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979B1 - 다중 마찰 발생부를 가진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중 마찰 발생부를 가진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979B1
KR0146979B1 KR1019950009778A KR19950009778A KR0146979B1 KR 0146979 B1 KR0146979 B1 KR 0146979B1 KR 1019950009778 A KR1019950009778 A KR 1019950009778A KR 19950009778 A KR19950009778 A KR 19950009778A KR 0146979 B1 KR0146979 B1 KR 014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disk
hub
plate
pow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622A (ko
Inventor
하시모토 야수유키
테라메 히토시
타께히라 야스시
Original Assignee
아다찌 마사루
가부시끼 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찌 마사루, 가부시끼 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아다찌 마사루
Publication of KR95002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2Vibration damping

Abstract

제1실시예에서,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유지판(5), 허브(2), 제1코일 스프링(6), 제2코일 스프링(7), 그리고 제1마찰 와셔(8)를 가진다. 연결판은 이 허브(2)의 외주에 위치한다. 제1코일 스프링은 원주방향으로 연결판(3)과 허브(2)를 탄성적으로 결합시킨다. 이 제2코일스프링(7)은 원주 방향으로 이 유지판(5)과 연결판(3)을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며 이 제1코일 스프링(6)보다 강도에 있어서 뛰어나다. 제1마찰와셔(8)는 이 유지판(5)과 허브(2) 사이에 위치하는 제1마찰부재(13), 이 연결판(3)과 유지판(5) 사이에 위치하는 제2마찰 부재(14), 그리고 제1마찰 부재(13)과 제2마찰 부재(14)를 결합시키며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커플링 요소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108)와 제1마찰 와셔(114)는 허브(102)에 있는 플랜지의 측표면과 접촉한다. 제2마찰 와셔(115)는 보조판(105)의 측 표면과 접촉하고 있으며 원주 방향으로 일체로 함께 회전하도록 그리고 축방향으로 상대 운동하도록 제1마찰와셔(114)를 연동시킨다. 제1원뿔형 스프링(116)은 제1마찰 와셔(114)를 이 플랜지 쪽으로 강제한다. 제2원뿔형 스프링(117)은 제2마찰 와셔(114)를 이 보조판(105)쪽으로 강제한다. 제1마찰 와셔(114)와 제2마찰 와셔(115) 중 하나만이 원주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되도록 그리고 축방향으로 상대 운동하도록 유지판(104)을 연동시키는 스냅 돌기 및 스템형 돌기를 가진다.

Description

다중 마찰 발생부를 가진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살시예에 따른 허브 및 마찰 와셔를 가진 클러치 디스크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적 부분 종단도;
제2도는 허브의 일부를 보여주는제1도의 일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3도는 허브를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플랜지부와 연동시킨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 부분 평면도
제4도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 제1마찰 와셔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1 마찰 와셔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따른 허브와 마찰 와셔를 가진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개략적 종단면도(제6도의 단면도는 제7도의 선I-I를 따른 것이다)
제7도는 제6도의 화살표 Ⅱ방향으로 본 부분적으로 잘라낸 부분 정면도
제8도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 제6도에 도해된 클러치 디스크의 허브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Ⅳ-Ⅳ를 따라서 자른 허브의 횡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에 A라고 이름 붙여진 동그라미 쳐진 부분의 부분 확대도
제11도는 제6도에 도해된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 제1마찰 와셔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Ⅶ-Ⅶ를 따라서 자른 제1마찰 와셔의 횡단면도.
제13도는 제6도에 도해된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 제2마찰 와셔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Ⅸ-Ⅸ를 따라 자른 제2마찰 와셔의 횡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선Ⅹ-Ⅹ를 따라서 자른 제2마찰 와셔의 횡단면도.
제16도는 제6도에 도해된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제1원뿔형 스프링을 보여주는 평면도 그리고
제17도는 제6도에 도해된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제2원뿔형 스프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된 허브 및, 다중 마찰 발생부를 가진 마찰 발생 구조를 가진 클러치 디스크 댐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클러치 디스크에 있는 댐퍼 메카니즘은 일반적으로 동력 입력판, 방사 방향으로 확장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동력 출력 허브 및, 상기 동력 입력판 및 플랜지를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클러치 디스크는 허브, 매개판 및 동력 입력판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띤 제1탄성 요소는 상기 매개판과 허브를 결합시키며 제2탄성 요소는 상기 동력 입력판과 매개판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형의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는 상기 입력판과 허브 사이의 상대적인 비틀림 변위가 상기 두 스프링의 특성, 즉, 상기 제1 스프링이 저강도의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2스프링인 고강도의 특성을 가짐에 기인하는 진동완층의 두 수준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는 상기 동력 입력판과 허브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에 대한 마찰력(히스테리시스 토오크)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력 입력판과 허브 사이에 위치되는 제1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마찰요소는 상기 매개판과 동력 입력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한 분리된 허브/매개판형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에서, 부 비틀림진동은, 전달될 때, 상기 동력 입력판과 연결판, 그리고 상기 동력 출력 허브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일으킨다. 이것은 반복적이고 팽창하고 압축되기 위한 저강도의 마찰 요소에 기인하며, 상기 제1마찰요소는 작은 마찰력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동력 입력판과 연결판 사이로 미끄러진다. 주 비틀림 진동은, 전달될 때, 상기 동력 입력판, 그리고 상기 매개판과 동력 출력 허브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일으킨다. 이것은 반복적으로 팽창하고 압축되기 위한 상기 탄성요소에 기인하며, 상기 제2마찰 요소는 상대적으로 큰 마찰력을 일으키기 위하여 상기 동력 입력판과 연결판 사이로 미끌어진다. 저강도와 소마찰력의 특성은 부 비틀림 진동을 환충하는데 효과적이며, 반면 고강도와 대마찰력의 특성은 주 비틀림진동을 완충하는데 효과적이어서, 어떤 진동도 잘 완충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상기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는 이 어셈블리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다양한 수준의 비틀림 진동에 상응하여 다양한 수준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상기 동력 입력판과 각각 연동하는 분리되고 구별되는 마찰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상기 마찰 요소에 있는 연동 요소와 같은 구성품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분리된 허브형 디스크 어셈블리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마찰 메카니즘내의 마찰 요소와 연동 요소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된 마찰 진동 완충력을 댐퍼 디스크에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발명의 한 양상에서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동력 입력 회전 요소, 디스크 판, 동력출력허브, 제1탄성 요소, 제2탄성 요소 및 마찰 요소를 가지고 있다. 상기 디스크판은 상기 허브의 외주 가까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탄성 요소는 상기 디스크판을 상기 허브에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결합시킨다. 상기 제2탄성 요소는 상기 동력 회전 요소를 상기 디스크 판에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며 상기 제1탄성 요소보다 더 단단하다. 상기 마찰요소는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와 상기 허브 사이에 위치되는 제1마찰부, 상기 디스크 판과 동력 입력 회전 요소에 위치되는 제2마찰부, 그리고 상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축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커플링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 요소는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를 연동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 요소는 디스크형태이며, 상기 제1마찰 요소는 상기 제2마찰 요소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플링 요소는 상기 제2마찰 요소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마찰 요소는 바람직하게 섹터로 나누어지고 제1마찰 요소보다 두껍다.
