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565B1 - 다중 마찰 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중 마찰 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565B1
KR100203565B1 KR1019950017139A KR19950017139A KR100203565B1 KR 100203565 B1 KR100203565 B1 KR 100203565B1 KR 1019950017139 A KR1019950017139 A KR 1019950017139A KR 19950017139 A KR19950017139 A KR 19950017139A KR 100203565 B1 KR100203565 B1 KR 100203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friction
disc
disposed
inpu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라메 히토시
Original Assignee
아다찌 마사루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찌 마사루,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아다찌 마사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565B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분리 허브형의 댐퍼 디스크 조립체에 있어서, 마찰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줄이는 구조를 간단히 한다.
마찰저항 발생기구8에 있어서, 제1프리쿠션 와셔14는, 허브2의 플랜지 일면으로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프리쿠션 와셔15는, 서브 플레이트5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제1프리쿠션 와셔14와 원주방향으로 일체 회전가능하고, 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제1콘스프링16은, 제1프리쿠션 와셔14를 플랜지측에 가압한다. 제2콘스프링17은, 제2프리쿠션 와셔15를 서브 플레이트5측에 가압한다. 제1프리쿠션 와셔14 및 제2프리쿠션 와셔15중 어느 하나에 리테이닝 플레이트4에 원주방향으로 일체 회전가능하게 하고 또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스냅돌기 및 봉상돌기를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클러치 조립체의 종단면 개략도.
제2도는 일부가 절결된 제1도의 Ⅱ실시도.
제3도는 허브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 - Ⅳ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A확대도.
제6도는 제1 프리쿠션 와셔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Ⅵ - Ⅵ 단면도.
제8도는 제2 프리쿠션 와셔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Ⅸ - Ⅸ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Ⅹ - Ⅹ단면도.
제11도는 제1 콘스프링의 평면도.
제12도는 제2 콘스프링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러치 디스크조립체 2 : 허브
3 : 클러치 플레이트 4 : 리테이닝 플레이트
5 : 서브 플레이트 6 : 작은 코일 스프링
7 : 큰 코일 스프링 8 : 마찰저항 발생기구
14 : 제1 프리쿠션 와셔 15 : 제2 프리쿠션 와셔
15c : 스냅 돌기 15d : 봉상돌기
16 : 제1 콘스프링 17 : 제2 콘스프링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댐퍼 디스크 조립체 특히,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예를 들면 차량의 클러치 디스크에 이용되는 댐퍼 디스크 조립체는, 원판상 입력측 플레이트와, 외주에 플랜지와의 사이에서 양자의 상대회전을 제한하도록 배치 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플랜지를 허브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이 분리된 플랜지(중간 원판부재)와 허브를 강성이 낮은 탄성부재로 연결한 분리 허브형 댐퍼 디스크가 제공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댐퍼 디스크 조립 체에는, 입력측 플레이트와 허브 사이의 상대 비틀림 각도가 넓어지고, 또 저강성, 고강성 2단계의 비틀림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분리 허브형 댐퍼 디스크 조립에는, 입력측 플레이트와 허브가 상대회전할 때에 마찰력(히스테리시스 토오크)이 발생하도록, 마찰저항 발생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마찰저항 발생기구는, 허브의 플랜지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된 제1마찰 요소와, 중간 원판부재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배친된 제1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각 마찰부재는, 각각 별개의 입력측 플레이트와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고 또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마찰저항 발생기구는, 또한 제1마찰부재를 중간 원판부재측에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와, 제2마찰부재를 플랜지측에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처럼 분리 허브형 댐퍼 디스크 조립체에 있어서는, 진폭의 작은 비틀림진동이 전달되면, 입력측 플레이트와 중간 원판부재가 일체로 회전하여, 양자와 출력측 허브사이로 상대회전이 생긴다. 이때, 강성이 낮은 탄성부재가 신축을 반복하고, 제2마찰부재가 플랜지에 미끄러져 움직여 작은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진폭이 큰 비틀림 진동이 전달되면, 중간원판부재가 출력측 허브와 일체 회전하여 양자와 입력측 플레이트 사이로 상대회전이 생긴다. 