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848B1 - 열처리기계 - Google Patents

열처리기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848B1
KR0144848B1 KR1019910014155A KR910014155A KR0144848B1 KR 0144848 B1 KR0144848 B1 KR 0144848B1 KR 1019910014155 A KR1019910014155 A KR 1019910014155A KR 910014155 A KR910014155 A KR 910014155A KR 0144848 B1 KR0144848 B1 KR 014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zone
heat treatment
cleaned
z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641A (ko
Inventor
파브스트 만프레드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섀퍼
아.몬포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섀퍼, 아.몬포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filed Critical 클라우스 섀퍼
Publication of KR92000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aper (AREA)
  • Tunnel Furna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운송 방향으로 연속적인 면적을 통하여 피처리 물품을 운송하는 열처리 기계에서 제정된 배출공기의 체적은 최소가 되고 배기집합관이 구역을 따라 도입되어 각각의 구역에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길이방향 끝에 있는 배출공기 흡입시설까지 그 길이에서 구별되는 구역의 수와 같은 갯수의 쓰로틀 밸브에 의해 전환되고, 반면에 2개의 구역, 즉 한구역은 세정될 배출공기를 배출하는 구역과, 다른 구역은 세정되어야 할 필요가 없거나 (제1구역에 비하여) 약간만 세정될 필요가 있거나 혹은 다른방법에 의하여 세정되는 배출공기를 배출하는 구역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쓰로틀 밸브는 폐쇄되게된다.

Description

열처리기계
제 1 도는 텐터링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텐터링 프레임계의 블록도, 및
제 2 도는 제 1 도에 대한 텐터링 프레임의 상이한 온도 분포.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운송방향 2:구역
3:직물포(처리물품) 4:흡입관(연결부)
5:배기집합관 6,7:길이방향 말단
8,9:배기흡입시설 10,11:세정장치
12∼22:스로틀밸브(경계) 23:입구
24:출구 25∼27:온도곡선
본 발명은 물품의 운송방향으로 연속적인 구역을 통하여, 처리되는 물품을 이송하는 열처리 기계에 관한 것이다. 그 운송방향으로 열처리의 종류 및 효과에 따라서 상이한 배출가스 및 배기가 발생할 수 있고 제거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배기가 언급될때는 언제나 배출가스도 의미될 수 있다.
직물이나 제지 산업에서 사용되는 그런 종류의 기계에서는 여러 가지 배출 가스나 배기가 운송방향에 연속된 상이한 구역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즉, 다양한 구역에 열을 가하는 상이한 정도나,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기계에 공급된 재료의 다양한 건조도에 따라 달라진다.
텍스타일 직물포는 대류건조기계 및/ 또는 텐터링 프레임(tentering frame)이라고 불리우는 정착 기계에서 처음에는 건조되고 건조과정 이후에 섬유조직, 구역, 색에 대하여 정착가능해진다.
많은 양의 (수) 증기가 건조과정에서 계속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배기는 진정한 의미에서는 이것으로 인해 더럽혀지지 않는다.
따라서 건조 구역으로부터의 배기만이 세정이 필요없이 루우프(roof)위로 발산될수 있다.
옷감직물의 정착 및 응축처리가 건조과정후에 이루어질 때, 배기는, 제거해야하고 중화되어야만 하는 상이한 화학생성물을 포함한다.
세정해서는 안되거나 단지 약간만 세정되어야하는 배기를 내보내는 기계의 영역 또는 구역, 및 다소 높은정도로 세정되어야 하는 오염이 심한 배기가스를 내보내는 구역은 항상 상기 장치를 조작하는 동안 변하지 않는다.
즉, 기계의 두 부분사이의 배기의 경계가 항상 같고 같은 방향이라면, 전혀 세정하지 않아도 되거나 오직 약간만 세정을 필요로하는 배기를 가진 구역을 제 1배기 흡입시설로 연결시키고, 상당한 세정이 필요한 배기가스를 가진 구역을 제 2배기흡시설로 돌리는 것만이 현명한 일이다.
제2 의 시설만이 대규모 세정시설과 합쳐져야할 것이고, 세정장치는 거의 세정된 많은 양의 배기가스로 불필요하게 응력을 받지 않게될 것이다.
상대적으로 깨끗한 배기를 제공하는 기계의 구역과 덜 깨끗한 조건에 있는 배기를 제공하는 구역과의 사이에 있는 주어진 배기경계가, 작동중에 물질마다 변한다면 상황은 더 문제가 된다.