바람직하게, 상기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1마찰 요소를 상기 플랜지 쪽으로 강제하기 위한 제1어징 요소(urging element), 그리고 상기 제2마찰 요소를 상기 디스크 판쪽으로 강제하기 위한 2제어징 요소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제2어징 요소가 상기 제1어징 요소보다 큰 강제력(urging force)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의 회전에 기인하는 토오크는 상기 제1탄성 요소, 상기 디스크판 및 제2탄성 요소를 거쳐서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로부터 상기 동력 출력 허브로 전달된다.
비틀림 진동이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로 전달될 때, 상기 비틀림 진동이 작은 수의 호의 초(seconds of arc)이면 상기 제1탄성 요는 상기 디스크 판과 허브 사이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동시에, 상기 마찰 요소의 제1마찰부는 지정된 크기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와 플랜지 사이로 미끄러진다. 큰 수의 호의 초를 가진 상기 비틀림 진동은 상기 입력 회전 요소로 전달되며, 상기 제2탄성요소도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상기 제2마찰 요소는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동력 입력 회전 요소 및 디스크 판 사이로 미끄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마찰 요소는 본 발명의 마찰 요소가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를 가지기 때문에 하나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마찰 부재와 제2마찰 부재는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커플링 요소에 의해서 결합되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마찰 요소가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를 연동시킬 때, 결과적으로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 자체는 상기 허브와 상기 디스크 판 사이로 미끄러지며, 따라서 안정된 마찰력이 얻어진다.
상기 마찰 요소가 디스크 형태이며, 상기 제1마찰 요소가 상기 제2마찰 요소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 요소가 상기 제2마찰 요소 외부에 위치된 상황하에서는,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가 축방향으로 보다 서로 독립적이다. 상기 제2마찰 요소가 섹터로 나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가 축방향으로 보다 서로 독립적이다. 상기 제2마찰 요소가 상기 제1마찰 요소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의 내구성이 증대한다.
상기 댐퍼 디스크 어셈블 리가 상기 제1마찰 요소를 상기 허브 쪽으로 강제하기 위한 제1어징 요소와 상기 제2마찰 요소를 상기 디스크 판쪽으로 강제하기 위한 제2어징 요소를 더욱 포함할 때, 상기 제1마찰 요소는 상기 허브에 강제되는 반면 상기 제2마찰 요소는 미끄러지도록 상기 디스크 판에 의해 강제된다.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가 미끄러지도록 강제하는 것은 마찰력이 안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 동력 출력 허브, 제2탄성 요소 및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friction resistance generating mechanism)을 가지고 있다.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는 토오크를 받는다. 상기 동력 출력 허브는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의 내주에 위치되며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매개디스크 요소는 상기 허브의 외주에 위치된다. 상기 제1탄성 요소는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와 플랜지에 의한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놓인다. 상기 제2탄성 요소는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와 매개 디스크 요소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놓인다.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타니즘은 제1마찰요소, 제2마찰요소와 제1어징요소 및 제2어징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마찰 요소는 상기 플랜지의 측면과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마찰 요소는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의 측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2마찰 요소와 함께 상기 제1마찰 요소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축방향으로 상기 제2마찰 요소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제1마찰 요소를 연동시킨다. 상기 제1어징 요소는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상기 제1마찰 요소를 상기 플랜지 쪽으로 강제한다. 상기 제2마찰 요소는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마찰 요소를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 쪽으로 강제한다. 상기 제1마찰요소와 제2마찰 요소 중 하나만이 원주 방향으로 연동 수단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축방향으로 상기 연동 수단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 모두는 고리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마찰 요소가 상기 제1마찰 요소의 외주에 접하여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동 수단은 동력 입력 요소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요소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마찰 요소는 바람직하게 그 내주면의 끝단 표면에 다수개의 노치(notch)를 가지는 반면 상기 제1마찰 요소는 노치에 맞추기 위하여 방사 방향으로 그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바람직하게 가지고 있다.
상기 제2어징 요소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1어징 요소보다 큰 강제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마찰 요소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1마찰 요소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은 상기 연동 요소와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가 연동함에 의하여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가 관련되지 않도록 그 구성품을 조립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요소에 가해지는 토오크가 상기 제2마찰 요소, 매개 디스크 요소 및 제1탄성 요소를 거쳐서 상기 동력 출력 허브에 전달된다.
작은 수의 호의 초인 비틀림 진동이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로 전달되면, 상기 제1탄성 요소는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와 플랜지사이에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동시에,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는 일체로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와 같이 상기 동력 출력허브에 상대 회전하며, 상기 제1마찰 요소는 지정된 수준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 상에 대하여 미끄러진다. 큰 수의 호의 초인 상기 비틀림 진동은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로 전달되며, 상기 제2탄성요소도 원주 방향으로 팽창과 추축을 반복한다.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는 일체로 상기 동력 입력 허브와 같이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에 상대 회전한다. 동시에, 상기 제1마찰 요소는 상기 플랜지 상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반면 상기 제2마찰 요소는 전술한 것보다 큰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 상에 대하여 미끄러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준의 비틀림 진동에 상응하는 다양한 형의 비틀림 특성을 발생시키는 것은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게 한다.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는 원주 방향으로 일체로 같이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동하며, 상기 마찰 요소 중 하나는 홀로 연동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의 구조는 단순화된다.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은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가 모두 고리 형태이며 상기 제2마찰 요소가 제1마찰 요소의 외주에 접하여 위치되는 경우에 축방향으로 높이가 줄어진다.