이때, 탄성부재가 신축을 반복함과 동시에 제1마찰부재가 플랜지에 대해서 미끄러져 움직여 제2마찰요소가 중간 원판부재에 대해서 미끄러져 움직여 큰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종래의 분리 허브형 댐퍼 디스크 조립체에는, 다른 종류의 비틀림 진동에 대하여 다르고 큰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각 마찰부재가 각각 입력측 플레이트에 대해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고 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양측 마찰부재에 걸어맞춤부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입력측 플레이트에는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기 위한 구멍이나 절결홈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 허브형의 댐퍼 디스크 조립체에 있어서, 마찰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줄여 구조를 간단히 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계하는 댐퍼 디스크 조립체는, 입력측 원판부재와 중간 원판부재와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와 마찰저항 발생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측 마찰부재에는 토오크가 입력된다. 출력측 허브는 입력측 원판부재의 내주측에 배치된 플랜지를 보유하고 있다. 중간 원판부재는 허브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제1탄성부재는 중간 원판부재와 상기 플랜지와의 사이에 양자의 회전을 제한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탄성부재는, 입력측 원판부재와 중간 원판부재와의 사이에 양자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찰저항 발생기구는,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와 제1가압부재와 제2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1마찰부재는 플랜지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마찰부재는 중간 원판부재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제1마찰부재와 주연방향으로 일체회전가능하며, 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제1가압부재는 입력측 원판부재에 지지되어 제1마찰부재를 플랜지측으로 가압한다. 제2가압부재는, 입력측 원판부재에 지지되어 제2마찰부재를 중간원판 부재측에 가압한다.
제1마찰부재 및 제1마찰부재중의 하나가, 입력측 원판부재에 원주방향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 걸어맞춤부를 갖고 있다.
제1마찰부재 및 제2마찰부재는 동시에 환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마찰부재는 제1마찰부재의 외주 측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맞춤부는 입력측 원판부재에 대해서 관통 고정시키는 관통고정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마찰부재는 내추측의 측면에 복수의 절결부에 걸어맞추는 돌기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제1가압부재의 가압력 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마찰부재는 상기 제1마찰부재 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저항 발생기구의 상기 각 부품은, 상기 걸어맞품부와 상기 입력측원판부재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상기 입력측 원판부재에 대해서 탈락하지 않도록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본 발명에 관한 댐퍼 디스크 조립체에는, 입력측 원판부재에 토오크가 입력되면, 토오크는 입력측 원판부재로부터 제2탄성부재, 중간 원판부재 및 제1탄성부재를 사이에 끼워 출력측 허브에 전달된다.
변위각도가 작은 비틀림 진동이 입력측 원판부재에 전달되며, 제1탄성부재가 중간 원판부재와 플랜지와의 사이로 신축을 반복한다. 이때 중간 원판부재는, 입력측 원판부재와 일체로 되어 출력측 허브에 대해서 상대 회전하고, 제1마찰부재가 플랜지에 대해서 마찰하고 미끄러져 움직여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한다.
다음으로, 변위각도가 큰 비틀림 진동이 입력측 원판부재에 전달되면, 제2탄성부재가 원주방향으로 신축을 반복한다. 중간 원판부재는, 출력측 허브와 일체가 되어, 입력측 원판부재와 상대 회전한다.
이때, 제1마찰부재가 플랜지에 대해서 마찰하고 미끄러져 움직여 제2마찰부재가 중간 원판부재에 대해서 마찰하고 미끄러져 움직인다. 그 결과, 상기 마찰력 보다 큰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다른 비틀림 진동에 대해서 다른 비틀림 특성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각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한다.
제1마찰부재는 제2마찰부재와 원주방향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게 하기 위하여, 걸어맞춤부를 양 마찰부재중 어느 하나에 마련하는 것이 좋다. 그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진다.
제1마찰부재 및 제2마찰부재가 동시에 환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마찰부재가 제1마찰부재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찰저항 발생기구의 축방향 높이가 낮아진다.
걸어맞춤부가 입력측 원판부재에 대해서 관통 고정부를 갖는 경우에는, 걸어맞춤부와 입력측 원판부재의 걸어맞춤이 용이하고 또 확실해진다.
제2마찰부재가 내주측 단면으로 복수의 절결부를 보유하고 이루어지며, 제1마찰부재가 복수의 절결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돌기를 보유하는 경우는, 양자의 걸어맞춤이 간단한 구조로 실현된다.
