 30.0개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유기 용매 용액을 제조하는 제1공정, (2) 상기 용액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비휘발 혼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0중량% 이하의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비휘발 혼합물을 얻는 제2공정, (3) (d) 상기 (a), (b) 및 (c)의 총량의 100만 중량부당 0.1중량부이상의 백금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백금 함유 촉매를 상기 비휘발성 혼합물과 혼합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00005493A 1989-04-17 1990-04-16 부가 경화성 실리콘 감압 접착제 KR0147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39,041 US4988779A (en) 1989-04-17 1989-04-17 Addition cured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339,041 1989-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417A KR900016417A (ko) 1990-11-13
KR0147310B1 true KR0147310B1 (ko) 1998-08-01

Family

ID=2332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493A KR0147310B1 (ko) 1989-04-17 1990-04-16 부가 경화성 실리콘 감압 접착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88779A (ko)
EP (1) EP0393426B1 (ko)
JP (1) JPH0786193B2 (ko)
KR (1) KR0147310B1 (ko)
CA (1) CA2012232A1 (ko)
DE (1) DE6901117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1669A1 (de) * 1988-12-23 1990-07-05 Bayer Ag Lichtpolarisierende filme oder folien enthaltend stilbenfarbstoffe
US5100976A (en) * 1990-01-16 1992-03-31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5162410A (en) * 1990-04-13 1992-11-10 Dow Corning Corporation Hot-melt silic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phenyl-containing siloxane fluid additive and related methods and articles
JPH04119174A (ja) * 1990-09-10 1992-04-20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繊維処理剤
US5190827A (en) * 1991-03-26 1993-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having high solids content
US5292586A (en) * 1991-03-26 1994-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Solventless or high solids-containing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5466532A (en) * 1991-03-26 1995-11-14 Gen Electric Solventless or high solids-containing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5464659A (en) 1991-05-23 1995-1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ilicone/acrylate vibration dampers
US5308887A (en) 1991-05-23 1994-05-03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5210941A (en) * 1991-07-19 1993-05-18 Poly Circuits, Inc. Method for making circuit board having a metal support
US5248739A (en) * 1991-10-18 1993-09-28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having enhanced adhesion to low energy substrates
TW203094B (ko) * 1992-01-21 1993-04-01 Gen Electric
US5248716A (en) * 1992-01-30 1993-09-28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control removal property
DE69310270T2 (de) * 1992-06-08 1997-11-06 Gen Electric Druckempfindliche Klebestoffe
EP0581539A3 (en) 1992-07-30 1994-06-15 Gen Electric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JP3324166B2 (ja) * 1992-12-10 2002-09-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接着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2739407B2 (ja) * 1993-02-09 1998-04-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低弾性率シリコーンゲル組成物及びそのゲル状硬化物
US5357007A (en) * 1993-03-12 1994-10-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king a solventless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oduct
DE4414653A1 (de) * 1993-05-13 1994-11-17 Gen Electric Schneller klebende Silicon-Klebstoffzusammensetzungen
DE4414982A1 (de) * 1993-05-13 1994-11-17 Gen Electric Silicon-Haftkleber-Zusammensetzungen
US5352491A (en) * 1993-06-11 1994-10-04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coating using molten organosiloxane compositions
US5366809A (en) * 1993-09-02 1994-11-22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5545700A (en) * 1994-01-10 1996-08-13 Dow Corning Corporation Moisture-curable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DE19506282A1 (de) * 1994-03-04 1995-09-07 Gen Electric Additionshärtbarer Silicon-Haftkleber mit hoher Überlapp-Scherfestigkeit
GB2287034B (en) * 1994-03-04 1997-12-17 Gen Electric Silicone compositions
US5505997A (en) * 1994-04-29 1996-04-09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coatings of molten moisture curable organosiloxane compositions
US5536803A (en) * 1994-06-06 1996-07-16 Shin-Etsu Chemical Co., Ltd. Adhesive silicone compositions
JP3516410B2 (ja) * 1994-06-07 2004-04-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DE19502034A1 (de) * 1995-01-24 1996-07-25 Wacker Chemie Gmbh Organopolysiloxanharzpulve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in Organopolysiloxanmassen
