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880B1 - 교환시스템의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880B1
KR0145880B1 KR1019950003771A KR19950003771A KR0145880B1 KR 0145880 B1 KR0145880 B1 KR 0145880B1 KR 1019950003771 A KR1019950003771 A KR 1019950003771A KR 19950003771 A KR19950003771 A KR 19950003771A KR 0145880 B1 KR0145880 B1 KR 014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all
forced
detecting
subscr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152A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0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880B1/ko
Publication of KR96003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교환시스템의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및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호 강제대기로 인한 해당 가입자 상호간의 시간낭비 및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의 모색.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제1가입자와 제2가입자의 통화중 제3가입자에 의한 제1가입자로의 호 발생시 상기 제2가입자를 강제대기 및 대기 자동 해제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가입자에 의한 상기 제1가입자로의 호 발생을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가입자로 상기 호발생을 알리고 상기 제2가입자를 강제대기 가입자로 등록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3가입자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3가입자의 통화종료를 감지시 상기 제1가입자의 강제대기 가입자 등록 현황을 체크하여 상기 제2가입자와의 통화를 다시 연결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호 강제대개 제어방법.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가입자에게 호 강제대기와 관련되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환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 강제대기 저어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대기 가입자 저장 테이블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중앙처리장치 20: 메모리
30: 인터페이스회로 40: 스위칭회로
50: 가입자회로 60: 링발생회로
70: 안내대 80: 톤공급회로
90: 안내방송회로 7a∼7n: 가입자 전화기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 강제대개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시스템에서 A 및 B 가입자가 통화중인 경우 C가입자가 A가입자를 호출한 경우 통화중 대기 기능에 의하여 A가입자는 자기에게 다른 전화가 왔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그러면 A가입자는 통화중이던 B가입자에게 양해를 구하고 후크플래쉬(hook-flach)를 침으로써 C가입자와 통화를 하게되고 B가입자는 통화중 대기 상태로 대기음을 듣게된다. 이 경우 B가입자는 다른 일을 하지 못하고 계속 기다리거나 기다리다가 끊어 버리게 된다. 이 경우 A가입자는 다시금 B가입자를 재 호출하여 통화를 해야하는 불편함을 감수 해야 했다.
다시 말해서, B가입자가 통화중 대기상태에서 A가입자가 C가입좌와의 통화가 끝날 때까지 기다릴 경우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하게 되는 셈이며, A가입자는 B가입자가 기다린다는 사실 때문에 초조한 느낌을 가지게 될 뿐아니라 B가입자가에게 다시 호셀업을 시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만큼의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교환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가입자에게는 보다 신뢰성있고 편리하며 신속한 통화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 강제대개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 강제대개로 인한 해당 가입자 상호간의 시간낭비 및 불편한을 해소 호 강제대기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가입자와 제2가입자의 통화중 제3가입자에 의한 제1가입자로 호 발생시 상기 제2가입자를 강제대기 및 대기 자동 해제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가입자에 의한 상기 제1가입자의 호 발생을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가입자로 상기 호 발생을 알리고 상기 제2가입자를 장제대기 가입자로 등록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3가입자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3가입자의 통화종료를 감지시 상기 제1가입자의 강제 대기 가입자등록 현황을 체크하여 상기 제2가입자와의 통화를 다시 연결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특수 키명칭, 특정 전화번호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통호중 대기가입자를 필요에 따라서 강제로 대기 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 통화중이던 가입자를 강제대기시키는 과정과, 통화후 강제대기 중인 가입자와 재통화하는 과정으로 크게 구분된다.
예를들어 A와 B가입자가 통화중인 경우 C가입자가 A가입자를 호출하면 A가입자는 통화중 대기 기능에 의하여 이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이후 A가입자는 B가입자와 통화가 끝나면 그대로 C가입자의 전화를 받으면 될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B가입자에게 끊고 기다리라고 양해를 바라고 후크플래쉬 후 통화중 강제대기 번호를 입력하면 B가입자는 화중음을 듣고, 곧바로 C가입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C가입자와 통화가 끝나면 A가입자는 후크플래쉬 입력하거나 후크온하게 되면 교환시스템은 자동적으로 강제대기 되어있던 B가입자의 정보를 기초로 B가입자에게 호 셀업(call set up)을 행하여 가입자는 다시금 B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환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공지의 구성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 강제대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대기 가입자 저장 테이블의 구성도이다.
