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895B1 - 증발성 오일 건조기 - Google Patents

증발성 오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895B1
KR100424895B1 KR10-2001-0061734A KR20010061734A KR100424895B1 KR 100424895 B1 KR100424895 B1 KR 100424895B1 KR 20010061734 A KR20010061734 A KR 20010061734A KR 100424895 B1 KR100424895 B1 KR 10042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oil
conveyor
dryer
inn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091A (ko
Inventor
김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플랜트
Priority to KR10-2001-006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8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belt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용 튜브나 코일과 같은 부품에 묻은 증발성 오일을 건조하기 위한 증발성 오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터널형 내부 통로에 배치되어 건조할 오일이 묻은 부품을 자동 이송시키는 콘베이어(2), 상기 내부 통로의 일측벽에 제공되어 오일의 폭발 위험을 방지하도록 전기 히터부(9)에서 발생된 열풍을 송풍 팬(8)에 의해 콘베이어에 실려 이송되는 부품을 향해 송풍시키는 다수개의 노즐(10), 상기 노즐로부터의 열풍과 함께 내부의 천정에서 상하로 위치조절가능하게 제공되고 열풍을 콘베이어에 실려 이송되는 부품을 향해 위에서 하방으로 공급하는 송풍 노즐 어셈블리(1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열풍을 팬에 의해 공급함과 함께 천정에 장착된 열풍 공급용 노즐 어셈블리에서 열풍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와류 상태로 공급하여 증발된 오일의 폭발 위험 없이 물품의 외측 표면 뿐만 아니라 내측 표면에 묻은 오일까지도 잔류 농도가 3% 미만이 되게 제거할 수 있고 오일 제거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력비의 절감 및 오일 제거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어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고, 측벽의 다공판을 통해 배기된 열풍을 재순환시킴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증발성 오일 건조기{Evaperation degreasing machine}
본 발명은 핀 프레싱(fin pressing)한 후 오일을 이용하여 확관시켜 제조하는, 에어컨이나 난방기와 같은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코일 제조공정후 코일로부터오일을 증발시켜 제거하기 위한 증발성 오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기용의 튜브나 알루미늄 핀(fin)용 코일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윤활유로서의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코일에는 오일이 묻어 있게 되며, 이러한 코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그 표면에 묻은 오일로 인하여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므로 이러한 오일을 제거해야 한다.
종래에는, 코일 제조공정에서 사용된 코일에 묻은 오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코일 확관 공정후 트리클로로 에틸렌이나 트리클로로 에탄 등으로 세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물질은 인체에 해로운 문제가 있으며, 이에 대하여 별도의 오염방지시설 및 폐수처리시설을 필요로 하는 경제적 추가 부담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코일의 확관 공정에서 사용되는 오일로서 휘발성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휘발성 오일 또한 25℃ 정도의 상온에서 오일을 증발하는데는 적어도 1시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어 코일 생산성을 크게 낮추는 문제와 함께 대기 오염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같은 자연 증발에 의하는 경우 코일 내측면에 묻은 오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물질의 탈지제를 사용하지 않고 수세 공정이 필요없이 냉난방기용 코일의 확관공정에서 사용된 오일을 제거하도록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코일에 간접 열풍 순환방식으로 열풍을 분사하여 코일의 외표면 뿐만 아니라 코일 내측면에 묻어 있는 증발성 오일을 안전하고 신속히 증발시켜 제거하는 자동화된 증발성 오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건조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건조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3은 도 1의 오일 건조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건조기 2 : 콘베이어