다른 배기가스 흡입시설 또는 대규모 세정장치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배기가스를 내보낼수 있는 모든 구역에 관해, 상기의 제 2흡입시설로 연결되도록 기계의 구역의 연결을 배열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상기 세정장치는 세정이 필요없는 배기가스라도 계속하여 그 배기가스를 처리해야 한다.
배기가스의 세정이 텐터링 프레임의 작업비용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 때문에 가능한한 낮게 세정과정에 도달하는 배기의 체적을 유지시키는 노력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는, 작동시에, 배기의 종류와 질에 따라 상이한 구역을 하나 또는 다른 배기흡입시설로 가변적으로 연결하여 배기가 최적상태로 처리되거나 배출되도록, 즉 배기가스가 세정여부에 관계없이 최소의 노력으로 그러나 물론 수용가능한 상태로 배출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열처리 기계에 대한 수단은 배기를 발생시키는 최소한의 두 구역을 포괄하고 각각의 배기집합관마다, 집합관의 길이방향의 말단부에서 각 구역에 연결되고, 그리고 배기 집합관의 길이방향의 양 배기흡입시설의 흡입영역사이의 하나의 가변경계에 연결되는 배기집합관에 의하여 특정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기와 같이 배기의 질이 변할 수 있는 기계의 구역에서는 그 구역을 하나 또는 다른 배기흡입시설로 연결하는 것을 기계의 개조없이도 가능하게한다. 이는 집합적인 배기집합관이 모든 구역에 대하여 설계되고, 그 관은 각각의 구역에 대하여 정착연결되고 제 1 또는 제 2 배기흡입시설의 경계 혹은 영향이 길이방향으로 가변적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계는 집합관과 처리구역의 각각의 두 연결부사이에 있는 집합관에서 각각 조절가능한 스로틀(throttle)밸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모든 스로틀 밸브는 서로 떨어져서 개방 가능해진다.
스로틀 밸브만이 기계의 두 구역사이에 있는 배기집합관에 위치한다.
그 구역중에 한 구역은, 세정할 필요가 없거나 약간만 세정해야 할 배기를 내보내고 더 높은정도로 처리되어야 할 배기를 내보내는 다른 구역은 폐쇄된다.
기계의 작동속도의 증가에 의하여, 또는 실린 물품의 건조상태를 바꾸는 것에 의하여 또는 기계의 온도변화에 의하여 또는 상이한 예비처리로 물품을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이 경계가 바뀌는 경우에는, 폐쇄된 스로틀 밸브는 개방될수 있고 지금 특정된 경계에 따라 다른 밸브가 폐쇄될 수 있다.
또다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류의 열처리 기계를 작동하는 기술에 대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부분의 구역의 배기가스의 성질을 시험함으로써 처리종류 및 물품종류에 따른 한계가, 경우에 따라서 이동경로에 대하여 정해질 수 있게 하는 것과, 경계의 양측에 발생하는 상이한 종류의 배기가 상이한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이한 배기장치라는 의미는 제거된 공기가 상이하게 처리되도록 흡입시설이 설계된다는 것이다. 법적으로 명기된 세정을 도시한 경우에는, 그것은 배기의 냉각 및/ 또는 공급공기를 데우기 위해 열교환기를 운전한 다음 루우프 위로 분출될 수 있다.
배기가 (수) 증기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 증긴의 응축이 고려될 수 있다. 배기가 여과되어야 하고 태워져야 하거나, 어떠한 방법으로라도 제거되어야 하는 유해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세정시설은 흡입시설과 결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그만한 양의 배기만이 실제로 각각의 세정을 필요로 하는 이 대규모의 세정장치로 도달된다는 사실과, 세정에서의 노력은 각각의 경우에 필요에 따라 한정될 것이라는 사실을 야기시킨다.
건조 (세정이 필요하지 않거나 약간만이 필요한 배기)가 수행되는 구역 및 열처리 (대규모로 세정되어야 하는 배기)가 수행되는 기계의 구역 결정은 DE-PS 3280120에 따라 측정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는 첨부된 도면의 개략적인 설명으로 설명된다.
DE-PS 33 36 331에 설명한 바와같이 형성될수 있는, 하나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 1도의 텐터링 프레임은 물품의 운송방향(1)에 연속적인 다양한 구역 또는 영역(2)을 갖는다.
처리되는 텍스타일 직물포(3) 는 운송방향(1) 에 일반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연속적인 구역(2) 을 통하여 공급되고 대부분의 경우 동시에 상하로부터 열처리가스(특히 공기) 로 불려진다.