상기 제1도 및 제3도의 구성에 의거 제2의 각 단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의 (201)단계는 가입자7a와 가입자7b가 교환시스템의 정상적인 서비스 절차에 따른 통화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며, (202)단계는 가입자7c가 교환시스템의 정상적 서비스절차에 따라 상기 가입자 7a을 호출한 경우를 나타 낸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203)단계에서 톤공급회로(80)를 제어하여 가입자 7a에게 또다른 통화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면 가입자 7a는 가입자 7b에게 용건이 끝났으면 통화를 종료하고 후크플래쉬를 쳐서 가입자 7c와 통화를 하게 되고, 가입자 7b는 후크온 (hook-on)하게 되나, 용건이 끝나지 않았으면 후크플래쉬를 친 후 가입자 강제대기 번호를 입력하는 (204)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205)단계에서 가입자 7b를 가입자 강제대기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206)단계에서 가입자 7b로 화중음을 송출한다. 이때 가입자 7b가 후크온하면 가입자회로(50)를 통해 이를 감지한 중앙처리장치(10)는 스위칭회로(40)를 제어하여 가입자 7a와 가입자7c의 통화로를 연결하게 된다. 이후 (207)단계에서 가입자 7a와 가입자 7c의 통화 종료를 감지하면 다시 상기 스위칭회로(40)를 제어하여 통화를 끊도록 한다.
(301)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은 톤공급회로(80)와 스위칭회로(40)를 제어하여 가입자 7a에게 통화종료를 알리는 화중음의 송출되게 한다. 만약 가입자 7a가 강제대기를 해 놓은 것을 잊은 경우 후크온하게 되므로, (302)단계에서 가입자 7a가 후크온 혹은 후크플래쉬를 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후크온 한 경우로 판명되면 (303)단계에서 링발생회로(60)를 제어하여 가입자 7a에게 벨을 울려주어 강제대기한 가입자가 있다고 알린다. 이후 (304)단계에서 가입자 7a의 후크오프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후크오프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302)단계에서 가입자 7a가 후크플래쉬를 한 경우(305)단게로 진행하여 제3도에 도시한 메모리(20)의 강제대기 가입자 저장 테이블에서 가입자 7a의 전화번호를 기초로 강제대기 중인 가입자를 찾는다. 그 결과 가입자 7a에 대응되는 강제대기 가입자 7b의 전화번호를 찾게되면 그것을 기초로 새로운 호셋업을 실시한다. 이때 가입자 7a로는 호출음을 송출하면 가입자 7b로는 링신호를 송출하여 벨이 울리도록 하며 가입자 7b가 후크오프 했음을 감지하면 (306)단계에서 두 가입자 7a와 7b의 통화로를 연결한다.
결국, 가입자 7b는 대기를 계속하지 않고 다시 전화가 올 때까지 다른 업무를 할 수 있으면, 가입자 7a는 대기시켜 놓은 가입자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가입자 7c와 편안히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B가입자는 통화중 대기 상태에서 A가입자가 C가입자와의 통화가 끝날때까지 대기해야 했던 시간낭비를 없앨 수 있으며, A가입자는 B가입자가 기다린다는 사실을 통한 초조함을 없앨 수 있고, B가입자에게 호셀업을 시도하는데 소요되는 통화 시간낭비를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로써 교환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꾀하고 가입자에게는 보다 신뢰성 있고 편리하며 신속한 통화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저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툭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교환시스템에서 제1가입자와 제2가입자의 통화중 제3가입자에 의한 제1가입자로의 호 발생시 상기 제2가입자를 강제대기 및 대기 자동 해제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가입자에 의한 상기 제1가입자로의 호발생을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가입자로 상기 호 발생을 알리고 상기 제2가입자를 강제대기 가입자로 등록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3가입자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3가입자의 통화종료를 감지시 상기 제1가입자의 강제대기 가입자 등록 현황을 체크하여 상기 제2가입자와의 통화를 다시 연결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호 강제대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대기되는 제2가입자로 화중음을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강제대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가입자의 통화종료 감지시 상기 제1가입자로 화중음을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호 강제대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가입자의 통화종료 후 상기 제1가입자의 후크온 감지시 상기 제1가입자에게 링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1가입자의 후크오프를 체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강제대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이, 상기 제1가입자의 강제대기 가입자 등록현황을 체크하여 상기 제2가입자를 찾는 제1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가입자으 호셀업을 시도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가입자로 호출음을 송출하고 상기 제2가입자로 링신호를 송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 강제대기 제어방법.
