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166B1 - 밀착화상센서 - Google Patents
밀착화상센서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5166B1 KR0145166B1 KR1019940032492A KR19940032492A KR0145166B1 KR 0145166 B1 KR0145166 B1 KR 0145166B1 KR 1019940032492 A KR1019940032492 A KR 1019940032492A KR 19940032492 A KR19940032492 A KR 19940032492A KR 0145166 B1 KR0145166 B1 KR 01451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source
- close
- image sensor
- continuous light
- detection obje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4 thixotrop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Head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밀착화상센서용의 개선된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드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필요한 광원의 휘도를 저하시키고 투명덮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밀착화상센서를 제공하기위해, 검출대상물이 가이드를 따라 반송되는 동안 광을 검출대상물에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강원, 검출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광을 집광하는 렌즈, 렌즈에서 광을 수신하는 다수의 수광부가 배치된 센서기판 및 연속광원, 렌즈와 센서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연속광원은 검출대상물에 근접해서 위치되도록 채용되는 구조로 한다.
이러한 밀착화상센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센서의 리드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광원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
제2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
제3도는 제3실시예에 관한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
제4도는 제4실시예에 관한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
제5도는 제5실시예에 관한 밀착화상센서의 주요부의 부분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연속광원을 도시한 모식도.
제7도는 수광부에 의해수광된 광과 광이 광전변환된 때의전압 출력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8도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을 실행하고, 백색(흑색)출력을 보정하는 회로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종래의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
본 발명은 팩시밀리, 스캐너등의 리드동작을 실행하는 밀착화상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밀착화상센서용의 개선된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9도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5-110760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밀착화상센서는 하우징(1), 하우징(1)의 탈착가능부(3)에 고정된 장대형상의 광원(2), 집광렌즈(4), 화상센서(5), 글라스판(6) 및 회로기판(7)을 포함한다.
이하, 종래의 밀착화상센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장대형상의 광원(2)에서 방사된 광은 글라스판(6)을 통과하고 검출대상물인 원고(8)의 검출면에 조사된다. 원고(8)의 배색의 농도에 따라 백색면은 광을 반사한다. 반사된 광은 글라스판(6)을 통과하여 집광렌즈(4)에 의해 집광되고, 화상센서(5)의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다. 그후, 회로기관(7)에 의해 원고(8)의 문자등을 리드할 수 있다.
글라스판(6)은 하우징(1)의 내부와 외부를 간막이하는 것에 의해 원고(8) 또는 외부로 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여, 센서의 정밀도를 보장하고 또한 원고(8)의 지지대로서도 기능한다.
그러나, 종래의 밀착화상센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글라스판의 내측에 위치한 장대형상의 광원과 원고의 거리는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조도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고휘도의 광원이 필요하다.
또한, 원고로 조사될 광 또는 원고로부터 반사될 광을 통과시키고 또한 밀착화상센서내로 어떠한 이물질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착화상센서의 일부를 글라스판등 투명덮개로 덮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필요한 광원의 휘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투명덮개를 사용하지 않고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밀착화상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의하면, 검출대상물이 가이드들을 따라 반송되는 동안 광을 검출대상에 방사하는 적어도 1개의 연속광원, 검출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집광하는 렌즈, 렌즈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다수의 수광부가 배열되어 있는 센서기판, 연속광원, 렌즈와 센서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밀착화상센서가 마련되어 있고, 연속광원이 검출대상물에 근접해서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 의하면, 검출대상에서 렌즈로 반사된 광의 통로가 투명수지부재로 충진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 의하면, 검출대상에서 렌즈로 반사된 광의 통로가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글라스판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에의하면, 연속광원이 렌즈의 검출대상물의 배출측에 위치하고, 조사부가 연속광원의 검출대상물 배출측의 상부를 절삭가공하는 것에 의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에 의하면, 투명주시부재가 검출대상물 측면에 돌기부를 갖는다.