EP0767216A1 (en) * 1995-09-29 1997-04-09 Dow Corning Corporation High strength silicone resin/fluid alloy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US6057405A (en) * 1996-05-28 2000-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 contact adhesive compositions
WO1998012075A1 (en) 1996-09-18 1998-03-26 Minnes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ly-bonded inflatable restraint and method of making
WO1999014082A1 (en) 1996-09-18 1999-03-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ly-bonded inflatable restraint and method of making
US5696210A (en) * 1996-10-09 1997-12-09 Dow Corning Corporation Flowable adhesive
US5696209A (en) * 1996-10-09 1997-12-09 Dow Corning Corporation Dual-cure flowable adhesive
TW406113B (en) * 1997-03-20 2000-09-21 Wacker Chemie Gmbh Crosslinkable compositions possibly comprising MQ silicone resins
US5776614A (en) * 1997-03-24 1998-07-07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6416613B1 (en) 1998-06-23 2002-07-09 Nextec Applications, Inc. Products of and method for improving adhesion between substrate and polymer layers
US6342280B1 (en) 1998-06-23 2002-01-29 Nextec Applications, Inc. Products of and methods for improving adhesion between substrate and polymer layers
US6201055B1 (en) 1999-03-11 2001-03-13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composition and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6703120B1 (en) 1999-05-05 2004-03-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ilicone adhesives, articles, and methods
US6121368A (en) * 1999-09-07 2000-09-19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composition and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med therefrom
US6565969B1 (en) 1999-10-21 2003-05-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
EP1299498A1 (en) 2000-06-23 2003-04-09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6655281B1 (en) 2000-08-08 2003-1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ographic printing elements with improved air bleed
US6387487B1 (en) * 2000-08-11 2002-05-14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cure, low-solvent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4684996B2 (ja) * 2003-03-17 2011-05-18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向上した高温粘着強度を有する無溶媒シリコーン感圧接着剤
DE602004026424D1 (de) * 2003-03-24 2010-05-20 Unilever Nv Zusammensetzungen zur haarbehandlung
ATE422877T1 (de) * 2003-03-24 2009-03-15 Unilever Nv Zusammensetzungen zur haarbehandlung
EP1617994B1 (en) 2003-04-21 2017-03-01 Rynel, Inc. Methods for the attachment of materials to polyurethane foam, and articles made using them
JP2005075959A (ja) * 2003-09-01 2005-03-24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粘着性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シート
US20050113513A1 (en) * 2003-11-25 2005-05-26 Grisworld Roy M. Curable silicone pressure adhesive coating compositions
EP1737504B1 (en) * 2004-04-08 2010-06-09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skin adhesive gels
JP4841846B2 (ja) * 2005-02-02 2011-12-21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JP4648099B2 (ja) * 2005-06-07 2011-03-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ダイボンディング用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
ATE504334T1 (de) 2005-11-03 2011-04-15 Unilever Nv Haarbehandlungszusammensetzungen
GB0606661D0 (en) 2006-04-03 2006-05-10 Brightwake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dressings
US8287685B2 (en) 2006-12-06 2012-10-16 Dow Corning Corporation Airbag and process for its assembly
US8334037B2 (en) 2007-05-11 2012-12-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ssembly, multi-layer stretch relea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1959987B (zh) 2008-01-11 2013-07-17 3M创新有限公司 可拉伸剥离的光学透明的压敏粘合剂
JP4947006B2 (ja) * 2008-08-05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及び光電変換素子
US20130065999A1 (en) * 2010-10-14 2013-03-1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Japan Llc Curable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
GB2493960B (en) 2011-08-25 2013-09-18 Brightwake Ltd Non-adherent wound dressing
US8933187B2 (en) 2011-12-08 2015-01-13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 Inc. Self-crosslinking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rocess for making and articles made thereof
CN105778515A (zh) * 2014-12-26 2016-07-20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卤无磷硅树脂组合物以及使用它的预浸料、层压板、覆铜板以及印制电路板
EP3473677B1 (en) * 2016-06-15 2021-08-0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Japan LLC Curable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6182A (en) * 1950-09-13 1954-04-20 Dow Corning Copolymeric siloxan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m
US3220970A (en) * 1960-10-20 1965-11-30 Hoeganaes Dev Co Ltd Acid-cured furfuryl alcohol or furfuryl alcohol/furfural polymer, with plaster of paris