상기 연동 요소를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와 연동시키는 것은 상기 연동 요소가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요소를 가지는 경우에 용이하게 되고 보증된다.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의 연동은 상기 제2마찰 요소가 그 내주의 끝단 표면에 다수개의 노치를 가지며 상기 제1마찰 요소가 상기 노치를 연동시키는 돌기를 가지는 경우에 단순한 구조를 충족시킨다.
상기 제2어징 요소가 상기 제1어징 요소보다 큰 강제력을 가질 때, 상기 제2마찰 요소에서 발생된 마찰력은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가 모두 동일한 물질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마찰 요소에서 발생된 마찰력보다 크다.
상기 제2마찰 요소가 제1마찰 요소보다 높은 마찰 계수의 물질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강제력이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에 가해진다면 상기 제2마찰 요소가 제1마찰 요소보다 큰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2마찰 요소에 가해진 강제력이 상기 제1마찰 요소에 가해진 강제력보다 크다면, 상기 제2마찰 요소에서 발생된 마찰력은 더욱 증대한다.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이 상기 연동 수단을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와 연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요소와 관련되지 않게 그 구성품을 조립한 경우에는,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은 전체를 조립하기 전에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에 장착될 수 있다. 결국, 이것은 전체를 조립하기 전에 구성품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전체를 조립하는 작동 효율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이나 다른 목적, 특징, 양상 및 이점은 동일한 지시 번호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부분을 지시하는 첨부한 도면과 함께 다음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는 제1도에서 좌측이 있는 엔진(미도시)으로부터 제1도에서 우측에 있는 변속 장치(미도시)로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제1도에서 선 O-O는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의 중심 회전축을 나타낸다.
제3도에서, R1은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의 회전 방향을 표시하며, R2는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의 회전 반대 방향을 표시한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는 그 중심이 변속 장치(미도시)의 축(미도시)과 결합된 허브(2)를 가진다. 상기 허브(2)는 그 중심에 스플라인 홀(2a)을 가지고 있다. 상기 허브(2)는 외주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작은 플랜지(2b)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플랜지(2b)의 외주에는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정열된 다수개의 돌기(2c)가 있다. 상기 플랜지(2b)에서 방사 방향으로 서로 상대하는 두위치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d:receptacle)이 제1코일 스프링(6)의 끝단을 받고 유지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아래에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연결판(3)은 일반적으로 한줄로(동일 평면에)배치되며 상기 허브(2)의 돌기(2c)의 외주와 접한다. 상기 연결판(3)은 디스크형의 판이며 일반적으로 사이 허브(2)의 돌기(2c)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노치(3a)를 가지고 있다. 정해진 간격이 원주 방향으로 각각의 노치(3a)와 각각의 상응하는 돌기(2c) 사이에 주어지며, 이것은 상기 허브(2)와 연결판(3)이 정해진 각도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중립 상태나 비틀림 없는 상태에서는, 제3도에 도해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2c)가 R2방향으로 상기 노치(3a)의 일측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판(3)의 내주는 여기 이후로는 리셉터클(3b)로 언급된 상기 허브(2)의 리셉터클(2d)에 상응하는 두 개의 점에 노치를 더욱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코일 스프링(6)은 상기 리셉터클(2d,3b)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1코일 스프링(6)의 마주보는 끝단에는 스프링 시이트(11)가 놓여있다. 상기 스프링 시이트(11)는 상기 리셉터클(2d)의 일측 및 상기 리셉터클(3b)의 마주보는 끝단과 원주 방향으로 접촉한다. 제3도에는 하나의 코일 스프링(6)만이 도해되어 있으나, 두 번째 스프링이 제3도에 도해된 스프링으로부터 180도의 간격으로 리셉터클(2d,3b)에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판(3)은 방사 방향으로 매개부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개의 윈도우 홀(3c)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판(3)의 외주 모퉁이에는 다수개의 노치(3d)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판(4,5)은 상기 연결판(3)의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대충 디스크 형태인 구성품으로 구성된 상기 유지판(4,5)은 상기 허브(2)에 대하여 제한된 회전 변위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유지판(4,5)은 접촉핀(20)에 의해 상호 고정된 그 각각의 외주를 가진다. 상기 접촉핀(20)은 상기 연결판(3)의 외주에 형성된 각각의 노치(3d)를 관통한다. 지정된 간격은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접촉핀(20)과 노치(3d)사이로 유지되어 있다. 이것은, 상대적인 회전이 노치(3d)의 양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핀(20)에 의해 제한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유지판(4,5)이 상기 연결판(3)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다수개의 쿠션판(22)은 리벳(22)에 의해 상기 연결판(3)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다. 마찰 페이싱(23)은 상기 쿠션판(22) 각각의 마주보는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엔진(미도시)에 부착된 플라이 휠(미도시)은 제1도에서 상기 마찰 페이싱(23)의 좌측에 놓여 있으며, 압력판(미도시)이 상기 플라이 휠이 상기 마찰 페이싱을 누르도록 강제할 때, 상기 엔진으로부터 토오크는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에 가해진다.
융기부(4a,4b)는 상기 연결판(3)의 윈도우 홀(3c)에 상응하는 위치에 축방향으로 밖으로 연장하는 유지판(4,5)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제2코일 스프링(7)은 상기 연결판(3)의 윈도우 홀(3c)내에 상기 융기부(4a,5a)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제2코일 스프링(7)은 상기 제1 스프링(6)보다 와이어 직경 및 코일 직경이 모두 크며 강도도 증대된다. 상기 판(4,5)으로부터의 토오크는 그들 사이에 개재하는 상기 제2코일 스프링을 거쳐서 상기 연결판(3)에 전달된다.
제1마찰와셔(8), 제1원뿔형 스프링(9) 및 제2원뿔형 스프링(10)은 상기 유지판(5)의 내주와 상기 연결판(3) 및 돌기(2c)의 내주 사이에 정렬되어 있다. 상기 제1마찰와셔(8)는 합성 수지로 된 디스크 같은 판이다. 상기 1마찰 요소(8)는 그 내주와 접하여 형성된 제1마찰부(13), 그 외주와 접하여 형성된 제2마찰부(14), 그리고 상기 제1마찰부(13)와 제2마찰부(14)를 결하시키는 그 커플링부(15)를 가지고 있다.