돌기부는 투명수지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돌기부는 반원형상의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에 의하면, 연속광원의 조사부의 광원측을 통과하는 광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밀착화상센서의 동작에 있어서, 연속광원으로 부터의 광은 검출대상물로 직접 조사된다. 검출대상물에서 반사된 광은 렌즈에 의해 집광되고 센서기관에 수광되어 광전변환되어 전압출력을얻는다.
본 발명의 제1의 배치에 의하면, 연속광원이 검출대상물에 근접해서 위치되어 있으므로, 리드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광원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제2의 배치에 의하면, 검출대상물에서 렌즈로 반사된 광의 통로가 투명수지부재로 충진되어 있으므로, 통로로 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할 수 있다.
제3의 배치에 의하면, 검출대상물에서 렌즈로 반사된 광의 통로가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글라스판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통로의 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할 수 있다.
제4의 배치에 의하면, 부분적으로 연속광원이 렌즈의 검출대상물 배출측에 위치하고 광을 방사하는 조사부를 가지고, 또 부분적으로 그 조사부가 연속광원의 검출대상물 배출측의 상부를 절삭가공하는 것에 의해 마련되므로, 광을 검출대상물상에 조사할 수 있고, 검출대상물이 반송되는 동안 검출대상물이 연속광원의 조사부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고의 걸림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5의 배치에 의하면, 돌기부에 의해 검출대상물에서 반사된 광이 산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의 배치에 의하면, 연속광원의 조사부의 광원측으로부터 통과하는 광이 제한되기 때문에, 조사부로부터 균일한 광을 방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1]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부에는 검출대상물인 원고(30)에 광을 직접 방사하는 연속광원(12)와 원고가이드(14)가 수직단면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연속광원(12)는 연속광원(12)의 한쪽 끝부에 위치한 조사부(12a)를 제외한 전체의 외부 글라스 전면에 흑색 페인트로 피복되어, 불 필요한 광의 조사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원고(30)에서 반사된 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16) 및 집광렌즈(16)에 의해 집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구동회로로 구성된 수광수단으로서의 각 센서칩(18)의 수광장치로서 배치된 센서기판(20)이 마련되어 있다. 센서기판(20)상에는 각각의 센서칩(18)에 의해 수광된 광을 각각의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앰프, 칩저항, 칩 캐패시터, 논리IC등의 각종 전자부품(22)가 탑재되어 있다. 연속광원(12)와 원고가이드(14)에 의해 규정되는 원고(30)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통로에는 예를들면, 에폭시수지, 실리콘수지 또는 플라스틱등의 투명수지부재(24)가 충진되어 있고, 하우징(10)의 내부와 외부를 분할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투명수지부재(24)는 연속광원(12), 원고가이드(14) 및 집광렌즈(16)에 고정되어, 연속광원(12)와 원고가이드(14)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속광원(12)와 집광렌즈(16)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광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연속광원(12)가 원고(30)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므로, 연속광원(12)의 휘도가 억제되더라도 리드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원고(30)을 리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반사된 광의 통로는 투명수지부재(24)로 충진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상면이 글라스판등으로 덮혀 있지 않더라도 밀봉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원고(30)또는 외부로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밀착화상센서의 작용에 대해서 기술한다.