제2가압부재는 가압력이 제1가압부재의 가압력 보다 큰 경우에는, 양 마찰부재가 동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제2마찰부재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제1마찰부재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보다 커진다.
제2마찰부재가 제1마찰부재 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에 가압력이 가해지면, 제2마찰부재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제1마찰부재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보다 커진다. 제2마찰부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1마찰부재에 가해지는 가압력보다 큰 경우에는, 제2마찰부재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우선적으로 커진다.
마찰저항 발생기구의 상기 각 부품이, 걸어맞춤부와 입력측 원판부재와의 걸어 맞춤에 의해서, 입력측 원판부재에 대해서 탈락하지 않도록 조립 부착된 경우는, 전체의 조립전에, 마찰저항기구를 입력측 원판부재에 조립 부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전체의 조립전에 부품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전체의 조립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은, 제1도에 배치된 엔진(미도시)으로부터의 토오크를 제1도의 우측에 배치된 트랜스밋션(미도시)에 전달 및 단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1도에 있어서는, 0-0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회전축선이다.
이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은, 주로, 출력측 원판부재로서 허브2와, 입력측 부재로서의 클러치 디스크3 및 리테이닝 플러이트4와, 중간부재로서의 서브 플레이트 5와, 서브 플레이트5와 허브2와의 사이에 양자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배치된 작은 코일스크링6과, 플레이트3, 4와 서브 플레이트5와 사이에 양자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배치된 큰 코일 스프링7과, 플레이트3, 4와 허브2와의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될 때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저항 발생기구 8로 구성되어 있다.
허브2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에 배치되어, 트랜스밋션의 축(미도시)에 연결된다. 허브2는, 축방향으로 원통상의 보스2a와, 보스2a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2b로 구성된다. 플랜지2b의 외주에는 복수의 돌기2c가 외주 방향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2b의 지름방향에 대향하는 2개소에는, 후술하는 작은 코일 스프링6의 원주방향 양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절결부 2d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스 2a의 내주연측에는, 트렌스밋션의 축(미도시)에 스플라인 결합하는 스플라인공 2e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2의 플랜지 2b의 외주에는 서브 플레이트5가 배치되어 있다. 서브 플레이트5는 원판상의 플레이트이다. 서브 플레이트5는, 제2도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지름방향 외측을 따라 4개의 돌출부5a를 보유하고 있다. 각 돌출부5a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창구멍5b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5a의 사이에는 외측 절결부5c로 형성되어 있다. 서브 플레이트5의 내주측에는, 허브2의 돌기2c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내측돌기5d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c와 내측돌기 5d와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확보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허브2와 서브 플레이트5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된다. 서브 플레이트5의 외주측에 있어서, 허브2의 절결부2d에 대응하는 2개소에는 내측 절결부5e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절결부2d와 내측 절결부5e내에는 탄성부재인 작은 코일 스프링6이 배치되어 있다. 작은 코일스프링6의 양단에는 시트부재6a 배치되어 있고, 시트부재6a는 절결부2d의 측부 및 내측 절결부5e의 원주방향으로 맞닿고 있다. 그리고 제2도에서와 같은 중립의 상태에서 돌기2c는 내측 돌기 5d 사이에서 R2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허브2가 서브 플레이트5에 대해서 소정각도 R2측으로 비틀러져 있다.
서브 플레이트5의 양측 방향에는, 클러치 플레이트3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4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3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4는, 대개 원판상의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허브2의 보스2a 외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3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4는 외주부에서 접합핀11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이 접합핀11은, 서브 플레이트5에 형성된 외측 절결부5c로 끼워서 통과 된다. 접합핀11과 외측 절결부5c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플레이트3, 4와 서브 플레이트5는 상대 회전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디스크3의 외주에는, 마찰연결부10가 배치되어 있다. 마찰연결부10는 주로 원환상의 쿠션 플레이트12와, 마찰 페이싱13으로 구성된다. 쿠션 플레이트12는, 환상부12a가 접합핀112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3에 고정되어 있다. 쿠션 플레이트 외주측에는, 복수의 쿠션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쿠션부12b의 양면에는 마찰 페이싱13이 고착되어 있다. 더욱이 마찰 페이싱13의 제1도 좌측에는 엔진측의 플라이 휠(미도시)이 배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플레셔 플레이트에 의해 마찰 페이싱13이 플라이 휠에 가압되면,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에 엔진측의 토오크가 입력된다.