4 : 예비 퍼징부 5 : 주 건조부
6 : 후 퍼징부 8 : 송풍팬
9 : 전기히터부 10 : 노즐
12 : 노즐 어셈블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튜브나 코일과 같은 부품에 묻은 증발성 오일 건조기는 터널형으로서, 그 내부 통로에 배치되어 건조할 오일이 묻은 냉난방기용 튜브나 코일과 같은 부품을 자동 이송시키는 콘베이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측벽에 제공되어 오일의 폭발 위험을 방지하도록 전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풍을 송풍 팬에 의해 콘베이어에 실려 이송되는 부품을 향해 송풍시키는 다수개의 노즐, 상기 노즐로부터의 열풍과 함께 내부의 천정에서 상하로 위치조절가능하게 제공되고 열풍을 콘베이어에 실려 이송되는 부품을 향해 위에서 하방으로 공급하는 송풍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건조기 내부에서 다수의 열풍 공급용 노즐들이 설치된 일측벽에 대향된 벽은 다공판으로 구성되어 부품의 오일을 증발시키고 배출되는 열풍을 수집하여 송풍 팬에 의해 재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기는 예비 퍼징부와, 주건조부 및 후 퍼징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송풍 노즐 어셈블리는 주건조부와 후 퍼징부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송풍 노즐 어셈블리는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스크류잭 타입의 높이 조절수단으로 건조할 제품의 크기에 따라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용 튜브 또는 코일의 제조과정, 즉 확관공정시에 사용된 윤활유를 증발시켜 제거하기 위한 건조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조기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평면도이다.
도면들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오일 건조기(1)는 냉난방기용 튜브나 코일을 건조하기 위한 여러 장치들을 구비한 터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터널형 통로를 따라 콘베이어(2)가 배치되어 소정의 속도로 코일을 자동 이송시키는 동안 건조기 내부에서 코일의 내외 표면에 묻은 오일을 증발시켜 제거함으로써 건조하게 된다. 콘베이어(2)는 건조기의 개방된 입구와 출구 보다 더 연장되어 있으며, 건조기 내부의 고온에 의해 콘베이어 벨트가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장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조기(1)는 오일의 증발을 촉진시키도록 80도의 열풍을 공급하는 예비 퍼징부(purging part:4)와, 코일에 묻은 휘발성의 오일을 150도의 온도에서 급속히 증발되도록 하는 주건조부(5), 및 코일 내부의 증발 기화된 오일을 배기시키도록 80도의 열풍을 송풍하는 후 퍼징부(6)로 이루어지며, 도 1에서 입구측에서 차례로 블록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비 퍼징부(4)와, 주건조부(5) 및 후 퍼징부(6) 각각에 대응된 건조기 내부의 상측에는 축(7)에 의해 지지되는 송풍팬(8)이 각각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즐(10)에서 분사된 열풍이 코일(50 ; 피건조물)을 향하여 분사되므로서, 코일(50)의 외부에 묻은 오일을 건조시키고, 이후, 상기 열풍이 다공판(14)을 통과하여 열풍 집합조로서의 공간부(15)로 공급되고, 상기 공간부(15)로 공급된 열풍이 송풍팬(8)에 의해 흡입되어 열교환기(10')로 공급되므로서, 사익 열풍이 열교환기(10')에서 재가열된 후, 노즐(10)에 의해 코일(50)로 재분사되므로서, 열풍이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또한, 주건조부와 후 퍼징부의 천정에는 실린더에 의해 높이 조절가능하게 가이드(11)들에 의해 지지되는 열풍 공급용 노즐 어셈블리(12)이 설치됨으로써 열풍이 천정에서 공급된다.미설명한 도면부호 13은 콘베이어(2)에 올려져 이동되는 코일(5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상기 노즐(10)을 통한 열풍 공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열풍 정류조로서 노즐들이 설치된 일측벽의 열교환기(10')으로 송풍팬에 의해 열풍이 공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건조기의 개방된 입구측 출구측에 인접한 예비 퍼징부(4)와 후 퍼징부(6)들에서는 열풍을 측벽의 노즐(10)들로부터 공급하더라도 그 주변이 개방된 이유로 80도 정도의 온도가 되지만, 중간의 주건조부에서는 150도 정도로 고온이 된다. 