연속광원(12)의 조사부(12a)에서 방사된 광은 원고(30)에 조사된다. 원고(30)은 연속광원(12)의 상부에 접촉하면서 반송된다. 수직단면 형상의 연속광원(12)는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원고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조사부(12a)는 원고(30)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으므로, 연속광원(12)의 휘도가 낮더라고원고(30)에 적당한 조사를 보장할수 있다. 조사된 광은 흑색 영역에 의해 흡수되므로 거의 반사되지 않는다. 한편, 조사된 광은 백색 영역으로부터 거의 100% 반사된다. 이 반사된 광은 투명수지부재(24)을 거쳐서 집광렌즈(16)에 의해 집광된다. 이 집광렌즈(16)에 의해 집광된 광은 센서기판(20)상의 센서칩(18)의 수광부에 의해 수광되고, 각각의 수광부는 광을 광전변환하여 전압출력을 얻는다. 통상, 각 센서칩(18)은 64비트의 수광부를 갖고 있다. 이 센서칩(18)은 1열로 배치되어 있고, 예를들면 A4사이즈 원고의 밀착화상센서의 경우, 1728비트의 수광부를 갖고 있다. 전압출력은 각 센서칩(18)의 구동회로에 의해 리드주기에 따라서 순차로 생성된다. 그후, 광전변환된 전기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를 거쳐서 외부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속광원(12)는 원고(30)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통상의 광원인 경우, 조도의 리플을 제거하기 위해 광원과 원고 사이의 거리를 10mm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속광원을 사용하는 경우는 조도의 리플 량이 매우 적어 이론적으로 리플을 제로로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속광원(12)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조사부(12a)를 원고(30)에 근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광원(12)는 원고(30)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으므로, 연속광원(12)의 휘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 사용시의 휘도라면, 보다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콘트라스트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연속광원(12)는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광원의 교환등 유지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투명수지부재(24)는 원고(30)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투과하고 연속광원(12)와 원고가이드(14) 사이의 갭을 충진하고 있으므로, 외부로 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고(30)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원고가이드(14)가 연속광원(12)의 반출측에 배치된다. 특히, 부분적으로 원고가이드(14)의 높이가 원고가이드(14)의 반입측의 연속광원(12)의 높이보다 낮고, 부분적으로 원고가이드(14)와 투명수지부재(24) 사이의 높이의 차가 감소되므로, 원고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2]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이다.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또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치고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특징은 원고(30)에서 반사된 광의 통로가 하우징(10)의 내측으로부터 글라스판(26)에 의해 차단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글라스판(26)에 의해 외부로 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된다. 또, 글라스판(26)은 연속광원(12) 및 원고가이드(14)를 그들의 하부측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연속광원(12)와 집광렌즈(16)을 고정하여 광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작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속광원(12)는 원고(30)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으므로, 연속광원(12)의 휘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 사용시의 휘도라면, 보다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콘트라스트를 높게할 수 있다. 또, 연속광원(12)는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광원의 교환등 유지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3]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밀착화상센서의 상면의 집광렌즈(16)의 각 상부측에 2개의 연속광원(12),(112)가 위치되어 있다. 각 연속광원(12),(112)는 광원(12),(112)의 상부 끝부를 챔퍼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부(12a), (112a)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챔퍼된 연속광원(12),(112)에 의해, 원고(30)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 반출측에 위치한 연속광원(112)가 집광렌즈(16)을 향한 끝부, 즉 반입측에 부분적에 챔퍼되어 있으므로 원고(30)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조사부(112a)는 원고의 잼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연속광원(12),(112)가 원고(30)에 근접해서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속광원(12),(112)의 휘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 사용시의 휘도로 연속광원(12),(112)의 휘도를 유지하면, 보다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콘트라스트를 높게할 수 있다. 특히, 2개의 연속광원(12),(112)가 사용되므로 콘트라스트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연속광원(12)는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광원의 교환등 유지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투명주시부재(24)는 원고(30)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하고 연속광원(12)와 원고가이드(14) 사이의 갭을 충진하므로, 외부로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4]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밀착화상센서의 단면도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속광원(12)와 원고가이드(14) 사이에 형성된 원고(30)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통로에 투명수지부재(24)가 충진되고, 그 투명수지부재(24)는 원고(30)을 향한 표면에 돌기부(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집광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효율적으로 집광렌즈(16)에 반사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높은 시소트로픽(thixotropic) 실시콘수지가 투명수지부재(24)에 페인트되고 건조되어 반원형상의 돌기부(28)을 형성한다.
이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을 기술한다.