클러치 플레이트3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4에는, 각각 서브 플레이트5의 창구멍5b에 대응한 위치에, 창구멍 3a 및 창구멍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창구멍3a 및 창구멍4a내에 탄성부재인 제2코일 스프링7이 배치되어 있다. 각 창구멍3a 및 창구멍4a의 지름방향측에는 축방향 외측으로 절취하여 일으킨 누름부3b와, 누름부4b가 형성되어 있다.
큰 코일 스프링7은 모두 4개이고, 2개의 제1스프링 조립체7a와 2개의 제2스프링 조립체7b로 구성된다. 제1스프링 조립체7a는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서브 플레이트5의 창구멍 5b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스프링 조립체7a는, 지름이 큰 코일스프링과 그 내측에 배치된 소정의 코일스프링으로 구분된다. 제스프링 조립체7a의 원주방향 양단은, 서브 플레이트5의 창구멍5b의 원주방향 양단, 클러치 플레이트3 창구멍3a의 원주방향양단에 맞닿아 있다.
제2스프링 조립체 7b는, 지름방향에 대한 서브 플레이트5의 창구멍5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스프링 조립체7b는, 코일 스프링과 그 내측에 배치된 플로트러버7c로 구성된다. 제2스프링 조립체7b의 코일 스프링 원주방향양단은, 서브 플레이트5의 창구멍의 원주방향 양단, 클러치 플레이트3의 창구멍3a의 원주방향 양단,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4의 창구멍4a의 원주방향으로 맞닿아 있다. 단 플로트 러버7c의 길이는 각 창구멍의 원주방향 양단 보다 짧게 되어 있다. 즉, 플로트 러버7c는 각 창구멍의 원주방향 양단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큰 코일 스프링7은, 리테이닝 플레이트4의 누름부4b 및 클러치 플레이트3의 누름부3b에 의한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클러치 플레이트3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4의 내주측에는, 마찰저항 발생기구8의 일부(후술)가 걸어맞추어지는 구멍3c, 4c가 각각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마찰저항 발생기구8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찰저항 발생기구8은, 클러치 플레이트3의 외주부와 리테이닝 플레이트4의 외주부와의 축방향 사이에 보스2a의 외주측에 배치된 각 환형의 부재로 구성된다. 마찰저항 발생구8을 구성하는 부재는, 제1프리쿠션 와셔14와 제2프리구션 와셔15와 제1콘스프링16과 제2콘스프링17과 제3프리쿠션 와셔18이다.
제1프리쿠션 와셔14는 수지제 원판상 플레이트이다. 제1프리구션 와셔14는, 제5도 내지 제7도에서와 같이, 내주단이 보스2a에 근접되어 있고, 1측면이 허브2의 플랜지 2b 및 돌기2c의 트랜스밋션측 측면에 맞닿아 있다. 제1프리큐션 와셔는, 원판부 14a와 원판부14a의 외주측으로부터 트랜스밋션측에 돌출하는 환상 돌출부14b를 보유하고 있다. 환상 돌출부14b에는, 환상 절결홈14c가 트랜스밋션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원판부14a의 외주에는, 지름방향을 따라 4개의 돌기14d가 형성되어 있다.