여기서 발생하는 배기는 스케치된 과정실시예에서, 흡입관(4) 을 지나서 집합적인 배기집합관(5) 까지 도달된다.
배기집합관(5) 은 각각의 그 말단(6 또는 7)에 세정장치(10 또는 11)와 결합될 수 있는 배기흡입시설(8) 또는 (9)을 가진다.
하기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세정장치(10)중에서 하나는 제거될 수 있다.
제1 도에 따르면 배기집합관에는 12에서 22까지로 표시된 다수의 조절가능 스로틀 밸브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텍스타일 직물포가 제1 도에 따라 텐터링 프레임에서 처리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세가지 처리방법이 서로다른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이 모든 경우에서 직물포위로 분출되는 가스 (공기) 는 분출되기전에 150℃에서 250℃까지 가열된다.
제1 의 경우에서는 직물포는 단순히 건조된다.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에 별로 상관없이, 기계의 입구(23)로의 삽입직후에 직물포의 온도는 곧 소위 냉각한계 온도(Tg)까지 상승하고, 기계의 출구(24)에 도달할때까지 거의 이 온도를 유지한다.
온도변화는 제2 도의 곡선(25)에 대략 도시된다.
곡선(25)의 끝에서 온도증가는, 직물포가 건조된 상태에 있음을 도시하는 직물포의 온도 Tt 값으로 나타나 있다. 이 더높은 온도의 영역에서 배기체적은 분리된 세정에 도달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나머지 구역에서 배기는 단지 보통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기껏해야 응축에 의하여 처리되는 (수) 증기로 구성되기만 할 것이다.
제1 처리 경우에서 배기집합관(5)의 스로틀 밸브(21)를 폐쇄하여, 결과적으로 최종의 밸브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텐터링 프레임의 모든 구역으로부터의 배기는 배기흡입시설(8) 로 전환되는 것이 타당하다.
더 높은 온도를 가지기만 하는 최종 구역으로부터의 배기는 배기흡입시설(9)을 지나서 세정장치(11)에 있는 일반적인 세정에 도달될수 있다.
직물포의 온도(Tg)가 기계 출구(24)에 도달할때까지 변화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스로틀 밸브(22)는 폐쇄될 수 있고 배기흡입시설(9)은 꺼질 수 있다.
제1 도에 따른 기계조작의 제2 의 경우는 제2 도의 곡선(26)에 의하여 도시된다.
이 경우는 텐터링 프레임의 입구(23)로 들어가는 직물포(3) 가 건조되어서 정착되는 것을 가정한다.
건조과정동안 직물포는 단지 냉각- 제한- 온도(Tg)를 취한다.
그러나, 건조과정이 끝난후 직물포 내부온도는 주위 처리공기의 온도에 주로 일치하는 정착온도(Tf)까지 올라간다.
이 온도에서 유해요소를 다량 포함하는 배기가 발생하고 모든 상황하에서 배기는 (대규모) 세정을 위하여 세정장치(11)에 도달된다.
제1 도 및 2 도로 든 예는 여기에서 스로틀밸브(18)를 닫아서 스로틀밸브(18)의 왼편에 있는 공기가 건조구역으로부터 나와서 배기흡입시설(8)로 들어가고 스로틀 밸브(18)의 오른편에 있는 공기는 정착구역으로부터 나와서 배기흡입시설(9)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타당함을 도시한다.
제2 도에 따른 조작에서 건조구역과 정착구역과의 사이의 경계는 처리온도나 운송 속도의 수정과 같은 어떤 이유에서 바뀌어져야하고 건조구역과 정착구역과의 사이의 상기 경계는 이동할수 있어서 최대 세정조건에서 스로틀밸브(18)의 전환은 다시 개방가능해지며 그것의 좌측이나 우측에 있는 스로틀밸브중 하나는 폐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최신 텐터링 프레임은 한 사람에 의하여 다뤄져서 스로틀밸브(12 내지 22)는 원격조정에 의해서 혹은 전문가들이 익숙해진 방법으로 개폐되어야 한다.
제1 도에 따른 텐터링 프레임 조작의 제3 의 경우는 곡선(27)에 의하여 기호화된다.
직물포는 냉각- 제한- 온도(Tg)에서 짧은 건조기간후에 응축온도(Tr)까지 가열되는 반면에 곡선(27)에서와 같이 응축시간은 곡선(26)에서의 정착시간보다 매우길수 있음을 여기서 가정한다.