상기 커플링부(15)는 원주 방향으로 강도의 면에서 뛰어난 반면에, 축방향으로는 낮은 강도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므로, 상기 제1마찰부(13) 및 제2마찰부(14)는 축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와셔(8)에서는, 상기 제1마찰부(13) 및 제2마찰부(14)는 다수개의 슬릿(16)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슬릿(16)은 상기 제2마찰부를 섹터로 나눈다. 상기 섹터는 상기 커플링부(15)를 거쳐서 각 외주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마찰부(14)는 상기 제1마찰부(13) 및 커플링부(15)보다 두껍다. 상기 커플링부(15)는 상기 제2마찰부(14)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즉, 상기 제1마찰부(13)로부터 가장 멀리 놓이므로, 축방향으로의 상기 두 마찰부(13,14) 상호간의 독립이 더욱 증대된다. 상기 제2마찰부(14)는 제1마찰부(13)보다 많이 마모되기 때문에 보다 두껍다.
상기 제1마찰와셔(8)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밖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돌기(17)가 제공된 그 내주를 가지고 있다. 상기 원통형돌기(17)은 상기 연동 요소(18)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유지판(5)을 연동시키는 연동요소(18)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마찰와셔(8)의 제1마찰부(13)가 상기 허브(2)의 플랜지(2b)와 돌기(2c)와 마찰 접촉하는 반면 제2마찰부(14)는 상기 연결판(3)의 내주의 측면과 마찰 접촉하고 있다.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9)의 외주단은 유지판(5)과 접촉하는 반면 그 내주단은 상기 허브(2)의 플랜지(2b) 및 돌기(2c) 쪽으로 상기 제1 마찰부(13)를 강제한다.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0)의 외주단은 상기 유지판(5)을 연동시키는 반면 그 내주단은 상기 제1마찰와셔(8)의 제2마찰부(14)를 상기 연결판(3)의 내주의 측면으로 강제한다.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0)에 의한 강제력은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9)의 강제력보다 크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찰 와셔(19)는 상기 유지판(4)의 내주와, 상기 연결판(3)과 상기 허브(2)의 플랜지(2b) 및 돌기(2c)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2마찰 와셔(19)는 상기 유지판(4), 상기 연결판(3)의 내주의 측면 및 상기 허브(2)의 플랜지(2b)와 돌기(2c)와 접촉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2)의 작용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상기 마찰 페이싱(23)이 엔진의 플라이 휠(미도시)에 대하여 밀리고 있을 때, 상기 엔진에 있는 플라이 휠의 토오크는 상기 유지판(4,5)에 가해진다. 상기 토오크는 상기 제2코일 스프링(7), 상기 연결판(3) 및 상기 1코일 스프링(6)를 거쳐서 상기 허브(2)에 전달되며, 변속기에 있는 축(미도시)에 더욱 전달된다.
비틀림 진동은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에 작은 각의 상대 변위를 일으키는데, 상기 비틀림 진동은 상기 엔진에 있는 플라이 휠로부터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로 전달되며, 상대 회전은 상기 판(4,5) 및 상기 연결판(3), 그리고상기 허브(2)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1코일 스프링(6)은 반복적으로 팽창하고 수축하며, 상기 제1마찰와셔(8)의 제1마찰부(13) 은 상기 허브(2)의 플랜지(2b) 및 돌기(2c)에 관련하여 미끄러진다. 저강도 및 소마찰력의 특성은 이때 소량의 변위를 가진 비틀림 진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0)에 의한 보다 작은 강제력이 상기 제1마찰부(13) 에 가해지는데, 그 이유는 상기 제1마찰부(13)와 제2마찰부(14)가 서로 독립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마찰부(13)가 상기 허브(2)의 플랜지(2b)와 돌기(2c)에 의해서 그렇게 강하게 강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지나치게 큰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큰 각변위를 일으키는 비틀림 진동이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에 전달될 때, 상기 연결판(3)과 허브(2)는 서로 일체로 회전하며, 상대 회전이 상기 요소와판(4,5)사이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2코일 스프링(7)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며, 제1마찰와셔(8)의 제1마찰부(13)는 상기 허브(2)의 플랜지(2b) 및 돌기(2c)상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반면 상기 제2마찰부(14)는 상기 연결판(3)의 내주의 측면 상에 대하여 미끄러진다. 이 상황하에서, 상기 제1마찰와셔(8)는 미끄러짐 표면이 증가하므로, 작은 양의 상대 변위를 일으키는 비틀림 진동과 비교되어 보다 큰 마찰력이 발생한다. 고강도 및 소마찰력의 특성은 많은 양의 상대 변위의 비틀림 진동이 완충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요한 특성은 상기 비틀림 진동의 형에 따라 얻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효과적으로 상기 비틀림 진동을 완충한다.
게다가, 상기 제1마찰와셔(8) 및 유지판(5)에 의한 일체 회전은 상기 동력 입력요소의 직접 미끄러짐에 상당하며, 이것은 상기 마찰력을 안정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마찰와셔(8)은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9) 및 제2원뿔형 스프링(10)에 의해 강제되며, 또한 이것은 상기 마찰력을 안정하게 한다.
더욱이, 종래 기술에 사용된 두 와셔의 특징 및 역할은 단일 와셔, 즉, 제1마찰와셔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필요한 구성품의 수가 감소된다.
상기 제1마찰와셔(8)는 복잡할 형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성 수지로만들어졌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다.
제5도에 도시된 다른 제1마찰와셔(48)는 합성 수지로 된 디스크 형태이다. 상기 제1마찰와셔(48)는 제1마찰부(43), 상기 제1마찰부(43)의 외주에 제공된 제2마찰부(44), 그리고 상기 두 부를 결합시키는 커플링부(45)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제2마찰부(44)는 상기 제1마찰부(43) 보다 두껍다. 상기 커플링부(45)는, 상기 제1마찰부(43)와 같이 얇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원주 방향으로 뛰어난 강도를 나타내나 축방향으로는 강도가 미약하여 탄성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2마찰부(44)는 슬릿에 의하여 섹터로 나뉘어지며, 상기 섹터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커플링요소(45)는 상기 제2마찰부(44)의 섹터의 내주특에 제공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의 배열은, 본 실시예에서 이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마찰 요소는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를 서로 일체로 하며, 따라서 두 개의 독립된 마찰요소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상기 마찰 요소의 부분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마찰부는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커플링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마찰 요소가 서로 서로의 회전을 일체로 하기 위하여 동력 입력 회전 요소를 연동시킬 때, 마찰력은 안정하게 된다.