제1프리쿠션 와셔14와 리테이닝 플레이트4의 축방향 사이에는, 가압부재인 제1콘스프링16이 배치되어 있다. 제1콘스프링 16은 외주단이 리테이닝 프레이트4에 지지되고, 내측단이 제1프리쿠션 와셔14의 환상 돌출부14b에 형성된 환상 절결홈14c에 맞닿아 있다. 제1콘스프링16은 압축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어, 제1프리쿠션 와셔14를 허브2의 플랜지 2b 및 돌기2c측에 가압하고 있다. 제1콘스프링16에는, 제11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외주측에 복수의 절결부 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6a는, 제1프리쿠션 와셔14의 마모에 의한 제1콘스프링 16의 자세가 변화할 때, 제1콘스프링 16의 가압력 변화를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프리쿠션 와셔15는, 제8도 내지 제10도에서 알 수 있듯이, 원판상의 부재이고, 제1프리쿠션 와셔14의 외주측에, 제1프리큐션 와셔 14가 배치된 평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또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프리쿠션 와셔15는, 제1프리쿠션 와셔14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마찰계수가 동일하다. 제2프리쿠션 와셔15는, 원판부15a와 원판부 15a의 내주측으로 트랜스밋션측에 돌출하는 환상 돌출부15b로 구성된다. 원판부15a의 엔진측단부는, 서브 플레이트5의 내주단면에 맞닿고 있다. 환상 돌출부15b의 트랜스밋션측 단면은,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4개의 절결부15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5c내에는, 제1프리쿠션 와셔14의 돌기 14d가 원주방향으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더욱이, 돌기14d와 요부15e의 축방향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환상 돌출부15b에는, 요부15e의 사이에 트랜스밋션측을 따라 4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는, 2개의 스냅돌기 15e와 2개의 봉상돌기15d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동일한 종류의 돌기끼리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냅돌기15c는 축방향을 따라 슬롯에 의해 2분할되어 있고 또 선단에 후크형상의 스냅을 보유하고 있다. 스냅돌기15c는 리테이닝 플레이트4에 형성된 구멍4c내에 삽입되어 있다. 더욱이, 스냅돌기15c에 형성된 스냅부에 의해, 제2프리쿠션 와셔15는 리테이닝 플레이트4로부터 축방향으로 어긋나게 된다. 봉상 돌기15d는, 리테이닝 플레이트4의 다른 구멍 4c에 삽입되어진다.
가압부재인 제2콘스프링17은, 제2프리쿠션 와셔15와 리테이닝 플레이트4와의 축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콘스프링 17에는, 제12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내주측에 복수의 절결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절결부 17a는 제2프리쿠션 와셔15의 마모에 의해서 제2콘스프링 17의 자세가 변할 때에, 제2콘스프링17의 가압력 변화를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콘스프링17은 압축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고, 외주단이 리테이닝 플레이트4에 맞닿고, 내주단 즉 돌기17b가 제2프리쿠션 와셔15를 서브 플레이트15의 환상 돌출부15b의 트랜스밋션측 측면에 맞닿아 있다. 이처럼 제2콘스프링17은 제2프리쿠션 와셔15를 서브 플레이트5의 트랜스밋션측 측면에 가압하였다. 이때의 제2콘스프링17의 가압력은 제1콘스프링16의 가압력 보다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제2콘스프링17의 절결부17a 부분은, 제2프리쿠션 와셔15의 스냅돌기15c, 봉상돌기15d 및 요부15e에 대응하여 있고, 제2콘스프링17과 이들 부재가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3의 내주부와 허브2의 플랜지2b 및 서브 플레이트5의 내주단과의 축방향 사이에는 제3프리쿠션 와셔18이 배치되어 있다. 제3프리쿠션 와셔18은, 제1프리쿠션 와셔14 및 제2프리쿠션 와셔15와 동일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마찰계수가 동일하다. 제3프리쿠션 와셔18은, 트랜스밋션측 측면이 플랜지 2b의 측면 및 서브 플레이트5의 내주단부 측면에 맞닿아 엔진측 측면을 클러치 플레이트3에 맞닿게 하였다. 제3프리쿠션 와셔18의 외주부에는 축방향 엔진축을 따라 스냅돌기 18a(제1도 참조)가 형성되고, 스냅돌기18a는, 전술한 제2프리쿠션 와셔15의 스냅 돌기15c와 동일 형상이다. 제3프리쿠션 와셔18의 내주부에는 축방향 엔진축을 따라 환상의 돌출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의 돌출부18b의 외주측에는 클러치 플레이트3의 내주단이 맞닿는다.
다음으로,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찰 페이싱 13이 엔진측 플라이 휠(미도시)에 접속되면, 엔진측의 플라이휠이 토오크가 클러치 플레이트3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4에 입력된다. 이 토오크는, 큰 코일 스프링7, 서브 플레이트5, 작은 코일 스프링6을 사이에 끼워 허브2에 전달되고, 또 도시하지 않는 트랜스미션측의 축에 전달된다.