이 제3 의 경우에서는 곡선(27)의 온도변화구역에서 발견되는 제1 도의 스로틀 밸브(14)를 폐쇄하는 반면에 다른 모든 스로틀 밸브(12,13 및 15 내지 22)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적당하다.
곡선(26)에서와 같은 정착과정동안처럼 직물포의 운송방향(1)에서 저온과 고온과의 경계는 변할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역시, 조작시 스로틀 밸브(14)를 개방하고 대신에 이웃하는 밸브중 하나를 폐쇄하는 가능성이 주어진다.
각각의 경우에서 제1 도에 따른 기계가 세정장치(11)안으로 처리되어지는 공기의 체적이 최소로 유지되는 방법으로 조작될 수 있다.
냉각- 제한- 온도(Tg)에서 아무것도 건조되지 않지만, 온도는 즉시 증가되어야하고 상대적으로 높아야 하는 극단적인 경우를 취하면, (제1)스로틀 밸브(12)를 폐쇄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그러면 배기흡입시설(8)은 꺼질 수 있다.

Claims (3)

  1. 상이한 배출가스 및 배기가 열처리의 종류 및 효과에 따라 발생가능하고 제거되어야만 하는 운송방향(1)으로 연속적인 구역을 통하여 피처리 물품(3)을 이송시키며, 각각의 구역에의 연결부(4)를 통하여 배기를 발생시키는 2 이상의 구역(2)과 연결된 배기집합관(5)을 구비한 열처리 기계에 있어서, 상기 배기집합관(5)의 길이방향 말단(6,7)의 각각에 설치된 배기흡입시설(8,9); 및 상기 2개의 배기흡입시설(8,9)의 흡입영역사이에 배기집합관(5)의 길이방향 길이에 따라 가변적인 경계(12내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배기흡입시설(9)은 제1유형의 배기세정장치(11)에 연결되고, 다른 배기흡입시설(8)은 다른 유형의 세정장치(10)에 또는 외부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인 경계(12내지22)는 조절가능한 스로틀 밸브이며, 각각 2개의, 상기 배기집합관(5)과 구역(2)의 연결부(4) 사이의 배기 집합관(5)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기계.
KR1019910014155A 1990-08-17 1991-08-16 열처리기계 KR0144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026106A DE4026106C2 (de) 1990-08-17 1990-08-17 Wärmebehandlungsmaschine
DEP4026106.9 1990-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641A KR920004641A (ko) 1992-03-27
KR0144848B1 true KR0144848B1 (ko) 1998-07-15

Family

ID=641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155A KR0144848B1 (ko) 1990-08-17 1991-08-16 열처리기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231773A (ko)
JP (1) JPH05171563A (ko)
KR (1) KR0144848B1 (ko)
AT (1) AT401104B (ko)
BE (1) BE1004495A5 (ko)
CH (1) CH684712A5 (ko)
CZ (1) CZ281154B6 (ko)
DE (1) DE4026106C2 (ko)
ES (1) ES2042378B1 (ko)
FR (1) FR2665944A1 (ko)
GB (1) GB2247738A (ko)
IT (1) IT12518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4704B4 (de) * 1999-05-28 2004-11-04 Babcock Textilmaschinen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Wärmebehandlung einer textilen Warenbahn und Trockner
CN102535072A (zh) * 2012-02-04 2012-07-04 无锡飞达纺织印染机械有限公司 拉幅定形机排风装置
CN105333719B (zh) * 2015-11-30 2017-09-05 宁夏发途发蔬菜产业集团有限公司 组合式热风连续烘干设备
CN108870881B (zh) * 2018-05-21 2020-12-11 嘉兴市昶兴喷织有限公司 一种纺织烘箱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7660A (en) * 1939-04-18 1940-10-14 Bernard Offen Improvements in drying webs
US3070897A (en) * 1957-12-11 1963-01-01 Young Brothers Company Automatic oven air balancing system
DE1753591B1 (de) * 1963-03-15 1969-12-11 Schilde Ag Einrichtung fuer die Waermebehandlung von gleichfoermig bewegtem Gut
US3509638A (en) * 1966-08-04 1970-05-05 Midland Ross Corp Treating apparatus
US3829985A (en) * 1972-06-23 1974-08-20 Western Electric Co Apparatus for drying pulp-insulated wire
US3849904A (en) * 1973-04-04 1974-11-26 Aer Corp Horizontal flat bed through drying system
US4031631A (en) * 1975-06-20 1977-06-28 Kirby Lumber Corporation Apparatus for reducing the opacity of the emissions from wood dryers
GB1504218A (en) * 1976-04-26 1978-03-15 Whiteley Ltd Driers for textile materials
US4127945A (en) * 1976-06-01 1978-12-05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and a dryer for drying polychloroprene sheets
US4169321A (en) * 1976-06-16 1979-10-02 Airtech Systems, Inc. Waste heat recycling system