상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는, 상기 마찰부가 디스크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마찰부가 상기 제2마찰부의 내주의 측면에 위치되는 경우에, 축방향으로 더욱 더 독립적이다. 상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는, 상기 제2마찰부가 섹터로 나뉘어 지는 경우에 축방향으로 더욱 더 독립적이다. 상기 제2마찰부가 상기 제1마찰부보다 두꺼울 때, 상기 제2마찰부는 마모되더라도 오랫동안 견딘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또한 상기 제1마찰부를 플랜지에 강제하기 위한 제1어징 요소와 상기 제2마찰부를 디스크 판에 강제하기 위한 제2마찰 어징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마찰력은 안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는 제6도의 왼쪽에 있는 엔진(미도시)으로부터의 토오크를 제6도의 오른쪽에 있는 변속 장치(미도시)로 전달한다. 제6도에서, 선O-O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의 회전축이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는 우선 변속기(미도시)의 입력축에 연결 가능한 동력 출력 요소로 작용하는 허브(102), 동력 입력 요소의 역할을 하는 클러치판(103) 및 유지판(104), 매기 요소의 역할을 하는 보조판(105), 상기 보조판(105)과 허브(2)에 의한 상대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코일 스프링(106), 상기 판(103,104) 및 보조판(105)에 의한 상대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큰 코일 스프링(107), 그리고 상기 판(103,104) 및 허브(102)사이에 상대 회전 변위가 일어날 때 지정된 수준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108)을 포함한다.
상기 허브(102)는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제8도 및 제9도에 보다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상기 허브(102)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보스(102a) 및 일체로 된 상기 보스(102a)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102b)를 포함한다. 다수개의 돌기(102c)는 상기 플랜지(102b)의 외주에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노치(102d)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작은 코일 스프링(106)의 마주보는 끝단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102b)내에 방사 방향으로 바주보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102e)은 상기 변속기의 축(미도시)과의 스플라인 연동을 위하여 상기 보스(102a)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다.
제6도, 제7도 및 제10도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판(105)은 상기 허브(102)에 상기 플랜지(102b)의 외주와 접하여 위치한다. 제7도에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보조판(105)은 방사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4개의 돌기(105a)를 가지고 있다. 각 돌기(105a)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윈도우 홀(105b)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돌기(105a) 사이에는 외부 노치(105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판(105)의 내주에는, 내부돌기(105d)는 상기 허브(102)내에 상기 돌기(102c)의 인접한 것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주 방향으로 지정된 간격은 상기 돌기(102c)와 내부 돌기(105d)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상기 허브(102) 및 보조판(105)이 지정된 각의 회전 변위에 의하여 서로 서로에 대하여 변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조판(105)의 내주에서, 내부노치(105e)는 상기 허브(102)내에 상기 노치(102d)에 대응하는 두 점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102d) 및 내부노치(105e)내에는 작은 코일 스프링(106)이 보유되어 있다. 시이트 요소(106a; seat element)는 상기 작은 코일 스프링(106)의 마주보는 끝단에 놓여 있으며, 상기 노치(102d) 및 상기 내부노치(105e)의 원주 방향으로 마주보는 끝단과 접촉하고 있다. 제7도에 도시된 중립 방향에서, 상기 돌기(102c)는 상기 내부 돌기(105d)의 근접된 것은 R2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잇다. 인지될 바와 같이, 상기 허브(102)는 상기 보조판(105)에 대한 지정된 각으로 상기 R2측을 향하여 변위된다.
상기 클러치판(103) 및 유지판(104)은 상기 보조판(105)의 마주보는 측면에 정열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판(103) 및 유지판(104)은 한쌍의 대략 디스크형의 요소로 짝지어져 있으며, 상기 허브(102)에 상기 보스(102a)의 외주에 대한 제한된 회전 변위를 위하여 정열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판(103)과 유지판(104)은 상기 클리치판(103)과 유지판(104)의 외주에 있는 접촉핀(111)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접촉핀(111)은 상기 보조판(105)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103,104) 및 보조판(105)사이의 상대적인 큰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외부 노치(105c)를 통하여 연장한다. 상기 접촉핀(111) 및 외부 노치(105c)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판(103)의 외주에는, 마찰 커플러(110; friction coupler)가 놓여진다. 상기 마찰 커플러(110)은 먼저 고리형의 쿠션판(112) 및 마찰 페이싱(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판(112)은 상기 접촉핀(111)에 의해 상기 클러치판(103)에 고정된 그 고리 모양부(11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쿠션판(112)의 외주에는, 다수개의 쿠션 부재(112b)의 각각의 마주보는 측에 부착되어 있다. 엔진 플라이휠(미도시)은 제6도에서 상기 마찰 페이싱(113)의 왼쪽에 놓여져 있으며,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토오크는, 압력판(미도시)이 상기 플라이 휠이 상기 마찰 페이싱을 누르는 것을 허용할 때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에 가해진다.
상기 클러치판(103) 및 유지판(104)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판(105)에 있는 윈도우 홀(105b)에 대응하는 위치에 윈도우 홀(103a,104a)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윈도우 홀(103a,104a)내에는, 상기 2코일 스프링(107)이 위치되어 있다. 잘려지고 축방향으로 바깥쪽에 튀어나온 홀러(103b,104b)는 상기 윈도우 홀(103a,104a)의 방사 방향으로 마주보는 측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1 스프링 어셈블리(107a)와 2개의 제2 스프링 어셈블리(107b)를 포함하는 4개의 큰 코일 스프링(107)이 있다. 상기 제1 스프링 어셈블리(107a)는 방사 방향으로 서로 마주 보는 상기 보조판(105)에 있는 상기 윈도우 홀(105b)내에 위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스프링 어셈블리(107a)는 큰 직경의 제1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1코일 스프링의 내부에 위치하는 작은 직경의 제2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각 제1 스프링 어셈블리(107a)의 원주 방향에 있는 마주보는 끝단은, 상기 보조판(105)에 있는 각 윈도우 홀(105b)의 원주 방향에 있는 마주보는 끝단, 상기 클러치판(103)에 있는 각 윈도우 홀(105a)의 원주 방향에 있는 마주보는 끝단, 그리고 상기 유지판(104)에 있는 각 윈도우 홀(104a)의 원주 방향에 있는 마주보는 끝단과 접촉하고 있다.