연속광원(12)의 조사부(12a)로부터 방사된 광은 원고(30)에 반사된다. 반사된 광이 투명수지부재(24)를 거쳐서 집광렌즈(16)에 의해 집강될 때, 돌기부(28)은 원고(30)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광시키고, 특히 반사광의 확산을 방지하므로 반사광을 효율적으로 집광렌즈(16)에 조사할 수 있다. 이후의 작용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광원(12)는 원고(30)에 근접해서 위치되어 있으므로, 연속광원(12)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사용시의 휘도를 유지하면 보다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콘트라스트를 높게할 수 있다. 특히, 돌기부(28)에 의해, 원고(30)에서 반사된 광을 효율적으로 집광렌즈(16)에 조사할 수 있다. 또, 연속광원(12)가 하우징(1)에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광원의 교환등 유지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투명수지부재(24)는 원고(30)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투과하고, 연속광원(12)와 원고가이드(14) 사이의 갭을 충진하고 있으므로, 외부로 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높은 시소트로픽 실리콘수지가 투명수지부재(24)에 페인트되어 건조되는 것에 의해 반원형상의 돌기부(28)를 형성하다. 또한, 반원형상의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부재를 투명수지부재(24)에 접착고정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5]
제5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밀착화상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연속광원(212)의 끝부는 차광코팅으로 페인트되어 차광부(212b)를 형성한다. 제5도의 화살표는 광로를 표시한다. 제6도는 연속광원(212)의 모식도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광원(212)는 한쪽 끝부에 광원으로서 LED (212c)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속광원(212)는 한쪽 끝부에만 LED (212c)를 갖는다. 또한, 연속광원(212)는 각 끝부에 2개의 LED (212c)를 가져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속광원은 조사부(212a)를 제외한 전체영역에 흑색 코팅으로 덮혀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부(212b)는 LED (212c)의 부분이 위치되어 있는 조사부(212a) 부분에서 방사된 광을 억제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조사부(212a)에서 방사된 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7도는 센서칩(18)의 수광부에 의해 광이 수광되고 광전변환될 때 얻어지는 전압출력값과 수광부의 비트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조사부(212a)에서 방사된 광의 휘도는 방사된 광을 균일한 검출면, 예를들면 백색 영역만을 갖는 원고(30)에서 반사하고, 센서칩(18)의 수광부에 의해 수광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즉, 휘도는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광에서 얻어진 전력값에 상당하므로 측정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수광부는 1728비트로 구성되고, 휘도출력값은 각 비트마다 수신된 광우르부터 얻어진다.
연속광원(212)의 단점은 LED (212c)을 향한 측의출력이 높게 된다는 것이다. 연속광원(212)가 각 끝부에 LED를 갖는 경우, 대향하는 끝부의 출력은 중앙부의 출력보다 높게 된다. 그러나, LED의 조사각에 따라 LED에서 방사된 광로를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LED의 지향성을 보장할 수 없다. 이것은 LED가 연속광원부재(글라스 또는 플라스틱)에 근접해서 접속되어 LED로부터 방사된 광이 조사부(212a)에서 직접 새어나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속광원의 조사부(212a)는 부분적으로 차광코팅되어 조사부(212a)로 부터의 광의 확산을 제어하고 LED가 탑재된 광원 끝부의 광로를 제한한다. 따라서, 조사부(212a)에서 방사된 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차광부(212b)의 폭은 제7도에 도시한 출력값에 따라서 결정되어도 좋다.
제8도의 전자부품(22)로 구성된 회로에 의해, 통상 센서칩(18)의 출력에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이 실행된다. 흑색레벨 출력의 보정은 광원의 조명이 오프된 때에 ROM 또는 RAM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속광원(212)의 차광부(212b)에 대응하는 수광부의 비트위치의 흑색출력을 보정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흑색레벨 출력의 보정을 위해 광원을 온/오프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LED(212c)를 향한 조사부(212a)가 차광부(212b)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혀져 있으므로, 조사부(212a)에서 방사된 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속광원(212)는 원고(30)에 근접해서 위치되어 있으므로 연속광원(212)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를 보다 높은 조도로 할 수 있다. 또,투명수지부재(24)에 의해, 외부로 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속광원(212)의 조사부(212a)이외의 부분에서 광이 새어나오는 것으로 가정한다. 새어나온 광은 센서의 리드정밀도의 관점에서 무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차광부로 조사부(212a)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연속광원(212)는 LED(212c)에 의해 적어도 한쪽 끝부에 마련된다. 그러나, 형광등과 같은 다른 조명을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착화상센서에 있어서, 연속광원이 검출대상물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으므로, 센서의 리드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광원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를 높게할 수 있다.