  6. 제4항이 있어서, 상기 제1가입자의 후크오프 감지시 상기 제1가입자의 강제대기 가입자 등록현황을 체크하여 상기 제2가입자를 찾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및 제2가입자의 호셋업을 시도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가입자로 호출음을 송출하고 상기 제2가입자로 링신호를 송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 강제대기 제어방법.
  7. 교환시스템에서 제1가입자와 제2가입자의 통화중 제3가입자에 의한 제1가입자로의 호 발생시 상기 제2가입자를 강제 대기 및 대기 해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강제 대기 가입자 정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제1및 제2가입자의 통화중에 발생한 상기 제3가입자에 의한 제1가입자로의 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2가입자를 상기 메모리수단에 강제대기 가입자로 등록하고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3가입자의 통화로 연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과,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 및 제3가입자 사이의 통화로 혹은 상기 제1및 제2가입자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 혹은 끊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3가입자의 통화종료를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수단에서 상기 제1가입자에 대응하는 강제 대기 가입자(제2가입자)를 찾아 호셋업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입자의 강제 대기 등록시 상기 제2가입자로 화중음을 송출하거나 상기 제3가입자와의 통화를 종료한 제1가입자로 호출음을 송출하기 위한 톤발생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강제 대기 제어장치.
  9. 제7항 혹은 제8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호셋업에 의해 상기 제2가입자로 링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링발생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강제 대기 제어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입자와의 통화를 종료한 제1가입자의 후크 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가입자의 후크 온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가입자로 링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링발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 강제 대기 제어장치.
KR1019950003771A 1995-02-25 1995-02-25 교환시스템의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014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771A KR0145880B1 (ko) 1995-02-25 1995-02-25 교환시스템의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771A KR0145880B1 (ko) 1995-02-25 1995-02-25 교환시스템의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152A KR960033152A (ko) 1996-09-17
KR0145880B1 true KR0145880B1 (ko) 1998-08-17

Family

ID=1940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771A KR0145880B1 (ko) 1995-02-25 1995-02-25 교환시스템의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8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152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1522A (en) Telephone line sharing for a personal computer system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US55398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ctive subscriber of disconnection of held subscriber in call-waiting service
KR0145880B1 (ko) 교환시스템의 호 강제대기 제어장치 및 방법
JPH01149650A (ja) 自動再発呼方式
KR19990086215A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KR20000016349A (ko) 전화, 팩스기기 및 컴퓨터를 지능망에 연결하는 방법
KR0162840B1 (ko) 키폰시스템에서 포기호 정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방법
KR100298339B1 (ko) 교환시스템의호블러킹방법
KR100207823B1 (ko) 사설교환기에서 자동안내기능을 이용한 발신자정보 처리방법
KR100233462B1 (ko) 교환시스템의 착신거부상태 안내방송 방법
JPH0738661A (ja) 電話交換機
KR100339529B1 (ko) 간이교환기의 디아이디(DID : Direct Inward Dialing)호에 대한 자동응답 제어방법
JP2825122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
JPH0654060A (ja) 通話回線設定方式
KR0174549B1 (ko)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가입자 백업방법
KR100255319B1 (ko) 키폰시스템에서 국선착신호 처리방법
CA2255848C (en) Holding party call back subscriber feature
JPH05327891A (ja) コールウェイティング・サービスの待機システム
KR0138389B1 (ko) 키폰 전화기의 다중통화 방법
KR0138180B1 (ko) 부재중 안내서비스방법
JPH07162528A (ja) 着信呼呼出中転送方式
JPH06237297A (ja) 保留機能を有する通信システム
JPH0433451A (ja) 通話中キャンプオン通知制御方式
JPH06197165A (ja) 交換機における通話保留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