상기 2코일 스프링(107b)는 방사 방향으로 서로 대항하는 상기 보조판(105)에 있는 윈도우 홀(105b)내에 위치한다. 각각의 상기 제2스프링 어셈블리(107b)는 코일 스프링 및 그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요소(107c)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프링 어셈블리(107b)에 있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원주 방향에 있는 마주보는 끝단은, 상기 보조판(105)에 있는 각 윈도우 홀(105b)의 원주 방향에 있는 마주보는 끝단, 상기 클러치판(104)에 있는 각 윈도우 홀(103a)의 윈주 방향에 있는 마주보는 끝단과 접촉하고 있다. 상기 탄성 요소(107c)의 길이는 어떤 윈도우 홀의 원주방향에 있는 마주보는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상기 탄성 요소(107c)는 각 윈도우 홀의 원주 방향에 있는 마주보는 끝단 사이로 윈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큰 코일 스프링(107)은 상기 유지판(104)에 있는 홀더(104b)와 상기 클러치판(103)에 있는 홀더(103b)에 의하여 그 축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판(103) 및 유지판(104)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4개의 홀(103c) 및 4개의 홀(104c)을 가진 그 각각의 내주부를 가지는데, 그 안에는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108; 아래에 자세히 설명됨)이 맞추어져 있다.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108)은 제10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108)은 축방향으로 상기 클러치판(103)의 내주와 상기 유지판(104)의 내주 사이의 공간에 잇는 상기 보스(102a)의 플랜지(102b) 양측에 위치된 수개의 고리 모양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108)의 요소는 제1마찰와셔(114), 제2마찰 와셔(115), 1원통형 스프링(116), 2원뿔형 스프링(117), 그리고 제3마찰 와셔(118)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마찰 와셔(114)는 합성수지로 된 디스크형 판이다. 상기 제1마찰 와셔(114)는,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변속기의 한측면 상에서 상기 보스(102a)에 접하는 그 내주 끝단 및 상기 허브(102)의 플랜지(102b) 및 돌기(102a)의 측 표면과 접촉하는 한 측면을 가진다. 상기 제1마찰 와셔(114)는 디스크부(114a) 및, 상기 변속기를 향하여 상기 디스크부(114a)의 내주로부터 튀어나온 고리 모양의 융기부(114b)를 가진다. 상기 고리 모양의 튀어 나온부(114b)는 상기 변속기와 접하는 고리 모양 오목부(114)를 가지고 있다. 상기 디스크 요소(14a)의 외주에는, 4개의돌기(114d)가 방사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원뿔형 스프링(116)은 상기 제1마찰 와셔(114) 및 유지판(104)사이에 놓여져 있다.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116)은 상기 유지판(104)에 의해 지지되는 그 외주 끝단 및, 상기 제1마찰 와셔(114)의 고리 모양의 융기부(114b)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리 모양 오목부(114c)와 접촉하는 그 내주 끝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116)은, 압축된 채로 적합한 위치에 놓여지며 상기 제1마찰 와셔(114)를 상기 허브(102)의 플랜지(102b) 및 돌기(102c) 쪽으로 강제한다.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116)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에 다수개의 노치(116a)를 가지고 있다. 상기 노치(116a)는 상기 제1마찰 와셔(114)의 마모가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116)의 자세를 변화시킬 때 강제력에 기인하는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116)의 변화를 줄이는데 유용하다.
상기 제2마찰 와셔(115)는, 제13도 내지 제15도에서 알게 될 바와 같이, 디스크형 요소이며 상기 제1마찰 와셔(114)와 거의 같은 평면에 놓여져 있으며 상기 제1마찰 와셔(114)의 외주 상에 집중되어 있다. 상기 제2마찰 와셔(115)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1마찰 와셔(114)와 같은 물질로 되어 있으며 동일한 마찰 계수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마찰와셔(115)는 디스크부(115a) 및, 상기 디스크부(115a)의 내주로부터 상기 변속기 쪽으로 돌출하는 고리 모양의 융기부(115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엔진에 접하는 상기 디스크부(115a)의 끝단 표면은 상기 보조판(105)의 내주 끝단 표면과 접촉하고 있다.
상기 변속기에 접하는 상기 고리 모양의 융기부(115b)의 끝단 표면에는, 4개의 노치(115e)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마찰 와셔(114)의 돌기(114a)는 상기 노치(115e)에 맞추어져 있어서 상기 제1마찰 와셔(114) 및 제2마찰 와셔(115)가 원주방향으로 서로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상기 마찰 와셔가 움직일 수 있다. 지정된 폭의 공간은 축방향으로 각 돌기(114d) 및 각 대응하는 오목면(115e; 노치) 사이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고리 모양의 융기부(115b)는 상기 오목면(115e)인접한 것 사이에 상기 변속기 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들 돌기는 스냅돌기(115c; snap projection) 및 스템형 돌기(115d; stem-like projection)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형의 돌기가 방사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스냅 돌기(115c)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에 의하여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그 말단에 후크형의 스냅패스터너(hook-shaped snap fastener)를 가진다. 상기 스냅돌기(115c)는 상기 유지판(104)에 형성된 홀(104c)에 삽입된다. 상기 스냅돌기(115c)에 형성된 스냅 패스터너는 제2마찰 와셔(115)가 축방향으로 상기 유지판(104)에 미끄러지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냅형 돌기(115d)는 상기 유지판(104)에 있는 남은 홀(104c)에 삽입된다.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은 축방향으로 상기 제2마찰 와셔(115)와 유지판(104)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에 다수개의 노치(115a)를 가지고 있다. 상기 노치(115a)는, 상기 제2마찰 와셔(115)의 마모가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의 자세를 변화시킬 때 강제력에 기인하는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의 변화를 줄이는데 유용하다.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은, 압축되어, 적합한 위치에 놓여지며, 상기 유지판(104)과 접촉하는 그 외주면 및, 상기 변속기에 접하는 제2마찰 와셔(115)의 고리 모양의 융기부(115b)의 측 표면과 접촉하는 그 내주면이나 돌기(117b)를 가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은 상기 제2마찰 와셔(115)를 상기 변속기에 접하는 상기 보조판(105)의 측 표면에 대하여 강제한다. 이 상황하에서,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에 의한 강제력은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에 의한 강제력보다 크게 된다.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에 있는 노치(115a)는 상기 제2마찰 와셔(115)에서 상기 스냅돌기(115c), 스템형 돌기(115d) 및 오목면(115e)에 대응하여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 및 이들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방해하지 않는다.