또, 반사된 광의 통로가 투명수지부재로 충진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된 광의 통로를 하우징의 내부측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 부터의 어떠한 이물질의 혼입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광의 통로에 있어서의 렌즈의 검출대상물측에 위치한 연속광원은 렌즈를 향한 끝부의 상부에서 절삭가공되어 있으므로, 반송시 검출대상물의 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출대상물을 향해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반사광의 통로를 차단하는 투명수지부재가 돌기부를 가지므로 집광작용을 향상시킬수 있어 효율적으로 반사광을 렌즈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연속광원의 조사부는 광의 통과를 제한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조사부에서 방사된 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5)
- 검출대상물이 가이드를 따라 반송되는 동안 광을 검출대상물에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광원, 검출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광을 집광하는 렌즈, 상기 렌즈에서 광을 수신하는 다수의 수광부가 배치된 센서기판 및 상기 연속광원,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속광원은 검출대상물에 근접해서 위치되도록 채용되는 밀착화상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광원은 상기 렌즈에 대해서 검출대상물을 향한 한쪽 끝부의 조사부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 피복되는 밀착화상센서.
- 제1항에 있어서, 검출대상물에서 상기 렌즈로 반사된 광의 통로는 투명수지부재로 충진되는 밀착화상센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수지부재는 상기 연속광원, 상기 가이드 및 상기 렌즈에 고정되어 있는 밀착화상센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수지부재는 그의 검출대상물 측면에 돌기부를 갖는 밀착 화상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광원은 상기 하우징에서 노출되는 밀착화상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연속광원의 검출대상물 반측측에 위치되는 밀착화상센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와 상기 투명수지부재 사이의 단차 높이가 상기 연속광원과 상기 투명수지부재 사이의 단차 높이보다 작게 되도록 기능하는 밀착화상센서.
- 제1항에 있어서, 검출대상물에서 상기 렌즈로 반사된 광의 통로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글라스판에 의해 차단되는 밀착화상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판은 상기 연속광원과 상기 렌즈를 고정하는 밀착화상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광원은 상기 렌즈의 검출대상물 배출측에 위치하고 광을 방사하는 조사부를 가지고, 상기 조사부는 상기 연속광원의 검출대상물 배출측의 상부를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해 마련되는 밀착화상센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투명수지부재로 형성되는 밀착화상센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반원형상의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부재인 밀착화상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광원의 상기 조사부의 일부는 차광부를 가지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연속광원의 상기 조사부의 광원측을 통과하는 광을 제한하는 밀착화상센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를 통과하는 광은 차광페인트로 상기 연속광원의 상기 조사부를 피복하는 것에 의해 제한되는 밀착화상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308454 | 1993-12-09 | ||
JP5308454A JP2784138B2 (ja) | 1993-12-09 | 1993-12-09 | イメージセン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2732A KR950022732A (ko) | 1995-07-28 |
KR0145166B1 true KR0145166B1 (ko) | 1998-07-15 |
Family
ID=1798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2492A KR0145166B1 (ko) | 1993-12-09 | 1994-12-02 | 밀착화상센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489992A (ko) |
JP (1) | JP2784138B2 (ko) |
KR (1) | KR0145166B1 (ko) |
CN (1) | CN1155218C (ko) |
FR (1) | FR2713860B1 (ko) |
GB (1) | GB228472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5814A (ja) * | 1994-10-28 | 1996-05-17 | Canon Inc | 光電変換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
US5912746A (en) * | 1996-03-14 | 1999-06-15 | Intergraph Corporation | Contact image sensor for large format scanner |
JP3675112B2 (ja) * | 1997-06-23 | 2005-07-27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
EP0935223A1 (de) | 1998-02-05 | 1999-08-11 | Ascom Autelca Ag | Vorrichtung zum Prüfen von Wertpapieren |
JP3436139B2 (ja) * | 1998-07-06 | 2003-08-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ライン光源および画像入力装置 |
JP2001111772A (ja) | 1999-10-07 | 2001-04-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ライン光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メージセンサ |