엔진측의 플라이 휠(미도시)로부터 클러치 디스트 조립체1에 변위각도의 작은 비틀림 진동이 전달되면, 플레이트3, 4 및 서브 플레이트5와 허브2와의 사이에서 상대 회전운동이 생긴다. 이때 작은 코일 스프링6이 원주방향으로 신축을 반복하고, 제1프리쿠션 와셔14 및 제3프리쿠션 와셔18이 허브2의 플랜지2b 및 돌기2c에 대해서 미끄러져 움직인다. 이때, 저강성, 작은 마찰력의 특성에 의하여 변위각도의 작은 비틀림 진동이 효과적으로 감쇠된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에 큰 변위각도를 갖는 비틀림 진동이 전달되면, 작은 스프링6이 압축되어 서브 플레이트5와 허브2가 일체 회전하면, 이들과 플레이트3, 4와의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생긴다. 이때, 큰 코일 스프링7이 신축을 반복하고, 제1프리쿠션 와셔14가 허브2의 플랜지2b와 미끄러져 움직이고, 제2프리쿠션 와셔15가 서브 프레임5의 내주측 측면에 미끄러져 움직이며, 또한, 제3프리쿠션 와셔18가 허브2의 플랜지2b의 플라이 휠 측면 및 서브 플레이트5의 내주면의 플라이 휠 측면에 미끄러져 움직인다. 여기에서는, 제2콘스프링17의 가압력이 제1콘스프링16의 가압력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큰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때에 큰강성, 큰 마찰력의 특성에 의해, 변위각도의 큰 비틀림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비틀림 진동의 종류에 의해 적절한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은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클러치 조립체1을 조립할때에는, 미리 마찰저항 발생기구8의 제1프리쿠션 와셔14, 제2프리쿠션 와셔15, 제1콘스프링16 및 제2콘스프링17을 리테이닝 플레이트4에 조립 부착하여, 부분 조립하여 둔다. 이 조립 부착하는 작업은 제2프리쿠션 와셔15의 스냅돌기15c 및 봉상돌기15d를 리테이닝 플레이트4의 구멍4c에 삽입하는 것으로 간단하다. 스냅돌기15c에 의해서 제2프리쿠션 와셔15가 리테이닝 플레이트4에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각 부재가 탈락하지는 않는다. 또, 이처럼 부분 조립화하면, 전체의 조립전에 부분 조립상태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해 진다. 또, 전체의 조립시에도, 부분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된다. 더욱이, 제3프리쿠션 와셔18도 클러치 프레이트3에 조립 부착하여 둔다.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프리쿠션 와셔14와 제2프리쿠션 와셔15와 제3프리쿠션 와셔18을 동일재질로 형성하였지만, 각각 별도의 재질로 형성하여, 마찰계수를 다르게 하여도 좋다. 제2프리쿠션 와셔15의 마찰계수를 제1프리쿠션 와셔14 보다 크게 설정하려면, 양 콘스프링의 가압력이 동일하더라도, 제2프리쿠션 와셔15에서 제1프리쿠션 와셔14 보다 큰 마찰력을 발생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댐퍼 디스크 조립체에서는,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와는 원주방향으로 일체 회전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부를 양 마찰부재중 어느 하나에 마련하는 것이 좋다. 그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제1마찰부재 및 제2마찰부재가 환상으로 되고, 제2마찰부재가 제1마찰부재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마찰저항 발생기구의 축방향 높이가 낮게 된다,
걸어맞춤부가 입력측 원판부재에 대해서 관통 고정되는 관통 고정부를 갖는 경우에는, 걸어맞춤부와 입력측 원판부재와의 걸어맞춤이 용이하고 확실해진다.
제2마찰부재가 내주측단면에 복수의 절결부를 갖고 있고, 제1마찰부재가 복수의 절결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돌기를 갖는 경우에는 양자의 걸어맞춤이 간단한 구조로 실현된다.
제2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제1가압부재의 가압력보다 큰 경우에는, 양 마찰부재가 동일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제2마찰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은 제1마찰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 보다 크게 된다.
제2마찰부재가 제1마찰부재에 의해 마찰계수의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가 동일한 가압력을 얻을 수 있으면, 제2마찰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은 제1마찰부재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찰력 보다 크게 된다.