제3마찰 와셔(118)는 상기 클러치판(103)과 상기 허브(102)의 플랜지(102b)의 내주 및, 상기 보조판(105)의 내주 끝단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3마찰 와셔(118)는 일반적으로 상기 제1마찰 와셔(114) 및 제2마찰 와셔(115)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며, 바람직하게 동일한 마찰 계수를 가진다. 상기 제3마찰 와셔(118)은 상기 플랜지(102b)의 측표면 및 상기 보조판(105)의 내주 끝단의 측 표면과 상기 클러치판(103)과 접촉하는 엔진에 접하는 그 측 표면을 가진다. 축방향으로 상기 엔진쪽으로 연장하는 스냅돌기(118a; 제6도를 볼 것)는 상기 제3마찰 와셔(118)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냅 돌기(118)는 상기 클러치판(103)에 형성된 홀(103c)에 맞추어져 있다. 상기 스냅돌기(118a)는 상기 제2마찰 와셔(115)에 있는 전술한 스냅 도기(115c)와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상기 엔진 쪽으로 연장하는 고리모양의 융기부(118b)는 상기 제3마찰 와셔(118)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판(103)의 내주 끝단은 상기 고리 모양의 융기부(118b)의 외주와 접촉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의 작용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상기 마찰 페이싱(113)이 상기 엔진에 있는 플라이 휠(미도시)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엔진에 있는 플라이 휠의 토오크는 상기 클러치판(103) 및 유지판(104)에 가해진다. 상기 토오크는 상기 큰 코일 스프링(107), 보조판(105) 및 작은 코일 스프링(106)을 거쳐서 상기 허브(102)에 전달되어 상기 변속기에 있는 축(미도시)에 더욱 전달된다.
작은 수의 호의 초의 비틀림 진동이 상기 엔진에 있는 플라이휠(미도시)로부터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에 전달될 때, 상기 회전이 상기 판(103,104) 및 보조판(105), 그리고 상기 허브(102)사이에서 발생한다. 동시에, 상기 작은 코일 스프링(106)은 원주 방향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며, 상기 제1마찰 와셔(114) 및 제3마찰 와셔(118)는 상기 허브(102)에 있는 플랜지(102b) 및 돌기(102c)상에 대하여 미끄러진다. 저강도와 소마찰력의 특성은 이때 작은 수의 호변위의 초의 비틀림 진동을 완충하는데 효과적이다.
큰 수의 호의 초의 비틀림 진동이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에 전달될 때, 상기 작은 코일 스프링(106)은 상기 허브(102)를 따라서 상기 보조판(105)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일체로 눌려지며, 이것은 이들 요소 및 상기 플레이트(103,104)사이의 상대 회전을 일으킨다. 동시에, 상기 큰 코일 스프링(107)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상기 제1마찰 와셔(114)는 상기 허브(102)에 있는 플랜지(102b)상에 대하여 미끄러지며, 상기 제2마찰 와셔(115)는 상기 보조판(105)의 내주에 있는 측 표면에 대하여 미끄러지며, 상기 플라이 휠에 접하는 상기 허브(102)에 있는 플랜지(102b)의 측 표면 상 및 상기 플라이 휠에 접하는 보조판(105)의 내주의 측 표면 상에 대하여 미끄러진다. 이 상황하에서, 상기 제2원뿔형 스프링(117)은 상기 제1원뿔형 스프링(116)보다 강제력이 크기 때문에, 큰 마찰력이 생성한다. 고강도와 대마찰력의 특성은 이때 큰 수의 호변위의 초의 비틀림 진동을 완충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와 바와 같이, 적절한 특성이 비틀림 진동의 종류에 따라 얻어질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는 효과적으로 비틀림 진동을 완충한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100)를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8)에 있는 상기 제1마찰 와셔(114), 제2마찰 와셔(115), 제1원뿔형 스프링(116) 및 제2원뿔형 스프링(117)은 먼저 서브어셈블리(subassembly)에 있는 유지판(104)에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한 장착 작용은 상기 유지판(104)에 있는 홀(104c)에 상기 제2마찰 와셔(115)에 있는 스냅돌기(115c) 및 스템형 돌기(115d)를 삽입함으로써 쉽게 수행된다. 상기 스냅돌기(115c)에 의하여 상기 제2마찰 와셔(115)는 상기 유지판(104)를 연동시키며, 따라서 다른 구성품이 더 이상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전체 어셈블리의 부분이 먼저 처리되도록 하며, 조립 작용이 용이하게 된다. 클러치 디스크 전체의 조립에 있어서,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또한 작용에 있어서 큰 효율의 증대를 가져온다. 상기 마찰 와셔(118)는 상기 서브어셉블리에 있는 상기 클러치판(103)에 먼저 장착된다.
상기 제1마찰 와셔(114), 제2마찰 와셔(115) 및 제3마찰 와셔(118)이 이전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짐에도 불구하고, 그들중에서 마찰 계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마찰 와셔(115)가 상기 제1마찰 와셔(114)보다 큰 마찰 계수를 가지는 경우에는, 두 원뿔형 스프링에 의해 동일한 강제력을 가질지라도 상기 제2마찰 와셔(115)가 상기 제1마찰 와셔(114)보다 큰 마찰 계수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요소 및 제2마찰요소는 원주 방향으로 일체로 서로를 따라서 회전시키기 위하여 서로 연동하기 때문에,연동 요소는 상기 마찰 요소 중 하나만 제공될 것이다. 이것은 구조를 단순화시킨다.