예비 퍼징부에서의 열풍에 의해 콘베이어상에서 이송되는 코일에 묻은 오일은 증발하기 쉽게 예열되고, 주건조부에서 측벽의 노즐들로 부터의 열풍과 함께 천정의 노즐 어셈블리(12)에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코일의 외표면 뿐만 아니라 내측 표면에 묻은 오일이 150도의 고온에서 증발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스팀을 이용한 간접 가열방식의 열교환기(10')와 열풍 순환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폭발의 위험이 제거되어 안전하게 오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즐(10)들이 제공된 측벽에 대향된 측벽은 다공판(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써 대향측의 노즐(10)로 부터의 열풍과 천정의 노즐 어셈블리(12)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코일을 스쳐 지나가면서 거기에 묻은 오일을 증발시킨 다음 다공판(14)을 통해 열풍 집합조로서의 공간부(15)에 수집되며, 이렇게 수집된 가열된 열풍을 팬들에 의해 다시 측벽의 노즐(10)로 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열풍의 형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최종적으로,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코일들이 주건조부(5)를 통과한 다음, 후 퍼징부(6)에서는 공급되는 측벽 및 천정의 노즐들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에 코일의 잔류 오일이 3% 미만이 되게 최종적으로 증발시킨다.
본 발명의 건조기에서 열풍은 150도가 되도록 하고 그 압력은 6Kg/m2가 적합하며, 코일의 표면에서 오일이 쉽게 증발되게 하고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신속히 증발되도록 하기 위하여 팬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은 15m/sec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조기 외벽에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도록 암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풍 집합조(15)의 외벽에는 도어(20)가 설치되어 건조기의 보수유지 작업을 위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열풍이 팬에 의해 순환됨과 함께 천정에 장착된 열풍 공급용 노즐 어셈블리에서 열풍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와류 상태로 공급하여 증발된 오일의 폭발 위험 없이 콘베이어에 실려 이송되는 냉난방기용 튜브나 코일에서 제조공정상 사용하여 외측 표면 뿐만 아니라 내측 표면에 묻은 오일까지도 잔류 농도가 3% 미만이 되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오일 제거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력비의 절감 및 오일 제거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어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고, 열풍이 오일을 증발시키고 난 다음 다시 대향된 측벽의 다공판을 통해 배기되어 재순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건조기는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보다 큰 코일 또는 튜브의 경우, 또는 다른 부품으로서 표면의 오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시간이 보다 많이 소요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주건조부를 복수개 이어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와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정도의 변형은 첨부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은 당연한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3)

  1. 삭제
  2. 터널형의 내부 통로에 배치되어 건조할 오일이 묻은 부품을 자동 이송시키는 콘베이어(2), 상기 내부 통로의 일측벽에 제공되어 오일의 폭발 위험을 방지하도록 전기 히터부(9)에서 발생된 열풍을 송풍 팬(8)에 의해 콘베이어에 실려 이송되는 부품을 향해 송풍시키는 다수개의 노즐(10), 상기 노즐로부터의 열풍과 함께 내부의 천정에서 상하로 위치조절가능하게 제공되고 열풍을 콘베이어에 실려 이송되는 부품을 향해 위에서 하방으로 공급하는 송풍 노즐 어셈블리(12)를 포함하고, 터널형 내부 통로가 예비 퍼징부(4)와, 주건조부(5) 및 후 퍼징부(6)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성 오일 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0)에서 분사되는 열풍은 다공판(14)을 통과하여 열풍 수집조로서의 빈 공간부(15)로 유입되고, 상기 공간부(15)에서 송풍팬(8)에 의해 열교환기(10')로 공급되며, 열교환기(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후, 다시 노즐(10)을 통해 분사되는 순환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성 오일 건조기.