NL128299C (ko) * 1962-06-18
FR1362106A (fr) * 1962-06-25 1964-05-29 Dow Corning Procédé amélioré pour l'amortissement des vibrations par des matières vulcanisées à base de diorganopolysiloxane d'un copolymère silicone fluoré, et d'une charge
US3159601A (en) * 1962-07-02 1964-12-01 Gen Electric Platinum-olefin complex catalyzed addition of hydrogen- and alkenyl-substituted siloxanes
US3159662A (en) * 1962-07-02 1964-12-01 Gen Electric Addition reaction
US3220972A (en) * 1962-07-02 1965-11-30 Gen Electric Organosilicon process using a chloroplatinic acid reaction product as the catalyst
US3188299A (en) * 1963-02-28 1965-06-08 Gen Electric Preparation of stable mixtures of organosilicon compositions in the presence of a nitrogen-containing ligand
US3188300A (en) * 1963-02-28 1965-06-08 Gen Electric Preparation of stable copolymerizable organosilicon compositions containing a platinum catalyst and a phosphorus ligand
US3284406A (en) * 1963-12-18 1966-11-08 Dow Corning Organosiloxane encapsulating resins
NL129346C (ko) * 1966-06-23
US3344111A (en) * 1966-09-28 1967-09-26 Gen Electric Preparation of stable copolymerizable organosilicon compositions containing a platinum catalyst and an acrylonitrile type compound
US3383356A (en) * 1967-03-30 1968-05-14 Gen Electric Halocarbon catalyst inhibitors for reactive organosilicon compositions
US3516946A (en) * 1967-09-29 1970-06-23 Gen Electric Platinum catalyst composition for hydrosilation reactions
US3453233A (en) * 1968-01-16 1969-07-01 Dow Corning Inhibited system for organosilicon compounds
US3453234A (en) * 1968-01-31 1969-07-01 Dow Corning Latent catalyst containing platinum and sulfoxide
US3532649A (en) * 1968-09-13 1970-10-06 Dow Corning Heat activated curing system for organosilicon compounds
US3814730A (en) * 1970-08-06 1974-06-04 Gen Electric Platinum complexes of unsaturated siloxanes and platinum containing organopolysiloxanes
US3627851A (en) * 1970-10-23 1971-12-14 Dow Corning Flexible coating composition
US3983298A (en) * 1975-04-18 1976-09-28 Dow Corning Corporation Polyorganosilox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articles therefrom
US4340710A (en) * 1981-04-02 1982-07-20 General Electric Company Addition cure coating with improved adhesion
US4510094A (en) * 1983-12-06 1985-04-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latinum complex
JPH0637614B2 (ja) * 1986-07-15 1994-05-18 東レ・ダウコ−ニング・シリコ−ン株式会社 シリコ−ン感圧接着剤組成物
US5110882A (en) * 1986-11-28 1992-05-05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mpany, Ltd.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H0684494B2 (ja) * 1986-11-28 1994-10-26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感圧接着剤組成物
AU618818B2 (en) * 1988-08-04 1992-01-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ilico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having high solids content
JPH0726085B2 (ja) * 1988-09-21 1995-03-2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系感圧接着剤組成物
US5082706A (en) * 1988-11-23 1992-01-21 Dow Corning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release liner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93426B1 (en) 1994-08-03
JPH0317178A (ja) 1991-01-25
KR900016417A (ko) 1990-11-13
EP0393426A3 (en) 1991-08-07
US4988779A (en) 1991-01-29
CA2012232A1 (en) 1990-10-17
JPH0786193B2 (ja) 1995-09-20
DE69011173D1 (de) 1994-09-08
EP0393426A2 (en) 1990-10-24
DE69011173T2 (de) 199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310B1 (ko) 부가 경화성 실리콘 감압 접착제
US5190827A (en)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having high solids content
US5399614A (en) Solventless or high solids-containing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3983298A (en) Polyorganosilox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articles therefrom
US5466532A (en) Solventless or high solids-containing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6387487B1 (en) Dual cure, low-solvent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CN101784631B (zh) 硅氧烷基压敏粘合剂组合物和压敏粘合剂胶带或片材
US5432006A (en) Solventless silicone release coating
US5034061A (en) Transparent shatter-resistant silicone coating
US5602214A (en)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EP0459292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20000062784A (ko) 실리콘 조성물 및 실리콘 감압 접착제
EP0371404B1 (en)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for the formation of a cured release film
JP3174616B2 (ja) ハイドロシリレーション触媒の製造方法
JPH0680949A (ja) 高温感圧接着剤
US5175058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H05186695A (ja) 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JPH08311429A (ja) 改善されたラップ剪断強度を有する高固体含量シリコーン感圧接着剤
JP2746811B2 (ja) 剥離性シリコーン硬化皮膜の形成方法
JPS6027703B2 (ja) 接着剤被覆物品と用法
JP3272929B2 (ja) 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