JP3616299B2 (ja) | 2000-03-17 | 2005-02-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ライン光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メージセンサ |
JP2001326790A (ja) * | 2000-05-16 | 2001-11-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密着イメージセンサ |
JP3667251B2 (ja) * | 2000-05-30 | 2005-07-06 |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これを用いた画像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
TW527817B (en) * | 2000-08-11 | 2003-04-11 | Canon Kk | Image senso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
JP2002361967A (ja) * | 2001-06-05 | 2002-12-18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印刷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印刷方法、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
JP3690317B2 (ja) | 2001-09-18 | 2005-08-3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入出力装置 |
JP3690344B2 (ja) * | 2001-12-21 | 2005-08-3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のセンサフレームの製造方法 |
JPWO2003084210A1 (ja) * | 2002-03-29 | 2005-08-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JP3948439B2 (ja) * | 2003-07-08 | 2007-07-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密着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み取り装置 |
JP2005198843A (ja) * | 2004-01-15 | 2005-07-28 | Mitsumi Electric Co Ltd | 画像検出装置 |
JP3829853B2 (ja) * | 2004-03-31 | 2006-10-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 |
JP4838501B2 (ja) * | 2004-06-15 | 2011-12-14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5015418B2 (ja) * | 2004-06-30 | 2012-08-29 | 株式会社リコー | 原稿照明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2006017951A (ja) * | 2004-06-30 | 2006-01-19 | Ricoh Co Ltd | 原稿照明装置、画像読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20070061126A1 (en) * | 2005-09-01 | 2007-03-15 | Anthony Russo | System for and method of emulating electronic input devices |
JP4320656B2 (ja) * | 2005-12-13 | 2009-08-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JP4522952B2 (ja) * | 2006-01-18 | 2010-08-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JP2007249475A (ja) | 2006-03-15 | 2007-09-27 | Mitsubishi Electric Corp | 画像読取装置及び紙幣読取方法 |
JP4215071B2 (ja) * | 2006-04-28 | 2009-01-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
JP4424360B2 (ja) * | 2007-02-26 | 2010-03-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 |
CN101359021B (zh) * | 2007-08-03 | 2011-04-13 | 采钰科技股份有限公司 | 检测结构以及检测方法 |
JP4453752B2 (ja) * | 2007-12-06 | 2010-04-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JP4609530B2 (ja) * | 2008-06-11 | 2011-01-12 | 三菱電機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CN101557451B (zh) * | 2009-05-07 | 2011-04-20 | 武汉矽感数码有限公司 | 获得扫描图像的方法和扫描装置 |
JP5395204B2 (ja) * | 2011-06-20 | 2014-01-22 |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
CN102707731A (zh) * | 2012-05-16 | 2012-10-03 | 苏州市伦琴工业设计有限公司 | 太阳能跟踪器 |
CN103515371B (zh) * | 2012-06-27 | 2016-09-21 |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 集成型光传感器封装 |
CN105144676B (zh) * | 2013-03-19 | 2018-01-09 | 三菱电机株式会社 | 图像传感器 |
KR101647268B1 (ko) * | 2013-03-19 | 2016-08-09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이미지 센서 |
JP1553846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845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414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412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847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848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417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413S (ko) * | 2015-06-18 | 2016-07-11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61266A (ja) * | 1982-09-29 | 1984-04-07 | Toshiba Corp | イメ−ジセンサ |