제2마찰부재로 얻을 수 있는 가압력이 제1마찰부재로 얻을 수 있는 가압력보다 크면, 제2마찰부재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우선적으로 크다.
마찰저항 발생기구의 전기 각 부품이, 걸어맞춤부와 입력측 원판부재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입력측 원판부재에 대해서 탈락하지 않도록 조립 부착하는 경우에는 전체의 조립전에, 마찰저항 발생기구를 입력측 원판부재에 조립부착 하여 둔다. 이 결과 전체의 조립부품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전체의 조립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7)

  1. 토오크가 입력되는 입력측 원판부재와, 상기 입력측 원판부재의 내주측에 배치된 플랜지를 갖는 출력측 허브와, 상기 허브 외주에 배치되는 중간 원판부재와, 상기 중간 원판부재와 전기 플랜지와의 사이에 양자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입력 원판부재와 상기 중간 원판부재 사이에 양자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와, 마찰저항 발생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마찰저항 발생기구는, 상기 플랜지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1마찰부재와, 상기 중간 원판부재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마찰부재와 원주방향으로 일체 회전가능하고, 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제2마찰부재와, 상기 입력측 원판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제1마찰부재를 상기 플랜지측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와, 상기 입력측 원판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제2마찰부재를 상기 중간 원판부재측에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마찰부재 및 상기 제2마찰부재중의 하나가 상기 입력측원판부재에 원주방향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진,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 및 상기 제2마찰부재는 동시에 환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마찰부재는 상기 제1마찰부재의 외주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입력측 원판부재에 대해서 관통 고정시키는 관통고정부를 갖는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부재는 내주측의 측면에 복수의 절결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돌기를 보유하는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제1가압부재의 가압력 보다 크게 되어 있는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찰부재는 상기 제1마찰부재 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항 발생기구의 상기 각부품은,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입력측 원판부재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상기 입력측 원판부재에 대해서 탈락하지 않도록 조립되어 있는 다중마찰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KR1019950017139A 1994-07-11 1995-06-23 다중 마찰 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KR100203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58921 1994-07-11
JP06158921A JP3138725B2 (ja) 1994-07-11 1994-07-11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565B1 true KR100203565B1 (ko) 1999-06-15

Family

ID=1568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139A KR100203565B1 (ko) 1994-07-11 1995-06-23 다중 마찰 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38725B2 (ko)
KR (1) KR1002035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653B1 (ko) * 2003-09-16 2008-09-03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플라이휠 조립체
US7467699B2 (en) 2003-09-16 2008-12-23 Exedy Corporation Double mass flywhe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653B1 (ko) * 2003-09-16 2008-09-03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플라이휠 조립체
US7438166B2 (en) 2003-09-16 2008-10-21 Exedy Corporation Flywheel assembly
US7467699B2 (en) 2003-09-16 2008-12-23 Exedy Corporation Double mass fly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1457A (ja) 1996-01-23
JP3138725B2 (ja) 200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870B1 (en) Friction element for a damper disc having a friction adjusting element
US6371857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s
US5718317A (en) Damper disc assembly having multiple friction generating portions
JP3434391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H09196078A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US5857914A (en)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outer radial portions of disk portions of a damper disk assembly
KR900008914B1 (ko) 댐퍼 디스크 프릭션 부재를 위치 맞춤하기 위한 구조물
KR100203565B1 (ko) 다중 마찰 부재를 갖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EP1120582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s
US5715922A (en) Friction generating mechanism for a damper disc assembly
KR100264702B1 (ko) 마찰생성 메커니즘을 가지는 댐퍼 메커니즘
US4928805A (en) Friction device in a damper disk
JP3556008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KR100191866B1 (ko)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EP0756105A1 (en) Plate member for a damper disc assembly
JP3522430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
KR0146979B1 (ko) 다중 마찰 발생부를 가진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JP3556024B2 (ja) 樹脂製摩擦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3365590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H09144812A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3225182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ダンパー機構及びその捩じり特性変更方法
JPH0953654A (ja) クラッチディスク組立体
JPH11173380A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H09100876A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KR960015420B1 (ko) 비틀림진동감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