US4116620A (en) * 1977-05-23 1978-09-26 Tec Systems, Inc. Web dry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heating recirculated air
DE2727971C2 (de) * 1977-06-22 1983-07-14 Brückner-Apparatebau GmbH, 6120 Erbach Verfahren zur thermischen Behandlung einer Warenbahn
DE2812966C2 (de) * 1978-03-23 1986-06-19 Brückner-Apparatebau GmbH, 6120 Erbach Verfahren zur thermischen Behandlung einer Warenbahn
US4231165A (en) * 1977-06-22 1980-11-04 Bruckner Apparatebau Gmbh Process for heat-treating a fabric web
DE3148576C2 (de) * 1981-09-08 1986-05-22 A. Monforts GmbH & Co, 4050 Mönchengladbach Vorrichtung zur Kontrolle der kontinuierlichen Wärmebehandlung einer textilen Stoffbahn
DE3312226A1 (de) * 1983-04-05 1984-10-11 Babcock Textilmaschinen GmbH, 2105 Seevetal Anordnung zur waermebehandlung laufender warenbahnen
DE3336331C2 (de) * 1983-10-06 1985-12-05 A. Monforts GmbH & Co, 4050 Mönchengladbach Konvektionstrocken- und/oder -fixiermaschine
US4697354A (en) * 1985-08-28 1987-10-06 Babcock Textilmaschinen Gmbh Drier for moving sheet material
DE3644323A1 (de) * 1986-12-23 1988-07-07 Brueckner Trockentechnik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thermischen behandlung einer kontinuierlich bewegten textilen warenbah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1004495A5 (fr) 1992-12-01
US5231773A (en) 1993-08-03
ES2042378B1 (es) 1994-07-01
CH684712A5 (de) 1994-11-30
FR2665944A1 (fr) 1992-02-21
DE4026106C2 (de) 1995-04-13
IT1251815B (it) 1995-05-26
ITMI911980A0 (it) 1991-07-17
JPH05171563A (ja) 1993-07-09
GB2247738A (en) 1992-03-11
ATA159791A (de) 1995-10-15
ES2042378A1 (es) 1993-12-01
AT401104B (de) 1996-06-25
CZ281154B6 (cs) 1996-07-17
KR920004641A (ko) 1992-03-27
GB9115374D0 (en) 1991-08-28
CS251391A3 (en) 1992-02-19
ITMI911980A1 (it) 1993-01-17
DE4026106A1 (de) 199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73312A (en)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US5263265A (en) Convection/radiation material treatment oven
US5377425A (en) Vacuum drying apparatus
US5516012A (en) Apparatus for steam treatment and hot-air treatment of garments
ES2046848T3 (es) Procedimiento e instalacion para el secado continuo de virutas de madera, fibras de madera u otros productos a granel.
US4780965A (en) Method for the thermal cleaning of exhaust gases of a heat treatment apparatus
KR840005208A (ko) 회전 건조기를 열응력으로 부터 보호하는 장치
US4726124A (en) Textile machine having continuous convective heat treatment
KR0144848B1 (ko) 열처리기계
US5946819A (en) Continuous textile web dryer
KR101561030B1 (ko) 터보 열풍분사 방식을 이용한 직물원단 건조장치
KR890002468Y1 (ko) 기다란 섬유제품의 연속 가열장치
US8806903B2 (en) Garment tunnel finisher with atomized spray and hot air mix
US5584131A (en) Drier with shortened restart
US1411380A (en) Apparatus for cleansing and sterilizing empty cans
KR100424895B1 (ko) 증발성 오일 건조기
JPS6096883A (ja) 対流乾燥機および/または対流固定機の糸くずフイルタ装置
JPS6096882A (ja) 対流乾燥機および/または対流固定機の糸くずフイルタ装置
SU67078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волокн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JPH08325923A (ja) 帯状材料を真空により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849220B2 (ja) 洗浄乾燥装置
KR200185258Y1 (ko) 산업용탈수시스템의 슬러지건조장치
US3187441A (en) Elongated drum drier with drying gas distributing ducts
JP4689886B2 (ja) テンタオーブン
JPH05126467A (ja) 乾燥機等の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