JPS59181772A (ja) * | 1983-03-30 | 1984-10-16 | Canon Inc | 読取り光学系 |
EP0266186B1 (en) * | 1986-10-29 | 1993-09-29 | Canon Kabushiki Kaisha | Colour image reading apparatus or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
KR920008899B1 (ko) * | 1989-11-24 | 1992-10-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밀착형 이미지 센서 |
US5142137A (en) * | 1990-05-18 | 1992-08-25 | Sharp Kabushiki Kaisha | Image sensor having clamp connecting sensing and driving components |
JP2603522Y2 (ja) * | 1991-03-29 | 2000-03-15 | 日本電気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 |
JP2662105B2 (ja) * | 1991-04-08 | 1997-10-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密着型センサおよびイメージスキャナならびにファクシミリ |
JPH0678104A (ja) * | 1991-08-06 | 1994-03-18 | Tohoku Pioneer Kk | イメージセンサー |
JPH05110760A (ja) * | 1991-10-18 | 1993-04-30 | Mitsubishi Rayon Co Ltd | ラインセンサヘツド |
JP2696025B2 (ja) * | 1991-11-18 | 1998-01-14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読取りヘッド |
JP3113392B2 (ja) * | 1992-06-05 | 2000-11-27 | ローム株式会社 | 完全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
EP0596715B1 (en) * | 1992-11-04 | 1999-06-16 | Canon Kabushiki Kaisha | Contact type image sensor and method of sensing by means of such sensor |
-
1993
- 1993-12-09 JP JP5308454A patent/JP2784138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
- 1994-11-02 US US08/334,344 patent/US5489992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1-22 FR FR9413977A patent/FR2713860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2-02 GB GB9424383A patent/GB2284721B/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2-02 KR KR1019940032492A patent/KR01451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12-02 CN CNB941198782A patent/CN1155218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5218C (zh) | 2004-06-23 |
JPH07162588A (ja) | 1995-06-23 |
FR2713860A1 (fr) | 1995-06-16 |
FR2713860B1 (fr) | 1996-03-22 |
CN1119385A (zh) | 1996-03-27 |
US5489992A (en) | 1996-02-06 |
GB2284721A (en) | 1995-06-14 |
JP2784138B2 (ja) | 1998-08-06 |
GB2284721B (en) | 1998-02-18 |
GB9424383D0 (en) | 1995-01-18 |
KR950022732A (ko) | 1995-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45166B1 (ko) | 밀착화상센서 | |
US6796502B2 (en) |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 |
US5313289A (en) | Original illuminating device and original reading device preventing random reflected light | |
CN210123995U (zh) | 图像读取装置 | |
EP0153002A2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in line scan optical imaging systems | |
US7940433B2 (en) | Image sensor | |
JP2010103742A (ja) | 照明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画像読取装置 | |
CN114706258A (zh) | 多光源的光机结构 | |
JPH03165661A (ja) | 画像読取用の照明装置 | |
JP2011071696A (ja) | 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 |
US7206102B2 (en) |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partially shielded light-receiving elements | |
JPH0950510A (ja) | スキャナの原稿照明装置 | |
JP7109683B2 (ja) |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の製造方法 | |
JPH0340551B2 (ko) | ||
JP2010068411A (ja) | 照明系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 |
JP4123239B2 (ja) | イメージセンサ | |
JP4638192B2 (ja) | ライン光源及びこれを用いた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 |
US7033046B2 (en) | Lighting device having a light blocking mechanism | |
JP3113392B2 (ja) | 完全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 |
KR0161468B1 (ko) | 밀착형 이미지 센서 | |
JPH02386A (ja) | 発光ダイオードアレイ | |
CN112313931B (zh) | 导光体及图像读取装置 | |
JP3065649B2 (ja) | 画像読取用照明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
JPH0746376A (ja) | 画像読取装置 | |
TW466524B (en) | Contact-type image sensor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7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