상기 제1마찰 요소 및 제2마찰 요소가 고리 모양이며 상기 제2마찰 요소가 상기 제1마찰 요소의 측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은 축방향으로 그 높이를 줄인다.
상기 연동 요소가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스터너 요소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연동 요소를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와 연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확실하게 된다.
상기 제2마찰 요소가 내주 끝단 표면에 다수개의 노치를 가지며 상기 제1마찰 요소가 상기 노치에 맞추어진 돌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들을 연동시키는 것이 단순화된 구조를 만족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어징 요소가 강제력에 있어서 상기 제1오징 요소보다 큰 경우에는, 두 마찰 요소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마찰 요소에 의해 생성된 마찰력은 상기 제1마찰 요소에 의해 생성된 마찰력보다 크게 된다.
상기 제2마찰 요소는 상기 제1마찰 요소보다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동일한 강제력이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에 가해진다면 상기 제2마찰 요소에 의해 생성된 마찰력이 상기 제1마찰 요소에 의해 생성된 마찰력보다 크게 된다. 상기 제2마찰 요소에 가해진 강제력이 상기 제1마찰 요소에 가해진 강제력보다 크다면, 상기 제2마찰 요소에 의해 생성된 마찰력은 더욱 증대된 마찰력을 생성한다.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이 상기 연동 요소를 상기 동력 입력 요소와 연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에 대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그 조립된 구성품을 가지는 경우에는, 클러치디스크 전체를 조립하기 전에 상기 마찰 저항 발생 메카니즘이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에 장착된다. 이것은 부분과 전체 어셈블리의 부분이 보다쉽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며, 전체 클러치 디스크를 조립함에 있어서 작동효율의 증대를 더욱 가져온다.

Claims (12)

  1. 동력 입력 회전 요소; 동력 출력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 상에 배치된 디스크판; 상기 디스크판과 상기 허브를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제1탄성요소;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와 상기 디스크판을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며, 상기 제1탄성 요소보다 강한 강도를 가지는 제2탄성 요소; 그리고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와 상기 허브 사이에 배치된 제1마찰 요소, 상기 디스크판과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사이에 배치된 제2마찰요소, 그리고 상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커플링부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가 상기 동력 입력 회전 요소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력 회전 요소를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는 디스크형태이며, 상기 제1마찰부는 상기 제2마찰 부재의 원주 방향 안쪽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제2마찰부의 원주 방향 바깥쪽으로 형성된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부는 간격이 뛰어진 아치형의 부분으로 형성된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부는 상기 제1마찰부보다 두꺼운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를 상기 허브와 연동시키도록 강제하기 위한 제1어징 요소 및, 사기 제2마찰부를 상기 디스크판과 연동시키도록 강제하기 위한 제2어징 요소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어징 요소가 상기 제1어징 요소보다 큰 강제력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7.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의 내주에 접하여 놓여지며 플랜지를 가지는 동력 출력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에 놓여지는 매개 디스크 요소;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와 상기 플랜지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 놓여지는 제1탄성 요소;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와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 놓여지는 제2탄성 요소;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측 표면과 접촉하는 제1마찰 요소, 상기 매기 디스크 요소의 측 표면과 접촉하며,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함께 회전하도록 그리고 축방향으로 상대 운동하도록 상기 제1마찰 요소를 연동시키는 제2마찰 요소, 상기 제1마찰 요소를 상기 플랜지 쪽으로 강제하기 위한 상기 동력 입력 요소로 지지되는 제1어징 요소, 그리고 상기 제2마찰 요소를 상기 매개 디스크 요소 쪽으로 강제하기 위한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로 지지되는 제2어징 요소를 가지며, 상기 제1마찰 요소와 제2마찰 요소 중 하나가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함께 회전하도록 그리고 축방향으로 상대 운동하도록 상기 동력 입력 디스크 요소를 연동시키는 연동 요소를 가지는 마찰 저항발생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크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제1마찰 요소 및 제2마찰 요소는 고리모양의 디스크 형태이며, 상기 제2마찰 요소는 상기 제1마찰 요소의 외주에 접하여 배치되는 크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요소가 상기 마찰 요소를 상기 입력디스크 요소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패스터너 요소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 요소가 매주상에 그 측 표면에 다수개의 노치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마찰 요소가 방사 방향으로 그 외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며 사이 노치로 연장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어징 요소가 상기 제1어징 요소보다 큰 강제력 가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 요소는 상기 제1마찰 요소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가진 물질로 만들어지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KR1019950009778A 1994-04-25 1995-04-25 다중 마찰 발생부를 가진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KR0146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86848 1994-04-25
JP6086848A JPH07293579A (ja) 1994-04-25 1994-04-25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622A KR950029622A (ko) 1995-11-24
KR0146979B1 true KR0146979B1 (ko) 1998-08-17

Family

ID=1389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778A KR0146979B1 (ko) 1994-04-25 1995-04-25 다중 마찰 발생부를 가진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93579A (ko)
KR (1) KR0146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54970C2 (de) 1996-08-05 2002-02-21 Mannesmann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KR101525695B1 (ko) * 2013-11-14 2015-06-0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의 허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93579A (ja) 1995-11-07
KR950029622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2476A (en) Torsion damping device for friction plate having a flexible center
US6371857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s
US5634543A (en) Damper disc assembly having multiple friction generating portions
US4269296A (en) Two-stage coaxial spring damper
US6682431B2 (en) Damper mechanism
KR100460234B1 (ko) 댐퍼 기구
US5800270A (en) Damper disc assembly having spring engaging means which restrict radial movement of corresponding springs
US5857914A (en)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outer radial portions of disk portions of a damper disk assembly
US5816925A (en) Damper disk assembly, frictional coupling portion and clutch disk assembly
JP2000205338A (ja) ダンパ―ディスク組立体
KR0146979B1 (ko) 다중 마찰 발생부를 가진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EP1120582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s
US5690208A (en) Clutch disk vibration damper assembly
JP3556008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3767725B2 (ja) ダンパー機構及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CN212775251U (zh) 摩擦垫圈
EP0414360B1 (en) Damper disc
KR100203565B1 (ko) 다중 마찰 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JP3422603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CN213870933U (zh) 减振装置
JPH08312672A (ja) 摩擦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2002310185A (ja) クラッチディスク組立体
JP3522430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
JPH11173381A (ja) ダンパー
JPH09144812A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