KR10-2001-0061734A 2001-10-08 2001-10-08 증발성 오일 건조기 KR10042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734A KR100424895B1 (ko) 2001-10-08 2001-10-08 증발성 오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734A KR100424895B1 (ko) 2001-10-08 2001-10-08 증발성 오일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091A KR20030030091A (ko) 2003-04-18
KR100424895B1 true KR100424895B1 (ko) 2004-03-27

Family

ID=2956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734A KR100424895B1 (ko) 2001-10-08 2001-10-08 증발성 오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78B1 (ko) * 2007-06-14 2009-08-31 (주)한국대화금속 건조시스템
KR101113371B1 (ko) * 2011-12-09 2012-02-14 진우건철(주) 친환경 이동식 화장실
CN110926111B (zh) * 2019-11-13 2021-08-17 天津大学 物料的移动床干燥方法与装置
CN112354977A (zh) * 2020-12-01 2021-02-12 安徽同光邦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纺丝用烘箱的履带除油剂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6463U (ko) * 1986-08-22 1988-03-09
JPH0540795U (ja) * 1991-10-30 1993-06-01 株式会社精工舎 エア−乾燥機
JPH06256983A (ja) * 1993-12-16 1994-09-13 Mitsubishi Kasei Corp 油付着物の洗浄装置
JPH0678787U (ja) * 1993-04-20 1994-11-04 桑野電機株式会社 コンベア式乾燥装置
JPH0947224A (ja) * 1995-08-08 1997-02-18 Arakawa Seisakusho:Kk コンベア式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6463U (ko) * 1986-08-22 1988-03-09
JPH0540795U (ja) * 1991-10-30 1993-06-01 株式会社精工舎 エア−乾燥機
JPH0678787U (ja) * 1993-04-20 1994-11-04 桑野電機株式会社 コンベア式乾燥装置
JPH06256983A (ja) * 1993-12-16 1994-09-13 Mitsubishi Kasei Corp 油付着物の洗浄装置
JPH0947224A (ja) * 1995-08-08 1997-02-18 Arakawa Seisakusho:Kk コンベア式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091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2698B1 (de) Verfahren und eine reinigungsanlage zum reinigen industriell gefertigter bauteile
KR900004296B1 (ko) 증기조(蒸氣槽)
KR101231538B1 (ko) 공기순환 건조 구조를 갖는 친환경 일체형 파렛트 세척 및 건조장치
KR101631879B1 (ko) 냉동고추 건조 시스템
UA126003C2 (uk) Спосіб та пристрій для сушіння листів
CN108698090A (zh) 具有蒸汽冷凝的工业清洁设备及所涉及的方法
KR100424895B1 (ko) 증발성 오일 건조기
KR101237340B1 (ko) 공기압축장치를 이용한 고함수 물질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방법
KR101740477B1 (ko) 종횡 이송식 원단 플로팅 건조 시스템
US6282811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thermal treatment of a continuous product web by blowing of steam
EP0779486B1 (de) Vorrichtung zum Wärmebehandeln von durchlaufenden Warenbahnen
KR20190128484A (ko) 의류 처리 장치
US20080034807A1 (en) Method for smoothing articles of clothing, and tunnel finisher
US4658512A (en) Drying tower
KR20130041811A (ko) 직물 웨브의 열처리 장치
EP0482890A1 (en) Cleaning equipment
GB2030446A (en) Dishwashing machine
WO2003029546A1 (en) A stenter machine
KR101005097B1 (ko) 직물가공 라인용 급속건조장치
KR101128532B1 (ko) 열전소자와 폐열을 이용한 응축 건조장치
JPH0752555Y2 (ja) 缶ドライヤオーブン
KR20070018136A (ko) 고효율 연속 근적외선 건조기
KR102232937B1 (ko) 열처리 가공 소재의 담금용 소금용융수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수 처리장치
CN110624796A (zh) 用于干燥工件的连续式干燥设备和方法
HU192115B (en) Trough steam m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